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충동심리에 미치는 영향

        강수진(SooJin Kang),강호정(HoJung Kang),조원철(WonCheol Cho),이태식(TaeShik Lee) 한국방재안전학회 2013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6 No.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자살 문제를 조기 자살 예방 프로그램을 통해 초등학생에 적용하고 프로그램 전과 후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학생들의 감정 상태와 자살에 대한 충동 등, 심리상태 변화를 확인하였고,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청소년기는 인지적으로 미성숙하며 정서적으로 충동적인 시기이므로 발달 과정상 매우 불안한 시기이다. 사소한 자극이나 갈등상황에 대해 자살이라는 극단적 현실 도피, 충동적 문제해결 등의 방법으로 자살을 선택할 만큼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시기이다. 최근 핵가족화와 부모들의 자식에 대한 기대감과 교육문제, 사회 환경적 요인, 개인 심리적 요인 등의 많은 스트레스는 학생들을 자살이라는 극단적 행동까지 이르게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초등학생 때부터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영역과 자살생각과 충동의 정도를 파악하고, 명상교육, 호흡법 등 의 예방 프로그램을 통해 분노조절, 감정정화, 자기극복 체험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정체성 확립과 자기조절 능력, 자존감과 생명의 소중함을 깨닫게 함으로 자살예방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고양시 관내 초등학교 6학년 2개 반 51명을 한 달 동안 매일 아침 30분씩 뇌과학 교육의 원리와 방법을 체험 및 활동 중심으로 진행 하였고, 수업활동지 및 생활 실천교육으로 내면화하여 학습효과를 높이도록 하였다. 자료 수집은 4주간 20회 차 아침수업 실시 전과 후에 자살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도록 개발한 Suicide Probability Scale(이하 SPS-A), 자살위험성 예측척도를 활용하여, 긍정적 전망, 가족 내 친밀감, 충동성, 대인 적대감, 절망감 징후, 절망감 증후군, 자살사고 등 7가지 영역으로 조사 실시 하였다. 분석 방법 및 검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한 Wilcoxon’s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였다. 짧은 기간 동안의 프로그램 진 행이었지만 평균 비교 분석 시 7가지 영역에서 효과적이고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t-test 결과에서는 또 다른 결과 가 나왔다. SPS-A 31개 문항 중 3개 문항(7번, 14번, 19번)에서만 변화가 있고, 나머지 문항에서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B반 학생들에 비해 A반 학생들이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A반 학생들의 경우 7가지 영역 중 자살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절망감증후군과 자살사고 영역에서 프로그램 진행 후 심리적 변화가 있는 것으로 검증 됐다. 학생 의 성향에 따라 또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전문가(담임교사, 진행강사)에 따라 다른 결과가 도출된다는 것도 본 연구를 통 해서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자살예방 프로그램은 지속적인 프로그램으로 제도화, 활성화 하여 정서적인 스트레스 해소 및 긍정적인 자아정체성 회복, 뇌파 안정을 통한 감정 및 충동 조절을 함으로 학습효과와 자살예방에 도움이 될 것 이며, 짧은 시간의 교육 프로그램으로 사장되지 않고, 아동기부터 청소년기까지 연계하여 정신적, 육체적으로 건강하게 성 장할 수 있는 주변 환경을 조성함으로 사회적 문제인 자살 예방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early suicide prevention program was applied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ompared the prior & post effect of the program, and verified the status of psychology change like emotional status, or temptation to take a suicide, and presented the possibility as a suicide prevention program. The period of adolescence is the very unstable period in the process of growth being cognitively immature, emotionally impulsive period. It is the period emotionally unstable and unpredictable possible to select the method of suicide as an extreme method to escape the reality, or impulsive problem solving against small conflict or dispute situation. Many stress of the student such as recent nuclear family, expectation of parents to their children, education problem, socio-environmental elements,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 lead students to the extreme activity of suicide in recent days. In this study, the scope of stress experienced in the elementary school as well as idea and degree of temptation regarding suicide by the suicide prevention program were identified, and through prevention program such as meditation training, breath training and through experience of anger control, emotion-expression, self overcome and establish positive self-identity and make understanding Selfcontrol, Self-esteem & preciousness of life based on which the effect to suicide prevention was analyzed. The study was made targeting 51 students of 2 classes of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of Goyang-si and processed 30 minutes every morning focused on through experience & activity of the principle & method of brain science. The data was collected for 20 times before starting morning class by using Suicide Probability Scale(herein SPS-A) designed to predict effectively suicide Probability, suicide risk prediction scale, surveyed by 7 areas such as Positive outlook, Within the family closeness, Impulsivity, Interpersonal hostility, Hopelessness, Hopelessness syndrome, suicide accident. Analytical methods and validation was used the Wilcoxon’s signed rank test using SPSS Program. Though the process of program in short period, but there was a effective and positive results in the 7 areas in the average comparison. But in the t-test result, there was a different outcome. It indicated changes in the 3 questionnaires (No.7, No.14, No.19) out of 31 SPS-A questionnaires, and there was a no change to the rest item. It also indicated more changes of the students in the class A than class B. And in case of the class A students, psychological changes were verified in the areas of Hopelessness syndrome, suicide accident among 7 areas after the program was processed. Through this study, it could be verified that different results could be derived depending on the Student tendency, program professional(teacher in charge, processing lecturer). The suicide prevention program presented in this article can be a help in learning and suicide prevention with consistent systematization, activation through emotion and impulse control based on emotional stress relief and positive self-identity recovery, stabilization of brain waves, and let the short period program not to be died out but to be continued connecting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capable to make surrounding environment for spiritual, physical healthy growth for which this could be an effective program for suicide prevention of the social problem.

