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아기자녀를 둔 부모의 자녀양육관에 대한 소고

        최정혜 ( Choi Jeong-hye )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8 현대교육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들을 둔 부모의 자녀양육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기 자녀의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됨, 자녀양육관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현재까지 연구된 선행연구 자료를 고찰하여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부모됨 인식은 부모 됨을 ‘가치 있는 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그 중요성에 대해서는 조금씩 감소하고 있는 경향이었다. 둘째, 부모의 자녀양육관과 관련된 부모역할에서 부모의 양육효능감은 보통수준이며, 양육스트레스는 낮은 수준이었다. 또한 부모양육태도는 부모 모두 민주적 양육태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권위주의적, 허용적, 무관심적 양육태도 순으로 나타났다. 부모양육 참여의 실제는 어머니의 양육참여가 절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자녀양육관을 총체적으로 규명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부모의 자녀양육관의 정립을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방안도 구체적으로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was focused to analyze the child-rearing values of parents in taking care of their young children through literature reviews. For this purpose, the major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subjects of the parents’ qualification in taking care of their infants and child-rearing values of the parents, etc. Through the research, several important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First, parental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parents in taking care of their infants was perceived as 'worthiness', but the concept tended to gradually decrease. Second, the level of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s’ role in rearing their children were ranged in normal score, but the parents felt almost no-stress for rearing their young children. In addition, the democratic style of parenting attitudes for rearing their children gave the highest score, and the authoritarian, allowable, and indifferent-parenting style were followed next. In reality, participation of mother in child-caring gave an absolutely high score in parenting their young childre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results can be applied to develop the capability-enhancing program for the parents to establish their child-rearing.

      • KCI등재

        양육태도의 세대 간 전이: 원가족 부모가 성인자녀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영신,안자영,남인순,김영경,박세호,이문영,신미자,김정실,한미순,이창주,조은형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3

        The results of three separate research studie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generational transference of child rearing practices of parents on their adult-children (who themselves are parents). There were 202 female adult-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first research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perceptions of parent-child relation of adult-children on their own attitude of sacrifice towards their own children. Utiliz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show that the greater the perception of wanting to meet their parents' expectations the more acts of sacrifice the adult-children performed towards their own children. The purpose of the second study was to expand on the first study with 2,324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This study replicated the first study, with the addition of emotional support as a dependent variable. Utilizing the same statistical analyses as in first study, the results show that the greater the perception of wanting to meet their parents' expectations, in addition the greater perception of parental sacrifice, the more acts of sacrifice the adult-children performed towards their own children. Also, the greater the perception of wanting to meet their parents' expectations the more acts of emotional support the adult-children performed towards their own children. The third study, with 948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explored the influence of parental child rearing attitudes upon their adult-children's child rearing attitudes. Th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the parental child rearing attitude of parents influenced the adult-children's child rearing attitudes in terms of affection on affection, sacrifice on sacrifice, hostility on hostility, and rejection on rejection. When a factor analyses was performed with the parent and adult-children variables, a two factors solution yielded the following groupings: Negative factor (both parent and adult-children hostility and rejection) and positive factor (both parent and adult-children affection and sacrifice). Based on the results, it is argued that there is a transference of child rearing practices between generations. 양육태도의 세대 간 전이를 규명하기 위해, 원가족 부모가 성인의 자녀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세개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1]에서 202명의 성인 여자를 대상으로, 원가족에서 부모와의 관계가 성인 여자의자녀를 위한 희생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원부모의 기대에 일치하려는 정도가 높은 성인여자일수록 자녀를 위한 희생을 많이 하였다. [연구 2]에서 2,324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연구 1]에서와 동일한독립변인들이 자녀를 위한 희생 및 자녀에 대한 정서적 지원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원부모의 기대에 일치하는 정도가 높거나, 원부모가 희생적이었다고 지각하는 성인일수록, 자녀를 위한 희생을 많이하였다. 또한 원부모의 기대에 일치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자녀에 대한 정서적 지원을 많이 하였다. [연구 3]에서948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원부모의 자녀양육태도가 성인의 자녀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 하였다. 원부모의 애정적 양육태도는 성인의 애정적 양육태도에, 원부모의 희생적 양육태도는 성인의 희생적 양육태도에, 원부모의 적대적 양육태도는 성인의 적대적 양육태도에, 원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는 성인의 거부적 양육태도에의미 있는 영향을 미쳤다. 요인분석 결과, 원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는 성인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동일한 요인에, 원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는 성인의 긍정적인 양육태도와 동일한 요인에 부하되었다. 원가족 부모가 성인의 자녀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짐으로써, 자녀양육태도의 세대 간 전이가 확인되었다.

