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립러닝 과정기반 온라인 프로젝트학습 수업모형 개발

        최지은,성은모 한국교육공학회 2022 교육공학연구 Vol.3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ctional model for flipped learning process based online project-based learning (PjBL). To address these goals, development research methods were used, and the research process was conducted as follows. In the first phase, the prototype model was develop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 In the second phase, the first expert validation of the prototype model’s internal validation was conducted. In the third phase, the second expert validation on the modified prototype mode was conducted. In the final phase, the instructor’s usability evaluation as external validation was conducted with the second modified model, and the final model was derived by reflecting on the results of the usability evaluation. As a result, the online PjBL of the two models, i.e., the procedure model and the detailed procedure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flipped learning process. The instructional model for a flipped learning process based on online PjBL expressed the flipped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each project learning process consisting of project preparation, topic selection and problem analysis, data and problem-solving exploration, completion, presentation and evaluation. Next, a detailed procedure model of flipped learning process based online PjBL. describes the instructor’s activities, the learner’s activities, and examples of online tools that can be used in each process. The model considers dividing the learner’s activities into individual activities and team activ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ed an online PjBL model by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process and presented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이 연구는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프로젝트학습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플립러닝의 과정 요소를 반영하여 온라인 프로젝트학습 수업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개발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온라인 프로젝트학습을 위한 온라인 학습환경에서의 프로젝트학습 절차와 세부 활동,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도구를 제시하였다. 먼저 온라인 프로젝트학습, 플립러닝, 플립러닝형 프로젝트학습에 대한 선행문헌 검토를 통해 교수학습 절차, 절차별 세부 활동 내용, 활용 가능한 온라인 도구 등을 도출하여 원형모형(prototype model)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원형모형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내적 타당화(전문가 타당화 2회)와 외적 타당화(교수자 사용성 평가 2회) 검증을 거쳐 수정․보완되었다. 최종 도출된 ‘플립러닝 과정기반 온라인 프로젝트학습 수업모형’은 전체적인 절차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절차모형, 세부적인 교수학습 활동과 각 단계별 활동의 세부내용, 그리고 각 단계별 활동 특색에 맞게 지원해 주는 온라인 테크놀로지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플립러닝 과정기반 온라인 프로젝트학습 수업모형은 프로젝트 준비, 주제 선정 및 문제 분석, 자료 및 문제 해결안 탐색, 결과물 완성(프로토타입개발, 결과물 개발), 발표 및 평가로 이루어진 프로젝트학습 절차에 따라서 플립러닝이 이루어지는 학습과정의 요소(수업 전-수업 중-수업 후 활동)로 구성되었다. 세부 활동모형은 각 단계마다 교수자 활동과 학습자 활동(P=개별활동, T=집단활동)을 구분하여 제시하였으며, 각 단계의 활동 특색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테크놀로지를 상호작용 도구, 자료공유 도구, 협력 도구, 평가 도구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플립러닝 과정기반 온라인 프로젝트학습 수업모형 개발 연구의 의의와 향후 추진되어야 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네일미용 교육을 위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수업모형 개발

        설현진 복식문화학회 2022 服飾文化硏究 Vol.30 No.3

        Flipped learning research has been applied in various educational fields since 2015 and the educational effects have been discussed in previous literature. In the beauty field, flipped learning research is insufficient;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find research on flipped learning specifically concerning nail beauty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for applying flipped learning to nail beauty education which should involve practical training based on theory. Such an approach is considered effectiv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cusing on previous studies with flipped learning applied as a research method. The subject of the research is “Nail Color Design 1”, a common nail major elective subject at J college. The “Nail Color Design 1” course is a practice-oriented course in the form of theory and practical classes. Consequently, the flipped learning education model for nail beauty was designed by reflecting learners’ needs through the ADDIE instructional design model. It was applied based on the education structure of the Pre-class, In-class, and Post-class of the PARTNER instructional learning model. This study deviates from the traditional practical education model, and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as a practical model in which flipped learning is applied to nail beauty subjects and self-reflection is derived through project practice.

