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高靈客舍 연구

        정동락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8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3 No.-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y and shape of Goryeonggaeksa. First of all, such documentary materials as 「Goryeonggaekgwangi」 of Jo-wi(1454~1503), 『Goryeongji』 of Yi-duhun(1856~1918), and 「Gaya- gwanjungsugicho」 of Jo-byeongseon as well as recent excavation results are introduced. Goryeonggaeksa was founded by Goryeonghyeongam Sin-dam in 1493(the 24th year of King Seongjong). It consists of about 50 kan(間)s including 9 kans of Jeongcheong Gayagwan, 15 kans of Dongdaecheong Inbingak, and 15 kans of Seodaecheong Jeonilheon. Thereafter, there were many restorations, one of which in 1843(the 8th year of King Heonjong) Goryeonghyeongam Jo-byeongseon covered the 50 kans including 9 kans of Gayagwan and 15 kans of Inbingak. In time, 17 kans including 3 kans of Pyemunru were repaired, and 31 kans in total including 15 kans of Jeonilheon, and 3 kans of Gojikga were newly built, which expanded the whole site to 103 kans. Jeonpae, a symbol of King, was dedicated in Gayagwan, and in 1896, Gwolpae, a symbol of Emperor, was newly enshrined. The function as a Gaeksa was discontinued in 1909, and abolished in the next year. In late 1930's, such buildings as Gayagwan and Inbingak were completely demolished. Goryeonggaeksa had Gayagwan at the center and Inbingak·Jeonilheon at the sides, which formed a ‘П’ shape. Inbingak had 3 kans(two floors and one ondol) at the right side of Gayagwan and the rest of 5 kans at the Southern part. Jeonilheon had the same plan. There were 3 kans of Pyemunru at the Southern part of Inbingak, and the two buildings we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3 kans of Hwaenggak. In addition, Naesammun and Wesammun were arranged in the same line with Gayagwan. The pond was located at the Southern part of the garden in Gayagwan, and Gaeksa was surrounded by fences. Gayagwan was a gable roof building in Yiikgong Oyrangga that consisted of 3 kans in the front(facing the south) and 3 kans at the side, while Inbingak was a hipped-and-gable roof building in Yiikgong Oyrangga which consisted of 5 kans at the front(facing the west) and 3 kans at the side. Goryeonggaeksa was founded in the late 15 century, used as the central building of Goryeonggwana for more than 400 years, and then ruined upon the fall of Joseon Dynasty. 이 글은 高靈客舍의 연혁과 건축의 배치형태 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먼저, 曺偉(1454~1503)의 「高靈客館記」와 李斗勳(1856~1918)의 『高靈誌』, 고령현감 趙秉璿의 「伽倻館重修記草」 등 문헌자료와 최근의 발굴 성과를 소개하였다. 고령객사는 1493년(성종 24) 고령현감 申澹이 건립하였는데, 正廳인 伽倻館 9칸과 동대청인 寅賓閣 15칸, 서대청인 餞日軒 15칸 등 대략 50여 칸의 규모였다. 이후 여러 차례 중수하였으며, 1843년(헌종 8)에는 고령현감 趙秉璿이 가야관 9칸, 인빈각 15칸 등 55칸을 중수하였으며, 폐문루 3칸 등 17칸은 보수하였고, 전일헌 15칸과 庫直家 3칸 등 31칸은 새로 건립해 규모가 103칸 정도로 확장되었다. 가야관에는 왕을 상징하는 殿牌를 모셨으나, 1896년에는 황제를 상징하는 闕牌를 봉안하였다. 1909년에 객사의 기능이 정지되었으며, 이듬해에 폐지되었다. 1930년대 후반에 가야관과 인빈각 등의 건물도 완전히 철거되었다. 고령객사는 가야관을 중심으로 좌우에 인빈각·전일헌을 ‘П’형으로 배치하였다. 인빈각은 정면 5칸 중 마루 2칸․온돌 1칸 등 3칸을 정청의 우측에 붙이고, 나머지는 남쪽 전면으로 나와 있다. 전일헌도 동일한 평면구조였다. 인빈각의 남쪽에는 3칸의 폐문루가 있고, 횡각 3칸으로 두 건물을 연결시켰다. 아울러 내삼문과 외삼문은 가야관과 일직선상에 배치되었다. 연못은 가야관의 남쪽 정원에 위치했으며, 객사 주위에는 담장을 둘렀다. 가야관은 남향의 정면 3칸, 측면 3칸의 이익공 5량가 판대공의 맞배지붕 건물이며, 인빈각은 서향의 정면 5칸, 측면 3칸의 이익공 5량가 판대공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고령객사는 15세기 말 건립되어 400여 년 이상 고령관아의 중심 건물로 유지되다가 조선왕조와 운명을 함께하였다.