      • KCI등재

        자녀를 양육하지 않는 아버지의 비공식 양육비 제공

        최유석(Choi You-Seok) 한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사회복지학 Vol.62 No.2

        본 연구는 미국 위스컨신 주에서 수행된 아동양육비 이행 시범사업 서베이 자료를 이용하여, 자녀를 양육하지 않는 아버지와 자녀를 양육하는 빈곤층 어머니의 가족구조 특성이 아버지가 제공하는 비공식 양육비 수준과 관련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비공식 양육비 수준은 해당 자녀 부모의 현재 결혼상태, 자녀의 출생 당시 결혼상태와 관련이 있었다. 아버지의 자녀를 낳은 배우자 수는 비공식 양육비 수준과 관계가 없었다. 여러 배우자 사이에 자녀를 가진 경우, 아버지는 첫 번째 배우자 사이에 출생한 자녀에게 더 많은 비공식 양육비를 제공하였다. 아버지 자녀의 구성과 관련하여, 해당자녀의 형제/자매의 존재, 해당자녀의 이복형제 등 또 다른 자녀의 존재도 비공식 양육비 수준과 관련을 맺었다. 또한 공식적 아동양육비와 비공식적 아동양육비는 보완적인 관계를 맺고 있음을 밝혔다. Using the Survey of Wisconsin Works Families, the survey of the Child Support Demonstration Evaluation (CSDE) project in Wisconsin,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family structures of nonresident fathers and resident mothers are associated with nonresident fathers’ economic contributions, measured by the level of informal support provided to their children living in the mothers' households. Findings show that the level of informal support is associated with not only individu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nonresident fathers and resident mothers, but also family structures and institutional factors such as child support arrangements and the CSDE experiment. Both mothers' repartnering with another man and fathers’ repartnering with another woman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informal support. Fathers who lived together with mothers when their children were born provide more informal support than do fathers who did not. Fathers' multiple partner fertility is not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informal support provided. Among fathers who have children with multiple partners, fathers provide more informal support to their children born by their first partner. Fathers who have multiple children with the mother of the focal child provide more informal support. Fathers who have other biological children living elsewhere provide less informal support. Fathers who pay higher levels of formal child support also provide higher levels of informal support. Fathers associated mothers assigned to the CSDE experiment group provide more informal support. The findings suggest that child support programs may increase informal support, thereby improving the well-being of resident mothers and their children living in poverty.

