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품디자인에서 지각된 심미성유형과 자아해석유형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효과

        최낙환,이대환,임아영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6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디자인 심미성과 메시지 간의 매칭정도가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과, 디자인과 메시지 간의 매칭정도에 자아해석유형의 조절작용을 연구하였다. 향수병을 실증대상으로 선정하고, 심미성 원리를 강조와 조화로, 자아해석을 독립적 자아해석과 상호의존적 자아해석으로 구분하여 2(심미성: 강조, 조화)×2(자아해석: 독립적, 상호의존적)로 실험을 설계를 하고 검증하였다. 첫째, 독립적 자아해석 성향의 소비자는 강조 심미성의 디자인제품을 더 선호하였으며, 상호의존적 자아해석 성향의 소비자는 조화 심미성의 디자인제품을 더 선호하였다. 둘째, 소비자가 조화(강조)심미성 디자인과 조화(강조)메시지로 구성된 광고에 노출되었을 때, 심미성과 메시지 간의 매칭정도를 지각하며, 이것이 제품 평가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강조 심미성을 강조한 광고에서, 독립적 자아해석집단이 상호의존적 자아해석 집단보다, 심미성과 메시지의 매칭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조화심미성을 강조한 광고에서는 두 집단 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식별되었다. 마케터는 광고에서 디자인 심미성과 자아해석을 토대로 심미성을 강조하는 관리를 해야 한다.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o far to investigate how consumers react to certain aesthetics in compliance with their self-construals.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the level of matching between aesthetic design and copy message may exercise upon their product evaluation, and moderating roles of types of self-construals on the effects. This paper used between-subject experimental design of 2 (design aesthetics: emphasis vs harmony) × 2 (self-construals: independent vs dependent). Perfume bottles were selected as the empirical ob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independent -construals consumers were found to favor more the goods with design of emphatic aesthetics than those of harmonious aesthetics, while dependent-construals consumers were more fond of the products with design of harmonious aesthetics than those of emphatic aesthetics. Second, consumers perceiving more intensively the level of matching between aesthetic design and message showed positive evaluation of the perfume goods advertised. Third, the emphatic aesthetics perceived from the advertisements of emphatic aesthetics could exercise more positive impacts upon the level of matching between emphatic design and emphatic message in the independent group than in the dependent group. Marketers should therefore endeavor to manage advertisement design with a focus on aesthetic design and copy messages according to consumers’ self-construals.

      • KCI등재

        도시 생활구조물 활용을 위한 CIGS 태양전지 심미성 향상 제품디자인 개발융합연구

        조재윤,장희수,정제윤,남원석,장중식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4

        본 논문은 도시 생활구조물 활용을 위한 CIGS 태양전지 심미성 향상 제품디자인 개발융합연구로써, 기존 태양 전지 패널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제품디자인의 심미성 요소를 바탕으로 설문조사와 FGD [전문가 집단 토론]를 통해 CIGS 태양전지 심미성 향상을 위한 전문적인 심미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심미성 요소 중 ‘환경 조화성’, ‘패턴 균형성’, ‘시대 보편성’ 이렇게 상위 3종을 콘셉트로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심미성 향상을 위한 CIGS 태양전 지 모듈 디자인과 어셈블리 디자인을 도출하였으며, 제품 시뮬레이션을 통해 아파트, 베란다와 창호, 스트릿퍼니처에 적용했다. 본 연구는 추후 실제 도시 생활구조물에 활용해 심미성과 CIGS태양전지의 기능을 적용하기에 적합하며, 향 후 연구방향은 다양한 패턴과 구조적 디자인개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paper is a product design convergence study to improve the aesthetic quality of CIGS solar cells for utilizing urban living structures, identifying problems of existing solar cell panels and drawing expert aesthetic elements for improving CIGS solar cells through survey and [Group discussion of experts] based on aesthetic elements of product design. Out of the aesthetic elements derived, the top three models of the product design process were 'environmental harmonization', 'pattern balance', and 'period universality' to derive the design and assembly design of the CIGS solar cell module for improving aesthetic quality, and applied to apartments, veranda, windows, and streetcar through product simulation. This study is suitable for applying aesthetic and CIGS solar cell function later to actual urban living structure,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needs to be studied on various patterns and structural design development of design.

