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정토사상의 특색

        한태식(보광) 한국정토학회 2010 정토학연구 Vol.13 No.-

        본 논문에서는 한국정토사상을 중심적으로 논하다가 보니 신라시대의 정토논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 이유는 정토사상을 논한 정토관련 주석서가 신라시대의 자료뿐이라고 하는 한계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정토수행이나, 정토신앙, 정토문화는 제외하고 오직 정토사상만을 중점적으로 분석하므로 한계성이 있었을 밝히고자 한다. 첫째, 한국 정토사상은 정토삼부경 중심으로 골고루 연구 되었다. 일부학자들이 한국은 관무량수경 을 소흘히 하였다고 하는 점에는 동의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신라시대의 대부분의 정토교가들은 정토삼부경을 골고루 다루고 있으나, 단지 현존하는 자료로는 관무량수경 의 주석서가 남아있지 않을 뿐이다. 심지어 반주삼매경 의 연구도 있었으며, 이러한 사상적인 기반위에 한국의 만일염불결사가 성립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는 48대원을 중시하였다. 48대원의 호칭한 것은 정토사상의 일대변혁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정도이다. 이러한 원명의 호칭이 오늘날까지 한국불교에서는 장엄염불로 남아 널리 애송되고 있다. 즉 48대원이 의례화될 수 있도록 기여하였다고 보여진다. 셋째는 十念을 중시하였다. 특히 48대원 중에서도 제18원과, 제19원, 제20원을 중시하였으며, 이 중에서도 십념염불에 대한 여러 가지 해석을 하였다. 십념은 무량수경 의 乃至十念과 관무량수경 의 具足十念에 대하여 논사들에 따라서 그 해석법이 달랐다. 넷째는 唯心淨土 중심의 念佛禪을 중시하고 있다. 고려시대 이후 선불교의 번창으로 정토교학은 자취를 감추고, 선종에 흡수되어 선수행의 방편으로 행해지기도 하였다. 중국의 永明延壽의 염불선이 도입되어 오늘날까지 한국불교의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어찌보면 한국불교단 순한 선종이 아니라 염불선 중심의 法眼宗이라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점은 조선 淸虛休靜대에 까지 법안종의 염불선의 正法眼藏이 계승되어왔다. 다섯째는 정토교학과 신앙이 널리 유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淨土宗 이라는 종파가 형성되지 못하였다. 이점은 서론에서 밝힌 바와 같이 정토사상과 신앙이 너무나 보편화되다가 보니 종파형성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였던 것으로 보고 있다. This thesis revolves around the idea of Pure Land dating back to the Shilla era in analyzing that in Korean Buddhism. Firstly, the idea has been researched a lot, centered around the Three Sutras of the Pure Land. It is hard to agree with those scholars who say Korea neglected the Amitāyur-dhyāna-sūtra, because it is just that the data and material remaining now rarely include the tome’s commentary, not that those followers of the idea during the era disregarded any of the three sutras. Moreover,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had been researches and studies on the Pratyutpanna-buddha-saṃmukhavasthita-samãdhi-sūtra. Those are thought to constitute Pure Land Buddhism of the country. Secondly, the idea has emphasized the 48 Great Wishes of Amitaba, whose denomination was truly a revolution of the idea. The song is still widely recited in Korea as a Buddhist prayer. Judging from this, it seems that the idea of Pure Land contributed to the 48 Great Wishes’ becoming part of Buddhist practice in Korea. Thirdly, the idea has focused on the Ten Thoughts and, especially, the 18th,19th and 20th among the 48 Great Wishes while giving avariety of interpretations of the Prayer of the Ten Thoughts. The interpretation of the Ten Thoughts differed depending on who interpreted it. Fourthly, the idea has aimed towards the invocatory Zen of the Mind-Only Pure Land. Since the Goryeo Dynasty, Zen Buddhism had prospered, driving out the study of the Pure Land or absorbing the idea as a way to practice Zen, until YongMing YanShou’s invocatory Zen found its way to Korea from China to influence Korean Buddhism up to now. In this vein, Korean Buddhism might not be a simple Zen Buddhism but one revolving around invocatory Zen. This peculiarity lasted until the Joseon Dynasty. Fifthly, Korean Buddhism could not see the sect of the Pure Land sect forming in spite of the wide-spread teachings and belief of the idea. It seems that was because of, as mentioned earlier, the belief’s and idea’s being too popular that stemmed a sect from forming.

