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의 운동 자기도식, 능력 믿음, 인지평가와 운동수행의 구조적관계

        김인수(Kim In-Soo) 한국체육교육학회 2016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1 No.3

        이 연구는 아동의 운동 자기도식과 능력믿음, 인지평가 및 운동수행과 서로 어떤 구조적 관계에 있는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위해 G 광역시와 J도에 소재한 14개 초등학교 5∼6학년 731명(남: 370, 여:361)을 편의표집법으로 선정하여 운동 자기도식척도, 능력믿음, 인지평가 및 운동수행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분석, 상관분석 및 공변량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성별로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운동자기도식과 능력믿음의 증가믿음, 인지평가의 도전평가와 운동수행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 자기도식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 변인을 비교한 결과 운동 자기도식이 높은 집단일수록 증가믿음, 도전평가와 운동수행은 높게 나타났지만 인지평가의 위협평가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운동 자기도식, 증가믿음, 도전평가는 운동수행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위협평가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모델의 전반적 지수는 이론모델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고, 세부적 지수에서 유의한 구조경로는 운동 자기도식 → 증가믿음, 운동 자기도식 → 도전평가, 운동 자기도식 → 운동수행, 증가믿음 → 운동수행, 도전평가→ 운동수행, 증가믿음→도전평가, 위협평가 → 운동수행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면 아동의 운동수행 모델 중 운동 자기도식을 외생변인으로 하고 능력믿음과 인지평가, 운동수행을 내생변인으로 한 이론모델은 구조화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운동 자기도식은 운동수행에 직, 간적적인 인과관계를 가지며 능력믿음과 인지평가는 운동 자기도식을 매개하여 운동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casual relation among exercise self-schema, implicit beliefs, cognitive appraisal and performance of physical activities in children. Methods: This study set up a casual relation model which was composed of exogenous variables exercise self-schema and endogenous variables were implicit beliefs, cognitive appraisal, and performance of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731 children(boys: 370, girls: 361) who were more 5th grade in G city and J province. This study used exercise self-schema, implicit beliefs scale, cognitive appraisal scale and performance of physical activities scale. This study used t-test and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Results: In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elf-schema, increasement beliefs, challenge and threat appraisal, and performance. In analysis structure equation, this model can be used as theoretical model because general indexes were proved more than critical state. In analysis details index, there were significant paths of self-schema ⟶ increasement beliefs, → challenge appraisal, and → performance self-efficacy, increasement → performance, challenge and threat appraisal → performance. Conclusion: In this study define there were causal relationships among self-schema, increasement beliefs, cognitive appraisal and performance. In this study, increasement beliefs and challenge appraisal had positive effect(+) to the performance but threat appraisal had negative(-) effect to the performance mediator between self-schema and performance of physical activities in children.

      • KCI등재

        운동재활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의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재활서비스 지원사업 수혜아동 중심으로

        윤형준(Hyung-Jun Yun) 한국발달장애학회 2020 발달장애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의 운동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운동재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통해 그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재활서비스 지원사업을 통해 운동프로그램을 제공 받고 있는 발달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장애 및 발달 특성을 고려한 운동재활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적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발달장애로 진단받은 만13∼15세 중학생 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방법은 기초선, 중재와 유지회기로 구성한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참여자의 운동수행능력은 MPP(Motor Performance Profile)의 인지적 수행능력과 신체적 수행능력 평가기록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운동재활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의 인지적 수행능력과 신체적 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재활 프로그램 종료 후 유지기간에도 기초선 기간과 비교하여 높은 수준의 인지적 수행능력과 신체적 수행능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재활서비스 지원사업안에서 운동재활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s to improve exercise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this end, we designed and applied an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 to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are currently receiving exercise programs through rehabilitation service support projects.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three middle school students aged 13-15 who were diagnose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Participants exercise performance was measured by analyzing cognitive performance and physical performance evaluation records of MPP (Motor Performance Profi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gnitive performance and physical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has been shown to maintain ability and physical performance.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expect that the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 will be effectively used in the rehabilitation service support project