      • KCI등재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 실천을 위한 초등교사 역량모델 개발

        류광모 ( Kwangmo Ryu ),임정훈 ( Junghoon Lee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플립러닝이 실천되고 있는 학교 현장에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 실천을 위한 초등교사 역량모델을 개발하고, 역량 수준분석을 통해 현장 실천 교사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역량이 무엇인지를 탐색해 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 탐색을 통한 자료수집, 플립러닝 실천이 뛰어난 우수교사 8명으로 대상으로 한 행동 사건면접과 초점집단인터뷰 통해 잠정적 역량모델을 도출하였으며, 관련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잠정적 역량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수정·보완한 뒤 최종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이어서 완성된 역량모델을 바탕으로 역량 측정 평가지를 제작하고, 현장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Borich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여 요구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역량모델은 2개 영역, 4가지 역량군, 15개 역량, 56개의 행동지표가 개발되었다. 도출된 15개 역량 중 현장 교사가 우선 순위로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는 인적 네트워크 형성, 플립러닝 실천의지, 온오프라인 활동연계능력, 디딤 영상 제작능력, 그리고 자기수업 성찰 등이 확인되었으며, 그 중 최우선 순위로 개발되어야 할 역량은 온오프라인 활동 연계능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역량들이 교사연수를 통해 체계적으로 개발된다면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을 실천하고자 하는 교사들의 전문성을 크게 신장시킴으로써 플립러닝이 현장에 안착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 실천을 위한 교사 연수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그리고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을 실천하는 교사들에 대한 역량 평가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competency model for practicing flipped learning and provid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help to those who are implementing flipped learning based on smart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a group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mpetency levels, the study identified the most critical competencies teachers need. For data collection, a related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and eight excellent teachers were interviewed using behavior event and focus group interview methods. Through the process, the basic competency model could be selected. In addition, using the Delphi method, the tentative competency model was reviewed twice by ten experts in the education field. The final competency model was established after several revisions. Based on the final competency model, an evaluation form for competency measurement was developed and a need analysis was conducted with 100 teachers in school settings. Addi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the Borich method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for educational needs analysis regarding each competency. The resulting competency model for adapting flipped learning based on smart education has two sections, four competency groups, fifteen competencies, and fifty-six behavioral indicators. Among the fifteen competencies, the top priority competencies that instructors should acquire are (a) building a personal network, (b) willingness to learn flipped learning, (c) the ability to connect the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d) the ability to make a video for preview, and (e) introspection of their classes. The findings show that if these essential qualities are gained beforehand, instructors could be more professional and confident about flipped learning practices based on smart education. Finally, the findings can be helpful for designing teachers’ training programs about flipped learning based on smart education and evaluating of their capabilities.

      • KCI등재

        대학 교수자를 위한 플립드 러닝 수업설계 가이드 개발

        조영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flipped learning instruction design guide that includes the guidelines of flipped learning and reflects the professor's requirement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we reviewed the guidelines of flipped learning included in the previous research about the design principle of flipped learning or flipped design strategy. Of the reviewed guidelines, we finally selected the guidelines judged by the researcher to be closely related to good component of flipped learning. In order to deduce professor's requirement of flipped learning instruction design guide, we interviewed 6 university professors with instructional experience of flipped learning. We developed the first flipped learning instruction design guide to include the deduced instruction of flipped learning and to include professor's requirement.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developed guide and correcting the guide, we made 2 reviews of expert and 2 evaluation of usability.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ing. The flipped learning instruction design guide is a print material of 45 pages. The guide covers both the analysis phase and design phase of instructional design for a flipped learning. The analysis phase includes the learner analysis, the environmental analysis, and the content analysis. The design phase includes the selection of content for flipped learning, the detailed instructional design based on the instructional type. There are three instructional types: the general flipped learning, the debate flipped learning, and the problem-based learning flipped learning. 이 연구의 목적은 플립드 러닝의 지침을 포함하고 대학 교수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플립드 러닝 수업설계 가이드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플립드 러닝 설계 원리 또는 플립드 러닝 설계 전략에 관한 선행 연구에 포함된 지침들을 검토하였다. 검토된 지침 중 효과적인 플립드 러닝의 구성요소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고 연구자가 판단한 지침들을 최종 선정하였다. 플립드 러닝 수업설계 가이드에 대한 교수자의 요구사항을 도출하기 위하여 플립드 러닝 수업 경험이 있는 대학 교수자 6명을 면담하였다. 도출된 플립드 러닝의 지침과 교수자의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1차 플립드 러닝 수업설계 가이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가이드의 타당성 검증과 가이드 수정을 위해 전문가 검토 2회와 사용성 평가 2회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플립드 러닝 수업설계 가이드는 45쪽 분량의 인쇄물 형태이며, 분석과 설계단계에 따른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분석에서는 학습자 분석, 환경 분석, 내용 분석에 대한 활동이 포함된다. 설계에서는 플립드 러닝 적용 내용 및 수업 유형 선정, 수업 유형별(일반형 플립드 러닝, 토론형 플립드 러닝, 문제중심학습형 플립드 러닝) 설계 활동이 포함된다.

