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유가치창출(CSV) 활동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접근에 대한 연구: 수행 사례에서 나타난 사회적 이슈, 수혜자, 협력자에 대한분석을 중심으로

        유선욱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硏究 Vol.32 No.2

        This study explores how an organization’s CSV activities are conducted in termsof social issues, beneficiaries, and collaborators. The study analyzed the socialproblems that organizations hoped to address through CSV, the values they soughtto create, who the beneficiaries of CSV were, and whether they carried out withcollaborators. Additionally, this analysis was abl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CSV activities performed by public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engaged inbusiness activities in Korea. Based on this, the study presents a specific directionfor the effective performance of CSV.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SV activitiesconducted by a CSV Porter Award-winning organization from 2014 to 2017, theissues of greatest interest for award-winning companies included “Decent Workand Economic Growth”, “Industry, Innovation, Infrastructure’, ‘Quality Education’,‘Health and Well-being’, ‘Partnership for the Goals”, and “Sustainable Cities andcommunities” (from the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hemost heavily weighted beneficiaries of CSV activities were underprivilegedpopulations, followed by local residents. Less than half of the analyzed casesfeatured collaborators working together to carry out CSV activities. Based onthese result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organizations’ future CSV activitiesshould address a range of issues related to the SDGs(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presented by the United Nations, as well as current social issues. Moreover,the study recommends an expansion of the scope of beneficiaries applicable toCSV goals and issues. Organizations must also work with stakeholders toimplement effective CSVs. Finally, this study emphasizes that we should take amore antecedent approach to potential issues both in our local societies and in theinternational community. This will enable us to build a business model fororganizations, creating economic value while establishing new values for society. 본 연구는 조직의 공유가치창출 활동이 어떻게 수행되는지를 사회적 이슈, 수혜 대상, 협력자의 측면에서 탐구하였다. CSV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적 문제와 창출하고자 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수혜자는 누구인지, 협력자와 함께 행하였는지에 대한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기업 활동을 하는 조직 및 공공기관이 수행한 CSV 활동의특징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CSV의 효과적 수행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2014년부터 2017년까지 CSV 포터상을 수상한 조직들이 수행한 CSV 활동을 대상으로분석한 결과, 수상 기업들이 가장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이슈는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양질의 일자리와 경제성장’이었으며, ‘혁신과 인프라 구축’, ‘양질의 교육’, ‘건강과 복지’, ‘목표달성을 위한 파트너십’, ‘지속가능한 도시 및 거주지 조성’이었다. 가장많은 비중을 차지한 CSV 활동의 수혜자는 소외계층이었으며, 그 다음은 지역주민이었다. CSV 활동을 함에 있어 협력자가 함께 수행한 경우는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향후 조직의 CSV 활동이 UN이 제시한 지속가능발전목표 및 한국 사회의 제반 문제와 관련된 보다 다양한 이슈를 다루어야 하며, CSV의 목적과 이슈에 적합한 수혜자를 선정하고,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을 통해 효과적인 CSV를 수행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우리 사회와 국제 사회의 잠재적 이슈에 보다 선행적인 접근을 하여 조직의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동시에 사회의 가치를 창출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BoP를 위한 디자인의 공유가치창출(CSV)수준 측정방법 연구

        김승준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8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7 No.4