      • KCI등재후보

        자살보도가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조건적 효과에 관한 연구

        정승민,박영주 한국경찰연구학회 2009 한국경찰연구 Vol.8 No.2

        자살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된 현 상황에서 이 연구에서는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최근 연예인 등 사회 유명인의 자살 이후 증가하는 일반인의 자살을 고려하여 자살의 원인으로 대중매체의 영향력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두 단계로 진행되었는데 첫째, 자살의 원인으로써 개인의 심리적․사회적 영향력과 대중매체에 의해 형성된 자살에 대한 태도, 그리고 자살보도의 정도가 개인의 자살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개인의 심리적․사회적 요인이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대중매체의 자살보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개인의 자살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으로 심리적 요인으로는 우울증이, 사회적 요인으로는 학교에 대한 애착 및 취업의 어려움 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중매체에 의해 형성된 자살태도나 대중매체의 자살보도 등 대중매체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중매체에 의한 조건적 효과를 살펴본 결과, 대중매체에 의해 자살에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한 집단에 있어서는 우울증이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비록 대중매체의 직접적인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할지라도 대중매체에 의해 자살위험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자살보도를 함에 있어서 대중매체의 신중한 태도와 중립적인 태도를 요구한다. In the current situation that suicide in our society was emerged as a serious social is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factors that have influence upon suicide. It particularly paid attention to the influence of mass media as a cause for suicide by considering common people's suicide that has increased since the recent suicide of social celebrities such as entertainer and others. Accordingly, this study was progressed with two stages. first, it examined whether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and social influence, the attitude toward suicide that was formed by mass media, and the level of a suicide report have influence upon an individual's suicidal risk. Second, it examined whether there is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upon suicidal risk depending on the suicide report of mass media.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the causes, which have influence upon an individual's suicidal risk, were indicated to be depression in the psychological aspect and to be the attachment to school and the difficulty for employment in the social aspect. However, it was indicated that there is no direct influence by the mass media such as the suicidal attitude, which was formed by mass media, or as the suicide report in mass media.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ditional effect by mass media, the group, which was formed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suicide by mass media, was indicated that the influence of depression upon suicidal risk is bigger. In the above results, even if the direct influence of mass media is not indicated, it can have indirect influence upon the suicidal risk by mass media. Thus, the discreet attitude and neutral attitude in mass media are required in the suicide report.