      • KCI우수등재

        자녀양육세대의 주거이동 및 주거의식

        조현주,이상운 대한건축학회 202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8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Japanese child-rearing household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housing support policies for the Korean child-rearing household in the futur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sidential movement, residential consciousness, and policy preference of child-rearing household in Korea and Japan.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Korean child-rearing households are dual-income couples, so they do not devote sufficient time to child ca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support measures for housing so that they can work and child-rearing at the same time. 2) The Japanese child-rearing household had a low intention to move after purchasing one's own house. On the other hand, in Korea, there is a lot of the tendency of residential movement is high even after purchasing one's own house. In addition, the Korean child-rearing household felt the burden of housing costs more than that of Japan, and showed a tendency to give priority to purchasing their own house. 3) The Korean child-rearing household showed a higher preference for their own housing than Japan, which has a high preference for rental housing. In addition, the child-rearing household perceives that owning a house is advantageous in terms of economic and stable settlement.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residential stability for the child-rearing househol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customized plan according to the desired type of housing occupancy based on reducing the economic burden. 4) Regarding housing policy for the child-rearing household, the Japanese child-rearing household had a high demand for suitable residential movement support for each household through housing cost subsidy.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child-rearing household had high demands for policies that directly help them to purchase their own home and rear their children. Therefore, the housing policy for the child-rearing household respond to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housing and changes in the rental market environment along with direct support for housing stability.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자녀양육세대 주거이동과 주거의식 및 정책 선호도를 비교 분석하여 한일 자녀양육세대의 특징을 파악하고, 향후 한국 자녀양육세대를 위한 주거지원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1) 한국의 합계출산율 저하는 만혼과 비혼의 영향인 것으로 보이므로 신혼부부의 주거 안정을 위한 지원책 마련이 저출산 문제 해결에 효율적일 것이다. 또한 한국 자녀양육세대 대부분이 맞벌이 부부로 자녀 돌봄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할 수 없으므로 자녀 출산 후 자녀 양육과 일을 병행할 수 있도록 주거에 대한 지원책 모색이 필요하다. 2) 일본 자녀양육세대는 불가피한 주거이동을 하는 경우가 많고 자가 취득 후에는 주거이동 의향이 낮았다. 반면 한국은 적극적인 주거이동이 많으며, 자가 취득 후에도 주거이동 경향이 높았다. 또한 한국 자녀양육세대가 일본에 비해 주거비 부담을 더 느끼고 있으며, 자가 마련을 우선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신혼부부와 자녀양육세대를 위한 주택구매 및 전세자금 지원과 전용 임대 및 분양주택 공급 확대, 임차자 거주권 확보정책 등 거주 안정성 확보를 위한 정책적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3) 한국 자녀양육세대는 임대 선호 성향이 높은 일본에 비해 자가 선호 성향이 높았다. 또한 주택 소유가 경제적이며 안정적인 정주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므로 자녀양육세대를 위한 거주 안정성 확보를 위해서는 경제적 부담 경감을 기본으로 희망하는 주택 점유형태에 따른 맞춤형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4) 자녀양육세대를 위해 강화되어야 할 주택정책에 대해서는 일본이 주거비 보조라는 간접 지원을 통한 각 가구에 적합한 주거이동 지원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반면 한국 자녀양육세대는 주택구매자금 대출과 주택공급 확대, 육아 지원 거점시설 설치 등과 같이 자가 구매와 자녀 양육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책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따라서 주택구매자금 지원과 주택공급 등 자녀양육세대 주거 안정을 위한 직접적인 지원을 통해 주택시장 안정을 도모함과 동시에 주택시장 안정 후 주택에 대한 인식 전환과 임대시장환경 변화에 대응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이혼가정 미성년자녀의 양육적정화를 위한 법정책적 연구