      • KCI등재

        STC 트레이닝이 대학 유도선수의 Trunk 근 파워와 스피드 및 유도 운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현광석,박정민,김현준,정훈 한국스포츠학회 2022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0 No.1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C training on trunk muscular power and speed and judo exercise performance in university judo player.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judo player at Y universict, were selected at random and allocated 14 judo player each for the Non Exercise group(NEG), Deficient Exercise group(DEG), Over Exercise group(OEG) and measured trunk muscular power and speed and judo exercise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STC training program for 12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of trunk muscular power according to STC training, OEG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NEG and DEG.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of trunk speed according to STC training, OEG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NEG and DEG.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of judo exercise performance according to STC training, OEG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NEG and DEG. As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STC training on trunk muscular power and speed and judo exercise performance in university judo player. However, there is a need for more specific exercise programs to be developed for the continual improvement of athletic performance in athletics along with further studies to confirm the physiological benefits of those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STC운동이 대학유도선수의 Trunk 근파워와 스피드 및 유도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대학유도선수의 스포츠 손상 예방과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수행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C지역 대학 유도선수 36명을 비 운동 비교집단(NEG) 12명, 주 3회 미만 STC 운동그룹(DEG) 12명, 정상적인 STC 운동그룹(OEG) 12명으로 무선 할당하여 실험 전과 후 Trunk 근파워와 스피드 및 유도운동수행능력 변인을 측정하였다. STC 운동 프로그램은 12주간 진행하였으며, 연구 수행을 통해 얻어진 자료는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 반복측정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은 첫째, STC 운동에 따른 Trunk 근파워와 스피드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OEG가 DEG와 NEG에 비해 Trunk 최대 근파워와 평균 근파워, 최대 스피드와 평균 스피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TC 운동에 따른 유도 운동수행능력 변인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OEG가 DEG와 NEG에 비해 유도 운동수행능력의 메치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STC 운동이 대학유도선수의 Trunk 근파워와 스피드 및 유도 운동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방과 후 순환운동이 지적장애 학생들의 자기결정력 및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한철(Kim Hancheol),심태영(Sim Taeyoung),김혜경(Kim Hyekyeong),정연택(Jeong Yeontaek),김성진(Kim Sungji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1 특수교육 Vol.1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규칙적인 12주간 방과 후 순환운동을 통하여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결정력과 운동수행능력의 발달가능성을 규명하고, 학교나 가정, 사회생활 속에서 성숙한 인격적 개체로서 존중받으며, 사회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A시에 거주하면서 B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남자 경도 지적장애 학생 총 20명으로 참여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을 단순무선 표본추출(simple random sampling)로 할당하여 순환운동에 참여하였다. 측정도구로 자기결정력은 학생을 자기결정력 평가척도(이영미, 2006), 교사용 자기결정력 평가척도(방명애, 2001)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운동수행능력 검사도구는 김정권, 권기덕, 최영하(1987_에 의해서 한국에서도 표준화된 오세레츠키 운동능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PASW Version 18.0K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집단별 자기결정력과 운동수행능력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측정 시기(사전ㆍ6주경과 후ㆍ사후)에 따른 변화를 반복측정에 의한 변량분석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방과 후 운동 참여를 통한 자기결정력의 변화에서는 참여집단이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자신에 대한 인식, 자신의 가치 존중, 계획의 변화, 실행의 변화, 결과에 대한 평가 및 총점의 변화 비교에서 평균점수가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참여집단의 변화는 6주보다 12주가 경과한 후 더 많은 증가 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운동수행능력의 변화에서는 참여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정적, 손동작, 일반동작의 협응 및 운동속도, 동시적 자발동작, 단일동작 수행능력 및 운동연령에 증가하였으며, 참여집단의 변화는 6주보다 12주가 경과한 후 증가 현상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순환운동을 하면 자기결정력과 운동수행능력은 증가가 되는데,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12주 이상의 운동을 실시하였을 때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12-weeks after-school rotating exercise program on self-determination and sports performance abilities of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nts were 20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 special-education school. Through simple random sampling, 10 students were placed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y were involved in the after-school rotating exercise program. The other 10 students were placed in a control group.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Korean-version of Self-Determination Student Scale (Lee, Youngmi, 2006), Self-Determination Teacher Perception Scale (Bang, MyungAe, 2001), and Standardized Oseresky Sports Ability Test (Kim, Jungkwon, Kwon, Kiduk, & Choi, Youngha, 1987).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in order to measure changes across time (before intervention after 6 weeks after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ed that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resented improved self-determination and sports performance abilities than those in a control group. These changes were more prominent after 12-weeks of the after-school rotating exercise program participation than after 6-weeks participation.

