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정토사상의 특색

        한태식(보광) 한국정토학회 2010 정토학연구 Vol.13 No.-

        본 논문에서는 한국정토사상을 중심적으로 논하다가 보니 신라시대의 정토논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 이유는 정토사상을 논한 정토관련 주석서가 신라시대의 자료뿐이라고 하는 한계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정토수행이나, 정토신앙, 정토문화는 제외하고 오직 정토사상만을 중점적으로 분석하므로 한계성이 있었을 밝히고자 한다. 첫째, 한국 정토사상은 정토삼부경 중심으로 골고루 연구 되었다. 일부학자들이 한국은 관무량수경 을 소흘히 하였다고 하는 점에는 동의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신라시대의 대부분의 정토교가들은 정토삼부경을 골고루 다루고 있으나, 단지 현존하는 자료로는 관무량수경 의 주석서가 남아있지 않을 뿐이다. 심지어 반주삼매경 의 연구도 있었으며, 이러한 사상적인 기반위에 한국의 만일염불결사가 성립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는 48대원을 중시하였다. 48대원의 호칭한 것은 정토사상의 일대변혁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정도이다. 이러한 원명의 호칭이 오늘날까지 한국불교에서는 장엄염불로 남아 널리 애송되고 있다. 즉 48대원이 의례화될 수 있도록 기여하였다고 보여진다. 셋째는 十念을 중시하였다. 특히 48대원 중에서도 제18원과, 제19원, 제20원을 중시하였으며, 이 중에서도 십념염불에 대한 여러 가지 해석을 하였다. 십념은 무량수경 의 乃至十念과 관무량수경 의 具足十念에 대하여 논사들에 따라서 그 해석법이 달랐다. 넷째는 唯心淨土 중심의 念佛禪을 중시하고 있다. 고려시대 이후 선불교의 번창으로 정토교학은 자취를 감추고, 선종에 흡수되어 선수행의 방편으로 행해지기도 하였다. 중국의 永明延壽의 염불선이 도입되어 오늘날까지 한국불교의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어찌보면 한국불교단 순한 선종이 아니라 염불선 중심의 法眼宗이라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점은 조선 淸虛休靜대에 까지 법안종의 염불선의 正法眼藏이 계승되어왔다. 다섯째는 정토교학과 신앙이 널리 유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淨土宗 이라는 종파가 형성되지 못하였다. 이점은 서론에서 밝힌 바와 같이 정토사상과 신앙이 너무나 보편화되다가 보니 종파형성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였던 것으로 보고 있다. This thesis revolves around the idea of Pure Land dating back to the Shilla era in analyzing that in Korean Buddhism. Firstly, the idea has been researched a lot, centered around the Three Sutras of the Pure Land. It is hard to agree with those scholars who say Korea neglected the Amitāyur-dhyāna-sūtra, because it is just that the data and material remaining now rarely include the tome’s commentary, not that those followers of the idea during the era disregarded any of the three sutras. Moreover,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had been researches and studies on the Pratyutpanna-buddha-saṃmukhavasthita-samãdhi-sūtra. Those are thought to constitute Pure Land Buddhism of the country. Secondly, the idea has emphasized the 48 Great Wishes of Amitaba, whose denomination was truly a revolution of the idea. The song is still widely recited in Korea as a Buddhist prayer. Judging from this, it seems that the idea of Pure Land contributed to the 48 Great Wishes’ becoming part of Buddhist practice in Korea. Thirdly, the idea has focused on the Ten Thoughts and, especially, the 18th,19th and 20th among the 48 Great Wishes while giving avariety of interpretations of the Prayer of the Ten Thoughts. The interpretation of the Ten Thoughts differed depending on who interpreted it. Fourthly, the idea has aimed towards the invocatory Zen of the Mind-Only Pure Land. Since the Goryeo Dynasty, Zen Buddhism had prospered, driving out the study of the Pure Land or absorbing the idea as a way to practice Zen, until YongMing YanShou’s invocatory Zen found its way to Korea from China to influence Korean Buddhism up to now. In this vein, Korean Buddhism might not be a simple Zen Buddhism but one revolving around invocatory Zen. This peculiarity lasted until the Joseon Dynasty. Fifthly, Korean Buddhism could not see the sect of the Pure Land sect forming in spite of the wide-spread teachings and belief of the idea. It seems that was because of, as mentioned earlier, the belief’s and idea’s being too popular that stemmed a sect from forming.