        Background: The growth and change of BoP should be understood as the emergence of a potentially marketable emerging market where is not subject to simple aid but can take economic and social value through CSV activities in the future. From this point of view, design for corporate CSV activities can be an important driving force to promote sustainable change. However, in order to satisfy the most basic market needs,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evaluate products and services tailored to the new environment. Methods: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and case analysis, we define the concept of BoP and CSV, and investigate related research applied to BoP to derive CSV level measurement method. Cases related to CSV and appropriate technology cases support from the government or NGOs, are selected through domestic and overseas major D/B and network search, related Internet sites, monographs and publications. The results are analyzed as the subject of CSV level measurement and the analysis is proceeded through the proposed CSV level measurement method. Result: In developing the design for BoP, the main elements of CSV that should be considered as key points are derived. The method of measuring the CSV level of a design for BoP that can be applied to both development parties and local stakeholders for more efficient project progress in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is proposed. The measurement method can be used to find out the directions that the design should pursue and improvements in progress. Conclusion: It needs to be found new technologies and innovative ways to solve design problems with new markets and values for new social needs. This paper will be useful for designers to collaborate on design development or ODA with various corporate design CSV activities in various design processes, and to build effective design framework for various CSV expectations. 연구배경: 현재 전 세계의 많은 지역들에서 볼 수 있는 BoP의 성장과 변화는 BoP가 단순 원조의 대상이 아니라 향후 기업의 CSV 활동을 통해 사회적, 경제적인 가치를 취할 수 있는 잠재적으로 시장성이 높은 신흥 시장의 부상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시점에서 기업의 CSV 활동을 위한 디자인은 지속 가능한 변화를 촉진하는 핵심 원동력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가장 기본적인 시장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새로운 환경에 맞춘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평가가 가능해야만 한다. 연구방법: 문헌 조사와 사례분석을 통해 BoP와 CSV의 개념에 대한 정의와 BoP에 적용된 다양한 디자인 사례와 관련 연구를 조사하여 CSV 수준 측정방법을 도출하여 제안한다. BoP 시장과 CSV 관련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인 전개와 연구대상의 디자인 사례는 국내외 관련 인터넷 사이트, 주요 데이터베이스 및 네트워크 검색, 단행본과 논문 등, 각종 출판물의 문헌 조사를 통하여 CSV 지원 사례, 국가나 NGO 단체의 적정기술 지원 사례 등을 통해 측정대상 프로젝트를 선별하고 이를 CSV 수준 측정대상으로 고찰하여 제안하는 CSV 수준 측정방법을 통해 분석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연구결과: BoP를 위한 디자인 개발 시,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할 CSV의 주요 요소를 도출하였고 앞으로 이루어지는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상에서 더 효율적인 프로젝트의 진행을 위해 개발 당사자와 현지 이해관계자들 모두를 대상으로 할 수 있는 BoP를 위한 디자인의 CSV 수준 측정방법을 제안하는 바이다. 이 측정법을 통하여 해당 디자인이 추구해야 할 방향과 진행 중 개선점을 알아내는 데 있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앞서 리커트 척도법을 이용하여 제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프로젝트와의 CSV 수준 비교 혹은 개발 당사자와 현지 이해관계자의 인식의 차이점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 새로운 시장과 가치를 위해 일할 수 있음을 자각하고 새로운 사회적 요구에 따른 디자인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필요한 새로운 기술과 혁신적인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디자이너들이 향후 기업의 CSV 활동으로서의 디자인 개발이나 공적개발원조(ODA) 분야 협력을 위한 여러 디자인 프로세스상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 바라며 다양한 CSV를 위한 디자인 활동의 효과적인 프레임 워크를 구축하는 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공유가치창출(CSV) 사례전달에 대한 검토: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노혜진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社會科學硏究 Vol.41 No.3

        CSV that is a means of generating economic value and social value is rapidly expanding arou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business and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concepts and cases of the CSV emerging as innovative strategies to maintain sustainability. CSV through the literature for this purpose was to review the concept and flow of existing researches when first introduced in Korea. And this study summarized the critical debates that is pointed out in previous studies about the concept and expanding flow of CSV.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d 411 articles about CSV in newspaper through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ticles about CSV had increased to 2-5 fold faster than previous year and 60% of the total articles were dealing with the case. Second, social issues from a CSV articles are education/competencies, employment, SME support. Third, looking at the subject of social value, compared with the CSR is a relatively low proportion of children and youth, and it is targeted to community or SME about 40% of the total. As a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e diversification of social value for the developmental expansion of the CSV and that empowerment of NPOs as a subject of active collaboration.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의 공동창출을 강조하는 개념인 CSV는 국내 경영학계와 기업의 사회공헌팀을 중심으로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CSV가 어떠한 방식으로 전달되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그것이 처음 도입되었을 때의 개념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CSV 개념이 처음 등장했을 때부터 2015년 3월까지 CSV를 다룬 종합일간지의 기사 411건을 대상으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CSV 관련 기사의 양은 전년 대비 2-5배씩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었고, 기사에서 전달하는 사회적 성과는 교육․역량(17.9%), 취․창업(17.6%), 중소기업 지원(13.5%)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사에서 다루는 사회적 성과의 수혜자는 사람이 43.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그 다음이 지역(28.7%), 조직 및 기업(16.3%)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만병통치약처럼 인식되고 있는 CSV가 보다 발전적으로 확대되기 위해 사회적 가치의 개념과 범위를 보다 구체화하면서 명료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동시에 두 가지의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긴장에 대해 보다 체계적인 심층분석을 통하여 사회의 근본문제를 간과한 채 사회적 성과를 확대재생산하지 않도록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CSV(공유 가치 창출)와 PR 가치의 수렴 가능성 및 실천 방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제영,정현주 한국PR학회 2019 PR연구 Vol.23 No.5