        소성규 ( Sung Kyu So ),허태갑 ( Tai Kap Hur ) 한국법정책학회 2013 법과 정책연구 Vol.13 No.3

        이혼가정이 늘어나면서 미성년 자녀의 복리에 관한 문제는 단순히 미성년자녀의 부모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혼이라는 당사자간의 계약의 해소의 법적측면과 더불어 미성년자의 양육문제가 가족법의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2007년 민법 개정의 주요한 법 개정 목적이 부부가 이혼 시 최우선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미성년 자녀의 복리에 관한 문제라고 규정하고 있다는 점은 이를 잘 반영하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 이처럼 이혼에 있어 미성년자녀의 처리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높아지고 있으나 현실적 상황은 법적 인식조차 따라 오지 못하고 있다. 미성년자에 대한 양육은 미성년자가 인간으로서 살아갈 수 있도록 기본적 생존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것 뿐만 아니라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자랄 수 있도록 교육받고 독립적 경제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배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혼가정에서 미성년자녀의 양육문제를 단순히 이혼시 발생한 채권의 이행확보문제로 접근한다면 이혼가정내 미성년자녀가 합리적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하는가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국가가 미성년자녀의 양육책임을 이혼한 부모에서 귀속시키고 책임을 면책하려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혼가정을 위한 양육제도를 미성년자녀의 복리와 사회화라는 목적에서 적정화하고 효율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근래 이혼 후 미성년자녀의 양육을 보장하기 위해 양육비지급과 관련한 문제가 제기되었지만 양육비지급보장만으로 이혼 가정의 미성년자녀 양육이 보장될 수 있다는 사고는 아이들에게 의식주라는 생존적 배려만 해주면 된다는 비인간적 사고가 내재되어 있다. 선진국의 경우 이혼은 배우자관계의 종결만 의미할 뿐 부모관계의 종결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므로 공동양육이라는 제도를 도입하여 부모 모두와의 적절한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양육비와 관련하여서도 지급강제과 실현되기까지 생존의 배려가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국가에 의한 사전지급과 사후추심제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양육비지급이후 양육비사용의 적절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양육비사용에 대한 확인요구를 인정하여야 하고 비도덕적 양육자변경을 위한 합리적 절차개선이 필요하다. 이러한 업무수행을 법원이 모두 행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종합적인 양육보조기관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As the number of divorced families increased, the problem of welfare of the minors has resurfaced as not merely a parental problem but a social issue. Divorce, in legal terms of marriage contract annulation and parenting of the minors have become an important task of family law. This well reflects the main purpose of revised civil law in 2007, which prioritizes the welfare for the underage when one gets divorced. The social recognition of processing problems of children is growing but the status quo does not even come along with legal recognition. Nurturing the minors means not only guaranteeing their basic rights to live as human-beings, but also caring their education and economic ability as they could become an independent member of a society. Approaching this problem of child upbringing of divorce simply on division of wealth, the nation could be seen as only trying to exempt parental responsibility for a parent, rather than focusing on child`s development to become a rational social member.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reasonable and efficient solution of parenting policy of divorced family for the purpose of welfare and socialization of the minors. Recently, after the divorce, the issues on child rearing expenses were brought up but supporting only on child rearing expenses inheres inhumane thinking that child upbringing is only up to provide food, clothing and shelter. In many developed countries, divorce means only the end of marital status and parents take corporate responsibility for the upbringing of their children. Because, it is difficult to provide the basics for the children before the necessary financial support, the nation should implement the pre-financial aid policy, and consider to re-collect the payments afterlife. Furthermore, it is essential to verify such expenses to secure their propriety. The improvement for the system to prevent immoral rearer alteration is also needed. The court is nearly impossible to take care of all these duties. Thus, setting up the communal childcare auxiliary agency is definitely necessary.

      • KCI등재

        지역중심 자녀양육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강민정(Kang, Min Jung),곽정인(Kwak, Jung In),유희정(You, Hee Ju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17 육아지원연구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중심 자녀양육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지역중심 자녀양육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는데 있다.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지역중심 자녀양육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315명의 어머니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부분의 어머니들은 지역중심 자녀양육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자녀양육지원을 통해 자녀양육 방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자녀의 긍정적인 정서능력을 함양할 수 있으리라고 인식하였다. 둘째, 자녀양육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자녀의 성장과 발달을 바르게 이해하고 적절한 양육에 대해 도움받기를 요구하였다. 지역중심 자녀양육지원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으로 자녀와 함께 놀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육아상담을 받기를 요구하였으며, 프로그램의 주기는 1주에 1회, 약 1시간 정도, 6개월 이상 지속하기를 원하였고 전문가에 의해 지역의 영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되기를 요구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영아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를 위한 지역중심 자녀양육지원 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others" perceptions of and needs for the child-rearing support program and to provide basic research to develop the regional based child-rearing support program.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15 mothers of infants to find out mothers" perceptions and needs.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most of the mothers recognized the needs for the regional based child-rearing support program. The mothers expected that this program would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parenting methods as well as their competency to strengthen their children’s positive emotional capability. Second, they wanted to learn abou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and receive assistance in childcare by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Mothers requested specific program contents, such as participating in play programs with their children and having professional counseling about parenting. They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once a week, for about an hour. They also expressed the needs for the program that lasts for at least about 6 months at local educational institu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a model of regional based child-rearing support program for mothers of infants.