      • KCI등재

        법성종의 입장에서 바라본 정토사상

        신규탁 한국정토학회 2010 정토학연구 Vol.13 No.-

        인도의 불교도들은 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세상을 바다와 같은 고통의 세계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들은 자신이 이 세상에서 수양을 해서, 죽은 다음에는 고통이 없는 정토(淨土)에 환생하기를 희망하였다. 뿐만 아니라 자신의 기도를 통하여 타인을 정토로 환생시킬 수 있다고 믿었다. 고통 없는 세상에 대한 인도인들의 발상은 대승경전이 새롭게 편집되는 과정에서 불교 텍스트의 내부로 들어오게 되었다. 물론 이런 발상은 역사상의 인물인 석가모니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 다만 불교 문학이 유행하면서, 석가모니가 전생에 수행을 했던 공간으로 도솔천(忉率天) 이념을 가상적으로 만들었다. 이것은 실재하는 그 무엇이 아니라, 문학적 상상력의 사물이었다. 그런데 후세로 내려오면서 이런 문학적 상상력도 그 나름대로 정합적인 사상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이런 사상이 다시 중국과 한국 일본 등등에 전파되면서, 이 지역의 민중들에게는 중요한 종교행위의 일부가 되었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이런 정토에 대한 생각이 한국의 역사 속에서 어떻게 전승되어 현재에 이르렀는지를 검토하였다. 그런데 한국의 경우는, 이런 정토에 대한 생각을 크게 두 가지 철학전통 위에서 전개해왔다. 하나는 정토종(淨土宗)의 전통이고 다른 하나는 법성종(法性宗)의 전통이다. 본 논문은 법성종 전통의 입장에서, 정토 사상을 평가하고 분석했다. 그 결과 저들이 환생하기를 희망하는 정토란 고통이 없는 곳이라기보다는, 수행하기에 가장 적합한 조건이 충만한 공간임을 밝혀내었다. 좋은 환경에서 수행하기를 희망하는 종교적인 염원이 정토라는 특별 한 세계를 만들었다. 이 부분에서도 역시 자기 수행을 중요하게 여기는 불교의 발상이 잘 드러난다. In India, Buddhists have thought that this world is full of pain. So they cultivate their minds in this world and hope that they will be reincarnated in a painless pure land(净土). Moreover, they believe that others could be reincarnated through their prayer. The idea of creating the world free from pain was reflected in the contents of Buddhism through the process of revising the Mahāyāna Text. This idea is not related to Buddha. The prevailing Buddhist literature made it possible to create a virtual space, Tușita(忉率天), which is the Buddha's training place in his previous life. This is not a real but an imaginary place. The literary imagination became a resonable theory as time goes by. This thought was diffused throughout China, Korea, Japan, and so on. And it ha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religious practices for the people in this region. The thought of pure land has been developed through two major philosophical orthodoxies, the School of Pure Land(淨土宗) and the School of Fa-Xing(法性宗). This study examines how the thought of pure land(净土) was introduced into Korea and analyzes the thought by applying the orthodoxy of the School of the Fa-Xing(法性宗). I find that the pure land(净土), where the Korean people wish to be reincarnated, is not a place free from pain, but the most desirable place for self-improvement. The religious desire of the Korean people, who wish to discipline themselves in a favorable condition, created an imaginary place, the pure land(净土). It also reveals the idea of Buddhism, which regards self-improvement as important.

      • KCI등재

        한국 수륙재의 융합적 특성

        윤소희 한국정토학회 2014 정토학연구 Vol.22 No.-

        본고는 한국 수륙재에 영향을 미친 외래적 요소를 가려냄으로써 그 정체성과 고유성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한국 수 륙재는 의례문과 소대의식 외에 실제 의례 실행 방법은 티벳 불교의례와 친연성이 많았다. 우리네 수륙재에는 외래 적 요소가 융합되어 있지만 중국이나 티벳과는 확연히 다르니 그것이 바로 토착화된 한국 수륙재의 정체성이자 고 유성이다. 역설(逆說)적이게도 오늘날 한국 수륙재는 전통의 단절로 인해 오히려 고제의 면모가 유지된 일면이 있고, 국가의 지원을 받지 못함으로써 토착화가 왕성하게 이루어져 한국적 고유성을 더 많이 지니게 되었다. 그 중에 작법무의 복 색과 춤사위는 궁중무와 민간의 춤이 결합된 전형적 한국미를 지니고 있는데 이는 한국화된 범패와 더불어 더욱 빛 이 난다.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보면, 신라시대의 향당교주(鄕唐交奏)를 비롯하여 중국의 문묘제례악의 틀 위에 당악기와 향 악기를 결합하여 만든 종묘제례악에 이르기까지 우리민족은 줄곧 퓨전 악가무를 잘 만들어왔다. 마찬가지로 수륙재 또한 한국 문화의 바탕 위에 중국과 티벳적 요소까지 수용하여 ‘창출어람’의 종합예술의 장이 된 것이다. 이에 본고 에서는 세계 여러 문화가 한 무대에서 만나는 글로벌 문화시대를 맞아 한국 수륙재의 앞으로의 과제는 의례적 여법 성 못지않게 한국적 정체성과 고유성를 확보해가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I have attempted to describ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Buddhist Suryukjae ritual and its Chinese and Tibetan counterparts. A Korean Suryukjae performance is in fact an amalgam of Chinese text, Tibetan practice, and Korean cultural influences. The ritual text and incineration ceremony are of Chinese origin. The dancing, the playing musical instrument like brass wind, the Guebul (Tanga) and all program is performed only by monks within the temple grounds. Finally, the addition of Korean art renders the performance uniquely Korean. Due to a history of discontinuity in performance practice, today's Korean Suryukjae may be paradoxically more traditional than its predecessor, having ceased to attract government support over time. A typical Korean feature, for example, would have been the indigenous movements of the court and folk dancing performed in traditional dress. Koreans have enjoyed 'fusionising' performance art throughout history. The royal courts of the Silla empire would perform celebratory Chinese and Korean music in turn. The Joseon era royal ancestral rites at the Jongmyo Shrine were played by a combination of Chinese and Korean instruments within a Chinese ritual frame. So it would not be exceptional for the Suryukjae to be performed in this blended way. The idea was to create something beautiful and to outdo the original. And this is an important lesson for the future of global culture, that, in accordance with the Buddhist Dharma, we possess and reproduce the identity unique to this adapted form of Suryukjae.