        <Objective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role of PR for CSV must be considered in an approach that differs from its role for CSR, the present study aimed to judge the possibility that the CSV and the PR value can converge, and then come up with a direction for true PR based on the results. <Methods>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CSV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n explored the PR value and its social role. In addition, depending on standards for the appreciation in the aspect of objectives, management process, and interest groups, the possibility of convergence between the CSV and the PR value was evaluated. <Results> The CSV the PR value both have the same goals of creating profit, public interest, and social development, In addition, they consider similar stakeholders, and are also both based on a similar principle in terms of the management process. Therefore, it is appreciated that they can converge. <Conclusions> In the process of active CSV, it is expected that PR activities remain in the technical role, and we find that the traditional value of PR that has been continuously addressed in various definitions and paradigms, and further firm up the identity of PR.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CSV를 위한 PR의 역할은 CSR과는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가정하고, CSV와 PR 가치의 수렴 가능성을 진단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CSV를 위한 진정한 PR의 방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데 있다. <방법> 문헌 연구를 토대로 CSV의 특성 및 의의에 대해 고찰하고, PR의 가치 및 사회적 역할을 탐색하였고, 이를토대로 목적 차원, 운영프로세스 차원, 이해관계자 차원 등에 따라 CSV와 PR 가치의 수렴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PR과 CSV는 기업의 이윤창출과 공중 이익 더 나아가 사회의 발전이라는 동일한 목적으로 이행되며, 유사한 이해관계자들을 고려하고 있고, 운영프로세스 측면에서도 유사한 원리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수렴이 가능한 것으로 진단되었다. <논의 및 결론> 적극적 CSV 추진과정에서 단지 기술적 역할에 머물러 왔던 PR 활동이 많은 정의나 관점들 속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던 PR의 고전적 가치를 재발견하고, PR의 정체성을 더욱 확고히 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예상된다.

      • KCI등재

        제품 품질과 기업 혁신성 수준이 CSV 활동 동기 인식과 기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윤지,김상훈 한국광고학회 2020 광고학연구 Vol.31 No.6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duct quality and corporate innovation on CSV motives and corporate attitude in CSV, as well as what effects such CSV motives perception has on corporate attitude. We conducted an online experiment based on corporate capability level in the context CSV activities associated with health & beauty store. The results indicate that product quality and corporate innovation were likely to increase value-driven motives, stakeholder-driven motives, strategy-driven motives. Also, only product quality had positive effects on egoistic-driven motives. High product quality and corporate innovation were variables that made corporate attitudes perceived positively, and among the motives for CSV activitie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value-driven motives and stakeholder-driven motives. Finally, value-driven motives and stakeholder-driven motives between product quality and corporate attitude show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and value-driven motives had the mediating effects between corporate innovation and corporate attitud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CSV 활동과 관련하여 제품 품질 수준과 기업 혁신성 수준이 CSV 활동 동기 인식과 기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한편, CSV 활동 동기 인식이 기업 태도에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H&B 스토어의 CSV 활동을 중심으로 기업 역량 고저 수준에 따른 온라인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제품 품질과 기업 혁신성은 가치 추구 동기·이해관계자 동기·전략 추구 동기와 정적 관계를 보였으며, 자기 본위 동기에는제품 품질만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높은 제품 품질과 기업 혁신성은 기업태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요인이었으며, CSV 활동 동기 요인 중에서는 가치 추구 동기와 이해관계자 동기가 유의미한 정적 효과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제품 품질과 기업 태도 사이에는 가치 추구 동기와 이해관계자 동기가, 기업 혁신성과 기업 태도 사이에는 가치 추구 동기가유의미한 매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CSR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동기 요인들을 CSV에 적용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기업 역량 육성을 통한 CSV 실행이 중요하다는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사회적경제와 소비자 관점의 공유가치창출(CSV) 연구

