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장사의 유래와 ‘내장산 내장사’ 인식

        안후상 전북사학회 2021 전북사학 Vol.- No.61

        내장산(內藏山)에는 영은사(靈隱寺)와 내장사(內藏寺), 그리고 벽련사(碧蓮 寺)라는 사찰이 있었다. 영은사라는 사찰의 유래는 정확하지 않다. 다만, 구전 과 약간의 사료에 의하면, 백제의 승려 영은(靈隱)이 창건한 사찰에서 고려의 지엄(智嚴)이 종파(宗派)를 새로 만들었다고 보는 것이다. 내장산에는 내장사 라는 사찰이 언제부터 있었을까? 전언과 약간의 사료에 근거해, 적어도 16세 기 전반의 내장산에는 ‘영은사’와 ‘내장사 혹은 백련사’가 함께 있었음이 분 명하다. ‘내장산 승도탁란사건’ 이후의 내장산에는 승려 희묵(希黙)이 중창한 내장 사가 있었으나,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불에 타버렸다. 그 이후, 예전처럼 거 찰(巨刹)은 아닐지라도 오늘날의 내장사 정도의 사찰이 중건되었을 것이고, 중건된 장소는 지금의 내장사와 벽련암 자리였을 것이다. 조선 후기에도 지 금의 내장사를 ‘영은사’라 칭하였다. 하지만 후대로 내려오면서 ‘내장사’라 칭 한 사례도 나오는 등 내장사와 영은사는 병칭 또는 혼칭돼 왔다. 억불정책으로 폐허가 되다시피 한 내장산의 사찰을 다시 복원한 이는 승 려 백학명(白鶴鳴)이다. 1920년대에 지금의 벽련암 자리에서 복원 불사를 하 면서 사명을 ‘벽련사’라 하였다. 하지만 벽련사의 공식 명칭 또는 대외적인 명칭은 ‘내장사’였다. 당시 조선총독부와 한국불교계에서는 내장산의 사찰을 ‘내장사’라 칭했고, 최남선은 지금의 내장사 대웅전 자리의 대웅전을 ‘영은사 대웅전’이라 칭하였다. 이렇듯, 기록하는 주체에 따라서 벽련사, 내장사, 영은 사 등으로 칭하였다. 1938년에 승려 매곡(梅谷)은 지금의 내장사 대웅전 자리에다 대웅전을 서 둘러 복원하였다. 복원한 사찰의 이름은 ‘내장사’였다. 이때부터 ‘내장사’라는 사명이 갖는 공간적 범위는 오늘날과 같아졌다. 이전에는 내장산의 모든 사 찰을 지칭했거나 또는, 오늘날의 벽련암만을 지칭하였다. 하지만, 1938년 대 웅전 개축을 계기로 내장사가 지칭하는 곳은 오늘날의 내장사 대웅전을 중심으로 한 공간이었다. 그러나 지역사회에서는 여전히 영은사, 내장사, 그리고 벽련사 등으로 병칭 또는 혼칭하였다. 그런데 매곡이 지은 대웅전마저 한국 전쟁으로 불에 타버렸다. 한국전쟁이 끝난 1950년대에 지금의 내장사 대웅전 자리에다 보천교(普天 敎) 보화문(普化門)의 자재로 대웅전이 신축되었다. 이때부터 지역사회의 ‘내 장산 내장사’라는 내재된 인식은 고착화에 이르렀다. ‘내장산 내장사’는 하나 의 관용구처럼 지역사회는 물론 사회 일반에게까지 회자되면서 ‘내장산 내장 사’는 ‘정읍(井邑)’과 ‘가을 단풍’, 그리고 ‘고찰(古刹)’을 연상케 하는 기제로 작동하였다. Mt. Naejangsan had Yeongeunsa Temple, Naejangsa Temple and Byeokryonsa Temple. The origin of Yeongeunsa Temple was not clearly known. However, according to the oral tradition and some historical records, it was assumed that it was derived from a religious sect made by a Goguryeo monk named Jium in the temple a Baekje monk named Yeongeun founded. From when has the Naejangsa Temple been in Mt. Naejangsan? Based on the oral tradition and historical records, it was certain that Yeongeunsa Temple, Naejangsa Temple or Baekryonsa Temple were in Mt. Naejangsan at least in the early 16th century. After the ‘Naejangsan Seungdo-Takran Incident,’ there was a temple named Naejangsa rebuilt by a monk named Heemook, but it was burned down during the Jeongyujaeran. Then, it was assumed that a temple with the same size of the present Naejangsa would be rebuilt at the place where the present Naejangsa and Byeokryonam Monk Cell were placed.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present Naejangsa Temple was called as Yeongeunsa Temple. However, coming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Naejangsa was called both as Naejangsa and Yeongeunsa or it was called in a mixed way. Temples in Mt. Naejangsan which were barely collapsed due to the buddhism suppression policy were rehabilitated by a monk named Baek Hak-Myong. In 1920s, he rehabilitated a temple at the place where the present Byeokryonam was and named it as Byeokryonsa Temple. However, the official or public name of the Byeokryonsa Temple was Naejangsa Temple. At that time,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Korean buddhism circle called the temples in Mt. Naejangsan as Naejangsa Temple and Choi Nam-Sun called a main building placed in the present Naejangsa main building site as Daeungjeon(Main Building) of Yeongeunsa Temple. Like this, it was differently called Byeokryonsa, Naejangsa or Yeongeunsa according to who recorded it. In 1938, a monk named Maegok hurried to rebuid a main building at the present main building site. The name of the temple rebuilt was Naejangsa. Since then, the spatial range of the Naejangsa Temple has been the same as present although it indicated all of the temples in Mt. Naejangsa or only Byeokryonam. However, with building the Daeungjeon in 1938 as a chance, Naejangsa means the space centering on the present Daeungjeon of Naejangsa Temple. However, the community called it Yeongeunsa, Naejangsa or Byeokryonsa in a mixed way. Even the Daeungjeon built by Maegok was burned down during the Korean War. In the 1950s when the Korean War ended, a Daeungjeon was newly built with building materials from Bohwamun of Bochongyo at the present Daeungjeong site. Since then, Naejangsa Temple of Mt. Naejangsan has been generally recognized by community people. As the Naejangsa Temple of Mt. Naejangsan become an idiom both community people and the entire society, it is reminiscent of Jeongeup, autumn red and yellow leaves and ancient temples.