      • KCI등재

        寬淨의 淨土禪 수행법에 관한 연구

        서길수 한국정토학회 2015 정토학연구 Vol.23 No.-

        이 논문은 淨土禪의 원리와 수행법을 연구한 논문이다. 淨土禪은 중국의 寬淨 법사(이후 관정으로 줄임)가 1987년 싱가포르에서 처음 펴낸 『淨土禪精義』에서 펼친 수행법으로, 그 뒤 미국, 대만, 한국에서 여러 차례 발행되어 보급되었다. 1. 정토교리사에서 정토선ㆍ염불선ㆍ선정쌍수가 모두 가까운 뜻으로 쓰였다. 그러나 정토선은 다른 염불선의 수행법과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첫째, 禪淨雙修는 정토와 선 수행을 함께 닦지만 정토선은 먼저 칭명염불을 하고 자성염불이 되면 선으로 들어가는 선후 단계가 있다. 둘째, 염불선의 대표적 수행인 관념염불법은 부처님을 관하며 염불을 하는 것이지만 정토선은 칭명염불을 하면서 귀로 그 염불소리를 주의 깊게 듣는데 중점을 둔다는 점에서 크게 차이가 난다. 셋째, 念佛公案法은 참선하는데 염불을 화두로 이용할 뿐이지만 정토선은 칭명염불로 시작하여 마지막까지 자성염불로 일관되기 때문에 크게 차이가 난다. 2. 관정은 불교의 수행법을 크게 ① 생각을 쓸어 없애는 법(掃念法: 알아차리는 법) ② 내버려 두는 법(任由法) ③ 미리 차지해 버리는 법(占領法)으로 나누었는데, 정토선은 ‘미리 차지해 버리는 법’에 들어간다. ‘미리 차지해 버리는 법’에도 ① 觀想法 ② 參話頭法 ③ 念佛法 ④ 身性覺法 같은 4가지가 있는데 정토선은 ③, ④를 합친 수행법으로 염불법을 통해 신성각을 이루는 수행법을 말한다. 身性覺이란 몸으로 자성을 깨닫는 법을 말하는 것으로, 염불을 통해 몸속에서 염불소리가 나는 自性念佛을 이루고, 그 자성염불 소리를 통해서 一念에 이르고, 無念을 이룩하는 것을 말한다. 3. 정토선 수행은 3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① 염불에서 자성염불 단계, ② 자성염불에서 一念단계, ③ 일념에서 無念단계라는 3단계의 로드맵이 뚜렷하다. 둘째, 다른 수행법은 법력이 높은 스승이 있어 증득한 상황을 수시로 점검해 주지 않으면 위험한데 반해 정토선은 3단계가 모두 한마디 염불소리로 일관되어 있기 때문에 스스로 확인할 수 있어 쉽고 안전하다. 셋째, 자성염불을 통해서 염불수행만 해야 수행자와 염불에 이어서 禪을 할 수 있는 근기를 분별할 수 있다. 바로 그 바로미터가 자성염불이다. 4. 이 염불법은 관세음보살이 일러주신 것으로 능엄경에서 말하는 관세음보살의 耳根圓通과 같은 원리이다. The Pureland Zen is a practice first revealed by the Chinese master Kuanjing in Singapore in 1987. After its revelation it has been discussed and practiced in USA, Taiwan and Korea. The thesis of Kuanjing and related literature are discussed in this study. Further the real practices of Pureland Zen and the community of Pureland Zen are also described in this study. The key points of Pureland Ze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name of Pureland Zen appeared first in Chinese literature ≪淨土或問≫ in 1354, and the name was also used quite often in the periods of Ming and Ching Dynasties. According to the Pureland History Pureland Zen, Amitabha Recitation Zen, and Co-practice of Pureland and Zen referred to almost the same idea. According to the instructor of Pureland Zen, Master Kuanjing, Pureland Zen is simply a gathered chanting of Amitabha in two groups, while the members in one group are chanting the name of Amitabha, the members in the other group are listening and in meditative silence. They change their chanting and listening periods alternatively. Three stages in the practice of Purelad Zen can be expected, namely: 1. Self-chanting stage: If one practises Pureland Zen deeply and habitually, he chants Amidaba automatically, or his ears, his body are chanting Amidaba automatically. This is called the First stage self-drive chanting. 2. One-Desire Stage: By self-drive chanting one gradually reaches the second stage of one pure desire to be in Pureland. 3. No-Desire Stage: The second stage finally leads to a third stage of no desire, in this stage one even forget to chant Amidabaor desire to be in Pureland. The Pureland Zen differs from other known practices by: 1. The essential part of Pureland Zen is coupled chanting and listening; 2. The practice of Pureland Zen pays attention to both the mind and the body. In the practice the three interactions are kept aware: body-background, body-mind, mind-background. 3. The followers are aware of the limited power of human being, but they are anxious to apply the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for creating Pureland for humanity. In other words, they don’t ignore their current existence.