      • KCI등재

        법성종의 입장에서 바라본 정토사상

        신규탁 한국정토학회 2010 정토학연구 Vol.13 No.-

        인도의 불교도들은 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세상을 바다와 같은 고통의 세계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들은 자신이 이 세상에서 수양을 해서, 죽은 다음에는 고통이 없는 정토(淨土)에 환생하기를 희망하였다. 뿐만 아니라 자신의 기도를 통하여 타인을 정토로 환생시킬 수 있다고 믿었다. 고통 없는 세상에 대한 인도인들의 발상은 대승경전이 새롭게 편집되는 과정에서 불교 텍스트의 내부로 들어오게 되었다. 물론 이런 발상은 역사상의 인물인 석가모니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 다만 불교 문학이 유행하면서, 석가모니가 전생에 수행을 했던 공간으로 도솔천(忉率天) 이념을 가상적으로 만들었다. 이것은 실재하는 그 무엇이 아니라, 문학적 상상력의 사물이었다. 그런데 후세로 내려오면서 이런 문학적 상상력도 그 나름대로 정합적인 사상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이런 사상이 다시 중국과 한국 일본 등등에 전파되면서, 이 지역의 민중들에게는 중요한 종교행위의 일부가 되었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이런 정토에 대한 생각이 한국의 역사 속에서 어떻게 전승되어 현재에 이르렀는지를 검토하였다. 그런데 한국의 경우는, 이런 정토에 대한 생각을 크게 두 가지 철학전통 위에서 전개해왔다. 하나는 정토종(淨土宗)의 전통이고 다른 하나는 법성종(法性宗)의 전통이다. 본 논문은 법성종 전통의 입장에서, 정토 사상을 평가하고 분석했다. 그 결과 저들이 환생하기를 희망하는 정토란 고통이 없는 곳이라기보다는, 수행하기에 가장 적합한 조건이 충만한 공간임을 밝혀내었다. 좋은 환경에서 수행하기를 희망하는 종교적인 염원이 정토라는 특별 한 세계를 만들었다. 이 부분에서도 역시 자기 수행을 중요하게 여기는 불교의 발상이 잘 드러난다. In India, Buddhists have thought that this world is full of pain. So they cultivate their minds in this world and hope that they will be reincarnated in a painless pure land(净土). Moreover, they believe that others could be reincarnated through their prayer. The idea of creating the world free from pain was reflected in the contents of Buddhism through the process of revising the Mahāyāna Text. This idea is not related to Buddha. The prevailing Buddhist literature made it possible to create a virtual space, Tușita(忉率天), which is the Buddha's training place in his previous life. This is not a real but an imaginary place. The literary imagination became a resonable theory as time goes by. This thought was diffused throughout China, Korea, Japan, and so on. And it ha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religious practices for the people in this region. The thought of pure land has been developed through two major philosophical orthodoxies, the School of Pure Land(淨土宗) and the School of Fa-Xing(法性宗). This study examines how the thought of pure land(净土) was introduced into Korea and analyzes the thought by applying the orthodoxy of the School of the Fa-Xing(法性宗). I find that the pure land(净土), where the Korean people wish to be reincarnated, is not a place free from pain, but the most desirable place for self-improvement. The religious desire of the Korean people, who wish to discipline themselves in a favorable condition, created an imaginary place, the pure land(净土). It also reveals the idea of Buddhism, which regards self-improvement as important.