      • KCI등재

        공주 영은사 아미타후불탱화의 미술사적 특징과 채색 안료의 과학적 분석 연구

        이장존,김정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2023 한국전통문화연구 Vol.31 No.-

        공주 영은사의 아미타후불탱화는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376호로 1888년에 계룡산파의 금호당 약효가 수화승으로 참여하고, 상옥이 동참화사로 참여하여 조성하였다. 이 불화는 약효가 조성한 불화의 다양한 모습을 살펴볼 수 있음과 동시에, 약효가 수화사로서 본인만의 독특한 화풍을 정립하던 시기의 화풍이 잘 드러나 있어 19세기 충청지역 불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영은사 아미타후불탱화의 손상유형은 작품의 상부의 흑변 현상과 안료 박락, 청색 안료의 백색화, 물리적 충격에 의한 모서리 손상, 녹색 안료에 의한 바탕재 갈변 현상 등이 관찰된다. 작품의 가장 큰 손상인 흑변을 일으키는 흑색 오염물은 탄소가 주성분으로 이는 외부의 바람이 원통전으로 유입되면서 양초의 그을음이 불화 상부 쪽으로 흡착되어 흑변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채색 안료 분석 결과를 보면 백색 안료는 연백과 활석을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흑색은 먹을 사용하였다. 적색 안료는 진사와 연단을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진사를 단독으로 사용하였다. 황색 안료는 석황과 금박, 유기염료를 사용하였다. 녹색 안료는 염화동의 하엽과 근래에 보채한 크롬그린, 양록을 사용하였으며, 청색 안료는 군청을 사용하였다.