      • KCI등재

        자살과 경찰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김종오(Kim Jong Oh),이대성(Lee Dae Sung) 한국공안행정학회 2009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8 No.3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OECD국가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자살률의 변화추이와 경찰의 대응방안에 대해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자살과 관련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지만 경찰의 역할에 대해서는 부족한 면이 많다. 실제로 자살에 대한 문제는 의료, 복지 등 관련 부처들과 학교, 직장 등 지역사회의 시스템들이 공동으로 협력하고 대처해야 자살을 예방하고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국가적 차원의 자살예방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유럽의 여러 나라, 미국, 일본 등에서는 청소년기에서부터 자살 방지를 위한 국가적 정책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막대한 예산이 지원되고 있다. 오늘날 자살자들의 가장 커다란 원인이 경제적 어려움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생활고를 비관하여 자살하고 있다는 보도는 일상적이다. 자살에 대한 선행연구들에 대해서 나름대로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이와 관련한 경찰활동으로 자살 관련 인터넷 사이트의 단속, 농약 사용 등 가능한 자살방법 차단에 대한 경찰의 관여, 자살 관련 언론보도지침 준수를 위한 관련 기관과의 협력 방안 등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자살 사이트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인터넷의 사용이 익숙한 젊은 계층의 사람들이 많다. 농약은 구하기 쉽고 적은 양으로도 자살에 이를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자살 시도자들이 사용하고 있는데 농약의 관리에 관심을 기울인다면 자살 감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베르테르 효과라고 하는 모방 자살에 대해서는 그 상관관계가 입증된 연구들이 존재한다. 언론 보도와 관련하여 기준이 되는 보도지침을 지키는 것만으로도 모방 자살이 감소할 수 있을 것이다. 경찰의 입장에서는 자살 위험군을 강력하게 단속하는 것보다 그들이 자살할 정도의 위험성이 있을 때 경찰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요구된다. 경찰은 전국적으로 기동성을 가진 조직이라는 점에서 자살 예방에 있어서 필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자살을 온전히 없애는 일은 불가능한 일이겠지만, 자살 예방을 위한 노력들은 사회의 모순점들을 해결하고 사회의 통합을 이루어 복지국가를 만드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understanding to variation for the rate of suicide and the countermeasures on policing activities. In Korea, the rate of suicide is most highest of the OECD nations, and it is increasing. As to suicide many researches has been proceeding but they are insufficient to police activity. A subject of suicide should be cooperate with the relevant government ministries such as medical, social welfare group, and communities systems such as school, workplace, and then the rate of suicide will reduce and prevent. To protect suicide should be built up organizationally suicide prevention system. For advanced nations, already national policy has carried out the system of suicide prevention from juvenile period, and support with much budget. These days, the major cause of suicide is economic difficulties, and news is report with suicide daily. This study analyzed preceding researches, and policing activities with suicide considered the control of internet sites related suicide, policing activities take part in interception of the using method for fatal agricultural chemicals by taking poison, and observances of media report guide with suicide. The people using internet sites are many youthful who are familiar to computer. Fatal agricultural chemicals are apt to search for and cheap, and a little amount of poison can kill oneself. Taking concern to manage agricultural chemicals, suicide will reduce. About the imitation suicide what is called the Werther effect, the researches exist that has a correlation Werther effect and suicide. As keeping media report guide, the imitation suicide will reduce. In a police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which demand a help to police rather than to control strongly a dangerous person with suicide. Because the police has national systems with mobility, the police can play an important role to prevent suicide. The effort for preventing suicide will help to solve the social conflict and to integrate communities and to make the welfare nation.