      • KCI등재후보

        傳 고령 출토 가야금관의 출토지

        정동락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22 文物硏究 Vol.- No.41

        National Treasure No.138 Gaya Golden Crown was designated as the title of ‘Former Goryeong Golden Crown and Accessories’ on December 21st in 1971. The place that holds it presently is LEEUM which is previously known as Ho-Am Art Museum. So far, the find-spot of Gaya Golden Crown has been introduced as ‘Former Goryeong’, and it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articles excavated from ‘Goryeong Jisan-dong Ancient Tombs’. Jisan-dong No.45 and No.44 Tombs are often pointed out, but this has not been published in journals or such. Some have suggested it should have been excavated from ‘Dalseong Hyeonpung’, but this has failed to receive favorable responses. There are limitations that Gaya Golden Crown is an illegally excavated article and there is lack of ground materials, so it has been hard to fix the exact excavation of it firmly.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this author compared the Golden Crown and some accessories designated along with it with articles excavated from Jisan-dong No.45 Tomb.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hemispheric accessories that LEEUM holds and cucumber seed-shaped accessories are exactly the same as those found in Jisan-dong No.45 Tomb in terms of the forms and sizes. Furthermore, the golden earrings, too, have very similar forms. Therefore, it is highly possible that Gaya Golden Crown was excavated from Goryeong Jisan-dong Ancient Tombs, particularly Jisan-dong No.45 Tomb. Yet, as far as the fact that Gaya Golden Crown and such are illegally excavated articles are concerned, it is even more possible that they were excavated from Jisan-dong No.44 Tomb in consideration of the forms. [국문요약] 가야금관은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이라는 명칭으로 1971년에 국보 제138호로 지정되었다. 현재 소장처는 리움미술관(LEEUM, 구 호암미술관)이다. 지금까지출토지는 ‘傳 고령’으로 소개되었고, ‘고령 지산동고분군’ 출토품으로 파악되어 왔다. 지산동 45호분과 44호분이 지목되기도 했다. 하지만, 어떤 이유에서인지 학술논문으로 발표되지는 않았다. 일각에서는 ‘달성 현풍’ 출토설이 제기됐지만, 큰 호응을 받지는 못했다. 가야금관은 도굴품이라는 한계점과 근거자료의 부족 등으로 정확한 출토지를 확정하기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이에 금관과 함께 일괄 지정된 일부 장신구와 지산동고분군 출토품을 서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리움 소장 半球形장식과 외씨모양 장신구 등은 형태와 크기가 지산동 45호분의 그것과 일치하였다. 아울러, 금제 귀걸이 역시 거의 동일한 형식이었다. 따라서, 가야금관은 고령 지산동고분군, 그 중에서도 지산동 45분에서 출토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다만, 가야금관이 도굴품이라는 사실을 고려하고, 세움장식의 양식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지산동 44호분 출토품일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이 글이 가야금관의 가치와 의미를 재발견하고, 대가야의 문화적인 위상을 재정립하는 데 보탬이 되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신라하대 實相山門의 禪師들