      • KCI등재

        梵魚寺 元曉庵 木造觀音菩薩坐像의 腹藏典籍 硏究

        윤상기 한국서지학회 2016 서지학연구 Vol.65 No.-

        This study contemplated th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 and the literary character of the votive books stored in the wooden seated statu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in the Muryangsugak of Wonhyoam of Beomeosa located in Geumjeong-gu, Busan Metropolitan City. There were 10 editions buddhist books include 7 editions of Lotus-sutra, 1 edition of Seonmunyeomsong-jip, 1 edition of Yukgyeonghapbu and 1 edition of Ksitigarbha-sutra. And in engraving on wood block times, 1 edition in the Goryeo Dynasty, 6 edition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3 editio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ll of them are already known editions. The statue had been enshrined in the Yeungeunsa located in Hamyang-gun, Gyeongsang-do in 1674. Also these books had been dedicated that time.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articular correlation between these books and the enshrinement background of the statue. 이 연구는 부산 금정구에 소재하는 범어사 원효암의 무량수각에 봉안되어 있는 목조관음보살좌상에서 수습한 복장유물들 중 복장전적에 대한 서지적 특징과 문헌적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복장전적은 『妙法蓮華經』 7종, 『禪門拈頌集』 1종, 『六經合部』 1종, 『地藏菩薩本願經』 1종으로 총 10종이다. 판각을 기준으로 고려시대 판각본이 1종, 조선전기 판각본이 6종, 조선후기 판각본이 3종이다. 그리고 10종 모두 이미 판각사실이 알려진 것들이다. 불상은 1674년에 경상도 함양군의 영은사에서 조성한 것인데, 이들 전적들은 모두 불상 조성 때 복장 봉안된 것이며 분석 결과 불상 조성 배경과는 특별한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呑虛 스님의 求道過程과 人材養成