      • KCI등재

        寬淨의 淨土禪 수행법에 관한 연구

        서길수 한국정토학회 2015 정토학연구 Vol.23 No.-

        이 논문은 淨土禪의 원리와 수행법을 연구한 논문이다. 淨土禪은 중국의 寬淨 법사(이후 관정으로 줄임)가 1987년 싱가포르에서 처음 펴낸 『淨土禪精義』에서 펼친 수행법으로, 그 뒤 미국, 대만, 한국에서 여러 차례 발행되어 보급되었다. 1. 정토교리사에서 정토선ㆍ염불선ㆍ선정쌍수가 모두 가까운 뜻으로 쓰였다. 그러나 정토선은 다른 염불선의 수행법과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첫째, 禪淨雙修는 정토와 선 수행을 함께 닦지만 정토선은 먼저 칭명염불을 하고 자성염불이 되면 선으로 들어가는 선후 단계가 있다. 둘째, 염불선의 대표적 수행인 관념염불법은 부처님을 관하며 염불을 하는 것이지만 정토선은 칭명염불을 하면서 귀로 그 염불소리를 주의 깊게 듣는데 중점을 둔다는 점에서 크게 차이가 난다. 셋째, 念佛公案法은 참선하는데 염불을 화두로 이용할 뿐이지만 정토선은 칭명염불로 시작하여 마지막까지 자성염불로 일관되기 때문에 크게 차이가 난다. 2. 관정은 불교의 수행법을 크게 ① 생각을 쓸어 없애는 법(掃念法: 알아차리는 법) ② 내버려 두는 법(任由法) ③ 미리 차지해 버리는 법(占領法)으로 나누었는데, 정토선은 ‘미리 차지해 버리는 법’에 들어간다. ‘미리 차지해 버리는 법’에도 ① 觀想法 ② 參話頭法 ③ 念佛法 ④ 身性覺法 같은 4가지가 있는데 정토선은 ③, ④를 합친 수행법으로 염불법을 통해 신성각을 이루는 수행법을 말한다. 身性覺이란 몸으로 자성을 깨닫는 법을 말하는 것으로, 염불을 통해 몸속에서 염불소리가 나는 自性念佛을 이루고, 그 자성염불 소리를 통해서 一念에 이르고, 無念을 이룩하는 것을 말한다. 3. 정토선 수행은 3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① 염불에서 자성염불 단계, ② 자성염불에서 一念단계, ③ 일념에서 無念단계라는 3단계의 로드맵이 뚜렷하다. 둘째, 다른 수행법은 법력이 높은 스승이 있어 증득한 상황을 수시로 점검해 주지 않으면 위험한데 반해 정토선은 3단계가 모두 한마디 염불소리로 일관되어 있기 때문에 스스로 확인할 수 있어 쉽고 안전하다. 셋째, 자성염불을 통해서 염불수행만 해야 수행자와 염불에 이어서 禪을 할 수 있는 근기를 분별할 수 있다. 바로 그 바로미터가 자성염불이다. 4. 이 염불법은 관세음보살이 일러주신 것으로 능엄경에서 말하는 관세음보살의 耳根圓通과 같은 원리이다. The Pureland Zen is a practice first revealed by the Chinese master Kuanjing in Singapore in 1987. After its revelation it has been discussed and practiced in USA, Taiwan and Korea. The thesis of Kuanjing and related literature are discussed in this study. Further the real practices of Pureland Zen and the community of Pureland Zen are also described in this study. The key points of Pureland Ze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name of Pureland Zen appeared first in Chinese literature ≪淨土或問≫ in 1354, and the name was also used quite often in the periods of Ming and Ching Dynasties. According to the Pureland History Pureland Zen, Amitabha Recitation Zen, and Co-practice of Pureland and Zen referred to almost the same idea. According to the instructor of Pureland Zen, Master Kuanjing, Pureland Zen is simply a gathered chanting of Amitabha in two groups, while the members in one group are chanting the name of Amitabha, the members in the other group are listening and in meditative silence. They change their chanting and listening periods alternatively. Three stages in the practice of Purelad Zen can be expected, namely: 1. Self-chanting stage: If one practises Pureland Zen deeply and habitually, he chants Amidaba automatically, or his ears, his body are chanting Amidaba automatically. This is called the First stage self-drive chanting. 2. One-Desire Stage: By self-drive chanting one gradually reaches the second stage of one pure desire to be in Pureland. 3. No-Desire Stage: The second stage finally leads to a third stage of no desire, in this stage one even forget to chant Amidabaor desire to be in Pureland. The Pureland Zen differs from other known practices by: 1. The essential part of Pureland Zen is coupled chanting and listening; 2. The practice of Pureland Zen pays attention to both the mind and the body. In the practice the three interactions are kept aware: body-background, body-mind, mind-background. 3. The followers are aware of the limited power of human being, but they are anxious to apply the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for creating Pureland for humanity. In other words, they don’t ignore their current existence.

      • KCI등재

        한국 정토신앙 성지 순례코스 개발 연구

        이재수 한국정토학회 2011 정토학연구 Vol.15 No.-

        본 논의는 불교 가운데 가장 대중적인 염불신앙을 통해 극락으로 인도하는 정토신앙과 관련된 사찰을 선정하고, 이를 성지순례코스로 개발하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정토신앙의 핵심인 아미타불의 48대원을 상징하는 사찰을 권역별로 선정하여 ‘정토로 가는 길(가칭)’ 48곳을 성지 순례코스로 선정하였다. 순례코스를 개발하기 위해서 먼저 정토신앙과 한국의 정토신앙의 특징을 도출하여 48사찰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순례에 대한 불교적 함의를 통해 순례가 지닌 문화사적 맥락을 이해하였다. 우리나라에 정토신앙과 관련한 문화유산 및 신앙이 이루어지고 있는 사찰을 현장답사하고 이와 관련한 여러 가지 사항을 하고, 성지순례 코스개발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문제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정토신앙 관련 성지순례코스를 실행하기 위해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보다 진전된 논의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연구된 결과 순례코스의 운영과 이를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전통문화의 관심을 이끌어내고 문화상품으로 적극 개발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코자 하였다. 순례코스의 개발은 가치창조는 문화관광이라는 새로운 시장에서 전혀 다른 형태의 가치를 제공하는 ‘가치장초’의 작업으로 활용될 것이다. This research thesis made discussions on issues, surrounding the designation and development of temple sites as pilgrimage related to Buddhist Elysium, which wide-spreads the most universal public smrti belief system and guides people to the heaven world. And then, this thesis designated the major 48 temple sites of Amitayus Buddha, the hub of Buddhist Elysium in accordance with each range sphere, and selected 'the 48 roads to Buddhist Elysium' as regular pilgrimage courses. In this regard, this thesis made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that the general Buddhist Elysium and the Korean Traditional Buddhist Elysium belief system have, and made the reviews on why this research thesis selected 48 temple sites, in an attempt to develop pilgrimage courses. Also, this thesis attempted to examine the Buddhist implications and understand cultural contexts that pilgrimage has. This researcher made the site visit to temple sites that cultural heritages or religious belief systems on Buddhist Elysium are well-established. And them, this researcher discussed the agenda on the development of pilgrimage course and proposed a lot of guidelines and directions on pilgrimage in relation to Buddhist Elysium.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closer discussions on it would be made in the future. In this manner, this research thesis is to provide guidelines on the operation of pilgrimage course, from macro-perspectives, and lay the foundation for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to grow as cultural goods among much public attention. The development of pilgrimage will create different values in the new markets of cultural tourism.