      • KCI등재

        백암성총의 정토저술 연구 - 『淨土寶書』와 『栢庵淨土讚』을 중심으로 -

        한태식(보광) 한국정토학회 2023 정토학연구 Vol.40 No.-

        백암성총(栢庵性聰, 1631-1700)이 임자도의 표류선에서 서적을 수집 한 후 처음으로 편찬한 것이『淨土寶書』이다. 그의 나이 56세(1686)였다. 당시 승려들은 선과 교로 나뉘어 서로 우열을 주창하고 있었다. 그러나 일반 대중에게는 타력적인 신앙심이 더욱 필요할 때였다. 이러한 상황을 미루어 볼 때 그에게는 우리나라에 정토신앙의 유포가 절실하였을 것이다. 불교의 영험담을 유포하여 신심을 돈발케 하고, 대중들에게 널리 포교하기 위함이다. 정토보서 의 편찬 배경은 정토신앙을 고취시키고, 정토염불법문을 널리 유포하기 위함이다. 그뿐만 아니라 당시 중국에 불교가 성행하고 있는 사례를 보여 줌으로 조선의 사대부들에게 불교정책의 완화도 기대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7년 뒤인 63세(1693)에『栢庵淨土讚』을 저술하게 된다. 그가 만년에 정토 찬탄시를 짓게 된 배경은 『정토보서』를 저술한 후 정토신앙에 심취하면서 부터이다. 이는 정토삼부경의 내용을 시적으로 표현하고 때로는 자신의 염불수행과정과 정토를 찬탄한 4韻 8句 100首로 된 시집이다. 그가 이러한 시를 짓게 된 배경에는 『정토보서』의 편찬으로 인하여 정토교학과 신앙 및 왕생담을 정리하면서 정토사상과 신앙이 확립되었기 때문이다. 그의 간절한 정토에 대한 구도심과 신앙적인 표현을 주옥같은 시구로 표현한 작품이다. 이러한 영향이 18세기에 明衍(?~1704~?)의 『念佛普勸文』, 有璣의 『新編普勸文』, 箕城快善(1693~1764)의 『念佛還鄕曲』, 19세기에 東化竺典의 『勸往歌』, 『自責歌』, 20세기에 금명보정의『淨土讚百詠』등으로 나타난다. 이상으로 두 권의 저술을 통하여 그의 정토관을 구명해보면, 그는 조선시대에 보기 드문 정토교학자로서 저술가이고, 염불신앙가이며, 칭명염불 수행자였다. 따라서 그의 저술은 조선후기의 정토신행을 흥기시키는 새로운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오늘날 한국정토신앙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따라서 17세기 중기 이후의 조선시대 정토사상의 고취와 염불신앙의 유포에 크게 기여하였다. The first compilation by Baegam Seongchong (栢庵性聰, 1631-1700) after collecting books from a drifting ship in Imja Island was Jeongtoboseo, and he was 56 years old (1686). In this period, Buddhist monks were divided into Seon (禪, meditation practice) and Gyo (敎, the scholastic approach), each advocating its superiority and inferiority. However, it was a time when dependent faith was more necessary for the general lay people. Considering this context, Seongchong recognized the necessity to promote Pure Land faith within the Joseon society, and he compiled the Jeongtoboseo. Additionally, he likely aimed that noblemen relaxed Buddhist policies by showing an example of Buddhism was widely practiced in China. Seven years after, at the age of 63 in 1693, he wrote the Baegamjeongtochan. His motivation for crafting these poems in his later years was rooted in his growing commitment to the Pure Land faith, a commitment that blossomed following the completion of the Jeongtoboseo. This was a collection of poems consisting of expressing the contents of the Three Pure Land Sūtras and praising his chanting and praising the Pure Land. The background to his writing these poems is that the compilation of the Jeongtoboseo organized the doctrines, beliefs, and stories of rebirth, thereby establishing the Pure Land thought and faith. It is a work that expresses his earnest desire to seek the Pure Land and religious expressions through exquisite verses. Also, these was influenced the Yeombulbogwonmun (念佛普勸文) by Myeong-hyeong (?~1704~?), the Sinpyeonbogwonmun (新編普勸文) by Yugi, the Yeombulhwanhyanggok (念佛還鄕曲) by Giseong kwaeseon (1693~1764), the Gwonwangga (勸往歌) and the Jachaekga (自責歌) by Donghwa Chukjeon in the 19th century, and the Jeongtochanbaegyeong (淨土讚百詠) by Geummyeong Bojeong in the 20th century. Through an examination of Baegam Seongchong's two key compilations, he could be characterized as a rare Pure Land scholar, a dedicated writer, a devout believer in the recitation of Pure Land, and an active practitioner of such devotion. His writings played a pivotal role in rejuvenating Pure Land practice during the late Joseon, establishing a solid groundwork for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Korean Pure Land faith. As a result, he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and dissemination of Pure Land ideology and Buddhist devotional practices throughout the Joseon, particularly from the mid-17th century onward.