        이영일,김영신 한국유통과학회 2015 유통과학연구 Vol.13 No.12

        Purpose – Recently, creating shared value (CSV) has attracted attention through plan sustainability and the growth of corporate management. Porter and Kramer (2011) defined the core concept of CSV as social value, economic profits, improvements in the economic social condition, and reinforcing competitiveness. The purpose of CSV, which is to pursue economic profits through a social solution to the problem, agrees with managing the objective of a social enterprise that prioritizes the pursuit of profits through the realization of a social purpose. Today, CSV studies focus on CSR and sustainability and reinforce competitiveness. However, few studies focused on the social economy. Precedent studies examined CSV using a company example, and few studies exist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and the point of view of a market socie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CSV in comparison to a background of the social economy.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concept of social value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sumers, social problems, consumption value, corporate value, and the influence of consumers. This article develops three hypotheses. Hypothesis 1 investigates the correlation with social innovation that consumers thought as being necessary for social innovation by a company. Hypothesis 2 is used to confirm the influence of consumers in CSV. Therefore,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consumers on consumption action for companies that are indifferent to social problems. Hypothesis 3 is used to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lue that consumers demand through consumption and the corporate value that companies pursue other than profits. The three hypotheses were adopted and met the standard for suitability.Results – The importance of the CSV study from the consumer perspective was confirmed using the influence of consumers on CSV. Because the objective of company activities is either the consumer or the market, the influence that extends to interactions between the company and consumers to ensure the success of a business is significant. Regarding the CSV study, because it was an initial study, various approaches are subsequently developed. However, conceptual and practical case studies on CSV currently exist that may be used to verify the factors that comprise CSV. Therefore, the company example may enable verification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omposition of CSV through identification from the consumer perspective. In addition, studying CSV as an action result (of consumer satisfaction, of a company’s profits and competitiveness, and of society’s cancellation of a social problem) may enable the realization of a practice paradigm as opposed to simply thought and faith. Conclusions – First, this study confirms the social value of a business through the feasible and common pursuit of consumers by corporations. Second, customer influence accounts for an important part of CSV. Third, shared value commonly provides a necessary advantage to consumers, corporates, and society, and contributes to the economy and healthy social development. Fourth, corporates can conduct a business, generate profits, and realize value through improvements in social problems and by addressing their competitive strengths and weaknesses.

      • KCI등재

        지각된 CSV 가치 수준과 윤리적 소비주의가 브랜드태도 및 구매의도 에 미치는 영향 : 가치일치성의 매개 효과와 CSV 연계메시지에 의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강윤지,임수현,김상훈 한국광고학회 2019 광고학연구 Vol.30 No.5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s the effectiveness of the perceived level of creating shared value(CSV) and altruism—ethical consumption propensity—on consumer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s with corporate-consumer value congruency as a mediator. While no direct effects were found of the economic or social value of CSV or altruism on brand attitude, the results show these factors influenced brand attitude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value congruency. And then the moderating effect was compared for two groups—corporations linked to CSV and those not linked to CSV. The results reveal that the social value of CSV had a significant path to brand attitude through value congruency for both groups, while the economic value of CSV was significant only for the group that did not present CSV-related messages. The analysis also verified that altruism has an indirect effect on brand attitude for the companies with CSV-related messages, which implies that the perceived CSV level has a effect.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will suggest strategic directions for implementing CSV activities, which have growing importance in the current business environment.

      • KCI등재

        CJ그룹의 CSV 경영

        유창조(Chang Jo Yoo),이형일(Hyung Il Lee) 한국경영학회 2016 Korea Business Review Vol.20 No.4