      • 첫 자녀를 양육하는 미술치료사의 아동미술치료 체험연구

        김나리,장연집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5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5 No.2

        본 연구는 첫 자녀를 양육하는 미술치료사가 아동미술치료를 수행하는 과정을 다루어 봄으로써, 처음으로 양육이라는 삶의 변화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아동내담자에게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주어야 하는 미술치료사가 자신을 탐색하고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 첫 자녀를 양육하는 미술치료사의 아동미술치료 체험의 본질과 의미가 무엇인지 이해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는 미술치료사가 처음으로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 대한 올바른 경험과 자원을 제공하고 아동미술치료를 수행하며 임상현자에서의 미술치료에 대한 전문성을 갖고자 하는 임상 미술치료사의 교육 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첫 자녀를 양육하는 미술치료사가 아동미술치료를 수행하는 체험을 생생하게 보여줌으로써 그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는 첫 자녀를 양육하는 미술치료사가 아동미술치료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반성을 한다는 점에서 이미 겪은 체험에 대한 회고적인 반성과정인 본 연구 방법론과 일치한다. 따라서 아동미술치료를 수행하는 미술치료사가 첫 자녀를 양육하는 체험에 적합한 연구방법론으로 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아동미술치료를 수행하며 첫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미술치료사 13명으로, 모두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임상현장에서 최소5년에서 최대8년을 활동하고 있다. 연구 참여자는 만6세 이하의 영유아기 자녀를 둔 여성 미술치료사이며, 출산 후 법정 출산휴가 기간만 쉬고 바로 복직하여 아동미술치료와 자녀 양육을 함께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심층면담은 2015년 6월부터 10월까지 5개월 동안 진행되었고, 1~3회까지의 심층면담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자는 자료 수집과정으로 첫 번째 연구자의 경험을 기술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첫 자녀를 양육하는 미술치료사의 아동미술치료 체험은 어떠한 것이며, 그 체험은 미술치료사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형성하였다. 해석학적 현상학의 반성단계에서 연구 참여자들의 진술을 통해 공통적인 주제를 분석하고 도출한 결과 10개의 본질적 주제와 33개의 하위 주제들로 산출해 낼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 자녀를 양육하는 미술치료사의 아동미술치료 체험의 결론을 다음과 같이 내리고 있다. 첫째, 첫 자녀를 양육하는 미술치료사는 심리적 불안과 갈등 신체적 고단함을 나타냈고, 이 과정을 통해 자신과 아이에게 적합한 어머니상을 형성하며 강인함을 얻게 되었다. 둘째, 아동미술치료를 수행하며 첫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을 통해 미술치료사로서 엄마로서의 역할의 균형을 이루기 위한 내적 통찰을 통해 엄마로서 미술치료사로서 성장의 기회가 되었다. 셋째, 첫 자녀를 양육하는 미술치료사가 아동미술치료를 수행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욕구를 인식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과 미술치료사로서의 긍정적인 성장의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

        어머니가 인식하는 양육스트레스와 아버지 양육참여가 후속출산계획 자녀수에 미치는 영향 : 첫째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민경(Ha, Min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 아버지 양육참여, 후속출산계획 자녀수의 전반적 경향을 알아보고, 어머니의 후속출산계획 자녀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한국아동패널 5차년도(2012년도) 자료 중 첫째 자녀를 둔 어머니 762명이다. 어머니 대상 조사는 2012년 6월 25일부터 10월 15일 까지 실시되었다. 변인 간의 상관 관계 및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행했다. 연구 결과, 첫째, 양육스트레스와 아버지 양육참여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양육스트레스와 후속출산계획 자녀수는 부적 상관을, 아버지 양육참여와 후속출산계획 자녀수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양육스트레스, 아버지 양육참여 모두 후속출산계획 자녀수에 영향을 미쳤고,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가장 강력하게 후속출산계획 자녀수에 영향을 미쳤다. 연구 결과를 통해 후속출산계획 자녀수를 높이기 위해서는 아버지도 어머니와 동등한 입장에서 자녀 양육에 참여해야 한다는 아버지 양육참여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아버지 양육참여를 높이고 어머니 양육스트레스는 감소시킬 수 있는 사회적 시스템 마련이 필요함을 확인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 among parenting stress, paternal participation and the number of child in follow-up childbirth plan for mothers with first-born child and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paternal participation on the number of child in follow-up childbirth. The study was conducted on 762 mothers with their first-born child out of the fifth year’s data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among variable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don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parenting stress and paternal participation had a negative correlation. Nextly, parenting stress and the number of child in follow-up childbirth plan had a negative correlation, paternal participation and he number of child in follow-up childbirth plan had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parenting stress and paternal participation affect the number of child in follow-up childbirth plan. And a variable predicting the number of child in follow-up childbirth plan most strongly was paternal participatio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child in follow-up childbirth plan, Need on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paternal participation that requires fathers to participate in parenting on an equal footing, such as mothers and social system that can increase paternal participation and reduce parenting stress has been confirmed.