        정동락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2 민족문화논총 Vol.82 No.-

        이 글은 9세기 전반 홍척의 귀국으로부터 10세기 초반 후삼국 정립기까지실상사를 중심으로 활동한 선사들을 살펴본 것이다. 신라하대 실상산문 선사들의 활동은 선종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홍척은 선종 수용기의 선승으로, 당대부터 道義와 함께 ‘初傳僧’으로 인식되었다. 실상산문은 소위 9산선문중 가장 먼저 개창된 ‘최초의 선종산문’이었다. 특히, 홍척은 왕실의 지원으로선종의 수용과 선문개창의 효시를 이룬 특별한 선승이었다. 玄昱(787~868)은봉림산문의 開山祖로 도의・홍척 등 초전승보다 약간 늦게 귀국해 선종을 널리 퍼뜨렸다. 그는 홍척보다 10여년 뒤에 귀국해 3년 정도 실상사에 머물렀다. 현욱의 실상사 주석은 산문의 법통이 바뀐 것이 아니라, 홍척을 통해 신라왕실의 귀의를 받은 것으로 추정해 보았다. 홍척 이후 실상산문은 秀澈(815~893)과 片雲(?~910)으로 계승되었다. 수철은 홍척을 계승한 실상산문의 제2조로, 홍척을 이어 신라의 국사로 책봉되었다. 특히, 경문왕에서 진성여왕으로 이어지는 경문왕계 왕실과 결연하였다. 편운화상은 승탑의 명문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는 수철화상과 적통경쟁을 벌였으며, 정치세력으로는 후백제 견훤정권과 연결되었다. 수철과 편운은 홍척을 이은 2세대 선승이었다. 둘은 사형제 사이로 각각 신라와 후백제와 결합되면서, 법계를 둘러싼 치열한 경쟁의 전개과정을 잘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신라의 加良岳 제사와 가야산 牛頭峰 유적 - 檀君유적의 이해를 위하여 -

        정동락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6 민족문화논총 Vol.6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whether Silla’s mountainous belief originated from Gojoseon and the position of Dangun relics found in Mt. Guwol or such. Also, this study investigates Silla’s Garyangak memorial service and the places for the ritual. Silla’s mountainous belief can be associated with that of ‘Chosun's drifting people(朝鮮遺民)’. Mt. Guwol’s Dangun Cheonwangdan(檀君天王祠), Mt. Myohyang’s Dangun-sa(檀君祠 : Dangun Shrine), and Mt. Mani’s Chamseongdan(塹星壇) are all representative examples of Dangun relics. These relics succeeded to Gojoseon’s mountainous belief, and the ritual places were all located on the top of the mountain. Garyangak was a mountain representing Gaya including Daegaya. In Daegaya, they held a memorial service for Mt. Gaya spirit(加耶山神) Jeonggyeonmoju(正見母主), the main character of the birth myth of that nation and propositus god of the royal family, as a national festival. The shrine must have been Jeonggyeonmoju Shrine(正見母主祠). After the collapse of Daegaya, Garyangak was incorporated into Silla’s national ritual system(祀典). ‘Udubong relics’ are located on the crest of Mt. Gaya. Earthenware or pottery pieces that have been collected there may have been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laying in the mountain. However, roof tile pieces, the miniature horse making steel and earthen(鐵製·土製馬), or bronze bells prove that these relics must be places equipped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Udubong is estimated to be a ritual place for holding mountainous memorial services in Silla. There is a shrine(Jeonggyeonmoju Shrine) on the crest of Udubong, and Garyangak memorial service must have been held there. 이 글에서는 신라의 산악신앙이 古朝鮮에서 연원했을 가능성과 九月山 등 檀君유적의 입지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신라 加良岳 제사와 그 祭場을 검토하였다. 신라의 산악신앙은 ‘朝鮮遺民’의 그것과 연결될 수 있다. 九月山의 檀君天王壇, 妙香山의 檀君祠, 摩尼山의 塹星壇 등은 대표적인 단군유적이다. 이 유적들은 古朝鮮의 산악신앙을 계승하였고, 그 제장은 산 정상부에 입지한 공통성을 지닌다. 가량악(加耶山)은 대가야를 비롯한 가야를 대표하는 산악이었다. 대가야는 건국신화의 주인공이자 왕실의 시조신인 加耶山神 正見母主에 대한 제사를 國家祭典으로 거행했다. 그 神祠는 正見母主祠였을 것이다. 대가야 멸망 이후 가량악은 신라의 국가 祀典(小祀)으로 편입되었다. ‘牛頭峰 유적’은 가야산 정상부에 입지하고 있다. 이곳에서 채집되는 토기나 자기편은 遊山과정에 발생했을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기와편과 鐵製·土製馬, 청동방울 등은 이 유적이 특별한 성격을 지닌 곳임을 증언한다. 즉, 우두봉은 신라 산악제사의 제장으로 추정된다. 우두봉 정상에는 神祠(정견모주사)가 있었고, 이곳에서 가량악 제사가 거행되었을 것이다.