      • KCI등재

        한국 수륙재의 융합적 특성

        윤소희 한국정토학회 2014 정토학연구 Vol.22 No.-

        본고는 한국 수륙재에 영향을 미친 외래적 요소를 가려냄으로써 그 정체성과 고유성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한국 수 륙재는 의례문과 소대의식 외에 실제 의례 실행 방법은 티벳 불교의례와 친연성이 많았다. 우리네 수륙재에는 외래 적 요소가 융합되어 있지만 중국이나 티벳과는 확연히 다르니 그것이 바로 토착화된 한국 수륙재의 정체성이자 고 유성이다. 역설(逆說)적이게도 오늘날 한국 수륙재는 전통의 단절로 인해 오히려 고제의 면모가 유지된 일면이 있고, 국가의 지원을 받지 못함으로써 토착화가 왕성하게 이루어져 한국적 고유성을 더 많이 지니게 되었다. 그 중에 작법무의 복 색과 춤사위는 궁중무와 민간의 춤이 결합된 전형적 한국미를 지니고 있는데 이는 한국화된 범패와 더불어 더욱 빛 이 난다.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보면, 신라시대의 향당교주(鄕唐交奏)를 비롯하여 중국의 문묘제례악의 틀 위에 당악기와 향 악기를 결합하여 만든 종묘제례악에 이르기까지 우리민족은 줄곧 퓨전 악가무를 잘 만들어왔다. 마찬가지로 수륙재 또한 한국 문화의 바탕 위에 중국과 티벳적 요소까지 수용하여 ‘창출어람’의 종합예술의 장이 된 것이다. 이에 본고 에서는 세계 여러 문화가 한 무대에서 만나는 글로벌 문화시대를 맞아 한국 수륙재의 앞으로의 과제는 의례적 여법 성 못지않게 한국적 정체성과 고유성를 확보해가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I have attempted to describ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Buddhist Suryukjae ritual and its Chinese and Tibetan counterparts. A Korean Suryukjae performance is in fact an amalgam of Chinese text, Tibetan practice, and Korean cultural influences. The ritual text and incineration ceremony are of Chinese origin. The dancing, the playing musical instrument like brass wind, the Guebul (Tanga) and all program is performed only by monks within the temple grounds. Finally, the addition of Korean art renders the performance uniquely Korean. Due to a history of discontinuity in performance practice, today's Korean Suryukjae may be paradoxically more traditional than its predecessor, having ceased to attract government support over time. A typical Korean feature, for example, would have been the indigenous movements of the court and folk dancing performed in traditional dress. Koreans have enjoyed 'fusionising' performance art throughout history. The royal courts of the Silla empire would perform celebratory Chinese and Korean music in turn. The Joseon era royal ancestral rites at the Jongmyo Shrine were played by a combination of Chinese and Korean instruments within a Chinese ritual frame. So it would not be exceptional for the Suryukjae to be performed in this blended way. The idea was to create something beautiful and to outdo the original. And this is an important lesson for the future of global culture, that, in accordance with the Buddhist Dharma, we possess and reproduce the identity unique to this adapted form of Suryukjae.