      • KCI등재

        한국 정토신앙 성지 순례코스 개발 연구

        이재수 한국정토학회 2011 정토학연구 Vol.15 No.-

        본 논의는 불교 가운데 가장 대중적인 염불신앙을 통해 극락으로 인도하는 정토신앙과 관련된 사찰을 선정하고, 이를 성지순례코스로 개발하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정토신앙의 핵심인 아미타불의 48대원을 상징하는 사찰을 권역별로 선정하여 ‘정토로 가는 길(가칭)’ 48곳을 성지 순례코스로 선정하였다. 순례코스를 개발하기 위해서 먼저 정토신앙과 한국의 정토신앙의 특징을 도출하여 48사찰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순례에 대한 불교적 함의를 통해 순례가 지닌 문화사적 맥락을 이해하였다. 우리나라에 정토신앙과 관련한 문화유산 및 신앙이 이루어지고 있는 사찰을 현장답사하고 이와 관련한 여러 가지 사항을 하고, 성지순례 코스개발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문제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정토신앙 관련 성지순례코스를 실행하기 위해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보다 진전된 논의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연구된 결과 순례코스의 운영과 이를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전통문화의 관심을 이끌어내고 문화상품으로 적극 개발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코자 하였다. 순례코스의 개발은 가치창조는 문화관광이라는 새로운 시장에서 전혀 다른 형태의 가치를 제공하는 ‘가치장초’의 작업으로 활용될 것이다. This research thesis made discussions on issues, surrounding the designation and development of temple sites as pilgrimage related to Buddhist Elysium, which wide-spreads the most universal public smrti belief system and guides people to the heaven world. And then, this thesis designated the major 48 temple sites of Amitayus Buddha, the hub of Buddhist Elysium in accordance with each range sphere, and selected 'the 48 roads to Buddhist Elysium' as regular pilgrimage courses. In this regard, this thesis made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that the general Buddhist Elysium and the Korean Traditional Buddhist Elysium belief system have, and made the reviews on why this research thesis selected 48 temple sites, in an attempt to develop pilgrimage courses. Also, this thesis attempted to examine the Buddhist implications and understand cultural contexts that pilgrimage has. This researcher made the site visit to temple sites that cultural heritages or religious belief systems on Buddhist Elysium are well-established. And them, this researcher discussed the agenda on the development of pilgrimage course and proposed a lot of guidelines and directions on pilgrimage in relation to Buddhist Elysium.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closer discussions on it would be made in the future. In this manner, this research thesis is to provide guidelines on the operation of pilgrimage course, from macro-perspectives, and lay the foundation for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to grow as cultural goods among much public attention. The development of pilgrimage will create different values in the new markets of cultural tourism.

      • KCI등재

        정토신행에 드러난 조사신앙

        정광균(법상) 한국정토학회 2017 정토학연구 Vol.27 No.-

        본 논문은 삼보 중에 승보에 중점을 두고 고찰하였다. 일반적으로 승보는 최초로 5비구가 붓다의 가르침을 받아 성립하였다. 이러한 승보는 신앙의 대상이면서 복전이었고, 전법의 계승자로 인도와 중국, 한국에 그 불교의 전문가이면서 신행의 지도자, 정법의 계승자로써 정토교학과 신행의 전법에 충실한 분들을 추천하여 존숭한 것이다. 이러한 내용을 네 가지로 간략히 고찰하였다. 먼저 정토신행의 내용검토로 유마힐소설경 에 드러난 유심정토의 신행개념과 내용을 바탕으로 넓은 의미의 정토와 좁은 의미의 실유정토인 서방극락정토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뿐만 아니라 제불국토에 대해서 중국의 각 종파에서 말하는 내용도 아울러 고찰하였다. 왜냐하면 중국의 정토신행의 조사는 순수하게 극락정토만을 추구하는 조사들이 아니기 때문에 제교제종의 국토와 정토의 내용을 추적해 보았던 것이다. 다음에 중국에서 정토종이 성립되어 전개되는 역사를 간략히 검토해 보았다. 정토신행의 조사는 그 근간이 되는 종파가 어떻게 중국에서 성립되고 전개되어 오늘에 이르렀는지 살펴봄으로써 중국 정토신행조사 선정의 성격을 규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내용은 중국 정토신행의 조사는 수수하게 극락정토만을 추구하지 않았고 크게 3가지 유파로 정리해 볼 수 있었다. 즉, 결사염불을 최초로 신행한 여산의 혜원류와 순수하게 삼경일론(三經一論)에 의거한 도작선도류, 그리고 제경과 제행을 결합하여 실천한 자민류 등이다. 셋째로 중국의 정토신행 조사가 선정되고 존숭되는 과정을 추적해 보았다. 이러한 과정은 아주 복잡하게 전개되었지만 그 내용의 확정은 현대에 이르러 인광법사에 의해서 12조사가 결정되고 확립되었음을 추적해 보았다. 그런데 일본에서 추앙하는 조사로 담란과 도작을 배제한 점은 앞으로 제고할 여지가 있다고 여겨진다. 일본에서는 담란과 도작, 그리고 회감을 조사로 신봉하는데 중국에서 이들을 정토조사에서 제외하였다. 그 이유에 대해서 인광은 삼학을 고루 갖추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그 결과 중국의 정토조사는 순수하게 극락정토만을 추구하지는 않았음을 검토하였다. 넷째로 한국의 정토신행 조사는 아직 확정된 조사가 없을 뿐만 아니라 아애 정토종이 성립하지 않는 상황에서 정토신행조사를 설정하기란 매우 곤란한 점이 있다. 하지만 시험 삼아서 논자의 어리석은 견해로 한국의 정토신행조사를 선정하여 제시해 보았다. 중국의 정토신행조사가 순수한 극락정토만을 추구하지 않았듯이 한국의 정토신행조사도 그런 측면에서 설정하여 존숭하는 것이 어떨지 제안해 보았다. 앞으로 이에 대해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되었으면 한다. This paper focuses on saṅga ratna among the sambo. In general, saṅga ratna was established by the teachings of the Buddha for the first time, the five bhikkhus. This saṅga ratna was the object of faith and the future, and was recommended as a successor of the law, a Buddhist expert in India, China, and Korea, and a leader of faith and a successor of the law. These contents were briefly reviewed in four ways. First, we reviewed the contents of pure-land. Based on the concept and contents of pure-land, which is revealed only in the Yumah Hill novels, we examined pure-land in broad sense, a pure-land in the narrow sense. In addition, I examined the contents of each country's denomination against the. Because China's pure-land guru is not a pure-land guru who pursues purely pure-land, it has traced the territory and pure-land content of the species. Next, I briefly reviewed the history of Pure-Land sect in China. This is because the pseudo-guru can identify the nature of the Chinese pseudo-guru by examining how the underlying sect is established and developed in China and reached today. The contents of the Chinese pure-land sect did not pursue only pure-land, but could be summarized in three major ways. That is, Hewon grub of Yeosan, which first performed the Buddhist monk Buddhism, and Dojak, Seondo grub based on a purely three sutras, and Jamin grub, which combined all scriptures and all practices. Third, we trace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honoring pure-land guru in China. This process has been very complicated, but I have tracked down to the present day that 12 pure-land guru has been determined and established by Phosphorus.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in the point that pure-land guru which we admire in Japan excludes burial and drawing. In Japan, they are believed to have investigated gilt, drawing, and glee, but they have been excluded from the pure-land guru in China. For that reason, he said that he was not equipped with three schools. As a result, China's pure-land guru did not pursue purely pure paradise. Fourth, Korea's pure-land guru has not yet established a guru, and it is very difficult to set up a pure-land guru in the absence of Pure Land sect. However, I tried to set up a pure-land guru of Korea with the stupid opinion of the writer as a test. Just as China's pure-land guru did not pursue pure paradise, I suggested that the pure-land guru of Korea should also be set up in that respect. I hope that this will be discussed in depth in the future.