      • KCI등재후보

        ‘아버지 자녀 양육서’에 내재한 젠더 질서 - ‘아버지됨’과 ‘근대적 남성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

        조윤경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2 여성학연구 Vol.22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der order through analyzing relations between ‘fatherhood’ and ‘modern masculinity’ as they are constructed in ‘books for father’s child-rearing’. Even though these books were written to improve the involvement of fathers in child care activity, and growing numbers of publications of such books have illustrated changes of masculinity toward a higher acceptance of child caring tasks, they ironically help to strengthen modern masculinity as it has derived from a gendered division of labor. In ‘books for father’s child-rearing’ modern masculinity is related with fatherhood in three different ways. First, fatherhood is constructed by masculinity. In this category of books fathers’ main roles are rooted in masculinity including competition, challenge of adventure, publicity, mind, and intelligence. They are referred to as ‘playmate’, ‘teacher’, and as advisor on life’. Second, in ‘books for father’s child-rearing’ masculinity is reproduced by fatherhood and is constructed by fatherhood. Many of these books stress the importance of solidarity and intimacy between husband and wife, asserting that “a father should be a good husband to become a good father”. At the same time, these books reproduce certain gender roles by emphasizing women’s purported responsibilities of caring emotionally and mentally and men’s role as trespassing the boundaries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Third, ‘books for father’s child-rearing’ portray fathers as workers rather than caregivers, considering the investment of daily 5 to 10 minutes in caring activities as sufficient. Therefore, these books uncritically accept modern masculinity and do not support any kind of new masculinity. 이 연구는 ‘아버지 자녀 양육서’에 내재한 젠더질서를 ‘아버지됨’과 ‘근대적 남성성’ 간의 관계를 통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버지 자녀 양육서’는 아버지들의 자녀 돌봄 참여를 독려하여 근대적 남성성이 돌봄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변화함을 보여주면서 동시에 근대적 성별 이분법에 기초하는 아이러니를 드러냈다. ‘아버지 자녀 양육서’에서 ‘아버지됨’과 ‘근대적 남성성’은 다음의 세 가지 방식으로 관계성을 형성했다. 첫째, ‘근대적 남성성’이 ‘아버지됨’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아버지 자녀 양육서’에서 아버지의 ‘놀이 친구’, ‘교육자’, ‘인생의 조언자’로서의 역할은 경쟁의 원리, 모험에 대한 도전, 세계 확장, 사회성, 공적임, 질서, 정신, 지성과 같은 근대적 남성성을 구성하는 목록들에 토대했다. 둘째, 이번에는 역방향으로 ‘아버지 자녀 양육서’에서는 ‘아버지됨’이 근대적 남성성을 구성했다. ‘아버지 자녀 양육서’에서는 “좋은 아버지”가 되기 위해서는 “좋은 남편”이 되어야 한다고 설명하며 부부간의 친밀성과 협동성을 강조했다. 동시에 ‘아버지 자녀 양육서’는 여성=감정, 정서, 그리고 남성=공적 영역의 연결고리라는 근대적 성별분업 질서에 기반 하여 부모 사이의 역할 차이를 강조했다. 이로써 ‘아버지 자녀 양육서’에서의 아버지 역할은 남성을 공적 영역에 위치시키는 근대적 남성성을 강화했다. 한편, ‘아버지 자녀 양육서’에서 제시한 아동의 양육 원리가 성별 분업질서에 기초하기도 했지만 ‘아버지 자녀 양육서’는 경쟁, 전문성, 유능함, 스포츠, 활력 등으로 구성된 근대적 남성성을 양육 원리의 표준으로 상정하여, ‘아버지 자녀 양육서’에서 아버지 역할은 근대적 남성성을 재생산했다. 셋째, ‘아버지 자녀 양육서’는 근대적 남성성과 아버지됨의 접점인 ‘일’을 중심으로 하여 ‘아버지됨’을 설명했다. ‘아버지 자녀 양육서’는 아버지의 돌봄 참여 시간을 5분, 10분으로 제안했고 시간의 ‘양’에 대한 논의는 배제한 채 양육의 논점을 ‘질’의 문제로 환원하고 있어, 이것은 아버지의 주요 역할이 ‘돌보미’가 아니라 생계부양자임을 역설적으로 보여주었다. 따라서 ‘아버지 자녀 양육서’에서 제시한 아버지 역할은 근대적 남성성을 그대로 수용하여 아버지들의 돌봄 참여에 대한 고민이 새로운 남성성을 성찰하는 데까지 발전하지는 못했다.