      • KCI등재

        단기간 수면박탈이 운동수행능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문현웅,민범일 한국스포츠학회 2018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단기간 수면박탈이 운동수행능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 명을 대상으로 정상수면 및 수면박탈 후 운동수행능력과 균형능력 검사를 1주일 간격으로 총 2회 측정을 실시하였다. 정상수면 측정기간과 수면박탈 측정기간에는 24시간 수면박탈 후 오전 8시에 운동수행능력과 균형능력을 측정하였 다. 연구결과 운동수행능력에서는 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사이드 스텝과 균형능력 측정방법인 눈감고 외발서기에 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측정 결과 단기간 수면박탈은 운동수행능력 중 근지구력 측정변인인 팔굽혀 펴기와 윗몸 일으키기, 민첩성 측정변인인 제자리 높이뛰기와 균형능력 측정변인인 눈감고 외발서기 등에서 영향을 미 쳤다. 그러나 근력의 측정변인인 악력과 유연성의 측정변인인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순발력 측정변인인 제자리높이 뛰기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수면은 정확성과 집중력이 요구되는 운동선수와 직업군인의 작전수행능력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건강과 전투력 유지를 위해 충분한 수면의 확보와 함께 수면박탈 훈련의 병행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ort term sleep deprivation on exercise performance and balance ability.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total of two measurements of exercise ability and balance ability test after weekly sleep and sleep deprivation. We measured exercise performance and balance ability at 8 am between normal sleepers. Exercise performance and balance ability were measured at 8 am after 24 hours of sleep deprivation.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of the exercises in terms of push up, sit up, side step and balance ability measurement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short term sleep deprivation influenced on the exercise endurance in terms of arm endurance such as arm push up, sit up, agility vigor variable, and balance variable. However, it did not appear to have any effect on the sitting vault, which is a measurement variable of strength and flexibility, which is a measurement variable of muscle strength. These results suggest that sleeping should be accompanied by adequate sleeping and sleep deprivation training to maintain health and combat power, as sleeping influences the ability of athletes and occupational soldiers to require accuracy and concentration.

      • KCI등재

        지적장애 운동수행 프로파일의 타당화

        김태형 ( Tae Hyung Kim ),김경숙 ( Kyung Sook Kim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8 No.3

