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사상에 관한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혁신방안 모색 - 교육부 고시 ‘2015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문제를 중심으로 -

        정연수 ( Jung Yeon-soo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8 儒學硏究 Vol.44 No.-

        본 논문에서는 한국사상을 배울 수 있는 교육기회가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구조적인 문제와 한국사상이 담긴 고등학교 도덕과 교과서의 구성 및 내용에 관한 문제를 제언함으로써 한국사상에 관한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혁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현재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한국사’는 ‘국어’와 더불어 모든 학생들이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할 기초 영역의 공통 과목으로 지정되어 있으나, ‘한국사상’은 교과목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기형적인 교육구조로 편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확립하고 인성을 함양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바로 한국사상에 관한 교육임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교육현실은 제도적으로 한국사상을 배울 수 있는 기회조차 얻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처럼 유독 자기나라의 언어와 역사에 관한 교육은 강조되면서도, 자기나라의 인문정신이 담긴 철학과 사상을 배울 수 있는 교육기회가 제공되지 못하는 나라는 전 세계적으로 찾아보기 어려울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2018년부터 적용되는 교육부의 ‘2015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한국사상을 배울 수 있는 기회조차 가질 수 없도록 편성되어 있는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구조적인 문제를 진단하면서 대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한국사상이 담겨 있는 고등학교 도덕과 교과서의 구성과 내용에 관한 문제를 진단하면서 한국사상을 중심으로 반성적 자각을 유도하고 윤리적 의의를 탐색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해 보았다. 한국사상에 관한 교육과정의 혁신을 이루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계의 관심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국사상에 관한 교육과정의 혁신을 통해 동서와 남북을 통합할 수 있는 한국의 정신문화가 창달되기를 기대하면서 논문을 마무리한다. This thesis aims at suggesting the structural problems of high school curriculum that has failed to offer the educational opportunity for students to learn Korean philosophy, and the issues regarding the organization and contents of the high school moral education textbook including Korean philosophy, and laying the academic foundation to find innovation in high school curriculum of Korean philosophy. When the current high school curriculum is investigated, ‘Korean history’ has been designated along with ‘Korean language’ as a common subject of a basic area that all the students are required to complete. Yet, as for 'Korean philosophy', there's no subject on is own, so the educational structure is abnormal. Although it is education of Korean philosophy that is necessarily demanded for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as Koreans and for development of character, in the educational reality of Korea, it is difficult for students to have even the chance to study Korean philosophy systematically. It would be hard in the whole world to find another country like Korea that emphasizes the education of its own language and history in particular, but provides no educational opportunity for its students to learn about the philosophy and ideology with its own spirit of liberal arts. In this thesis, based on the problems above, the structural problems of '2015 high school curriculum'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hich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18 and failed to give most students the chance to study Korean philosophy, were diagnosed, and short-term, mid-term and long-term alternatives were proposed. In addition, with the diagnosis of the organization and contents of the high school moral education textbook covering Korean philosophy, the ways to induce reflective self-awareness centered around Korean philosophy and to search for moral meanings were examined. If the academic world has interest in the problems of the education of Korean philosophy and intends to conduct in-depth study on them henceforth, it is expected that the curriculum related to Korean philosophy will be able to be innovated, and therefore the Korean spirit of humanities which can integrate east and west and north and south will be able to be developed.

      • KCI등재후보

        일본에서의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 고등학교 및 대학교를 중심으로

        마쯔자키 마히루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08 한국어문화교육 Vol.2 No.1

        이 논문에서는 일본의 고등학교와 대학교에서의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한국어 과목의 개설 상황 및 학습자 수의 관점으로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최근 일본의 고등학교나 대학교에서 한국어 과목, 그리고 한국어 학습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고등학교와 대학교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공통점도 있으나 다른 문제가 있기도 하다. 고등학교에서는 교육의 기준이 없는 것과 한국어를 포함한 제2외국어 영역이 없는 것이 큰 문제점이다. 대학교에서는 전문성이 있는 교원의 확보 및 소인원수 교육의 실현이 과제가 되고 있다. This paper studied the present states and proble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 Recently classes of the Korean language have increased at high-school and university in Japan. Therefore I analyzed various data about two points of the next. (1)The number of schools which can learn Korean language. (2)The number of people learning Korean language. During several years the Korean education in Japan spreaded rapidly, but there is the problem that should have been got changed and improved. For development of the Korean education in Japan, it is important that these problems are settled.