      • KCI등재후보

        서울시 자녀양육 근로자의 일 · 가족생활 양립에서의 고충실태와 지원방안

        문은영(Moon Eun-Young),장명선(Jang Myung-Sun) 한국공공사회학회 2014 공공사회연구 Vol.4 No.1

        최근 맞벌이 가족과 자녀양육 여성근로자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직장 일과 자녀양육을 병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회전반의 환경변화와 관련제도의 효율적 실행이 요구되고 있다. 부모가 직장생활과 자녀양육을 조화롭게 영위할 수 있는 환경이 법률적, 제도적으로 제공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관련 제도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르고 있다. 이는 가족친화적 직장문화 부족과 기업의 비용부담, 비정규직 비율이 높은 자녀양육여성근로자들의 경력단절 및 고용불안 등에 의해서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자녀양육근로자의 고충실태와 정책수요를 파악하고, 시와 기업, 지역사회가 함께 나아갈 방향과 지원정책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규모가 작은 영세사업체와 비정규직 근로자의 고충을 비중 있게 다루어 정책사각지대에 있는 자녀양육 여성근로자에 대한 정책지원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하였다. 실태조사 결과 직장일과 가족생활 양립을 위한 조직문화의 개선 및 서비스 제공, 자녀양육에 필요한 제도의 효율적 시행, 자녀양육 여성근로자들을 고충해소를 위한 다각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자녀양육근로자에 대한 실태조사와 전문가 조사를 통해, 성평등한 직장문화조성과 자녀양육여성근로자의 역량강화 및 삶의 질 향상을 목표에 두고 다음의 세 가지 정책방향을 도출하였다. 첫째 근로환경개선을 위한 일?가족양립사회 문화조성과 정책사각지대의 해소와 둘째, 돌봄지원을 위한 다각도의 정책지원 마련 또 셋째, 자녀양육여성근로자의 고충해소를 위한 제반정책 및 서비스 확대이다. 일과 가족생활의 양립은 사회전반에 걸친 삶의 질 향상과 성평등을 지향하는 정책기반이 마련될 때 가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정부 및 지방정부의 적극적 정책개입과 민간협력 유도 또 지역사회의 협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With recent increase of working parents and working moms (female workers who raise children), it is more increasingly required to efficiently implement policies in relation to social environmental changes to support work and family life balance. Even though the environment to manage balanced work life and child raising is partly provided legally and institutionally for parents,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related system is not yet sufficient. The major reasons for this would be lack of family-friendly working place culture, cost burden of employers, career discontinuity of working moms who account for high proportion of non-regular employees and their job insecurity. This study explores the current state of working parents in Seoul and their policy demands and has the purpose of seeking support policies and directions to move forward together with the City, enterprises and the communities. This study particularly deals with difficulties of small sized businesses and their non-regular employees to find measures for support policies on working moms in blind areas of the support policies. The findings from the research targeting working moms show that there are needs for improvement of organization culture for work-family life balanc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policies required for child raising, and multi-dimensional supports to solve difficulties of working moms. Through fact-finding research on working parents and expert interviews, this study drew out the following 3 directions for policies with the objectives of creation of gender-equal work culture, empowering of working moms and their life quality improvement. First, there should be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to create work-family life balanced culture and should address the issues of blind areas of policies. Second, multi-dimensional policies should be prepared to support child care. Third, Expansion of related policies and services to solve difficulties of working moms is required. Work-family life balance can be possible with establishment of the policy infrastructures directing gender equality and improvement of life quality in the overall societ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ctive policy intervention of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elicitation of cooperation from the private sector, and cooperation at community level ar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