        이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운동수행 능력을 인지적 수행 능력과 신체적 수행 능력으로 구분하여 측정·평가하는 도구인 지적장애 운동수행 프로파일을 타당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절차는 측정 과정의 타당화와 측정 결과의 타당화로 구성되었으며, 10명의 특수체육 전문가와 8~15세의 지적장애인 160명이 참여하였다. 측정·평가된 자료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내적 구조에 기초한 타당도 근거를 통해서 검증하였다. 내적 구조에 기초한 타당도 근거는 적합도 검증과 판별 타당도 및 내적 일관성 신뢰도 검증의 2단계로 구성하여 검증하였다. 적합도 검증 결과 인지적 수행 능력과 신체적 수행 능력의 적합도는 인정되었다. 판별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두 잠재변수인 인지적 수행 능력과 신체적 수행 능력 각 각에서 두 변수간의 판별 타당도가 인정되지 못한 측정변수들이 발견되었으며, 이의 원인은 두 측정변수간의 다중공선성에 있다고 판단되었다. 하지만 인지적 수행 능력에서의 다중공선성은 지적장애의 특성에 의한 의사효과라고 판단되어 판별타당도가 인정되었으며, 신체적 수행 능력에서의 다중공선성은 각 동작이 수행과정에서 상호 협력한다는 선행연구의 주장을 받아들여 인정되었다. 내적 일관성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인지적 수행 능력의 각 잠재변수들은 인정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신체적 수행 능력의 상지탄도 및 하지탄도 동작은 인정 기준치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This research was set for the purpose of validation of profiling on motor performance for Intellectual Disability, which is such a tool for measuring and assessing motor performance ability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to two categories, cognitive performance ability and physical performance ability. The research procedure was consist of validation of measuring process and validation of the outcome of measurement, also ten specialized-athletic experts and one-hundred sixty, eight to 15-year-old, participa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is research. The measured and assessed data were verified through a feasibility basis, which is based on inner structure depending on analysis of confirmative factor, and the feasibility basis based on inner structure was verified through two phases, which is consist of verification of suitabil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as well as verification of inner consistency dependence.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suitability, it was acknowledged that cognitive performance ability and physical performance ability are suitable. As a result of the discriminant validity, some measured variables, which were not recognized by the discriminant validity, were found in each of two potential variables such as cognitive and physical performance abilities. This result was caused by multicollinearity between two measured variables. However, the multicollinearity of cognitive performance ability was acknowledged as an intention effec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of Intellectual Disability, therefore its discrimanant validity was proved. The multicollinearity of physical performance ability was recognized due to an assertion from preceding research, which explains a single movement mutually cooperates with other during the process of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inner consistency dependence, each potential variable of cognitive performance ability was appeared to be above the standard, but the upper and lower limbs trajectory movements of physical ability were not appeared to reach the standard. Therefore, the necessity of follow-up research about these outcomes was discussed.

      • KCI등재

        심상훈련을 통한 운동학습이 과제 수행 능력 및 운동학습 요소에 미치는 영향

        김중선,여상석,박상영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9 No.4

        본 연구에서는 시열 과제를 통한 운동학습에서 심상 훈련이 운동수행 전 인지 과정과 운동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건강한 성인 45명을 대상으로 하여 무작위 추출하였고, 심상 훈련군, 실제 훈련군, 대조군으로 분류하였다. 운동수행 과제는 시열과제를 통하여 제공되었으며, 각 자극에 대한 운동반응은 자극제시 시점, 근 수축 유발 시점, 관절운동 유발시점, 운동반응 시간을 측정하였다. 근 수축 유발 시점은 근전도를 사용하였고, 관절운동 유발시점은 관절측각기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심상 훈련군과 실제 훈련군에서 전ᆞ후 운동반응 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대조군의 경우 전ᆞ후 운동반응 시간의 변화량이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심상 훈련을 통한 운동학습으로 시열과제에 대한 운동수행 능력이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운동 수행 전 인지단계에서의 효율성의 증가로 인하여 전체 운동 수행능력이 개선되었으며, 근 수축 개시 후 운동반응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은 유의한 수준의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하여 심상훈련을 통한 운동 학습이 전체 운동 수행능력에서 운동 수행 전 준비 단계에서의 효율성을 증가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motor imagery leads to a decrease in the temporal process in terms of the onset of muscle activation and reaction time according to acquisition of motor skills in a serial reaction time task. Forty-five right‐handed normal volunteers were recruited, who have no history of neurological dysfunction. The subjects were assigned randomly to the motor training group, motor imagery group, and control group. The three types of motor responses were measured, in terms of onset of muscle activation, onset of wrist joint movement, and motor reaction time from visual stimulation. EMG was used for the muscle activation provocation time, and the electrogoniometer was used for the onset of joint movement. As the results, the motor reaction tim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pre and the post tests in the motor imagery groups and the actual training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Our results showe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three different type of motor responses were observed in both mental and actual practice. It suggests that mental imagery training is as much effective as the actual training. Thus, it will be useful to practice mental imagery with the task that required the executed movement as well as the task for the cognitive processing.