      • KCI등재

        심미성과 사용성: 제품 선택에서의 문화차

        곽해리 ( Hae Lie Kwak ),김봄메 ( Bom Mae Kim ),손영우 ( Young Woo Sohn ) 한국감성과학회 2011 감성과학 Vol.14 No.3

        본 연구에서는 구매 의사결정에서 소비자가 심미성과 사용성 중 어느 제품 속성에 우선적인 가치를 부여하고 제품을 선택하는지 알아본다. 최근 독일에서 진행된 연구에 의하면, 사람들은 외관 디자인이 뛰어난 제품을 선호하지만 실제로 제품을 선택할 때는 심미성을 상대적으로 중시하지 않았다(Diefenbach & Hassenzahl, 2009). 개인적 가치를 중시하는 개인주의 문화(예, 독일)에 비하여 집단주의 문화(예, 한국)에서는 타인으로부터 인정받는 것을 매우 중시한다. 한국에서는 사람들이 인지하기 쉬운 제품 속성(심미성)이 그렇지 않은 제품 속성(사용성)보다 우선될 것이다. 독일에서 실시된 연구를 한국에서 동일한 절차로 재연한 결과, 예상한대로 참가자들은 심미성에 우선적인 가치를 두고 제품을 선택하였다. 참가자들은 심미성에 있어서는 가격이 비싸더라도 심미성이 높은 제품을 더 많이 선택한 반면, 사용성에 있어서는 사용성이 높지 않더라도 가격이 싼 제품을 더 많이 선택하였다(연구 1). 심미성과 사용성이 상충하는 경우에는 사용성이 낮더라도 심미성이 높은 제품을 더 많이 선택하였다(연구 2). 개인의 사회인정 욕구를 살펴본 결과, 심미성이 높은 제품을 선택한 참가자는 심미성이 낮은 제품을 선택한 참가자보다 사회인정 욕구가 높았으나 사용성에 있어서는 그러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We explore the priority between product attributes such as aesthetics and usability in consumer decision-making. In the recent study in Germany, consumers preferred a visually beautiful product but discounted the value of aesthetics in actual product choice (Diefenbach & Hassenzahl, 2009). In contrast to the individualistic culture which values personal needs(e.g., Germany), recognition from other members has great importance in the collectivistic culture (e.g., Korea). We propose that Korean consumers weigh greater value on the attribute easily perceived from the product appearance (i.e., aesthetics). We replicated the procedure of the study conducted in Germany. As expected, participants highly valued aesthetics rather than usability in product choice. As for aesthetics, participants were likely to choose an expensive but beautiful product; on the contrary a less expensive and less usable product were likely to be chosen as for usability (Study 1). Moreover, usability was sacrificed for aesthetics in the trade-off condition (Study 2). The participants who chose the beautiful product reported higher social recognition desire whereas no difference was shown with respect to usability.

      • KCI등재

        스마트폰의 심미성이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

        오의택 ( Eui Taek Oh ),박민용 ( Min Yong Park ) 한국감성과학회 2012 감성과학 Vol.15 No.2

        본 연구는 작업속성에 따른 스마트폰의 심미성이 주관적 사용성과 객관적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기존의 여러 연구에서 심미성이 주관적 사용성과 객관적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지만, 아직까지도 심미성과 객관적 사용성의 관계는 모호했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기능을 가지지만 다른 심미성을 가진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36명의 피실험자에게 3가지 타입의 작업(정보입력작업, 정보검색작업, 정보유희작업)을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이때의 수행도와 주관적 평가가 기록되었다. 그 결과 높은 심미성이 낮은 심미성에 비해 주관적 사용성이 사용 전과 후에 높게 평가되었지만, 사용 전에 비해 사용 후에는 그 차이가 줄어들었다. 또한 심미성이 높은 것이 작업수행시간이 더 오래 소요되었다. 하지만 작업속성과 심미성에 의한 교호작용은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심미성은 감성적 만족도뿐만 아니라 다양한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용성 평가에서 심미성이 주관적 사용성과 객관적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할 수 있게 해줄 것이라고 기대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esthetics of smartphones on subjective and objective usability by the task factors. Although several studies have focused on the effects of aesthetics on subjective and objective usability, correlation between aesthetics and objective usability is ambiguous. Using smartphones which have same functions but different aesthetics, thirty-six subjects were asked to complete one of 3 types of tasks (inputting information, searching information, enjoying information). Both performance data and subjective measures were recorded. The results showed that high aesthetics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usability than low aesthetics before and after use, with smaller difference after use. High aesthetics seemed to yield longer task completion times. But objective usability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both task factors and aesthetic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esthetics may have multiple effects that go beyond affective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predict effects of aesthetics on subjective and objective usability in usability testing.