      • KCI등재

        于勒의 생애와 활동 - 정치적 측면을 중심으로 -

        정동락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9 민족문화논총 Vol.42 No.-

        于勒은 490년대 무렵 대가야의 省熱縣에서 출생하였다. 당시 성열현은 정치ㆍ문화적으로 앞선 지역이었으며, 대가야의 왕명이 직접 관철되는 곳이었다. 우륵은 성열현의 문화적 특성을 바탕으로 자신의 역량을 키워나갔다. 그 후 520년대 초반경 嘉實(悉)王의 부름을 받고 대가야의 都城으로 入京하게 된다. 우륵을 소환한 가실왕은 아마도 522년 신라와 결혼동맹을 맺은 異惱王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5세기 후반 대가야는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고, 이를 배경으로 오늘날 전라도 일원에까지 이르는 광범위한 권역을 아우르는 국가로 발전하였다. 하지만, 6세기에 들어와 섬진강 유역에 대한 백제의 공세가 강화되면서 대가야권 세력들이 잠식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실왕은 유교적인 禮樂사상을 바탕으로 한 대가야권 통합정책을 추진하였다. 이에 대내적으로 정치개혁과 강력한 왕권을 추구하였고, 대외적으로는 백제의 東進에 대응하여 신라와의 동맹을 추진하였다. 가실왕은 개혁 추진을 위해 성열현 출신의 우륵을 전격 발탁하였다. 이는 자신을 지지할 세력으로 기왕의 정치세력이 아니라, 우륵으로 대표되는 성열현 세력을 선택했음을 의미한다. 우륵은 가실왕의 이념을 뒷받침하기 위해 가야금 12곡을 작곡하였다. 그 시기는 520년대 전반이었을 것이다. 가실왕의 개혁은 내부세력의 반발과 신라의 영토확장 욕구 등과 맞물려 529년 결혼동맹이 파기됨으로서 동력을 상실하게 되었다. 더하여 532년 금관가야의 멸망으로 신라의 공세는 더욱 강화되어 갔다. 대가야의 정국도 급속히 냉각되어 친신라파가 몰락하고, 친백제파가 주도권을 장악하게 된다. 아마도 그 언저리 즈음에 가실왕이 사망하고 친백제파의 공세는 더욱 강화되었던 듯하다. 이에 우륵은 가야금을 품에 안고 신라로 망명할 수밖에 없었다. 아마 그 시기는 540년대 후반 경으로 짐작된다. 신라로 망명한 우륵의 행로는 순탄치 않았다. 그는 삼국의 대치가 극심했던 변방의 국경지대였던 충주로 安置되었다. 충주에서 우륵은 가야금을 통해 진흥왕의 주목을 끌었지만, 다시 경주로 들어가 최고지배층으로 편입되지는 못하였다. 대신, 그의 신라인 제자들에 의해 신라적으로 변용된 가야금곡이 신라 大樂으로 정착되었다. 우륵의 정치적인 망명은 성공적이지 못하였지만, 음악가로서의 선택은 어느 정도 성공했던 셈이다. 한편, 우륵의 망명은 개인적인 차원이 아니라 출신지인 성열현 세력과 연관되어 이루어졌던 듯하다. 성열현은 지리적으로 국경 요충지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王都의 직할현과 유사한 성격으로 편제되었던 듯하다. 이곳은 신라와의 접경지대로 양국의 대립 충돌이 빈번하였지만, 신라문화의 영향을 쉽게 받을 수 있는 이중적인 성격을 지닌 곳이었다. 우륵의 망명은 성열현의 이탈로 이어졌고, 대가야가 신라에 멸망당하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Uruk was born in Seongyeol-hyeon, Daegaya around the 490s. At that time, Seongyeol-hyeon was a politically and culturally advanced place where Daegaya king’s order was directly carried out. Uruk improved his ability based on the cultural properties of Seongyeol-hyeon. Later, He came up to the capital city in Daegaya by the order of King Gasil in the early 520s. King Gasil who called Uruk was possibly King Inei who concluded a marriage alliance with Silla in 522. Daegaya accomplished the rapid growth in the late 5 century, and based on it, it developed into a country that occupied wide-spread territory to the whole area of today’s Jeolla Province. However, as Baegje’s offensive was intensified, Daegaya’s sphere of influence weakened. In such a situation, King Gasil pursued incorporation policy based on Confucian Ye-Ak(禮樂) thoughts. Therefore, he pursued policy reforms and strong royal authority domestically and abroad promoted an alliance with Silla to cope with Baegje. King Gasil selected Uruk of Seougyeol-hyeon birth, which means that he selected Seongyeol-hyeon power represented by Uruk for his supporters, not the past political forces. Uruk composed twelve pieces of Gayagum to support King Gasil’s ideology when it was around the early 520s. King Gasil’s reforms lost its motive due to opposition of the inside power and Silla’s desire for territorial expansion by canceling a marriage alliance in 529. In addition, the fall of GeumgwanGaya in 532 made Silla’s offensive more intensified. The political situation of Daegaya cooled down so rapidly that the pro-Silla group collapsed and the pro-Baegje group took the initiative. Around the period, King Gasil possibly died and the offensive of the pro-Baegje group was more intensified. Therefore, Uruk could not but come to Silla as an exile with his Gayagum, and the period seemed to be in the late 540s. Uruk who took refuge in Silla didn’t live smoothly, and he was enshrined in Chungju that was a border area of edges of severe confrontation of the Three States. He attracted King Jinheung’s attraction in Chungju through Gayagum, but he failed to be included in top elites as returning to Gyeonju. Instead, Gayagum pieces were positioned as Silla Dae-ak(大樂) with Silla style modification by his disciples. Uruk's political asylum wasn’t very successful, but his choice as a musician was a success to some extent. Meanwhile, Uruk’s exile seemed to be made with the connection with Seongyeol-hyeon power, his birth place. Since Saengyeol-hyeon was geographically located in the key point of the border, it seemed to be formed like the property of Jikhalhyeon(直轄縣) of the capital. This place was the Silla’s border where both countries conflicted with each other often, but in turn it could be easily affected by Silla culture. Uruk’s exile was connected to the withdrawal from Seongyeol-hyeon, and it is considered as the cause of the fall of Daegaya by Silla.