      • KCI등재

        홍콩 중·고등학교에서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과제

        POLLY LOONG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22 국어교육연구 Vol.50 No.-

        This paper reviews the current issues and future challenges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KFL) in secondary schools in Hong Kong. First,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reveal the number and types of foreign languages and cultural programs offered in 445 secondary schools in Hong Kong. The results showed that Japanese, Korean and French are the top three most popular foreign languages. Currently, Korean language programs are mainly offered as after-school 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he most popular Korean cultural program is Taekwondo. Second, a review of adding Korean in the Hong Kong Diploma of Secondary Education Examination (HKDSE) and student opinions was conducted. The results identified the problems of long learning hour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cut-off point for Korean language. Moreover, the problem of lack of professional KFL teachers with Cantonese language ability are also emphasized. 본고는 홍콩 중·고등학교에서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살피고, 홍콩 대학 입학시험의 외국어 영역 개편이 향후 홍콩에서의 한국어교육에 미칠 영향 및 과제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현재 445개 홍콩의 중·고등학교에서 개설하고 있거나 개설했던 외국언어문화 과정에 대해 조사한 결과, 과정 개설률이 가장 높은 언어는 1위 일본어, 2위 한국어, 3위 프랑스어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어가 현재 홍콩 대학 입학시험 외국어 과목에 포함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홍콩의 중·고등학교에서 한국어 및 한국 문화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상당히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한국언어문화 과정을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 한국어 과정은 자기계발을 위한 학습 활동을 위주로 진행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 문화 프로그램의 경우는 태권도가 월등하게 1위를 차지한 것과 한국관광이나 답사, 케이팝 댄스 동아리 등의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이 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홍콩 중·고등학교에서의 한국어교육 현광에 관한 조사를 실시한 후에 대학 입학시험 외국어 영역 개편의 배경과 새로운 평가 기준 등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한국어 학습자의 의견도 함께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커트라인 및 예상 학습 시간의 적절성, 평가 기준 등에 관한 문제를 확인하였으며, 학습자 모어에 대한 지식을 겸비한 교원의 훈련 및 확보 등의 현실적인 어려움에 대해서도 짚어보았다. 마지막으로 향후 홍콩에서의 한국어교육 활성화를 위한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 문화 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사의 요구 분석

        공펭 소파(KHONGPHENG SOPH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0

        본고는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사 교육 현황을 검토하고 교사들이 한국에서 이수한 교사 양성과정과 태국 내 한국어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사 문화 재교육이 개발되었을 때 필요로 하는 교육 시간, 교육 방식, 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는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온라인 설문 프로그램 ‘Google Docs’를 활용하였다. 설문지는 기초 정보,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 교사 문화 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중심으로 크게 세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교사의 요구 조사 결과, 태국 중·고등학교 교사들이 선호하는 문화교육에 대한 주제는 일상생활 문화, 대중문화, 예절 문화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article reviews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ailand. Further, it analyzes the satisfaction with teachers’ training courses in Korea and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programs in Thailand. Thus, to develop the cultural re-educa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 demand survey on the preferred training time, method, and educational content was conducted. The demand survey was emailed to 20 Korean teachers at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ailand using “Google Docs”. When elaborating the content of the needs survey, the analysis was divided into three areas: basic information, satisfaction with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demand for the teacher culture reeducation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ai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prefer the cultural topics of daily life culture, popular culture, and etiquette culture.