        윤선태 한국불교학회 2013 韓國佛敎學 Vol.66 No.-

        탄허 스님은 儒者로서 출발해 道敎에서 道를 구하다 1934년 스물둘 약관의 나이에 불교에 귀의하였다. 당시 쇄도하던 신학문 대신에, 청년 탄허는 기존의 전통 사상을 선택했다. 탄허는 보천교의 핵심간부였던 부친의 영향으로 서세동점의 현실 속에서도 우리의 전통 사상을 무기력한 ‘未開’의 존재로 바라보지 않았다. 이러한 탄허의 인식은 그에게 유교를 가르쳐준 간재 田愚의 제자 이극종을 만나면서 더욱 강화되었다. 이들을 통해 탄허 스님은 인간과 세상을 일이관지하는 ‘근본’을 추구하는 정신을 체득하였다. 전통 계승의 길을 택하고, 스승 한암을 찾아간 청년 탄허는 상원사의 승려수련소에서 7년 동안 ‘履歷’에 매진한 끝에 마침내 불교를 통해 노장사상을 풀고 삼교회통을 자득하였다. 한암은 일제가 덧씌운 心田 개발의 외피를 뚫고 제자에게 조선후기 불교계의 성취를 전수하였고, 또 탄허는 이를 통해 戒·定·慧 三學의 전통을 이어받았다. 한암의 정신을 계승하고, 『新華嚴經論』의 완역불사가 싹트고, 유·도·불의 회통까지 자득했던, 그 최고의 순간들이 모두 상원사 수련소에서 이루어졌다. 탄허 스님이 이후 ‘교육불사’를 왜 그토록 강조했는지는 자명하다. 탄허에게 교육은 가장 큰 기쁨이었고 ‘道’와 조우한 순간이었다. 탄허 스님의 교화활동은 사실 ‘인재양성’이라는 이 하나의 말로 집약될 수 있을 정도로, 그는 후진을 길러내는 교육에 온정신을 쏟아 부었다. 그는 자신의 방대한 역경사업조차도 “모두 인재양성을 위한 履歷本을 역주한 것이라며,” 승려교육의 교재개발 목적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탄허가 승려교육을 강조하였던 직접적 계기는 해방 이후 불교계에 불어 닥친 ‘사찰정화운동’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정화운동으로 대처승들을 교단에서 몰아냈지만 數的으로 극히 적은 비구승이 전국의 사찰을 접수, 관리함에 따라 승려 수의 절대부족이라는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더욱이 당시 교단은 승려의 질 저하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자질이 떨어지는 무뢰배들도 승려로 받아들였다. 이는 결국 불교계 전반에 걸쳐 수행 풍토의 파탄을 가져왔다. 탄허 스님이 승려 교육과 후진 양성, 그리고 譯經을 통해 승려들을 가르칠 교재 개발에 그토록 몰두했던 것도 바로 이러한 당시 불교계에 대한 현실인식에 기초한 것이었다. 불교의 근본정신을 되찾기 위한 탄허의 개혁의지는 대처승을 몰아내는 정화운동에 그치지 않았고, 오대산 및 영은사수도원의 설립으로 이어진다. 이들 수도원에서 탄허 스님은 계·정·혜 삼학을 강조했던 스승 한암의 전통을 계승해, 교육을 ‘結社’의 차원으로 승화시켰다. 탄허의 삼교회통 정신은 간단히 말해 삼교가 모두 통한다는 것이다. 탄허 스님은 삼교에서 공히 말한 ‘자각’의 힘을 설파하였다. 인간은 누구나 창의적이며 각자 다양한 지능을 타고나지만, 정작 근대의 교육은 우리의 다양한 지능을 인정하지 않고 학습 능력에 국한된 지능만을 강조해 창의성을 위축시키고 있다. 예측할 수 없는 미래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은 ‘자각’, 즉 타고난 소질과 개인의 열정으로 ‘스스로 배우려는’ 자각의 힘을 열어가는 것이다. 그게 바로 창의성이며, 교육의 근본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탄허는 그렇게 한암에게 교육받았고, 또 다시 제자들에게 돌려주었다. 자각의 힘을 일깨워주는 것 그것이 교육이고, 탄허가 우 ... Tanheo was a Confucian at the beginning, seeked truth in Daoism, and in 1934 turned to Buddhism at twenty-two. In stead of a new learning of the time, he made a choice of a traditional thought of the past. With the influence of his father, a main executive of the Bocheongyo, he did not considered the Korean traditional thought as a uncivilized one. Such a recognition became strengthened by meeting Yi Geukjong, a disciple of Jeon Wu. Through them, Tanheo acquired the mind seeking a 'basic' penetrating a human being and a world. By meeting teacher Hanam, Tanheo studied at Sangwonsa monk training center for seven years, mastered Lao-Zhuang thought among Confucianism, Daoism and Buddhism, and finally acquired the communication of the three teachings. Hanam transferred the achievement of the late Joseon Buddhism to his disciples, and Tanheo succeeded the tradition of three learnings, gye (戒), jeong (定), and hye (慧), from his teacher. All the works, including the blossoming of the translation of the New Avatamska Sutra Theory, were done at Sangwonsa monk raining center. It is obvious why Tanheo so emphasized the 'education of a Buddhist service' To him education was a biggest pleasure and a moment of meeting with 'truth'. The enlightenment activity of Tanheo was just a 'nurture of a talent', and he therefore concentrated all his energy on the education for the younger generation. He even confessed that his work for the sutra translation is to make teaching materials for the education of monks. The reason he stressed the education for monks is related to the 'purification movement of Buddhist temple' executed after the liberation. As a result of the purification movement, married monks were removed from the Buddhist Order. However, the order faced the difficulty that a small number of monks had to manage all the Buddhist temples. For the reason, the order of the time accepted a ruffian as a monk, and the result was the declining of the quality of monk. Such a situation brought the breakdown of ascetic climate in Buddhist order. The momentum Tanheo immersed himself i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 for monks through the translation of sutra came from the recognition of reality of the time in Buddhist Order. His will for reform to regain the basic spirit of Buddhism made him to establish the Odaesan and Yeongeunsa schools. At the schools Tanheo succeeded the tradition of teacher Hanam who stressed the three learnings. Tanheo's spirit of the communication of three teachings is that they communicate each other. It is to realize the strength of self-awareness. Human beings were born with creativity and various intelligence, but the modern education is not allowed to acknowledge them and emphasizes study intelligence only. As a result, creativity was annihilated. The way to deal with the unforeseeable future is to cultivate the strength of self-awareness 'learning by oneself' with a native talent and individual passion. It is exactly creativity and returning to the basic of education. Tanheo was educated by his teacher in such a way, and he taught his disciples in the same one. The only one he stressed was education, which is to cultivate the strength of self-awareness.