      • KCI등재

        대학에서의 플립트-문제기반학습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

        박은숙 ( Eunsook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플립트러닝(flipped learning)과 문제기반학습(PBL)의 개념과 특징 및 구성 요소를 탐색하고 이를 기초로 플립트러닝을 적용한 문제기반학습을 위한 교수설계의 핵심 아이디어와 전략을 도출한 후, flipped-PBL 수업모형을 고안하는 것이다. 고안된 모형은 대학수업에서 한 학기동안 적용하여 실시한 후, 교실에서의 flipped-PBL 수업모형이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력에 미친 영향과 학습자의 학습인식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flipped-PBL 수업모형을 적용한 사후집단에서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가 사전집단에서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플립트러닝을 적용한 PBL수업이 참여한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증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학습자의 학습경험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 본 수업은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과 상호작용 및 협력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수업준비에 대한 부담감, 예습 시 학습내용 이해에 대한 어려움, 피드백의 충분한 제공 부족 등의 문제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들을 기초로 flipped-PBL 수업모형의 약점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 향후, 교실수업에서의 토론과 문제해결력을 더욱 증진하기 위해여 팀기반학습, 액션러닝, 창의적문제해결 등 다양한 모형들을 적용하여 수업이 고안·실행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flipped learning and PBL and deduct the core idea and strategy of flipped learning-PBL instructional design based on it, and make a flipped learning-PBL course model. The flipped learning-PBL model was applied in college course for a semester and explored the effect on the participant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recognition on the flipped learning-PBL course. The result reveals that the participants improve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participants’ recognition on the learning also reveals that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nd interaction and collaborative activity affect positively. But there is the work overload, difficulty of understanding, shortage of feedback and etc.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alternative of the course model to revise the weakness of the model was proposed such as applying TBL, CPS, AL model and the future research topic and implication was suggested.

      • KCI등재

        플립러닝을 활용한 내용중심한국어 수업 모형 설계

        문정현(Jung-Hyun Mu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Content-based Korean Class model using Flipped learning for foreign students. The class model that presents on this paper will lead the language learning through content learning, also it will be enable the student more active and to have an initiative in the class. Prior to designing a Content–based Korean Class model using Flipped learning, the concepts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of flip learning were reviewed through previous studies. Then, It emphasizes the necessity of teaching method adapting Flipped learning to Content–based teaching metho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also suggests standards and principles of composition in Contents–based teaching method using Flipped learning. After designing the instructional model based on the suggested standards and principles, it presents a course of instruction about how learning methods, contents and activities should be done step by step. The Content–based Korean class model using the Flipped learning will be an alternative approach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eacher–centered teaching methods and lecture–teaching methods which are the dominant of present classroom environment.

      • KCI등재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음악대학 실기 및 이론 수업모형 설계와 적용