      • KCI등재

        희소성과 심미성이 제품가치평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현경,김형준 한국상품학회 2019 商品學硏究 Vol.37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s of scarcity and aesthetics on the evaluations of product values and purchase inten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duct types. The study divided situations into a situation with high(low) scarcity and high(low) aesthetics and divided the product types into a utilitarian good and a hedonic good. Prior to the main verification, the product types and the scarcity/aesthetic situations were manipulated through manipulation check, and eight manipulated products in total were used in the main experimental verification. First, as a result of a verification of the evaluations of product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with high scarcity and high aesthetics, it turned out that in a situation with high scarcity/aesthetics, the evaluations of product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were more positive. In addition, consumers exposed to the situation with high scarcity and high aesthetics, too, made higher evaluations of product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Second, as a result of a verific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pacts of scarcity and aesthetics on the evaluations of product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product type, when exposed to the situation with high scarcity and the situation with high aesthetics, consumers had an interaction effect on more positive evaluation in symbolic value, emotional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On the other hand, for functional value, they made more positive evaluations of both product types, when they were exposed to a situation with high scarcity and a situation with high aesthetics, but there was no great interaction effect. As a result of this study, when consumers are exposed to a situation with high scarcity and high aesthetics, they show positive evaluations of the overall valuation of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 which implies that a situation where a product has scarcity and aesthetic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products can increase the values of the product by making them make high evaluations of the scarcity value and aesthetic value of the product. 본 연구는 희소성과 심미성이 제품가치평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제품 유형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는 희소성과 심미성(높은 상황 vs. 낮은 상황) 및 제품유형(실용재 vs. 쾌락재)을 조작화하여 검증하였다. 본 검증에 앞서 조작검증을 통해 총 8개의 조작물이 본 실험검증에 사용되었다. 희소성과 심미성이 높은 상황에 따른 제품가치평가 및 구매의도를 검증한 결과, 희소성과 심미성이 각각 높은 상황과 두 요인이 모두 높은 상황에 노출된 소비자들은 제품가치평가 및 구매의도를 더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소성과 심미성이 제품 유형에 따라 제품가치평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희소성과 심미성이 높은 상황에 노출된 소비자들은 상징적 가치, 감정적 가치, 구매의도에서 더 긍정적인 평가와 상호작용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기능적 가치의 경우 두 제품유형 모두 희소성과 심미성이 각각 높은 상황에 노출된 경우에 더 긍정적인 평가는 보였지만 상호작용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반면에 희소성과 심미성이 모두 높은 상황에 노출된 경우 소비자들은 제품가치평가 및 구매 의도에서 모두 긍정적인 평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소비자들은 희소성과 심미성이 높은 상황에 노출될 때 제품에 대한 전반적인 가치평가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평가를 보인다는 것은 제품이 희소하고 기존 제품과 다른 차별화된 심미성을 가진 상황일수록, 제품의 희소가치와 미적가치를 높게 평가하게 만듦으로써 제품에 대한 가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패션제품에 대한 심미성 반응 측정도구로서 웨어러블의 가능성 탐구