      • KCI등재후보

        교직과 농업교육에 대한 한국과 일본 농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의식 비교

        이선하,박노균,佐野順一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2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4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views of Korean and Japanese agriculture teachers on their teaching job and agricutural education.Two hundreds and seventy two Korean teachers teaching agriculture at 24 schools in Jeonnam, Jeonbuk, Kyeongnam, Kyeongbuk provinces and 200 Japanese teachers from 17 agricultural high schools in Miyazaki and Kumamoto, Japan were polled. Their answer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1. Most Korean and Japanese were found to be satisfied with teaching job. However, a few Korean teachers(33.8%) were satisfied with their social status whereas most Japanese teachers(88%) were satisfied. Most teachers of both countries considered their job worthwhile, however, only a few of them answered they would again choose teaching profession as their job. 2. Only 48.9% of the Korean teachers were satisfied with themselves being an agriculture teacher while 84.5% of the Japanese teachers were satisfied. More Korean teachers considered themselves not well adapted as an agriculture teacher and wanted to change their subject of teaching.3. More Korean teachers than the Japanese teachers viewed negative on the future of their countries' agriculture, the economical farming, the price of farm products, the situation of rural communities. They considered import of farm products most serious difficulties that the agricultural industry of their countries should face.4. Most agriculture teachers of Korea and Japan estimated that the magnitude of agricultural high schools would be reduced in the future. Most students were thought to have decided to come 및 제언교육에서 교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교사들의 직업의식은 교육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동기가 되고 원동력이 된다고 할 수 있다. 한국과 일본은 산업화 과정에서 농업 비중의 감소, 농업교육의 위축 등 비슷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 영향을 농업교육 현장에서 직접 느끼고 있는 농업계고등학교의 농업교사의 교직에 대한 의식과 농업과 농업교육에 대한 의식을 비교 조사하여, 양국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농업교육의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예견하며 농업교사 양성에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연구를 위해서 한국과 일본의 농업계고등학교 교사에게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에 대한 만족도는 두나라 모두 높은 편이지만 사회적 지위에 대해서는 일본은 만족도가 높은데 한국은 낮았다. 그러나 교사를 다시 직업으로 택하겠다는 의지는 양국 모두 적게 나타났다. 교직에 대한 매력은 교육적 보람에 있다는 교사가 많았다. 둘째, 농업교사에 대한 만족도는 일본이 84.5%로 매우 높은 반면 한국은 48.9%로 낮게 나타났다. 농업교사에 대한 적응도는 일본이 85.5%로 높고 한국은 62.5%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전과 희망자도 일본은 낮은데 한국은 73.5%로 많았다. 한국교사의 불만사항으로는 포장활동과 업무부담의 비중이 컸다.셋째, 자국 농업의 미래, 전망, 영농을 통한 경제적 성공가능성, 농산물 가격, 농촌의 미래 전망 등 전반적으로 농업을 보는 관점이 있어서 한국농업교사는 부정적인 견해가 많은데 비해서 일본교사는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견해가 많았다. 농업의 문제점으로는 한국은 농산물 수입과 농산물 가격하락을 지적하고 일본은 주로 농산물 수입, 농업인구 감소로 보고 있다. 넷째, 농업교육에 대해서 두나라 교사들 대부분이 어려움을 동시에 인식하고 있었다. 학생들은 성적 때문에 농업계고등학교를 택하고 있고, 농업에 대한 의욕은 없으며 장래는 농업학교가 축소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문제점으로는 한국교사는 학생의 학력감소>입학생의 감소>영농희망자의 감소 순으로 보고 있고, 일본교사는 영농희망자의 감소>학생의 학력감소>입학생의 감소 순으로 보고 있다. 학생들은 이론보다, 실험실습을 더 선호하고 있으며 교사들은 40%-50%이상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농업후계자 양성기관으로는 두 나라 모두 농업고등학교를 우선시하고 있다.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교직에 대해서는 만족하면서 농업교사로서는 불만을 갖고 전과를 희망하는 교사가 많게 만드는 요인으로 농업계고등학교의 포장활동과 업무부담이 제시되고 있는데 해소방안으로는 일본과 같이 실습교사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농업과 농촌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은 교사양성과 재교육과정에서 농업에 대한 애착과 사명감을 갖도록 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긍정적인 시각으로 바꾸는 노력이 필요하다.기초 학력이 부진하고 농업에 대한 의식이 부족한 학생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현실을 감안한다면, 농업교과의 수업은 실험실습 위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기자재확보, 예산지원, 교사의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중국 내 고등학교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활성화 방안 -하남성 초작시 제일고등학교 한국대학 진학반을 중심으로-

        권영은,권대혁,황미혜 부산외국어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23 다문화사회와 교육연구 Vol.1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in detail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high schools in China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improvement. Currently, in China, the first city in Henan Province, China, which is receiving attention as a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a in high schools rather tha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universities. As a result of interviews with students who wish to enter Korean universities, som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were found. The focus of this thesis i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NO.1 High School.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do a basic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NO.1 High School in Jiazuo City, Henam. 본 연구는 중국의 고등학교 한국어교육 현황을 자세히 소개하고 앞으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중국에서 한국어교육은 주로 대학에서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대학 중심의 연구에서 벗어나 중국 내 고등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한국어교육을 살펴보고자 한다. 고등학교 한국어교육 사례로 중국 하남성 초작시 제일고등학교 한국대학 진학반의 한국어교육에 초점을 두었다. 아울러 초작시 제일고등학교 한국대학 진학반 학생들의 진로 동기, 한국어교육 등에 관한 인터뷰 내용 결과 몇 가지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찾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하남성 초작시 제일고등학교 한국대학 진학반의 한국어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중국 내 고등학교의 한국어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해 기초 연구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일반 고등학교 기술교육과정 비교분석