      • KCI등재

        삼척 천은사 목조아미타삼존상의 복장 기록 분석

        유근자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23 禪文化硏究 Vol.34 No.-

        본 논문은 삼척 천은사 극락전 목조아미타삼존상에서 2006년에 수습된 복장유물 중 1596년, 1798년, 1922년에 각각 작성된 기록물 세 점을 대상으로 분석한 것이다. 삼척 천은사 목조아미타삼존상은 15~16세기에 조성되어 총 다섯 차례에 걸쳐 개금·중수된 사실이 확인되었다. 즉 1596년에 1차, 1736년에 2차, 1798년에 3차, 1922년에 4차, 1983년에 5차 개금·중수되었던 것이다. 아미타불원문(1798년)과 삼존상개금후불탱개채원문(1922년)에 의하면 삼척 천은사의 사명(寺名)이 시대에 따라 변경된 사실도 알 수 있다. 16~17세기 초에 간행된 경전 간기(刊記)와 불상 조성·중수발원문 등을 종합해 살펴보면, 1596년 천은사 목조아미타삼존상의 1차 중수 때 참여한 승려들은 중대사·천은사[흑악사]·영은사에 주석하면서 청허 휴정 문도계 사찰의 경전 간행과 불상 조성 및 중수에도 참여한 사실이 확인된다. 이들은 주로 강원도, 황해도, 경상도, 전라도 등지의 청허 휴정 문도가 수행 중인 사찰의 불사에 동참했는데, 이러한 경향은 1798년 3차 중수 때까지 지속되었다. 이 기록들은 천은사 목조아미타삼존상의 중수와 개금 과정을 알려주고, 천은사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탄허의 시대인식과 종교관

        김광식 한국불교학회 2012 韓國佛敎學 Vol.63 No.-

        The paper is an assertion that analysis Tan huh's recognition of period and religious view who was a high priest representing Korean Buddhism of the 20th century. In spite of the fact that Tan huh was recognized with various names such as Daegangbaek, Daejongsa, person of adversity, seonsa, ascetic who balanced Confucianism, Buddhism and mission, there was no identity theorized about Tan huh. It is because research about Tan huh has not been carried in depth but it is also influenced by Tan huh's dynamic and intricated characteristics. While paying attention to such issues, this paper aims to study his recognition of period and religious view shown on his life in order to understand Tan huh's identity. Tan huh was a monk but he had a special aspect with other monks when we understand his life progress, study, discourses, testimonies in general. The paper questions to find what that 'special aspect' is. The paper will categorize Tan huh's life divided into periods and study Tan huh's recognition of period and religious view shown in each period. However, hortage of raw resources, the paper will use imagination based on historical fact in order to overcome the weaknesses. This paper will become a reference in research of Tan huh, investigation of Buddhism culture of Mt. Odaesan and case studies of interests shown in nationality and society of a monk who was also an intellectual. 본 고찰은 20세기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고승인 탄허의 시대인식과 종교관을 분석하는 논고이다. 그러나 탄허는 대강백, 대종사, 역경가, 선사, 유불선을 회통한 도인 등 다양하게 불리웠지만 탄허에 대한 정체성은 정립되지 않았다. 이는 탄허연구가 본격화되지 않은 것에서 기인하지만, 탄허가 갖고 있는 다양성, 성격이 간단치 않은 것도 작용한다. 본 고찰에서는 이런 내용에 유의하면서 탄허의 정체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그의 삶에 드러난 시대인식과 종교관을 살펴보려고 한다. 탄허는 승려이었지만 삶의 과정, 학문, 발언, 증언 등을 종합하면 그는 일반적인 승려와는 다른 특별한 측면이 있다. 필자가 찾고자 하는 것은 바로 '특별한 측면'이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필자는 탄허의 삶을 시대별로 구분하고, 그 시대별로 나타난 탄허의 시대인식 및 종교관을 살피려고 한다. 그러나 직접적인 자료가 부족하여, 그를 타개하기 위해 역사적 맥락하의 상상력을 활용하고자 한다. 이 논고는 탄허 개인의 연구, 오대산 불교문화의 탐구, 승려이면서 지성인으로서 민족과 사회에 대한 관심의 표출의 사례 등에 참고가 될 것이다.