      • KCI등재

        조선후기 불교장엄과 의례에 수용된 정토사상

        송법엽(보운) 한국정토학회 2017 정토학연구 Vol.27 No.-

        불교의 장엄은 세존의 가르침인 사상적인 내용을 구체화하는 절차를 통하여 일반 대중들에게 알리는 구체적인 행위이며, 정토사상에서는 대승불교의 이념을 실천하는 보살사상을 논장 등으로 확대하였다. 또한 의례는 종지(宗旨)가 지닌 의미를 현실적으로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재해석되고 고유한 형식으로 정형화되는 것이고, 이러한 의례를 실천하는 방법으로서 의식으로 체계화되면서 공덕, 설법, 공양, 계율, 지혜, 감응, 청정 등으로 여러 측면으로 확대되고 있다. 『정토삼부경』에 나타나는 정토장엄은 초기경전인 『장아함경』에도 나타나고 있으며 율장에서도 회화와 건축 등의 요소를 자세히 살펴볼 수 있는데, 밀교경전에서는 국토장엄과, 법장엄이 정진으로 승화되는 과정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렇지만 조선후기 불교의 장엄이 여러 시각을 강조하는 형태로 나타난 것은 당시에 사상적 기반이 유학에 기반을 두고 있었던 까닭으로 일반 백성들을 위하여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현상은 시각적 효과와 청각적 효과를 수용할 수밖에 없었던 현실적 제약이었다. 따라서 불교문화는 건축과 탱화, 의례의 형태로 발전하였던 현상은 조선후기의 시대적인 특징이었다. 불교건축은 미학적인 측면과 사상적 측면을 사상적 측면을 조화롭게 생각하여 사찰의 여러 요소들의 조화와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단순한 의례의 공간적인 형식에서 벗어나서 기능이 확대되었다. 불상과는 다른 형태로 발전한 조각의 부류인 불감은 조각과 회화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종합적인 불교미술을 보여주고 있다. 불교회화는 신행을 위한 공간을 이용하려는 목적에서 수용되었다. 사찰의 장엄과 불보살에게 예경하려는 목적과 대중에게 불교의 교리를 쉽게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되었으나, 사상적인 부분에서는 정토신앙을 중심으로 밀교, 지장신앙과 화엄신앙과 습합이 일어났던 도상도 나타나고 있다. 또한 정토사상이 수용된 의례로는 수륙재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데, 의례의 전체적인 구성은 정토신앙을 현실화하는 성격을 잃지 않고 일정한 신앙체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유형적 불교문화와 무형적인 불교의례에서는 여러 사상을 수용한 조선후기의 정토사상은 큰 범주에서 여러 전통적인 신앙과 당시의 민간신앙까지 융화시켜 신앙의 조화를 지향하였다. 이런 정토사상과 민간의 관습적인 내용과 유교와 도교의 내용까지 융합시키는 장엄사상과 정토사상은 단순한 융합이 아니라 역사와 시대의 반영이면서 불교의 중도적인 관점에서 사상적 조화와 현재하는 환경과 조화를 이루어졌으며 오늘에 전해지고 있는 주목할 역사적 불교의 변용이었다. The decoration of Buddhism is a specific act that informs the general public through the process of embodying the idea of the Bhagavat's teachings. In the idea of pure-Land, the idea of Bodhisattva practicing the ideology of Mahayana Buddhism was extended to disputes. In addition, rituals are reinterpreted in the process of actualizing the meaning of the teachings of religion, and they are formalized in a unique form. Such rituals have been systematically organized as consciousness as a way to be practiced, and are spreading in various ways, such as virtue, sermon, food, godliness, wisdom, response, and cleanliness. The ornaments of the Pure-Land appearing in “Sutra of the Amitabha group” are also found in the early scriptures, “long of the Agamas”, and the elements of painting and architecture can be examined in detail. In the esoteric Buddhist scriptures, the decoration of the land and the grandeur of the dharma are expanding into a process of sublimation. However, the majesty of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emphasized various aspects because the ideological foundation was based on Confucianism at the time, and the phenomenon that was actively developed for the general people was a reality that could accommodate visual and auditory effects It was a constraint. Therefore, Buddhist culture developed in the form of architecture, painting, and consciousness was characteristic of the late Joseon period. The architecture of Buddhism pursues the harmony of various elements of temple and harmony with nature in harmony with the aesthetic aspect and the aesthetic aspect, and the function is expanded by deviating from the spatial form of simple ritual. The Buddhist sculpture, which is a kind of sculpture developed in a different form from the Buddhist statue, shows the form of comprehensive Buddhist art including sculpture and painting elements. Buddhist paintings were accepted for the purpose of exploiting the space for new activities. It was created with the purpose of worshiping the majesty of Buddhist temples and Buddhism, and the purpose of conveying the Buddhist doctrine to the public easily. However, in the ideological part, the image of the esoteric thought and guardian ideology, and the combination of Huayan and the idea of Pure-land are also centered on the idea of Pure-land. Also the ceremony of accepting the idea of the Pure Land occupies an important place in the ritual of water and fire. The whole composition of the ceremony has a certain belief system without losing the character of realizing the faith of the Pure-Land. Therefore, the ideology of the clean earth in the later Joseon period, which accommodated various ideas in tangible Buddhist culture and intangible Buddhist rituals, aimed at harmonizing the faith by integrating various traditional beliefs and the private beliefs of the time in a large category. The ideas of this clean earth, the customary contents of the civilization, and the ideas of decorating Confucianism and Taoism are not merely a fusion but a reflection of the history and the time, and the ideological harmony and the present environment And it is a remarkable historical Buddhist transformation that is being conveyed today.