        학원상(HAO YUANXIANG),김종욱(Jong-Wook Kim),김진수(Jinsoo KIM) 대한공업교육학회 2020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5 No.3

        이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일반 고등학교 기술교육과정을 비교 · 분석하여 한국 일반고등학교 기술교육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비교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문헌 연구는 문헌 자료의 비교에 기초한 서술적 연구의 형식을 갖추었고, 비교 연구는 Hilker와 Bereday의 비교 교육 모형을 근거로 기술, 해석, 대치(병치), 비교의 형식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세부내용은 한국과 중국의 일반 고등학교 기술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성격, 목표, 내용 체계, 평가를 비교 · 분석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일반 고등학교 기술교육과정 비교 · 분석을 통하여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이 한국보다 일반 고등학교 기술교육의 위상과 중요성이 더 크고 시간 배당이 많았다. 둘째, 중국의 기술과 교육이 한국보다 졸업 및 수능시험에 반영하는 비율이 높았다. 셋째, 중국의 기술과 평가는 지필시험과 비지필시험을 결합한 학업성취시험 체계를 구축하여 효과적인 평가를 하고 있었다. 이 연구를 기반으로 한국의 일반 고등학교 기술교과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기술과 시수 확보 및 평가 사례 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와 중국과의 학문적인 교류가 점차적으로 확대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mpare and analyze the technology subject curriculum of general high school between Korea and China to obtain implications that may have an effect on the vitalization of general high school technology education in Korea. The study method used literature and comparative research methods. Literature research has a form of descriptive research based on comparison of literature data, and comparative research uses the form of description, interpretation, substitution(parallel), and comparison based on the comparative education model of Hilker and Bereday. The detailed content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goals, content system, and evaluation presented in technology subject curriculum of general high school between Korea and Chin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atus and importance of general high school technology education were greater in China than in Korea, and time allocation was higher. Second, the proportion of Chinese technology and education reflected in graduation and SAT examinations were higher than in Korea. Third, Chinese skills and evaluations were effectively evaluated by establishing an academic achievement test system combining paper test and non-paper test. Through this study, in order to revitalize general high school technology education in Korea, more detailed research is needed on the case of securing and evaluating technology and time in China, and it is necessary to gradually expand academic exchange with China in the future.

      • 고등교육부문 공적개발원조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분석: 한국과 일본의 고등교육 원조를 중심으로

        신윤지,엄영호,정헌주 한국정책학회 2015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

        지난 수십여 년 간 공적개발원조에서 중요한 화두는 교육을 통한 발전이었으며, 그 중에서도 보편적 초등교육의 실현은 매우 중요한 의제였다. 하지만, 최근 고등교육부문에 대한 원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즉, 수원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초등학교 취학율의 단순 증가 등 보편적 초등교육의 양적 달성보다는 양질의 교사 양성 및 제도 구축, 장학감사시스템 등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고등교육부문의 발전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또한 높은 고등교육 수준은 수원국 내부에서의 혁신을 보다 용이하게 해준다는 점에서도 고등교육에 대한 원조는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고등교육부문 원조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는 원조정책과 원조패턴이 유사한 한국과 일본의 고등교육부문 원조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이를 살펴본다. 많은 학자들에 따르면, 한국과 일본은 양질의 교육, 특히 고등교육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이룩하였다는 점뿐만 아니라, 양국 모두 교육부문 원조에서 고등교육부문 원조가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다는 점에서도 비슷하다. 이러한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일본의 고등교육부문 원조의 구체적 특성-원조의 지역적 배분 등-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공여국의 특성과 수원국의 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한국과 일본의 고등교육부문 원조 배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원조정책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시계열 ARIMA 모델을 통한 한국의 고등교육 팽창과 경제 성장의 관계 분석

        이은경(Lee Eun Kyu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6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5 No.2