      • KCI등재

        백암성총의 정토저술 연구 - 『淨土寶書』와 『栢庵淨土讚』을 중심으로 -

        한태식(보광) 한국정토학회 2023 정토학연구 Vol.40 No.-

        백암성총(栢庵性聰, 1631-1700)이 임자도의 표류선에서 서적을 수집 한 후 처음으로 편찬한 것이『淨土寶書』이다. 그의 나이 56세(1686)였다. 당시 승려들은 선과 교로 나뉘어 서로 우열을 주창하고 있었다. 그러나 일반 대중에게는 타력적인 신앙심이 더욱 필요할 때였다. 이러한 상황을 미루어 볼 때 그에게는 우리나라에 정토신앙의 유포가 절실하였을 것이다. 불교의 영험담을 유포하여 신심을 돈발케 하고, 대중들에게 널리 포교하기 위함이다. 정토보서 의 편찬 배경은 정토신앙을 고취시키고, 정토염불법문을 널리 유포하기 위함이다. 그뿐만 아니라 당시 중국에 불교가 성행하고 있는 사례를 보여 줌으로 조선의 사대부들에게 불교정책의 완화도 기대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7년 뒤인 63세(1693)에『栢庵淨土讚』을 저술하게 된다. 그가 만년에 정토 찬탄시를 짓게 된 배경은 『정토보서』를 저술한 후 정토신앙에 심취하면서 부터이다. 이는 정토삼부경의 내용을 시적으로 표현하고 때로는 자신의 염불수행과정과 정토를 찬탄한 4韻 8句 100首로 된 시집이다. 그가 이러한 시를 짓게 된 배경에는 『정토보서』의 편찬으로 인하여 정토교학과 신앙 및 왕생담을 정리하면서 정토사상과 신앙이 확립되었기 때문이다. 그의 간절한 정토에 대한 구도심과 신앙적인 표현을 주옥같은 시구로 표현한 작품이다. 이러한 영향이 18세기에 明衍(?~1704~?)의 『念佛普勸文』, 有璣의 『新編普勸文』, 箕城快善(1693~1764)의 『念佛還鄕曲』, 19세기에 東化竺典의 『勸往歌』, 『自責歌』, 20세기에 금명보정의『淨土讚百詠』등으로 나타난다. 이상으로 두 권의 저술을 통하여 그의 정토관을 구명해보면, 그는 조선시대에 보기 드문 정토교학자로서 저술가이고, 염불신앙가이며, 칭명염불 수행자였다. 따라서 그의 저술은 조선후기의 정토신행을 흥기시키는 새로운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오늘날 한국정토신앙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따라서 17세기 중기 이후의 조선시대 정토사상의 고취와 염불신앙의 유포에 크게 기여하였다. The first compilation by Baegam Seongchong (栢庵性聰, 1631-1700) after collecting books from a drifting ship in Imja Island was Jeongtoboseo, and he was 56 years old (1686). In this period, Buddhist monks were divided into Seon (禪, meditation practice) and Gyo (敎, the scholastic approach), each advocating its superiority and inferiority. However, it was a time when dependent faith was more necessary for the general lay people. Considering this context, Seongchong recognized the necessity to promote Pure Land faith within the Joseon society, and he compiled the Jeongtoboseo. Additionally, he likely aimed that noblemen relaxed Buddhist policies by showing an example of Buddhism was widely practiced in China. Seven years after, at the age of 63 in 1693, he wrote the Baegamjeongtochan. His motivation for crafting these poems in his later years was rooted in his growing commitment to the Pure Land faith, a commitment that blossomed following the completion of the Jeongtoboseo. This was a collection of poems consisting of expressing the contents of the Three Pure Land Sūtras and praising his chanting and praising the Pure Land. The background to his writing these poems is that the compilation of the Jeongtoboseo organized the doctrines, beliefs, and stories of rebirth, thereby establishing the Pure Land thought and faith. It is a work that expresses his earnest desire to seek the Pure Land and religious expressions through exquisite verses. Also, these was influenced the Yeombulbogwonmun (念佛普勸文) by Myeong-hyeong (?~1704~?), the Sinpyeonbogwonmun (新編普勸文) by Yugi, the Yeombulhwanhyanggok (念佛還鄕曲) by Giseong kwaeseon (1693~1764), the Gwonwangga (勸往歌) and the Jachaekga (自責歌) by Donghwa Chukjeon in the 19th century, and the Jeongtochanbaegyeong (淨土讚百詠) by Geummyeong Bojeong in the 20th century. Through an examination of Baegam Seongchong's two key compilations, he could be characterized as a rare Pure Land scholar, a dedicated writer, a devout believer in the recitation of Pure Land, and an active practitioner of such devotion. His writings played a pivotal role in rejuvenating Pure Land practice during the late Joseon, establishing a solid groundwork for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Korean Pure Land faith. As a result, he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and dissemination of Pure Land ideology and Buddhist devotional practices throughout the Joseon, particularly from the mid-17th century onward.