      • KCI등재

        원효의 정토사상에 담긴 화쟁의 정신

        김영일 한국정토학회 2013 정토학연구 Vol.20 No.-

        본고는 원효의 화쟁론이 그의 정토사상 분야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가에 대해서 탐색하고 있다. 원효는 정토사상이 어리석고 소박한 신라의 민중들에게 매우 긴요하다는 것을 간파하여『무량수경종요』를 비롯한 여러 저서를 지어 정토사상의 참뜻을 널리 알렸다. 우리는 이러한 저 서에서 제설을 진리에 입각하여 조화롭게 이해하고자 하는 그의 특징적인 화쟁의 정신을 느낄 수 있다. 첫째, ‘정토’ 분야에는 정토의 형상과 공유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다. 이 중에서 ‘정토의 형상’에 관한 논의에서는 2개의 관점[門]을 제시한 뒤에 이것을 바탕으로 양설을 회통하고 있는데, 그는 경론의 저자가 가진 의도ㆍ견해ㆍ입장까지를 고려한 해석을 하여 우리를 일깨워주고 있다. 또한 , ‘정토의 공유’에 관한 논의에서는 양설이 모두 옳기도 하고 동시에 그르기도 하다고 말하였는 데, 이것을 통해서 그는 언어가 가리키려고 하는 참뜻을 새긴다면 양설이 맞고 틀리는 것은 다만 그 표현에 불과하다는 점을 일깨워주고 있다. 둘째, ‘수행’ 분야에는 정토의 생성원인과 왕생원인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다. 이 중에서 ‘생성의 원인’에 관한 논의에서는 ‘모두 성전에 근거를 두고 있기 때문에 모두 옳다’고 말하였는데, 이것 으로 보아서 그는 경전의 내용들은 모두 옳다고 굳게 믿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왕생의 원인’ 에 관한 논의에서는 양설이 실제로 서로 다른 것을 주장하기 때문에 논쟁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 을 내렸는데, 이러한 판단을 내리는 과정에서 그가 폭넓은 경전에 관한 공부를 바탕으로 논쟁의 당사자를 진심으로 승복시키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셋째, ‘사람’ 분야에는 아미타불과 정정취중생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다. 이 중에서 ‘아미타불’에 관한 논의에서는 문구에 얽매이지 않고 여러 경론의 틀 속에서 경론의 진정한 의미를 파악함으 로써, 독자들의 무지와 오해를 일깨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정정취중생’에 관한 논의에서 는 비록 일반적인 회통논의에 해당하는 구조를 가지지는 못하였지만, 그가 쌓은 경전에 관한 폭 넓은 지식으로 우리에게 그 내용을 정확하게 설명해주고 있다. How is Wonhyo's thought of harmonization unfolded inside of Wonhyo’s thought of pure land. This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After knowing that the thought of pure land is very necessary to the simple people of Sila dynasty, he let them know the thought of pure land through writing the books. In these books, we can feel the spirit of his unique harmonization. First of all, the chapter of pure land has 2 parts: the shape of pure land and the co- ownership in pure land. In the shape of pure land, his saying about the two kinds of gateway let us know that he interprets the scripture based on the intention of the author. And in the co-ownership of pure land, his words, All theories are right and wrong simultaneously, make us to infer that he awake the importance of real meaning. Secondly, the chapter of cultivation has 2 parts: the cause of establishment and the cause of birth. In the cause of establishment, when he said that all theories are right because they depend on the scripture, he expressed the idea that all scriptures are right. And in the cause of birth, when he decided that they needed not to argue on the matter, he exposed his great amount of study on the scripture. Lastly, the chapter of people has also 2 parts: Amitabha and sentient beings. In the Amitabha, he awakes the ordinary people from ignorance and misunderstanding through presenting the true meaning of the passages of the scriptures. And in the sentient beings, he gives us the exact meaning of the passage of the scriptures despite the lack of common structure of harmonious discussion.