      • 자살예방 프로그램 인증 체계

        박종익,전선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5

        연구목적 : 자살예방 활동 및 프로그램의 양적인 증가로 인하여 질 관리에 대한 문제가 대두 되면서 효과성이 검증된 자살예방 사업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자살예방 프로그램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을 통해 근거를 갖춘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발굴하고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인증된 프로그램을 널리 확산 시키고자 자살예방 프로그램 인증 체계를 구축 하였다. 연구방법 : 국내 자살예방 프로그램과 선별도구에 대한 현황파악을 위해 전국 1,173기관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하였고, 자살예방 실무자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FGL)이 실시되었다. 또한 국내ㆍ외 자살예방 프로그램 및 선별도구를 문헌고찰 했으며, 미국의 SAMHSA(Substance Abuse and Mental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를 현지조사 하여 자살예방 프로그램 인증 체계가 제안되었다. 자살예방 프로그램 인증 기준을 실제적으로 적용을 위해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공모한 결과``보고듣고말하기``, ``청소년자살예방교육 ``생명 사랑 틴틴교실``.`` ``자살 및 정신질환 위기관리 프로토콜``. ``자살위기개입 핸드북``이 시범심사의 대상으로 선정 되었다. 5차의 전문가 합의 과정을 거쳐 자살예방 프로그램 인증 체계를 지속적으로 수정ㆍ보완한 결과 한국적 상황을 반영한 자살예방 프로그램 인증 기준이 도출되었다. 주요결과 : 자살예방 프로그램 인증 체계의 대상은 자살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이며, 인증 신청을 위해서는 다음의 두 가지 기본요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첫째, 자살예방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중재/권고여야 한다. 둘째, 중재에서 사용되는 자료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자살예방 프로그램 인증 체계는 중재/권고 도출 방법에 따라 3개의 색션(SECTION)으로 구분되고, 각 색션은 LEVEL이 나누어져 있어 있다. 섹션(SECTION)1은 연구기반 중재/권고로서 구조화된 실험적 연구를 통하여 중재의 내용과 효과성을 입증한 중재/권고가 해당된다.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 평가를 실시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해 낸 것으로 학술지, 학위논문, 학회지에 개재되는 연구 보고서 형태가 포함된다. 인증 심사는 효과를 평가한 연구의 질, 근거의 수준, 자료의 적절성을 평가하게 된다. 섹션(SECTION)에 해당되는 프로그램으로는 ``청소년 우울증 인식 향상 프로그램: JumpPing Blue(우울증임상연구센터. 영등포구정신건강증진센터)을 예시로 들 수 있다. 섹션(SECTION)Ⅱ 는 전문가 합의 중재/권고로서 전체적ㆍ일반적 상황에서의 권고(규범/지침)가 해당된다. 일반적인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전문가 자문이나 회의를 통한 내용 개발과는 구별되는 것으로, 최종적으로 제시하는 권고안에 대한 관련 전문가 간의 공식적인 합의절차가 요구된다. 따라서, 공공기관에서 제시하는 사업 원칙이나 자살예방중재에 대한 지침 또는 프로토콜이 해당되며, 인증 심사는 지침 내용의 적절성과 개발 과정의 적절성을 평가하게 된다. 섹션(SECTION)Ⅱ에 해당되는 프로그램으로는 전문가 합의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자살보도 권고기준 2.0``(중앙자살예방센터)과 ``자살 및 정신질환 위기관리 프로토콜``(서울시자살예방센터)을 예시로 들 수 있다. 섹션(SECTION)Ⅲ는 표준 중재/권고로서 특수한 세팅(Setting)에서의 증재/권고가 해당된다. 즉, 군대, 응급실 등 특정한 상황에서 자살예방 사업의 목적달성을 위해 수행되는 프로그램의 수행 요령과 방법을 기술해 놓은 중재매뉴얼이 해당된다. 인식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홍보물 또는 홍보자료, 교육/훈련 프로그램, 선별 프로그램이 주로 해당되고 경우에 따라서 일부 권고안(지침/프로토콜) 형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인증 심사는 프로그램 내용의 정확성과 프로그램 구조의 적절성을 평가하게 된다. 섹션(SECTION)Ⅲ에 해당되는 프로그램으로는 ``보고듣고말하기``(중앙자살예방센터), ``청소년 자살예방교육 ``생명사랑 틴틴교실``(경기도자살예방센터), ``자살위기개입 핸드북``(서울시자살예방센터)을 예시로 들 수 있다. 결론 : 자살예방 프로그램 인증 체계는 모든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포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인증을 받지 않았다는 것이 근거가 없거나 효과가 없다는 것을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나 조금 더 효과성이 검증된 프로그램의 사용은 클라이언트 및 소비자에게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신뢰를 줄 수 있으며, 서비스 대상자로 하여금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보장받을 수 있게 한다. 또한, 근거기반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사용으로 사업의 효과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정책의 우선순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살예방 프로그램 인증 체계의 효율적ㆍ안정적 운영을 도모하기 위해서 선행되어야 할 점은 근거기반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알리는 것이 된다. 이에 대한 실천적 대안으로 자살예방 프로그램 인증 체계의 의의 및 이점을 홍보하는 것과 설명회 개최 등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추후 자살예방 프로그램 인증 체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시행 주체의 재정적ㆍ정책적인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며, 운영 주체의 적극적인 홍보 와 더불어 더 많은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인증체계에 유입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자살 위기개입 상담자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모성(母性)을 담은 상담자 되어가기