      • KCI등재

        정토신행에 드러난 조사신앙

        정광균(법상) 한국정토학회 2017 정토학연구 Vol.27 No.-

        본 논문은 삼보 중에 승보에 중점을 두고 고찰하였다. 일반적으로 승보는 최초로 5비구가 붓다의 가르침을 받아 성립하였다. 이러한 승보는 신앙의 대상이면서 복전이었고, 전법의 계승자로 인도와 중국, 한국에 그 불교의 전문가이면서 신행의 지도자, 정법의 계승자로써 정토교학과 신행의 전법에 충실한 분들을 추천하여 존숭한 것이다. 이러한 내용을 네 가지로 간략히 고찰하였다. 먼저 정토신행의 내용검토로 유마힐소설경 에 드러난 유심정토의 신행개념과 내용을 바탕으로 넓은 의미의 정토와 좁은 의미의 실유정토인 서방극락정토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뿐만 아니라 제불국토에 대해서 중국의 각 종파에서 말하는 내용도 아울러 고찰하였다. 왜냐하면 중국의 정토신행의 조사는 순수하게 극락정토만을 추구하는 조사들이 아니기 때문에 제교제종의 국토와 정토의 내용을 추적해 보았던 것이다. 다음에 중국에서 정토종이 성립되어 전개되는 역사를 간략히 검토해 보았다. 정토신행의 조사는 그 근간이 되는 종파가 어떻게 중국에서 성립되고 전개되어 오늘에 이르렀는지 살펴봄으로써 중국 정토신행조사 선정의 성격을 규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내용은 중국 정토신행의 조사는 수수하게 극락정토만을 추구하지 않았고 크게 3가지 유파로 정리해 볼 수 있었다. 즉, 결사염불을 최초로 신행한 여산의 혜원류와 순수하게 삼경일론(三經一論)에 의거한 도작선도류, 그리고 제경과 제행을 결합하여 실천한 자민류 등이다. 셋째로 중국의 정토신행 조사가 선정되고 존숭되는 과정을 추적해 보았다. 이러한 과정은 아주 복잡하게 전개되었지만 그 내용의 확정은 현대에 이르러 인광법사에 의해서 12조사가 결정되고 확립되었음을 추적해 보았다. 그런데 일본에서 추앙하는 조사로 담란과 도작을 배제한 점은 앞으로 제고할 여지가 있다고 여겨진다. 일본에서는 담란과 도작, 그리고 회감을 조사로 신봉하는데 중국에서 이들을 정토조사에서 제외하였다. 그 이유에 대해서 인광은 삼학을 고루 갖추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그 결과 중국의 정토조사는 순수하게 극락정토만을 추구하지는 않았음을 검토하였다. 넷째로 한국의 정토신행 조사는 아직 확정된 조사가 없을 뿐만 아니라 아애 정토종이 성립하지 않는 상황에서 정토신행조사를 설정하기란 매우 곤란한 점이 있다. 하지만 시험 삼아서 논자의 어리석은 견해로 한국의 정토신행조사를 선정하여 제시해 보았다. 중국의 정토신행조사가 순수한 극락정토만을 추구하지 않았듯이 한국의 정토신행조사도 그런 측면에서 설정하여 존숭하는 것이 어떨지 제안해 보았다. 앞으로 이에 대해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되었으면 한다. This paper focuses on saṅga ratna among the sambo. In general, saṅga ratna was established by the teachings of the Buddha for the first time, the five bhikkhus. This saṅga ratna was the object of faith and the future, and was recommended as a successor of the law, a Buddhist expert in India, China, and Korea, and a leader of faith and a successor of the law. These contents were briefly reviewed in four ways. First, we reviewed the contents of pure-land. Based on the concept and contents of pure-land, which is revealed only in the Yumah Hill novels, we examined pure-land in broad sense, a pure-land in the narrow sense. In addition, I examined the contents of each country's denomination against the. Because China's pure-land guru is not a pure-land guru who pursues purely pure-land, it has traced the territory and pure-land content of the species. Next, I briefly reviewed the history of Pure-Land sect in China. This is because the pseudo-guru can identify the nature of the Chinese pseudo-guru by examining how the underlying sect is established and developed in China and reached today. The contents of the Chinese pure-land sect did not pursue only pure-land, but could be summarized in three major ways. That is, Hewon grub of Yeosan, which first performed the Buddhist monk Buddhism, and Dojak, Seondo grub based on a purely three sutras, and Jamin grub, which combined all scriptures and all practices. Third, we trace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honoring pure-land guru in China. This process has been very complicated, but I have tracked down to the present day that 12 pure-land guru has been determined and established by Phosphorus.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in the point that pure-land guru which we admire in Japan excludes burial and drawing. In Japan, they are believed to have investigated gilt, drawing, and glee, but they have been excluded from the pure-land guru in China. For that reason, he said that he was not equipped with three schools. As a result, China's pure-land guru did not pursue purely pure paradise. Fourth, Korea's pure-land guru has not yet established a guru, and it is very difficult to set up a pure-land guru in the absence of Pure Land sect. However, I tried to set up a pure-land guru of Korea with the stupid opinion of the writer as a test. Just as China's pure-land guru did not pursue pure paradise, I suggested that the pure-land guru of Korea should also be set up in that respect. I hope that this will be discussed in depth in the future.