      • KCI등재

        『淨土寶書』를 통해 본 염불수행과 그 의의

        황금연 한국정토학회 2018 정토학연구 Vol.30 No.-

        This paper is a detailed study of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Jungto-Boseo(淨土寶書)』, a book that chronicles the practice of Jungto[Pure land, 淨土] in the Joseon Dynasty. So I want to a mental and method on a practice of Pure land. This book is hard to say that the author's all ideas were written. However, he can't rule out anything of his intentions or thoughts. The biggest feature of this book is that it contains most methods for a practice and a perspective of a practice that we know about a practice of Pure land. As for the conductive attitude of the implementer, the ideas of Tabang-Jungto Chingyeon-Mita thought[他方淨土 親見彌陀思想] and Yushim-Jungto Jasung-Mita[唯心淨土 自性彌陀] are all contained. In addition, this book is appeared all the different methods of performing ChingMyung -Yeombul[稱名念佛], GuanShang-Yeombul[觀相念佛], and Yeombul-Seo n[念佛禪]. The following are the details of practice and seon-practice in this book. First, a wise man does. Second, a performer must first lift the mind. Third, there are various ways to perform Yeombul[念佛] such as ChingMyung-Yeombul, GuanShang-Yeombul, and Yeombul-Se on.. Fourth, Yumbul is to leads to paradise and is for the people. Fifth, Yeombul is more excellent than Cham-seon[參禪]. This is because people have the mercy of the Amitabha[阿彌陀佛]. The biggest value of this book is the first book to introduce a practice related to Jungto-yeombul practice during the Joseon Dynasty. Also, we cannot overlook the influence of Sammun-Classes[三門修業] during the Joseon Dynasty. 본 논문은 조선시대 정토수행과 관련된 많은 서적 중 『淨土寶書』의 구성과 내용을 면밀히 천착함으로써 이 책이 전하고자한 정토수행의 정신과 방법을 명확히 구명하고자 한 것이다. 이 책은 편찬서인 만큼 편찬자의 사상을 그대로 담고 있다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렇다고 하여 그의 의도나 사상을 전혀 배제했다고도 볼 수 없을 것이다. 이 책이 가진 가장 큰 특성은 우리가 알고 있는 정토수행과 관련한 대부분의 수행법과 수행관을 고루 다 담고 있다는 것이다. 수행자의 수행태도에 있어서는 ‘타방정토 친견미타사상’과 ‘유심정토 자성미타’의 사상이 고루 담겨있다. 또 수행법에도 稱名염불과 觀相염불, 심지어 念佛禪에 이르기까지 그 다양한 수행방법을 짧은 글에 모두 다 보여주고 있다. 서책의 구성과 내용의 자세한 천착을 통해 이 책이 표방하는 염불수행의 전체적인 내용과 정토수행과 선수행과의 사이에 제기되는 의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염불은 지혜로운 사람이 하는 것이다. 2. 염불수행을 할 때는 먼저 신심을 일으켜야 한다. 3. 염불수행에는 칭명염불과 관상염불, 염불선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4. 염불은 한 생각에 왕생하는 것이며 십념은 약하고 여린 자들을 위한 배려다. 5. 윤회를 벗어나 생사에 구애받지 않으려면 참선과 염불 둘 다 방법이지만, 염불이 가장 확실한 수행법이다. 그 이유는 아미타불의 중생을 자비로 섭취하는 힘이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염불하는 자는 많은데 극락세계에 태어나서 성불하는 사람이 적은 이유는 첫째, 입으로는 염불하나 마음이 착하지 못해서이다. 둘째, 입으로 염불하나 마음에 잡되고 쓸데없는 생각을 해서이다. 셋째, 입으로 염불하나 마음으로 부귀 얻을 생각만 하기 때문이라고 명쾌하게 말한다. 이 책의 가장 큰 가치는 무엇보다 조선시대에 정토염불과 관련된 수행을 소개한 최초의 편찬서라는 데 있다. 아울러 조선시대 三門修業에의 영향력을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