      • KCI등재

        태권도 품새 수련이 초등학생의 자세 안정성및 기능성 운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대원(Seo, Dae Won),박정민(Park, Jeong 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2

        본 연구는 초등학생 60명을 대상으로 태권도 품새 수련그룹(EG/30)과 태권도 일반 수련그룹(CG/30명)으로 나누어 태권도 품새 수련이 자세안정성 및 기능성운동수 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된 연구이다. 태권도 품새 수련 후 자세안정성의 변화는 태권도 품새 운동 그룹에서 앞쪽 , 앞안쪽, 안쪽, 뒤 안쪽, 뒤쪽, 뒤 바깥쪽, 바깥쪽, 앞 바깥쪽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태권도 일반 운동 그룹은 뒤쪽, 뒤 안쪽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그룹 간 차이에서는 사후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태권도 품새 수련 후 기능성운동수행능력에 관한 연구에서는 태권도 품새 운동 그룹 에서 카리오카, 동시수축, 크로스 오브 업 스텝, 한발멀리뛰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태권도 일반 운동 그룹은 한발멀리뛰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룹 간 차이에서는 사후검사에서 기능적 운동수행능력의 모든 변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 보아, 태권도 품새 수련이 초등학생의 자세안정성 및 기능성운동수행 능력의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성장기 초등학생 들의 운동부족과 부적절한 생활 식습관으로 인한 신체불균형의 해소와 신체적 운동 수행능력 향상을 통한 건전한 신체활동과 발육발달에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aekwondo Poomsae exercise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s posture stability and functional exercise performance abilities in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aekwondo Poomsae exercise group (EG, n=30) and Control group (CG, n=30). The EG took part in the Taekwondo Poomsae exercise program for 12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SEBT-A, SEBT-AM, SEBT-M, SEBT-PM, SEBT-P, SEBT-PL, SEBT-L and SEBT-AL in EG compared with CG after 12 week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arioca, co-contraction, shuttle-run, cross over up step and one-leg hop test in EG compared with CG after 12 weeks. As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Taekwondo Poomsae exercise program could improve the posture stability and functional exercise performance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KCI등재