        이희승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6

        In today's college education, teaching methods are being transformed from traditional teaching-oriented methods of knowledge transfer to learners-oriented creativity and their capacity creation, and learning methods that value the communication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This is perceived as an important issue in higher education, and the active learning attitude of learners provides opportunities to think about the meaning of knowledge as well as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In today's educational field, self-regulating and individual learning are possible by providing pre-class leaners with lectur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rofessor-centered classes. In actual classes, self-regulating learning and individual learning are possible, so not only professors but also learners can interact with each other through pre-learning, so they have been designed and applied to piano lesson and piano pedagogy classes at music college. In this study, in order to propose a flipped learning model for graduate students of univers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o majored in piano pedagogy, the curriculum model was designed by referring to the eddy model and flipped learning components applied in existing studies related to pedagogy and flipped learning classe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the class model into the learner-centered class was also expressed by th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nd creativity development, which changed to the development of the learning ability of effective learners through flipped learning. 오늘날의 대학교육에서 이루어지는 교수학습방법은 전통적인 교수자 중심의 지식전달 방법에서 벗어나 학습자 중심의 창의력과 그들의 역량창출 그리고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소통을 중시하는 학습방법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는 고등교육의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학습자들의 능동적인 학습태도는 지식의 습득과 더불어 지식에 따른 의미도 생각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오늘날 교육현장에서는 기존의 교수자 중심의 수업과 다른 학습자 중심의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적용을 통하여 수업 전 학습자들에게 강의관련 자료를 제공하여 학습하도록 하여 자기조절학습과 개별학습이 가능케 되며, 실제 수업에서는 사전학습과 관련된 학습으로 교수자뿐만 아니라 학습자 상호간의 작용이 가능한 학습방법이므로 음악대학에서의 실기 및 이론수업에 설계 및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피아노 교수법을 전공으로 하는 수도권 대학의 대학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교과목 중 ’피아노 전공실기‘와 이론수업인 ’피아노 교수법‘에 플립러닝을 적용, 효과적인 방안의 수업모형 설계를 제안하고자 교육학 및 플립러닝 수업관련 기존의 연구들에서 적용된 에디모형과 플립러닝의 구성요인들을 참고하여 수업모형을 설계하였다. 음악대학 수업에서도 학습자 중심 수업으로의 수업모형 설계와 적용이 학습자들의 자기주도 학습과 창의력 발전으로 발현되어 플립러닝을 통한 효과적인 학습자들의 학습역량 발전으로 변화되었음을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플립러닝(Flipped-Learning)을 활용한 간호대학의 핵심기본간호술 교수 ·학습모형 개발

        제미순(Je, MiSoon),남창우(Nam, Chang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7

        이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 학생들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플립러닝을 활용한 교수·학습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 기존에 개발된 실습교육을 위한 플립러닝 모형과 핵심기본간호술 교육과 관련된 문헌 분석을 실시하여 플립러닝을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교수·학습모형을 개발하고, 2) 모형의 타당화 작업을 위하여 2015년 5월-12월, 2016년 7월-12월 총 2차에 걸쳐 수업에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플립러닝을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교수 · 학습모형에는 사전단계(Preparation), 사전학습연계(Relevance), 팀활동 (Team activity), 사후성찰(Reflection)의 4개의 수업 단계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단계에 필요한 구체적인 교수활동과 학습활동이 제시되고 있다. 다음으로 개발된 교수·학습모형을 실제 수업에 적용한 결과 학습자들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 감이 향상되었으며, 학습자들의 각각의 수업단계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수자 측면에서는 교과목 운영 맥락에 기반한 실증적 연구라는 점에서 플립러닝 활용 수업에 구체적인 가이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며, 학습자 측면에서는 4단계에서 제안된 구체적인 학습활동이 핵심기본간호술 학습에 대한 몰입도를 증가시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using flipped learning for improving nursing students’ confidence in practic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1) developed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using flipped learning fo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through literature review about already developed flipped learning models for practical education and other educational models fo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and 2) applied it to one course about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for validating the model.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using flipped learning consisted of four main steps: ‘preparation,’ ‘relevance,’ ‘team activity,’ and ‘reflection,’ and sub sequent,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addi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using flipped learning fo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improved nursing students’ confidence in practic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each steps of the course. The results imply that the model can offer instructors with specific guidelines based on meaningful evidences with the context of real instructions. They also imply that it can improve the levels of students’ learning flow with specific learning activities in each four steps in the model, and make positiv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on with their peers.