        박지수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9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7 No.4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wearables as a new tool for measuring consumer response to products by quantitatively measuring the physiological responses to the aesthetical differences (high vs. low) on the basis of product appearance; we als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physiological measurements and self-reported responses. Methods: After employing the perfume products as stimulants, we divided them in two groups on the basis of their high and low aesthetic as aspects; furthermore, we randomly assigned participants to one of those two groups. While browsing through the products, participants’ heart rates and galvanic skin responses, on the basis of their perceptions of the perfumes’ aesthetics, were measured with wearables. We also gathered the participants’ responses through self-reported surveys. Results: Differences in heart rate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 response to perceived aesthetic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we did observe an interaction between product preferences and perceived aesthetics. Products with high aesthetics and personal preferences as revealed through the surveys induced greater heart rate variability: such products also tended to cause more galvanic skin responses. Among the physiological data, skin electro-conductivity was found to have the strongest correlation with the subjective assessment of perceived aesthetics. Conclusion: We confirmed that physiological responses differ in accordance with the aesthetical levels of product appearance and are consistent with self-reported perceived aesthetics. These results can be expanded to various product groups and employed to perform marketing to consumers. 목적: 본 연구는 제품 외관의 심미성 변화(고 vs. 저)에 따른 생리적 반응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자기기입식 설문에 대한 응답과의상관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소비자 반응의 새로운 측정도구로서 웨어러블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향후 과학적 데이터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향수 제품을 대상으로 외관의 심미성이 높은 제품과 낮은 제품을 자극물로 개발한 후, 참가자를 심미성고/저 자극물에 무작위로 배정하여 웨어러블 기기와 자기기입식 설문으로 심미성 지각 반응을 측정하였다. 결과: 심미성 고저에 따른 심박수, 심박수의 변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제품에 대한 선호와 심미성 고저의 상호작용이 확인되어 심미성이 높고 개인의 선호에도 부합하는 제품은 심박수 변산을 확대함이 관찰되었다. 심미성이 높은 제품은 낮은 제품에 비해 피부전도도의 상승을 더 많은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리적 데이터 중 피부전도도만이 심미성 지각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심미성에 차이를 보이는 제품들에 대한 생리적 반응에도 차이를 보이고, 자기기입식 설문과의 연관성이 관찰됨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의 심미성 반응 측정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제품군으로 결과를 확대하고, 소비자를 대상으로 타겟 마케팅을 수행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심미성요소를 척도로 적용한 디자인유사판단 툴(Tools) 개발에 관한 연구

        서홍석(Seo, Hongseok),홍정표(Hong, Jungpyo)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6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5 No.3

        연구배경: 현행 디자인보호법상 디자인유사판단은 형태를 중심으로 정성적 비교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데, 유사여부의 객관적 근거 제시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디자인 유사판단에 있어 형태적 유사여부 판단을 보완할 수 있는 객관적 척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의 조형구성원리로서 심미성요소가 디자인유사판단에 영향을 미치며, 제품유형별 중요 심미성요소가 디자인유사판단의 객관적 척도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실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선행연구로서 디자인유사판단에 있어 심미성요소의 연관관계를 제시하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디자인유사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심미성요소를 선정하였다. 다음은 실증연구로서 설문조사를 통해 제품유형별 중요심미성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척도로 적용한 디자인유사판단 툴의 기본 개념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디자인유사판단에 심미성요소가 영향을 미치며, 영향을 미치는 심미성요소는 단순/복잡, 비례, 신규성, 강조, 율동, 조화, 통일, 균형이다. 또한 제품유형별로 중요 심미성요소가 다르게 나타났다. 전반적인 공통 중요 심미성요소는 단순/복잡, 비례, 신규성, 강조이며, 제품에 따라 중요 심미성요소를 척도로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공통 중요 심미성요소인 단순/복잡, 비례, 신규성, 강조를 척도로 디자인유사판단 툴의 기본 구조를 모형화하였다. 이는 디자인심사 실무에서 형태적 판단에 대한 보완적 방법으로 2차적 유사판단 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Background: Similar design protection law determines the current design is made there around the form, because it sees a lack of objective scale suggested the need for complementary research methods similar judgment. This study affect the shaping organizing principle similar to the aesthetic judgment as a design element in the design was to demonstrate that the product type is important aesthetic element can be used as a design similarity judgment tools. Methods: As previous studies in similar design aesthetic judgments clarify the relationship of elements, and through expert interviews were chosen on aesthetic factors influence the design similar judgment. The following was set with the basic concepts of design tools similar judgment in this measure by setting a hypothesis as empirical studies and extract the product type is important esthetic elements from the survey. Result: It exerts an influence on the aesthetic elements design similarity judgment, aesthetic elements influence is simplicity/complexity, proportion, novelty, emphasis, rhythm, harmony, unity, balance. Also important esthetic elements that were different for each type of product. The overall esthetic important common elements are simplicity/complexity, proportion, novelty, and emphasis, it will be judged as an important aesthetic elements, depending on the product. Conclusion: The derivation of this study is important esthetic elements of a common simplicity/complexity, proportion, novelty and emphasis, modeling tools to determine the basic structure of similar design.