      • KCI등재

        전통의 재정립과 고전: 한국 불교의 재정립과 『禪門撮要』

        김종인 한국정토학회 2009 정토학연구 Vol.12 No.-

        고전과 전통은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 고전은 전통의 형성에 기여하고, 전통은 고전을 요청하고 찾는다. 19세기 초 한국은 국가의 정치적 주권은 상실하지만, 민족국가 수립을 위한 주권 탈환에의 노력과 민족의 문화적 정체성 확립의 노력은 계속된 시기이다. 또 이 시기 한국불교는 자기정체성의 확립과 현대사회에의 적응이라는 이 두 상호 모순하기 쉬운 과제를 안고 있었다. 이 두 과제 가운데 전자를 위해 노력한 이들은 선불교의 부흥을 통해서 자신들의 과제를 성취하려고 하였다. 선불교의 정체성을 강조하는 글들을 모은 『禪門撮要』는 19세기 초에 편집되어 전통불교의 수호를 통한 한국불교의 정체성 확립에 노력한 이들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였다. 전통불교 부흥의 대표적인 인물인 경허와 백용성은 『禪門撮要』의 편집, 번역, 대중적 보급과 깊은 관련이 있다. 『禪門撮要』 하권은 한국 승려들의 글들만 모은 것인데 이는 당시의 민족 문화의 정체성 확립 노력과 관계가 있다. 특히 『禪門撮要』 하권의 반을 차지하는 지눌의 글은 민족주의와 결부되면서 이후 선불교 교리서를 넘어서 한국의 고전이 되었다. The classics are intimately associated with the tradition of the society. The classics contribute for the formation of the tradition, and the tradition requires and looks for the classics. In the early 19th century, Korea lost her political sovereignty, but her people tried to recover the sovereignty and to establish cultural identity. In the other hand Korean Buddhist society has the two historical tasks: finding of self identity and adapting to the modern society. These two tasks look contradictory and Buddhists are divided in taking over one of these two tasks. Those who gave priority to the finding of self identity believed that their task could be obtained through the resurrection of Seon Buddhism. Sunmunchwalyo is an anthology of the traditional Seon writing which emphasizes the superiority of Seon over doctrinal Buddhism, and is published in 1907. This book provided ideological basis for Seon Buddhism. Geyongheo and Baek Yongsung, the two great advocators of Seon Buddhism in the early 19th century contributed for the compilation, translation, and distribution of this book. Sunmunchwalyo volume two is composed of Korean monks' writings. This has to do with Korean people's efforts to establish cultural identity of Korea of the time. Later Jinul's writings in this volume became one of the representative classic in Korea.