        이현주,김수진 한국효학회 2022 효학연구 Vol.- No.36

        배경: 우리나라의 자살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늘어나는 상황이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국가 중 자살자 1위라는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다. 자살률이 증가하는 만큼 상담현장에서 위기사례를 개입하는 상담자 또한 정서적으로나 심리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목적: 자살이라는 고위기 사례개입에 대한 직업적 소명의식을 품고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 전문가의 삶의 이야기를 통해 간접적인 외상을 극복하고 성장으로 나아가는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방법론/접근 : 질적 연구방법 중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1인 연구참여자의 자살 위기개입 상담자로서의 삶의 경험을 이해하고자 한다. 내러티브 탐구는 인간의 경험을 이해하려는 연구방법으로,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의 관계를 바탕으로 도출된 이야기를 개인의 독특한 삶으로 재구성하고, 그 구성된 이야기에서 의미를 파악하는 방법이다결과/결론 : 첫째, 참여자가 자살 위기개입 상담하는 전문가로서 성장하고 자살 위기개입 상담전문가로 입지를 다져가는 모습 속에서 자신의 고통(苦痛)의 삶 속에서 찾아가는 자신의 삶의 의미와 소명을 발견해 가는 과정인 것이다. 둘째, 대리외상과 외상후 성장 그리고 삶의 의미와 소명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어머니의 따뜻함이 늘 존재되어 있었다. 때문에 이후 모성의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상담자가 되어가는 소명을 발견할 수 있었다. 참여자에게 큰 지지와 격려를 주셨던 어머니의 모습과 자살자의 고통 하는 어머니의 모습이 교차 되면서 더욱 자살시도자의 위기개입에 적극적인 소명이 굳어진 것이다. 시사점 : 자살 위기개입 상담자의 이야기를 통해 자살 위기개입 상담의 취약성과 자살 위기개입 상담자가 경험할 수 있는 고통을 통한 성장을 이해하고 자살 위기개입 상담에 대한 지원과 교육을 위한 총체적 노력이 필요함을 밝힌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arch engine results and suicide rates: Comparing Naver and Google

        편미란(Pyun, Mi Ran),이상엽(Lee, Sang Yup)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0 사회융합연구 Vol.4 No.2

        자살을 고려하는 사람들은 자살을 시도하기 전 자살계획 단계를 갖는다. 계획 단계에서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게 되는데, 특히 검색엔진을 이용해 자살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에서 주로 사용되는 검색엔진에는 국내기업의 검색엔진인 네이버와 해외기업의 검색엔진인 구글이 있다. 네이버의 경우 한국 검색엔진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구글은 3위를 기록하고 있다. 두 검색엔진이 가진 “자살”에 대한 검색 결과는 상당히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네이버의 경우 국내법이 적용되어 “자살” 검색 시 관련 정보가 거의 노출되지 않는 반면 구글의 경우 관련 정보가 다양하게 노출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살률과 각 검색엔진의 자살 관련 키워드(자살, 자살방법, 죽는방법)의 검색 빈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검색엔진 점유율이 높은 네이버가 더 유의한 관련이 있을지, 자살 정보가 더 다양하게 노출되는 구글이 더 유의한 관련이 있을지 비교해 보았다. 분석결과 네이버의 검색 빈도가 구글의 검색 빈도보다 자살률과 더 긍정적이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is known that individuals considering suicide tend to search information about suicide on the Internet, particularly using search engines. In South Korea, two of the most used search engines, those are Naver, a domestic search engine, and Google, a foreign search engine. Naver ranks first in market share among search engines in Korea, While Google ranks third. Search results about “suicide” on the two search engines are substantially different. Due to Korean laws, there is little pro-suicide information on Naver when searching the term “suicide”. Meanwhile, Google tends to retrieve much more pro-suicide information. In this study, we examined South Korean suicide rates and search frequencies of suicide-related keywords to determine which search engine has a more significant relationship: Naver, which has a higher market share, or Google, which allows for more diverse exposure to suicide information. We found that the search frequency on Naver is more posi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icide rates than the search frequency on Googl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more detail in the text.