        2013년 CJ 그룹은 사업보국이라는 창업이념을 구현하기 위해 CSV 경영을 선포했다. CJ그룹은 그룹차원의 CSV전략을 수립하는 CSV경영실을 지주회사에 설치하고 각사에는 CSV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수행할 CSV경영팀을 구성했다. CSV경영실과 CSV경영팀은 함께 전략을 수립하고 전사의 모든 공유가치창출 활동의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CJ그룹은 이제 과거의 자선활동에서 기업과 사회가 함께 성장하는 상호 호혜형 CSV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 보고서는 CSV경영실과 CSV경영팀이 함께 조율한 CSV사례를 사회적 측면과 비즈니스적 측면에서 요약하였다. CJ제일제당에서 시작된 ‘즐거운동행’은 그룹 내 좋은 본보기가 되어 CJ올리브영과 CJ오쇼핑에서 협력사들과의 동반성장 추구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CJ그룹의 문화관련 양대 축인 CJ CGV와 CJ E&M은 문화 산업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한 CSV 활동을 시행하고 있다. CJ CGV의 ‘CGV아트하우스’는 독립․예술영화의 기반을 공고히하고 발전을 지원하는 전문적인 영역의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으며, CJ E&M의 ‘DIA TV’는 재능있는 1인 창작자를 발굴 · 육성하여 창작자 중심의 문화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의 실버택배는 CJ그룹의 대표적인 CSV성공사례로 소개된다. 이 프로젝트는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노인 일자리 부족 해소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서비스 영역 확대를 통해 회사의 운영비를 절감시키고 있다. 한편, CJ헬로비전의 ‘이어드림’이나 CJ나눔재단의 ’CJ도너스캠프’는 소외계층을 돌보는데 그치지 않고 이들이 장벽을 넘어 자활하고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CJ그룹의 CSV 사례를 네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그 성과를 평가하였다: 수혜형, 상생형, 수익형, 해외시장 개척형.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성공을 거두기 위한 CJ그룹의 미래과제를 제시하였다. CJ Group declared its commitment to CSV management in 2012 to accomplish the company’s mission based on the founding philosophy of Business Patriotism, “Contribute to the nation’s economic growth through business”. CJ Group established a CSV Management Department in the holding company to devise group-level CSV strategy. In each of its affiliate companies, a CSV team was set up to identify and execute CSV projects. In developing strategy, CSV Management Department coordinates closely with the CSV teams in order to maximize synergy between the various CSV activities across the group. CJ Group is advancing past benevolent CSR activities to CSV efforts that create positive values for the society as well as helping its business to grow. This report summarized CSV cases that were coordinated by the CSV Management Department and CSV teams from the perspectives of social and business values. ‘Happy Companion Operations’ for the stood as a good example to other affiliates and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J Olive Young and CJ O Shopping as they sought ways to grow mutually with partners. CJ Group’s representative companies in cultural business, CJ CGV and CJ E&M, are implementing CSV activities in order to expand the diversity and target audience of the cultural industry. CJ CGV’s ‘CGV Arthouse has been established as a viable platformthat supports growth of independent movies. CJ E&M’s ‘DIA TV’ contributes to the creation of a cultural ecosystem based on content creators by identifying and developing talented individual content creators. CJ Korea Express’ ‘Silver Parcel Delivery’ is introduced as CJ Group’s representative CSV success project. This project not only helped solve the social issue of high unemployment rate among senior citizens but also helped cut down on the companyze operation cost by expanding service areas. Meanwhile, CJ HelloVision’s EARDREAM and CJ Welfare Foundation’s ‘CJ Donor’s Camp’ seek to support the underprivileged by meeting their needs as well as helping them to overcome their barriers. Lastly, we assessed the results of CJ Group’s CSV efforts by classifying the projects into four types: competence development, fostering win-win ecosystem, profit generation and market development. Based on our assessment, we discussed CJ Group’s future tasks that could ensure long term success.

      • KCI등재

        기업 메세나 활동을 통한 CSV(공유가치창출) 연구 -아모레퍼시픽 사례를 중심으로-

        박제인 한국무용연구학회 2023 한국무용연구 Vol.41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방식 사회공헌활동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새롭게 도입된 ‘공유가치창출(CSV)’ 개념에 근거한 기업 메세나 활동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 메세나 활동을 CSV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파악하고자, 한 기업의 사례를 통해 구체적 활동 양상과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CSV 관점에서 메세나 활동을 수행하는 대표적 국내 기업인 아모레퍼시픽에 대해 사례연구 방법으로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아모레퍼시픽의 CSV 활동은 크게 문화예술 마케팅, 학술연구지원, 지역사회발전 등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었으며, 활동 내용 및 방식에 있어서 기업 정체성과 특성이 잘 반영되어 있고, 진정성을 가지고 장기간 특정 활동을 지속하여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할 뿐 아니라 기업의 성장도 가속화된 모범적인 CSV 사례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CSV 방식으로 메세나 활동을 수행하는 대표적 기업인 아모레퍼시픽에 대한 밀도 있는 사례연구를 수행하여 그 특성과 성과를 확인하였으며, 메세나 활동을 수행하는 많은 기업에 유용한 실천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corporate mecenat activities within the framework of “Creating Shared Value (CSV)” introduced as a response to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initiatives in social contribution. The purpose is to explore specific aspects and meanings of these activities, utilizing a company case study, to ga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ocial contribution endeavors linked to corporate culture and the arts, particularly from the perspective of CSV. Methods: AmorePacific, a representative domestic company engaged in mecenat activ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CSV was examined using a case study approach. Result: AmorePacific's CSV activiti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main areas: cultural arts marketing, academic research support, and local community development. The activities demonstrated a strong alignment with the company's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exhibiting authenticity. The company's sustained commitment to specific activities not on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cultural arts but also accelerated corporate growth, portraying an exemplary case of CSV. Conclusion: Through a case study of AmorePacific, a leading company practicing mecenat activities in the CSV framework, this research confirmed its positive outcom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potential to provide practical insights beneficial to many companies engaging in mecenat activities, thus contributing to the broader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CSV in corporate pract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