      • 나말려초 굴산문 범일과 삼척지역

        정동락 한국이사부학회 2015 이사부와 동해 Vol.10 No.-

        이 글은 나말려초 崛山門을 개창한 梵日선사와 삼척지역과의 관련성과 그 의미 를 살펴본 사례 연구이다. 굴산문과 범일, 그리고 삼척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 었다. 삼척은 범일이 三和寺를 포섭하면서, 범일 당시부터 그 세력권에 속하였다. 그 후 굴산문이 세력을 확대하는 거점지로 기능하였고, 굴산문은 영동과 동해안 일대에서 번성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역사성을 토대로 범일은 삼척지역의 불교문화 를 꽃 피운 神僧으로써 존숭받았다. 강릉지역에서 범일이 神的인 존재로 ‘大關嶺 國師城隍神’으로 모셔졌던 것에서도 이를 짐작할 수 있다. 이에 삼척지역의 삼화 사, 天恩寺, 靈隱寺, 新興寺 등에서 ‘범일국사 창건설화’가 창출될 수 있었다. 하지 만, 삼화사를 제외한 사찰은 범일 혹은 굴산문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 같지는 않 아 보인다. ‘범일 창건설화’는 범일과 굴산문을 염두에 두면고 조선시대 이후에 정 착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영동지역을 중심으로 범일과 굴산문의 영향력과 위상이 높았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현상으로 여겨진다. This writing is a case study to investigate the relevancy between Beomilseonsa who founded Gulsanmun at the end of Silla and the beginning of Goryeo and Samcheock area and the meaning. Gulsanmun and Beomil, and Samcheock had close relationships. As Beomil embraced Samhwasa, Samcheock belonged to the sphere of influence from the time of Beomil. Since then, Gulsanmun acted as a base to expand power and it could flourish in the area of Yeongdong and east coast area. Based on such historical background, Beomil was respected as a hold monk who blew Buddhist culture in Samcheok area. It can be guessed from the fact that Beomil was enshrined as 'Daegwanryeongguksa-seonghwangsin' as a god-like existence in Gangneung area. Thus, Samhwasa, Cheoneunsa, Yeongeunsa, and Sinheungsa in Samcheock area could create 'Beomilguksa Foundation Tale'. However, it does not seem that temples except Samhwasa have direct relationships with Beomil or Gulsanmun. It seems that 'Beomil Foundation Tale' was settled since Joseon dynasty bearing Beomil and Gulsanmun in mind. This seems to be a symbolical phenomenon showing that influence and status of Beomil and Gulsanmun were strong and high with Yeongdong area as a center