      • KCI등재

        通曉 梵日(810-889)의 生涯에 대한 재검토

        정동락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1 민족문화논총 Vol.24 No.-

        Bum-il's family name is Kim. His grand father was of Jin-gol noble(眞骨貴族) birth and served as a governor-general of Myung joo (溟洲都督) and then settled down in Myung-joo province, sharing his political fate with Kim Joo-won(金周元). When it came to his father's days, his family emerged as a local power. Buddhistic atmosphere of his family and Shilla government's check toward his family, which was caused by a revolt of Kim Hun-chang(金憲昌), motivated him to become a buddhist priest. He is believed to have entered the priesthood to escape from such a crisis. There is a view in Nak-san temple(落山寺) that Bum-il was a pupil of Eui-sang(義湘). The view is believed to have come out because he once studied Hwa-um(華嚴) of Eui-sang. It is inferred that he received the buddhist commandments(具足戒) in Hwang- ryong temple(皇龍寺), Kyung-joo(慶州). Bum-il, who had been recognized in the arena of Kyung-Joo buddhists, accepted Sun-jong(禪宗) through the study in Dang(唐). It is inferred that he decided to go to Dang because of changing atmosphere of buddhist arena, his interests in Sun-buddhism(禪佛敎), introduction of Sun-buddhism and acquirement of fame through studying abroad. After arriving in China, he consulted Yeum-kwan Je-an(鹽官 齊安) and Yak-san Yoo-um (藥山 惟儼), the pupils of Majo Do-il(馬祖 道一). In other words, he consulted Sukdoo Hee-chun(石頭 希遷)'s faction even though he follewed Majo' theory. It shows that he lived in the transition when the successor of buddhist priests in late Shilla, early Ko-ryo(高麗) age was being transferred to Suk-doo faction from Majo faction. The direct reason why he returned to Shilla from Dang was the persecution policy against buddhism in the years of Hwoi-chang(會昌廢佛) during the regin of Moo-jong (武宗) and the fact that he wanted to introduce Namjong-sun(南宗禪), which he learned in Dang. In addition to the reason, his desire to display his abilities to the full and be recognized by Shilla society played a crucial role in his coming back to Shilla. He established SanMoon(山門) and stayed in Koolsan temple(堀山寺) for 40 years after Kim-gong(金公), the governor-general of Myung-joo, asked him to stay in Koolsasn temple. The regional relation-his native place was Myung-joo- and the invitation from Kim-gong, who wanted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him, brought him to Myung-joo. While staying in Koolsan temple, he maintained a passive attitude toward Shilla loyal family and kept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loyal family. That was because of a sense of his disappointment after he saw what was going on in the political arena of Shiila and the loyal family-mainly revolts to take power and deep-rooted antagonism and divisions between political powers. In addition to the reason, the relation of his political base and Koolsan temple with the faction of Kim Joo-won and the fact that public sentiment was going far away from Shilla government and the loyal family were the other reason to cause him to stay away from Shilla government and the loyal family. Bum-il, who had been dedicated to passing the buddhist commandments on and education, training disciples for 40years after Koolsan-moon(堀山門) was founded, passed into Nirvana in the third year of Queen Jin-sung. In the epitaphs of Nang-won Kae-chung(朗圓 開淸), one of his pupils, he was described as a person who combined both Sunjong and Kyojong. Choi Chi-won(崔致遠) described him as a person with high virtue and morality and said that he deserved to become a master of King.