      • KCI등재

        형태 및 심미성의 고려가 디자인유사성판단에 미치는 영향 –제품유형에 따른 판단의 정확성과 정합성 차이를 중심으로–

        서홍석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2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21 No.1

        연구배경: 본 연구는 제품디자인의 유사성판단에 있어서 형태요소만을 가지고 판단하고 있는데 형태요소뿐만 아니라 심미성요소를 함께 고려했을 경우에 제품유형에 따른 판단의 정확성 및 확신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제품유형별 중요 심미성요소를 추출하여 유사성판단 척도로 활용함으로써 판단의 정확성 및 판단 근거의 정합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실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현행 디자인유사판단 기준을 정리하였으며, 본 실증분석에 적용될 심미성요소를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선정하였다.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디자인유사성판단을 위한 제품유형 분류 및 제품군을 선정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상호작용성의 정도(상호작용이 낮은 제품 - 상호작용이 높은 제품) 및 형태의 기능성 정도(형태가 기능인 제품 - 전기적 작동이 기능인 제품)에 따라 제품유형을 분류하였다. 피험자는 통상의 디자이너 및 일반 수요자로 상정하였으며, 실험 자극물은 제품유형에 따른 기준-비교디자인 제품이미지를 제시하여 형태 및 심미성요소 항목별 양 디자인 간의 유사성 정도를 묻는 설문조사와 통계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디자인유사성판단에 있어 심미성요소는 제품유형에 상관없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심미성요소의 고려가 판단의 정확성 및 판단 근거의 정합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심미성요소의 고려가 판단 근거의 정합성을 크게 높여주며, 상호작용이 높고 형태가 기능인 제품군 및 상호작용이 높고 전기적 작동이 기능인 제품군에서 유사성판단의 정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디자인유사성판단에서 있어서 형태만을 고려하는 경우보다 형태와 심미성요소를 고려한 경우에 유사성판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며(평균 2.23% 상승), 판단 근거의 정합도(평균 7.83% 상승)를 크게 증가시킨다. 또한 상호작용성이 높은 제품군의 디자인유사성판단을 할 때는 형태뿐만 아니라 심미성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 KCI등재

        제품의 가시성 및 가격과 소비자의 심미적 성향이 소비자 구매의도와 구매 후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심미성․기능성이 상충되는 상황을 중심으로

        나다혜(Na, Dahye),정재은(Chung, Jae-Eun),차민정(Cha, Minjung) 한국소비문화학회 2017 소비문화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제품의 심미성과 기능성이 상충하는 상황에서 제품의 심미성/기능성, 가시성 및 가격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때 심미적인 제품의 선택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특성과 이러한 선택을 하는 소비자의 구매 후 평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심미성이 높은 제품의 구매의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특성으로 소비자의 심미적 성향(centrality of visual product aesthetics; CVPA)을 고려하였다. 20~40대의 298명의 여성 소비자 자료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여, 분산분석,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심미성과 기능성이 상충하는 두 제품 간의 선택 상황에서, 고심미성/저기능성 제품의 구매의도가 저심미 성/고기능성 제품의 구매의도보다 더 높으며, 이러한 경향은 소비자의 심미적 성향이 높은 경우에 한해 나타났 다. 둘째, 제품의 가시성에 따라 고심미성/저기능성 제품 및 저심미성/고기능성 제품의 구매의도 간에 극명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곧, 가시적 제품의 경우에 한해 고심미성/저기능성 제품의 구매의도가 저심미성/고 기능성 제품의 구매의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격(고가격vs. 저가격)에 상관없이 고심미성/저기 능성 제품의 구매의도가 저심미성/고기능성 구매의도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소비자의 심미적 성향과 구매 후 평가 간의 관계는 소비자의 심미적 성향이 높을수록 더욱 긍정적인 구매 후 평가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 곧 구매 후 제품만족도가 더 높은 동시에 구매 후 후회가 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로써 본 연구는 제품의 심미성과 기능성이 상충하는 상황에서 소비자들의 구매결정 및 구매 후 평가의 양상을 종합적으로 파악하 여, 소비자들이 보다 만족적인 구매를 행하도록 돕는 소비자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effect of product aesthetics, functionality, price, and product visibility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in aesthetic versus functional trade-off contexts and to explore postpurchase evaluations of consumers who are more design oriented than other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centrality of visual product aesthetics(CVPA) were posited as a consumer trait relating to design. An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and research questions. Data were gathered from 420 female subjects from 20s to 40s, and those of 298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ANOVA and t-test. Stud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purchase intentions of a high-aesthetic/ low-functioning op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a low-aesthetic/high-functioning option in aesthetic versus functional trade-offs, and this tendency was found to apply exclusively to high CVPA consumers. Secondly, the relative weight of aesthetic and functionality placed in trade-offs differed sharply according to product visibility. As such, for visible goods, purchase intentions of a high-aesthetic/low-functioning op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a low-aesthetic/ high-functioning option, while for non-visible goods, purchase intentions of a high-aesthetic/ low-functioning op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a low-aesthetic/high-functioning option. Thirdly, regardless of price, purchase intentions of a high-aesthetic/lowfunctioning op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a low-aesthetic/high-functioning option in aesthetic versus functional trade-offs. Lastly, high CVPA consumers reported more positive postpurchase evaluations than low CVPA consumers; that is, high CVPA consumers were found to experience lower postpurchase regret as well as higher postpurchase satisfaction than low CVPA consumers. This study has broadened insights into the purchase decisions and postpurchase evaluations of consumers in aesthetic versus functional trade-off contexts. It will help launch education programs or social campaigns for encouraging consumers to aim for more satisfactory purchases.