      • KCI등재

        정토신앙에서 '회향'에 대하여

        김춘호 한국정토학회 2021 정토학연구 Vol.35 No.-

        Can the merit and virtue built up through praying lead to the rebirth into the Pure Land (往生) of others? It is a question of whether a person can transfer his/her own merit (善果) to others. The typical concept of offering merit and virtue others in Buddhist tradition is called the merit transference(廻向). It is also the core concept of the Mahayana Buddhism, which emphasizes the practice the Bodhisattva Path (菩薩道), and the Pure Land Belief, which relies on Amitabha’s original vow (本願), is also based on this merit transference. This study intended to discuss how merit transference is described specifically in the Pure Land Belief. It confirmed that the logic of prajna globe (般若空) and causal relation (緣起) is working as the basic doctrinal principle of the merit transference before examining the merit transference in the Pure Land Belief in earnest. It also confirmed the circular characteristic of the merit transference where the person, to whom the merit is transferred, re-transfer the merit to another through joy (隨喜). The sutra of the Pure Land Belief also emphasize the merit transference. Most of all, the 20th and the 22nd vows out of 48 vows mention merit transference. However, it emphasizes merit transference as one of the ways to be reborn into the Pure land unlike Prajna Sutra or Avatamsaka Sutra that emphasize merit transference as the prerequisite for the fulfillment of Buddha’s way. Merit transference becomes more concrete and systematized in the Pure Land Belief by high priests. Vasubandhu (世親, 400-480) emphasized the altruism in the Pure Land Belief by choosing the Gate of Merit Transference (廻向門) as one of the Five Gates of Recollection (五念門) that the followers of the Pure Land Belief shall practice. Damran (曇鸞, 476-542) succeeded to this and divided and systematized merit transference into Outgoing Merit Transfer (往相) and Returning Merit Transfer (還相) to complete the basic framework of the Pure Land Merit Transference. Dojak (道綽, 562-645) explained and emphasized the five virtues of the merit transference, and Sondo (善導, 613-681) succeeded to the view of merit transference of Damran, and so on and emphasized resolution (決定) and sincerity (眞實心) as the person who practices merit transference. Hounen (法然, 1133-1212) introduced the concept of non-merit transference (不迴向) and saw that the prayer already includes merit transference and is the right practice (正行) for non-merit transference and that miscellaneous practices (雜行) are in need of merit transference. Sinran (親鸞, 1173-1262) defined the main agent of merit transference as Amitabha (阿彌陀佛) for ordinary people cannot have such a lofty spirit as merit transference. 자신의 염불 공덕으로 다른 이도 왕생(往生)할 수 있을까? 자신에게로 향한 선과(善果)를 타자에게로 돌릴 수 있는가라는 물음이다. 불교의 전통에서 이러한 공덕전환의 대표적인 개념이 회향이다. 보살도(菩薩道)의 실천이 강조되는 대승불교의 핵심개념이기도 한데, 아미타불의 본원(本願)에 의지하는 정토신앙 역시 이러한 회향이 바탕이 된다. 이글은 정토신앙에서 회향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설명되고 있는지를 논구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논문에서는 본격적인 정토신앙의 회향을 살펴보기 앞서, 회향의 기본적인 교학적 원리로서 반야공(般若空)과 연기(緣起)의 논리가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회향의 대상이 되는 자는 수희(隨喜)를 통해 또다시 타자에게로 그 공덕을 돌리는 회향의 순환적 성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토경전에서도 회향이 중시된다. 아미타불의 48원 중 제20원 제22원에서 회향이 언급되고 있다. 다만 회향이 불도의 완성에 필수조건으로서 강조되는 반야경전이나 『화엄경』 등과는 달리, 여기에서는 왕생의 한 가지 방법으로서 강조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정토신앙에서 회향은 정토조사들에 의해 더욱 구체화되고 체계화된다. 세친(世親, 400-480)은 정토행자가 행해야 할 오념문(五念門)의 하나로 회향문(廻向門)을 위치시킴으로써 정토신앙에서 이타성을 강조한다. 담란(曇鸞, 476-542)은 이를 계승하는 한편, 회향을 왕상(往相)과 환상(還相)으로 나누어 체계화함으로써 정토회향의 기본 틀을 완성시킨다. 도작(道綽, 562-645)은 회향의 5가지 공덕을 설하며 이를 강조하고 있고, 선도(善導, 613-681)는 담란 등의 회향관을 계승하면서 회향하는 자의 마음가짐으로서 결정(決定)과 진실심(眞實心)을 강조한다. 호넨(法然, 1133-1212)의 경우 불회향(不迴向)의 개념을 사용하여, 염불은 회향이 이미 포함된 것으로서 불회향의 정행(正行)이며, 다른 잡행(雜行)은 회향이 필요한 것으로 보는 것이 특징이며, 신란(親鸞, 1173-1262)은 회향이라는 수승한 마음은 범부로서 가질 수 없는 것이므로 회향의 주체를 아미타불(阿彌陀佛)로 규정하는 것이 특징적이라고 하겠다.

      • KCI등재

        한국불교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보광 한국정토학회 2004 정토학연구 Vol.7 No.-

        The special feature of doctritional aspect in Korean Buddhism is as follows. The doctrine of Korean Buddhism set Tathagatagarbha as its basic philosophy. And then it is called as Tathagatagarbha causation when the aforementioned basic philosophy happen to take action with respect to the change of times. Korean Buddhism deeply appreciates the fundamental enlightenment of Buddha, and also it never happens to have a biased view over a certain sect. Therefore, Korean Buddhism could be mentioned as a synthetic buddhism, or a flexible buddhism, or an accommodating buddhism. As a result from taking its practical way of social action, Korean Buddhism became a defense buddhism of the country. The practice aspect of Korean Buddhism is mainly focused on Hwadu Seon. It is, however, thought to be a right training way that accommodates various training techniques in Korean Buddhism. About religious ceremony aspect, Korean Buddhism admits the ceremony of Pure Land buddhism sect, synthetic with that of Tantrc buddhism sec rather than the ceremony of Zen sect tradition. The cultural feature of Korean Buddhism is that it inherits the nations traditional culture naturally and it also looks after natural environments very well around Korean buddhist temples.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is considered as an unified buddhism, a harmonized buddhism, a synthetic buddhism. For an achievement of buddha's enlightenment, Korean Buddhism has not been insisting on only one fixed way of training methodology but has been showing open-mind attitude that admit the various ways of training techniques with respect to each trainees potential ability. This is the flexibility as well as the advantage of Korean Buddhism. Now a days there exist so many kinds of religion in Korean society, however, it could be also the special feature of Korean Buddhism that maintains a peace between various religions without religious disputes and confli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