      • 나말려초 굴산문 범일과 삼척지역

        정동락 한국이사부학회 2015 이사부와 동해 Vol.10 No.-

        이 글은 나말려초 崛山門을 개창한 梵日선사와 삼척지역과의 관련성과 그 의미 를 살펴본 사례 연구이다. 굴산문과 범일, 그리고 삼척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 었다. 삼척은 범일이 三和寺를 포섭하면서, 범일 당시부터 그 세력권에 속하였다. 그 후 굴산문이 세력을 확대하는 거점지로 기능하였고, 굴산문은 영동과 동해안 일대에서 번성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역사성을 토대로 범일은 삼척지역의 불교문화 를 꽃 피운 神僧으로써 존숭받았다. 강릉지역에서 범일이 神的인 존재로 ‘大關嶺 國師城隍神’으로 모셔졌던 것에서도 이를 짐작할 수 있다. 이에 삼척지역의 삼화 사, 天恩寺, 靈隱寺, 新興寺 등에서 ‘범일국사 창건설화’가 창출될 수 있었다. 하지 만, 삼화사를 제외한 사찰은 범일 혹은 굴산문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 같지는 않 아 보인다. ‘범일 창건설화’는 범일과 굴산문을 염두에 두면고 조선시대 이후에 정 착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영동지역을 중심으로 범일과 굴산문의 영향력과 위상이 높았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현상으로 여겨진다. This writing is a case study to investigate the relevancy between Beomilseonsa who founded Gulsanmun at the end of Silla and the beginning of Goryeo and Samcheock area and the meaning. Gulsanmun and Beomil, and Samcheock had close relationships. As Beomil embraced Samhwasa, Samcheock belonged to the sphere of influence from the time of Beomil. Since then, Gulsanmun acted as a base to expand power and it could flourish in the area of Yeongdong and east coast area. Based on such historical background, Beomil was respected as a hold monk who blew Buddhist culture in Samcheok area. It can be guessed from the fact that Beomil was enshrined as 'Daegwanryeongguksa-seonghwangsin' as a god-like existence in Gangneung area. Thus, Samhwasa, Cheoneunsa, Yeongeunsa, and Sinheungsa in Samcheock area could create 'Beomilguksa Foundation Tale'. However, it does not seem that temples except Samhwasa have direct relationships with Beomil or Gulsanmun. It seems that 'Beomil Foundation Tale' was settled since Joseon dynasty bearing Beomil and Gulsanmun in mind. This seems to be a symbolical phenomenon showing that influence and status of Beomil and Gulsanmun were strong and high with Yeongdong area as a ce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