      • KCI등재

        부산 원효암 목조보살좌상과 조각승 性照

        이희정 미술사연구회 2016 미술사연구 Vol.- No.30

        A Buddhist statue of Late Joseon, height of 98.8cm, is enshrined in Wonhyo hermitage in Geumjeong-gu, Busan. Lately, pre-inspection inside the statue has been carried out for repair. In this process, about 30 kinds of halidom including scriptures of 15th century like The Lotus Sutra, The Diamond Sutra, Kwan-yin sentence inside huryeongtong and a patron’s prayer have been identified. The fact that the statue was originally enshrined in Youngeun temple in Hamyang and created by monk sculptor called Seongjo was revealed through the patron’s pray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Buddhist statue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tue and the school that monk sculptor belonged to through existing works and concrete evidence. The statue in Wonhyo hermitage was made by monk sculptor, Seongjo, who belonged to the school of Seungil in late 17th century and features straight face, imposing body, simple clothing wrinkles and the fancy way of storage. Seungil school which Seongjo belonged to is classified into two lineages. One is a wooden Buddha lineage inherited from Seungil to Seongjo to Jagyu and the other is a stoned one inherited from Seungil to Kyeongok to Sameung. It seemed that monk sculptors of those two mostly worked in Gyeongsang region. Seongjo, belonged to a wooden Buddha lineage, worked with Seungil for 20 years. The wooden statue of the Buddha in Wonhyo hermitage is a crucial material for understanding the flow of Korean Buddhist sculptures of the 17th century because unlike the other ones from the same school, it accurately reflects the formative features such as presentation of figure and clothing wrinkles from his mentor, Seungil. 부산 금정구 원효암에는 높이 98.8cm 크기의 조선 후기 불상이 봉안되어 있다. 최근 수리를 위해 상 내부의 사전 조사를 실시했는데 이 과정에서 묘법연화경, 금강반야바라밀, 관세음보살예문 등 15세기의 경전류와 후령통, 그리고 조성발원문이 등 약 30여종의 복장물이 확인되었다. 이 글은 원효암 보살상의 형식과 특징과 새로 조사된 복장물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조성한 조각승 성조와 그가 속한 유파의 불상을 분석해 17세기 후반 불교조각의 특징을 파악해 보고자 했다. 원효암 보살상은 직선적인 얼굴과 당당한 신체에 간결함과 화려함의 세부적 표현이 잘 어우러진 17세기 후반 승일파 조각승인 성조의 작품이다. 승일파는 크게 두 계보로 구분된다. 성조→자규로 이어지는 목조불상 계보와 승일→경옥→삼응으로 이어지는 석조불상계보로 나누어지며, 두 계보의 조각승은 대부분 경상도지역에서 활동했다. 그 가운데 성조는 20여 년간 승일과 활동한 목조 계보를 잇는 조각승으로, 같은 유파의 다른 조각승들과 달리 신체, 옷주름의 표현 등 스승과 활동하며 습득된 스승의 조형적 특징을 정확하게 반영하면서도 성조 자신의 개성이 잘 드러나는 불상을 조성했으며, 이 점은 17세기 후반 불교조각의 흐름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 삼척과 울릉지역의 불교전래와 정착과정에 대한 검토