        대근운동기능검사(TGMD-Ⅱ) 운동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의 뇌기능지수와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연호 ( Yeon Ho You ),정연택 ( Yeon Taek Jeong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5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운동 기술에 기본적으로 사용되어지는 대근운동기능검사의 측정 항목을 운동프로그램으로 변형하여 학습함으로서 운동 참여에 대한 운동학습과 운동수행능력에 따른 변화를 규명하여 기본기술습득의 중요성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D시의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경도 지적장애인 8명을 대상으로 선정·분류하였고, 뇌파를 이용하여 뇌기능지수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운동수행능력의 변화는 대근숙련도 검사에 사용되는 오세레츠키 검사방법을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뇌기능 지수와 운동수행능력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평균(M) 및 표준편차(SD)를 산출하여 비교하였고 집단 간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검사에 대해 독립 표본 t-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실시하였다. 뇌파를 이용한 뇌기능검사에서는 실험에 참여한 두 집단 간에서는 우뇌 항스트레스지수와 브레인지수에서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집단 내에서는 실험집단에서 우뇌 주의지수, 우뇌 활성지수, 브레인지수에서 비교집단에서는 우뇌 기초율동지수, 좌뇌 활성지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숙련도검사에서는 실험에 참여한 두 집단간에서는 정적 협응, 손동작 협응, 일반 동작 협응 능력, 운동 속도, 동시적 자발 동작, 단일 동작, 총 운동 능력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집단 내에서도 실험집단의 경우 총 운동능력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비교집단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근기본기술 프로그램을 통한 움직임에 대한 기초학습은 신체활동 전략에 대한 인지적 기능과 운동수행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되며 지적장애인의 교육에 있어 중요한 교수전략의 한 방법으로 이용되어 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ange measurement items of gross motor function test used during exercise into an exercise program with consider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examine changes in exercise learning for participation and exercise performance ability, and to find the importance of acquiring basic skills. 8 person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ttending special high school classes in city D were selected by simple random sampling.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gross motor function test program, brain wave was used to measure changes in brain function quotient. Change in exercise performance ability was measured by Oseresky Test used for motor skill proficiency. Mean (M) and standard deviation (SD) of pre and post tests on brain function quotient and exercise performance ability were computed and compared. To test homogeneity among groups,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performed on the pre test. In order to test the effect of brain wave training program with exclusion of brain function quotient and exercise performance ability before experimental treatment, pre test was set as co-variate to perform ANCOVA and compute the adjusted mean value for each group. Also to find the mean change within the groups participating in the experiment, paired sample t-test was carried out to test the change within the groups caused by the experiment. In the brain function test using brain wav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groups in terms of anti-stress quotient of the right brain and brain quotient.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attention quotient of the right brain and activation quotient of the right brai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basic rhythm quotient of the right brain and activation quotient of the left brain in the comparison group. In addition, the two groups that participated in the exercise skill test using Oseresky 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domains of static coordination, hand motion coordination, general motion coordination, exercise speed, simultaneous spontaneous motion, single motion, and total exercise ability. Whil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ll domains except for total exercise ability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domains within the comparison group. Summarizing the results above, basic learning of movements through the gross motor program is an important factor of cognitive functions and exercise performance about strategies on physical activities, and it can be utilized as an important teaching method for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골프선수들의 운동몰입이 운동수행능력 및 자기효능감, 경기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박금숙 한국골프학회 2021 골프연구 Vol.15 No.4

        [목적]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골프선수들의 운동몰입이 운동수행능력, 자기효능감, 경기력 향상 등의 내외적 요인들과의 관계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2020년 7월 현재 국내 골프 선수들 을 대상으로 29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287부를 회수하였다. [결과] 첫째, 운동몰입과 운동수행능력의 관계에 서는 운동몰입의 인지몰입과 행위몰입 요인이 운동수행능력의 심리적성숙, 경기수행성공, 경기수행성숙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몰입과 자기효능감에서는 운동몰입의 인지몰입과 행위몰입 요인이 자기효능감의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몰입의 행위몰입 요인이 자기효능감의 과 제난이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몰입과 경기력향상의 관계에서는 운동몰입의 인 지몰입과 행위몰입 요인이 경기력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골프선수들에게 인지 적, 행위적 운동몰입은 외적인 측면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내적인 측면에 있어 서는 크게 부각되지 않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Purpose] This study, basing on the above precedent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interior as well as external, on sports execution, self effectiveness, and game performance enhancement with golf player's sports immersion. [Method] For this purpose, as of July 2020, 29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domestic golf players, and a total of 287 copies were collected. [Result] First,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orts immersion and sports execution, the factors of the recognition immersion and behavior immersion had an affirmative effect on psychological ripening, game execution success, and game execution ripening concerning on sports execution. Second,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orts immersion and self-effectiveness, the factors of recognition immersion and behavior immersion had an affirmative effect on the self-confidence concerning on sports immersion, and the factor of behavior immersion had an affirmative effect on subject difficulty concerning on self-effectiveness. As for sports immersion and sports performance enhancement, the factors of recognition immersion and behavior immersion had an affirmative effect on sports performance enhancement concerning on sports immersion. [Conclusion] For golf players, cognitive and behavioral exercise immersion appea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the external aspect, but it was found not to be significantly emphasized in the internal asp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