      • KCI등재

        피의자자살의 형사정책적 대응방안

        정신교 한국치안행정학회 2020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7 No.1

        People who attempted suicide during the investigation process seem to have mental illnesses such as depression in connection with their situation. This seems to be related to suicide and depression. However, since all suspects with these problems do not choose to commit suicide, these factors and suicide do not necessarily correlate. In other words, the psychological pressure felt by the suspect does not cause mental illness. Because the suspects perceive and interpret the circumstances of their own situation by giving subjective meaning to their situations before they decide to commit suicide and commit themselves to suicide, I am thinking of an alternative. It would be a way of eliminating the problem by not making a wrong act in a state of contraction due to the psychological pressure first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of the suspect and the thought about his surroundings. One way is to eliminate the coercive methods of investigation and refrain from publicizing indiscriminate bloody facts with human rights violations. In the end, we need to follow up on these two problems. 자살문제는 그 사회의 병리현상을 보여 줄 뿐만 아니라 그 사회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판단하는 척도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대 이후 급격한 산업화와 그에 따른 경제적, 사회적 문제의 표출로 인한 자살이 증가하였다. 특히 수사과정에서 피의자가 자살하는 사건이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수사과정에서의 인권침해내지는 강압수사에 의한 논란을 낳고 있다. 수사과정에서 자살시도자의 경우 그 원인은 개인적 원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피의자 자신이 처한 상황과 우울증 등의 정신병질과의 결합으로 나타난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자살과 우울증은 매우 깊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문제가 있는 모든 피의자가 자살을 결심하거나 실행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요인이 반드시 자살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볼 수는 없다. 다시 말해 피의자의 심리적 압박감이 정실질환을 유발하는 요인은 아니다. 왜냐하면 피의자가 자살을 결심하고 실행하기 전에 자신의 상황에 대해 주관적으로 인식하고 해석하는 과정을 겪고 이 과정에서 자신이 받아들일 수 없는 상황에 대해 인식하게 되면 자살이라는 대안을 생각한다는 것이다. 수사과정에서 피의자는 예전에 겪어보지 못한 심리적 압박감과 자신 때문에 자신의 주변인들이 피해를 받게 될 지도 모른다는 생각으로 매우 위축된 상태에서 자살을 결심하고 실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잘못된 결행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에는 수사기관이외에 피의자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의료인 내지는 법률대리인 등이 도움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피의자가 이러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도움의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여기에는 강압적인 수사방식의 제거와 인권침해적인 무분별한 피의사실공표를 자제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결국 이 두 개의 문제에 대한 개선책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청소년 자살에 대한 초.중등 교사의 인식 조사

        류남애,유순화,윤경미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teachers on suicide to offer the basic information which is necessary to educate suicide prevention to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553 teachers who are working at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Busan. Questionnaire which consists of 3 parts such as teachers' personal background, knowledge on suicide and attitude for suicide was used as the means of surve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collected data in accordance with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eachers were generally low in the areas of general knowledge on suicide, adolescents' suicide and prejudice and misunderstanding. It was particularly low in general knowledge area. Second, the result of teachers' attitude on suicide by the personal right area, possibility on prediction area, social seriousness area, danger area and religious or moral area showed that teachers tended to taboo suicide, and they considered it a serious social problem and many of them understood it with the view of religion or morality. Third, when the result was inspected by teachers' backgrounds(sex, school level, career length and religion),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eachers' knowledge and attitude on adolescent' suicide. 본 연구는 교사들의 자살관련 지식과 태도를 알아봄으로써 교사를 대상으로 한 자살예방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향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에는 부산지역의 초․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553명이 참여하였으며, 참여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자살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알아보고, 성, 학교급, 교육경력, 종교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첫째, 초중고 교사의 자살에 관한 지식과 이해 정도는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역별로는 일반적 지식에서 가장 낮았다. 둘째, 자살 관련 지식에 대한 배경변인별 차이에서는 청소년 자살영역에서는 학교급별과 종교유무에 따라서, 편견 및 오류 영역에서는 성별과 교육경력에 따라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중고 교사의 자살에 대한 태도를 살펴본 결과 교사들은 자살을 금기시 하는 경향이 높았으며, 사회적으로 심각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고 종교나 도덕적 관점으로 자살을 이해하는 견해가 많았다. 넷째, 배경변인 별로는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초등학교 교사일수록 고정관념이 많고 종교․도덕적 관점으로 자살을 이해하는 경향이 있었다.