      • KCI등재

        문학교육에서 심미성 개념의 재맥락화 고찰 - ‘가상성’을 중심으로 -

        김민재 한국문학교육학회 2022 문학교육학 Vol.- No.76

        This study aims to propose directionality in which aesthetics can be recontextualized in literature education and to prepare a method by focusing on the concept of 'virtuality'. While the importance of aesthetics in literature education is emphasized, the focus of discussions is ambiguous, causing problems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To solve this problem, firstly, the changes surrounding literature education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nd examined to draw issues of discussion on aesthetics: 1) Establishing the status and form of literature due to the cultural change, 2) The rise of the importance of art and aesthetics in society and education in general, 3) Antagonistic phenomena within literature education as a domai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se three phenomena are interconnected and contain common problems in the discussion of aesthetics. To come up with a solution to this problem, ‘virtuality’ which is gaining importance in the present era, is re-examined as a central attribute of aesthetics, and theoretical grounds are prepared based on the discussion of Nietzsche and Bohrer on aesthetic appearance and the virtual world. Based on this, the direction of recontextualization of aesthetics in literature education was derived and presented: 1) genre as an alternative sense and vision presentation in the ‘post’ era, 2) the role of literature education providing the principle of artistic education, 3) the form of literature as the pattern of virtual sensory construction and the meaning of the diversity of the virtual world at the community leve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the possibility of making aesthetics more productive at the practical level by linking the theoretical dimension with the actual phenomenon of literature education. 본 연구는 문학교육의 지형 변화를 살펴 심미성이 재맥락화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며, ‘가상’ 개념을 초점화하여 그 구체화의 한 방법을 마련하고자 한다. 문학교육에서 심미성은 그 중요성이 강조되는 데에 비하여 논의의초점이 모호하여 이론적⋅실제적으로 구체성을 확보하지 못한다는 문제를 지닌다. 이 같은 문제의식하에 우선 문학교육을 둘러싼 변화를 새로운 문화적 환경에서의 문학의 위상과 형태 변화, 사회 및 교육 전반에서의 예술과 미의 중요성부상과 역량으로서의 심미성, 국어교육의 한 영역으로서 문학교육 내의 길항 관계의 세 가지로 나누어 심미성 논의의 쟁점을 고찰하였다. 이 세 가지 현상은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심미성 논의와 관련하여 목표 및 방향성 정립의 부재, 이론적 산재, 구체적인 교육 내용과 방법의 부재라는 공통의 문제를 내포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현 시대에서 그 중요성이 주목되고 있는 ‘가상성’을 심미성의 중심적 속성으로 재조명하고 니체와 보러의 미적 가상 및 가상 세계에 대한논의를 바탕으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를 토대로 문학교육에서의 심미성의 재맥락화 방향성을 포스트 시대에서의 상상적 현실과 대안적 감각으로서의 장르, 심미적 교육과 문학교육의 관계 정립, 가상적 감각 구성의 패턴으로서의 문학의 언어적 형식 및 공동체적 차원에서 가상 세계의 다양성이 지니는 의미로 나누어 논하였다. 본 연구는 문학교육이 처한 실제 현상과 이론적인 차원을 연계하여 보다 심미성이 실제적 층위에서 생산성을 지닐 수 있도록 하는 가능성을 마련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