        홍성익 한국이사부학회 2017 이사부와 동해 Vol.13 No.-

        이 글은 삼척과 울릉지역에 불교가 어느 시기에 전파되었고 정착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글이다. 삼척지역은 4~5세기에 신라의 문화가 전파되고 505년에 이사부가 실직군주로 부임하면서 신라에 복속되지만 이 시기의 문헌기록이나 불교유적 또는 유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현재까지 삼척지역에서 가장 시기가 이른 자료는 굴산문의 개산조인 범일국사가 삼화사를 창건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유구나 유물은 확인된 것이 없다. 이후의 유적으로 흥전리절터와 삼화사, 영은사, 지상사가 있다. 유물로는 국립춘천박물관에 소장된 7세기 중엽 작품인 금동보살입상과 8세기에 작품인 금동여래입상, 삼화사의 철불과 3층석탑, 지상 사의 철불 등이 있다. 특히 흥전리사지의 3층석탑과 석등재 그리고 「國統」이 새겨진 비문 그리고 최근에 공개된 「梵雄官衙之印」은 삼척지역의 불교세력을 새롭게 밝힐 수 있는 큰 성과라 할 수 있다. 이로보면 삼척지역의 불교는 적어도 7세기 중엽 이전에는 불교가 전래되었으며 8세기에는 정착되고 9세기에는 신라불교가 정착단계를 지나 확산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울릉지역의 불교 전래는 이사부가 울릉도를 복속하는 512년 이전에 불교가 전래 또는 일부의 계층에서는 인식하고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는 사자라는 동물이 현재와 같이 당시에도 존재하지 않는 동물임에도 울릉주민이 두려워하는 대상이었다는 것은 불교의 호법신장 역할을 하는 사자를 인지하고 있었다고 보았다. 이후 울릉지역에서 확인되는 유물로 800년대를 전후한 시기에 내륙에서 제작되어 울릉지역에서 수습된 소형금동불과 불상 대좌 편 등이 있어서 적어도 이 시기에 불교가 정착하였으며, 의종 11년인 1157년에는 절터와 범종 석탑 등이 있다는 것은 불교가 완전히 정착하였음을 보여 주고 있다. 이로 보면 삼척과 울릉지역은 적어도 6세기에는 불교가 전파되어 8세기에는 정착과 확산단계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discussed when Buddhism was transmitted to and settled in Samcheok and Ulleung. Shilla's culture was transmitted to Samcheok in the 4th~5th Century and Samcheok became a part of Shilla when Isabu was appointed as Siljikgunju in 505, but no literature or Buddhist relics or artifacts have been found. The earliest record about Samcheok assumes that National Priest Beomil, the origin of Gulsanmun, founded Samhwasa Temple, but no remains or relics have been found. Later relics include Heungjeol-ri Temple Site, Samhwasa Temple, Yeungeunsa Temple, and Jisangsa Temple. Artifacts include Brass Status of Bodhisattva from the mid-7th Century and Brass Statue of Tatha-gata, Iron Buddha, and 3-story Stone Pagoda from the 8th Century. They tell us that Buddhism was transmitted to Samcheok at least in the mid-7th Century and Shilla's Buddhism began to settle in the 8th Century and spread in the 9th Century.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Buddhism was transmitted or known to some classes in Ulleung before 512 when Isabu was assigned to Ulleungdo. The fact that the people of Ulleung were afraid of lions when they did not exist there shows that they were aware of the lions that serve as the guardian souls in Buddhism. Later relics found in Ulleung include a small brass Buddha that was produced in the inland around the 800s and delivered to Ulleung, so it means that Buddhism settled at that time. Also, the fact that there were temple sites, Buddhist bells, and stone pagodas in the 11th year of King Euijong (1157) means that Buddhism had settled by the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Buddhism was transmitted to Samcheok and Ulleung at least in the 6th Century and settled and spread from the 8th Century.

      • KCI등재

        김탄허의 교육과 그 성격

        김광식 한국정토학회 2003 정토학연구 Vol.6 No.-

        This paper summarizes Kim, Tanhur's activities of education and its characteristics. The main point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Kim, Tanhur's Sambonsayunhap monk center, monasteries in Odaesan and Youngeunsa. Yet considering the weight that the center and monastery have in Kim's life, the characteristic in this paper can be general for Kim's education. Main points are as follows. First, Kim, Tanhur's education succeeded to the spirit and Buddhist thought of Bang, Hanam in a micro point of view. It comes from Sambonsayunhap monk center which was established during the Japanese ruling. The direction which practice both meditation and sutra also follows Bang, Hanam's tradition. So does his emphasis oftemple management and labors. Second, Kim, Tanhur's balance between meditation and sutra, and success of Bang, Hanam signifies recreation of Jinul's compact of samadhi and prajna. This is presented that the doctrine of the Odaesan monastery was practice of samadhi and prajna. That is, it means the present transference of the compact of samadhi and prajna. Third, Kim, Tanhur's education put an emphasis on balance between meditation and sutra. Adding the importance of precept in the Odaesan monastery, it becomes balance of the three, precept, samadhi and prajna. Fourth, Kim's balance accompanies making progress of monks' qualification during the purification period under Japanese ruling. It was that Kim took charge of the education of monks, which was supposed to be taken by the Buddhist order those days. Fifth, it was Hwaum sutra which was regarded most important in Kim, Tanhur's education. Although he read and taught various sutras in the monasteries, he regarded Hwaum sutra as significant; It was realized in the monasteries, and his relation with Hwaum sutra lasts for his whole life. Sixth, Kim, Tanhur's education made Hwaum sutra basis, but his thought comes from the east studies. It is because his thought is said the mixture or total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seon. Seventh, Kim, Tanhur's education exposed elite consciousness. What was consistent in the center and monastery was elitism. Eighth, Kim, Tanhur's education was characterized by its openness. He was confident in that he gave education priority rather than emphasis on precepts. Above are the summaries of characteristics of Kim, Tanhur's education. However, analysis and interpretation needs more various approa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