      • KCI등재

        ‘역량’에 기반한 자살예방 정책의 방향성 모색

        김지연 ( Kim Jiyoun ),심지원 ( Shim Jiwo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2

        자살예방 정책은 자살은 예방되어야 한다는 전제로 논의를 시작한다. 하지만 자살을 예방해야만 하는 것에서 논의를 시작하는 것이 오히려 자살예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간과하게 되고, 결국 그러한 토대로 구성된 자살예방 정책은 큰 결실을 맺지 못한다. 우선, 정책적 대상으로서의 자살이 어떤 자살인지를 고민하고, 그러한 자살에서 중요한 요소를 인식하며, 그것을 자살예방 정책의 주요 대상으로 삼는 것이 오히려 자살예방 정책에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는 것이 본 논문의 연구배경이다. 자살자가 자살을 결정하는 시점에, 대부분은 합리적 선택을 위한 의사결정 능력이 결핍된 상태이다. 다층적인 삶의 맥락이나 상황에 처한 개인이 이러한 상황을 벗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의사결정 능력이 향상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의사결정 능력의 의미와 그 한계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의사결정 역량 개념의 도입을 제언하고자 함이다. 본 논문에서는 좁은 의미의 의사결정 ‘능력’을 ‘역량’ 개념으로 확장하여, 의사 결정의 주체를 보편적이고 독립적인 개인이 아닌, 이질적이고 사회적 관계에 의해서 변화할 수 있는 개인으로 보며, 자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도적 측면뿐만 아니라 외적인 문화적측면까지 포함한 통합적인 사회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주장할 것이다. Suicide prevention policy starts with the premise that suicide should be prevented. However, starting a discussion on the need to prevent suicide is rather overlooking what is most important in suicide prevention. We believe that recognizing the important factor of the suicide which is the objective of the suicide prevention policy, and setting it as a main target of the policy is rather effective. Recognizing these problems is the research background of this paper. At the time of suicide's decision to commit suicide, most are lacking decision making ‘competence’ for rational choice. Individuals' competence to make decisions should be improved in order for individuals in a multilayered life situation to get out of this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decision making ‘competence’ and what limits it has, and to suggest the concept of decision making ‘capability’ as to complement to it. In this paper, we extend the decision making ‘competence’ in the narrow sense to the concept of ‘capability’ and view the subject of decision making as individuals who are heterogeneous and can be changed by social relationships, rather than universal and independent individuals. Also, in this paper, we argue that integrated social interventions, including institutional aspects as well as external cultural aspects, are necessary to solve suicide problems.

      • KCI등재

        구급활동데이터를 활용한 전라북도 자살시도자 특징 분석

        원진영(Jin Young Won),신진동(Jin Dong Shi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2

        본 연구는 구급활동데이터를 바탕으로 임상적으로 드문 자살시도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살시도 방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여, 실효성 있는 자살예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2013~2018년 전라북도 구급활동데이터를 대상으로 텍스트 분석, 항목 재분류 등을 통해 자살시도자를 추출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입증되어진 자살위험변인에 대한 자살 시도자 정보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인구통계학적 변인, 자살 잠재력 변인, 자살 상황변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카이제곱 검정과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구급건수 중 0.9%가 자살시도자로 추출되었고, 국가응급진료망을 통한 자살시도자 통계와의 비교를 통해 구급활동데이터가 양적·질적 측면에서 기존자료를 보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성, 연령, 지역구분, 신체질환 및 정신질환 여부, 시도 시 음주여부, 자살시도 시간 및 계절, 주거지 여부 모두 자살시도 방법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도 방법에 따라 유의한 변인이 상이하게 도출되었다. 특히 약물과다복용으로 인한 자살시도는 신체 및 정신질환을 가질 경우 위험성이 높아지며, 농약음독 및 예기를 통한 자살시도는 음주상태에서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시도 방법별 위험요인을 바탕으로 고위험군을 발굴하고 개입의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여 적극적 자살예방체계를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clinically rare suicide attempt data based on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 data,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suicide attempt method, and to use them as basic data to establish effective suicide prevention measures. In this study, the suicide attempters were extracted through text mining and reclassification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data from 2013 to 2018 in Jeollabuk-do. Chi-square test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demographic variables, suicide potential variables, and suicide situation variables. Comparing the statistics of suicide attempters through NEDIS, it was confirmed that the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 data can complement existing data in term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Gender, age, region, physical and mental disease, alcohol use, suicide attempt time, season and place al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uicide attempt methods. It was derived that the significant variables differ depending on the suicide attempt method. In particular, patients with physical and mental diseases were at high risk of attempting suicide through drug overdose. Suicide attempts through pesticide poisoning and cutting were found to be high risk in drinking.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n efficient suicide prevention system by preparing specific measures for each suicide attempt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