      • KCI등재

        교수자 코칭에 기반한 대학의 플립러닝강좌 개발 모델

        김은희 ( Eunhee Kim ),변호승 ( Hoseung Byun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1 No.4

        그 동안 플립러닝에 대한 많은 관심으로 여러 연구가 있었지만, 고등교육기관에서 교수들의 플립러닝 과목 개발을 돕고 지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수업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교수학습을 전문적으로 지원하는 CTL과 같은 기관에서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한 플립러닝강좌 개발 컨설팅모델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도출된 모델안을 개발하여 전문가들의 피드백을 통해 최종 ‘수업코칭에 기반한 플립러닝강좌 모델’을 개발하였다. 총 8단계 모델의 1단계는 수업 개발사항 검토, 2단계는 수업 오리엔테이션, 3단계는 플립러닝 운영, 4단계는 전문가 수업분석, 5단계는 플립러닝 수업코칭 및 수업개선 모임, 6단계는 플립러닝 운영, 7단계는 교수자 성찰, 8단계는 환류 및 보완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에서는 플립러닝을 개발하는 교수자에게 수업의 개선을 위해 보다 실질적이고 전문적인 안내를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개발된 모델을 기반으로 수업의 질적 제고가 가능하다. There has been a lot of interest in flipped learning, but lacked practical research to support the faculty developing flipped learning course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nsulting model for developing a flipped learning course that can be practically used by institutions such as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that support faculty teach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instruction. A ‘Coaching based on flip learning course development consulting model' was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feedback. The 8-step model is as follows: 1) survey of class development, 2) course orientation, 3) flipped learning, 4) expert class analysis, 5) flipped learning coaching, 6) flipped learning operation, 7) instructor reflection, and 8) feedback and revi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provide professional and practical guide systematically, and also help to improve quality of lesson.

      • KCI등재

        ALP 모형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하지훈,신영준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6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merits and limits of flipped learning by suggesting the ALP model for efficient application and to test the effects of the new ALP model. The process of new model and program development is based on ADDIE in this study. This study consists of two steps.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on the difficulties of the flipped learning, the elements are extracted to develop new model. Second, these elements were placed according to the teaching and learning flow, which resulted in the procedures. As a result, the ALP model was developed. The ALP model is a new model for apply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efficient application of the flipped learning. This model was applied to elementary science classes to test its effects in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 Interviews and cognitive survey were also conducted to collect additional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were various difficulties in flipped learning.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results, the ALP model and the science programs for elementary students have been develope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 The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 has two subcategories: the forms and the types. According to the form analysi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the form of Table and Picture, but not in the form of Writing and Number. With the same reason given previousl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of ALP model improves the students’ visual form communication skills such as Table and Picture better than reading form communication skills such as Writing and Number. According to the type analysi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the scientific insistence” type, and “the justification” which is the sub element of “the scientific insistence” type. With this reas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lass applied ALP model gives students more time and opportunities to learn. Though the survey and interviews about the student’s awareness of the class with applied the ALP model, this study showed that students actively exchanged their opinions in the class with applied ALP model. 본 연구의 목적은 거꾸로 수업의 이점과 한계를 분석하여 실제 수업 적용에 효율적인 ALP 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새로운 모형과 프로그램 개발 과정은 ADDIE 모형을 기초로 하였다. 먼저 거꾸로 수업의 어려움 분석과 관련된 연구들을 분석하여 새 모형의 주요 구성 요소를 추출하였고, 이 요소들을 수업의 흐름에 따라 재배치함으로써 ALP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은 요약 강의 참여 단계(Attending a Short Lecture), 갭(gap) 이용 추가 학습 단계 (Learning More in a Gap), 학생 중심 학습 수행 단계(Performing Student-centered Learning)의 3단계로 구성된다. 과학적 의사소통능 력에 대한 모형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ALP 모형을 적용한 초등 과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추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서 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와 실험집단 학생들 중 일부를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거꾸로 수업의 어려움을 분석한 논문을 살펴본 결과 수업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어려움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주로 사전학습과 관련된 것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수업 구조적인 변화를 주어 사전학습의 동영상 강의 부분을 다시 교실로 가지고 오고, 자율적인 추가 학습 부분을 교실 밖에 유지하였다. 이를 통해 거꾸로 수업에서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학생중 심학습 시간의 증대를 꾀하고, 거꾸로 수업의 사전학습에서 교사의 준비 부담과 학생의 참여 관련 어려움을 줄이고자 하였다. ALP 모형을 적용한 초등 과학 프로그램을 적용한 뒤에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측면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세부 결과에서는 표와 그림 형태와 주장형과 정당화 유형 에서 유의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학생들에게 학생중심학습의 시간과 기회를 보다 많이 제공한 결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수업에 대한 인식조사나 면담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