        본 연구는 한국의 고등교육과 경제발전의 관계에 대해 종단 연구로서, 고등교육 팽창과 경제성장이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와 고등교육 특성이 경제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한국의 사례를 통해 밝히고자 설계되었다. 한국의 경제성장의 귀인을 교육에 두는 논의는 국내외적으로 지속되어 왔으나, 교육이 그 중에서도 특별히 고등교육이 경제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들은 미미한 상태이다. 한국(1965-2014)의 고등교육과 경제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해당 기간(50년) 동안의 한국의 거시경제지표(일인당 국내총생산, 산업영역별 국내총생산, 주가지수 등)들과 고등교육 관련 통계(대학 졸업생 수, 전공별 졸업생 수 등)를 통합하여 변인을 구성하였다. 경제 및 고등교육 관련 변인들의 관계를 시계열 분석의 한 종류로 종적 상관관계를 갖는 변수들의 변화추이를 추척하여 패턴을 예측하는 ARIMA(자동회귀통합이동평균)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한국의 경제지표에서는 ARIMA (1,0,0) 모델이 경제성장을 가장 잘 예측하였고, 모델 패턴 이후에 주가지수와 대학 졸업생 수 여전히 유의미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연구대상 기간 동안, 한 명의 대학 졸업생 증가가 해마다 한국에서는 1.6센트의 1인당 GDP 증가를 이끌었다. 또한, 고등교육 증가와 경제발전 사이에 양자 간에 정적인 순환적 관계가 발견되었다. 순환의 고리에서 고등교육 증가가 경제발전을 설명하는 정도보다는 경제발전이 고등교육 증가를 설명하는 양이 더 컸다. 전공영역과 관련하여, 한국의 모든 전공영역이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전공별로 산업구조에 따라 다른 관계성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고등교육이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 단위의 유익에 기여함을 확인하였고, 이는 고등교육 비용에 대한 공공부담에 대한 적극적 논의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효과적인 고등교육 투자를 위해서는 고등교육 구조와 경제발전의 세부적 관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concept of linking higher education and economic growth was diffused throughout the world in the 20th century. Responding to the needs of industries during that period, higher education expanded approximately 200 times beyond the enrollment level in 1900 (Schofer & Meyer, 2005). Empirical studies dealing with the individual benefit of higher education have flourished but little was known about the effect of higher education composition on economic growth. This research investigates contributions of higher education composition -- institutional sector and major -- to the growth of national wealth. This study chose South Korean case that exemplify rapid growth in the economies through higher education development. The study collected the panel data about higher education and the economies from 1965 to 2015 for South Korea and applied an ARIMA model regression for time series analysis. The effect of four major groups on GDP per capita and GDP sectors(agriculture, industry, service et al.) on overall economic growth were examined. In result, South Korean higher education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ir economic growth, and a bidirectional relationship of higher education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was examined in South Korea's industrialization periods. all of the four major group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crease of their GDP value added by industry and service et al., In South Korea, the humanity and social science major groups contributed to the economic growth through affecting on the increase of their industrial and service GDP. For deeper understand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er education composition and economic growth, this study suggests an analysis on the effect of institutional levels as well as major composition in higher education on economic growth.

      • KCI등재

        한국영화 DB를 활용한 역사교육의 가능성

        이종승(Lee, Jong Seung)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5 씨네포럼 Vol.0 No.22

        본 연구에서는 대중적 전파력과 영향력이 점점 증대되는 영화를 역사수업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한국 역사영화 DB 작업을 진행했다. 먼저 영화와 역사교육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영화를 활용한 역사교육의 다양성과 역사교육적 측면에서의 국내외 연구들을 정리하고 영화의 역사교육적 가치를 논의했다. 이어 실제 고등학교 역사수업에서 사용하는 한국사 교과서에서 이러한 영화의 역사교육적 가치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2009년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국사 검정 교과서 8종을 분석해 보았다. 교과서에서 언급된 영화내용을 분석한 결과 첫째, 교과서 내 영화서술이 지나치게 특정 단원에 편중되어 있었고 둘째, 교과서 내 영화자료의 활용이 대부분 역사학습의 단순 보조자료로 이용에 그치고 있는 한계점이 발견되었다. 영화를 활용한 교과서 수업이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개선시키고자 한국 역사영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보았다. 그 결과 1917년부터 2015년까지 제작된 약 6,752여 편의 한국영화 중 역사영화로 분류될 수 있는 영화의 편수는 총 315편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를 다시 고등학교 한국사 6개 단원에 적용시킬 수 있게 분류하였다. This study shows the Korean historical film database to use films in history class effectively. Recently, films are getting influential and popular in many classes. First of all, this paper discusses the educational value of film in history class in terms of literature review mentioning the relation between film and history. The study analyzes the eight Korean history textbooks in accordance with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find out how to use the films in history class effectively and educationally.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films mentioned in the textbooks, history textbooks has just focused on a certain section using film. Furthermore, films in the textbooks are used for simple auxiliary materials for history study. This study suggests the Korean historical film database in order to use film in history class effectively and to improve the problems discovered by the textbook analysis. Therefore, this paper collects about 6,752 films produced between 1917 and 2015 in Korea. There are 315 historical films among them. Finally, this study divides historical films up into six periods in the text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