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각지수와 미술자아개념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

        이현아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9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9 No.-

        I tries to consider Interrelation Analysis between Visual Quotient and Art-Related self concept, which have relationship with Art Eduation. And also tries to consider the meaning what this Interrelation Analysis implicates to Art Edu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h is to investigate the Visual Quotient & the Art-Related self concept analysis of research objects(students) and to 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sual Quotient and the Art-Related self concept. So I checked Visual Quotient 34 questions and Art-Related self concept 41 questions through 131 elementary 6th grade students on the May, 2019.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is that : Female students have more Visual Quotient than male students, the more experience of Art Interesting and Art Education have the more Art-Related self concept appear. Also Art-Related self concept has same results. So this research proves that more Visual Quotient has the more Art-Related self concept come out. At the basis of the research I can acknowledge that Visual Quotient and Art-Related self concept have static interrelation. And the more color visual expression ability, motion visual expression ability, visual cognitive expression ability among the Visual Quotient have the more Art-Related self concept increases. Therefor this research has meaning that through research method relationship analysis we can take a lookout learners abilities & capabilities in the art education. 본 연구는 미술교육과 관련을 가지는 ‘시각지수’, ‘미술자아개념’의 검사 도구의 상관관계를 통해 미술교육에 함의하는 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대상에 따른 시각지수의 관계, 연구 대상에 따른 미술자아개념의 관계, 시각지수와 미술 자아개념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시각지수 34문항, 미술자아개념 41문항을 2019년 5월에 초등학교 6학년 총 131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각지수’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높게 나왔으며 미술 관심도와 미술교육 경험 기간이 오래될수록 시각지수가 높게 나왔다. 또한 ‘미술자아개념’도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왔으며 미술 관심도와 미술교육 경험 기간이 오래될수록 미술자아개념이 높게 나왔다. 이에 ‘시각지수’가 높을수록 ‘미술자아개념’이 높게 나옴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시각지수’와 ‘미술자아개념’은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며 ‘시각지수’ 중 ‘색채 시각 표현능력’, ‘운동 시각 표현능력’, ‘시각 인지 표현능력’이 높을수록 ‘미술자아개념’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검사도구의 관계 분석을 통해 미술교육에서 학습자의 능력 및 역량에 대한 의미를 살펴볼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시각 장애인을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보지 못하는 것을 보다’

        장용석(Chang, Yong Sock) 한국미술교육학회 2020 美術敎育論叢 Vol.3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다. 특히 감각(haptic)을 기르는데 중점을 두었다. 과거 미술교육에서는 시각(視覺, visual sense)을 전제로 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그 이후 시각 문화(visual culture)가 미술교육에 도입이 되었다. 그리고 근래에는 미술의 영역이 시각을 넘어 다른 감각(촉각, 청각, 후각)을 미술에 포함하고 있다. 이런 개념을 포함 것이 material culture 이다. 이 material culture에서 미술의 개념은 시각을 넘어 다양한 영역과 감각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확장된 미술 개념’을 기반으로 미술교육에서도 시각적 능력이 다소 부족하거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미술교육도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그 필요성이 인정되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시각 보다는 ‘촉각’, ‘청각’을 위주로 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정상안인(正常眼人: normal eyes) 미술교육자나 화가들의 입장에서 만들어진 것들이 많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실제 시각 장애인과 장애인 교사들의 경험과 요구를 반영하여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시각 장애인들을 위해서 개발되었지만 일반 학생들에게도 충분히 적용 가능하고 교육적 의미가 있다. 앞으로 예술교육에서는 장애가 더 이상 걸림돌이 되지 않고 장애인을 위한 많은 프로그램과 교육이 활성화되기를 희망한다. The object of this article is to make art education programs for the blind. In the past, most art education programs were made based on the visual sense. After that, visual culture was introduced into art education. The field of art has recently embraced other senses (tactile, auditory, and olfactory) in visual arts. This includes the concept of material culture. This material culture contains not only the concept of (visual) art but also various fields and senses. In this way, art edu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lacks visual ability or difficulties in arts education, is accepted and recognized as a necessity based on the extended (visual) art concept . In the same context, this study developed an art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actile and auditory rather than visual sense. Previous art programs were made from the standpoint of art educators and painters who are normal. However,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program reflecting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teachers and students who are blind. In fact, the art program was applied to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confirmed its educational effects. This art program was developed for the visually impaired but it is also applicable to general students and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e future, I hope that disability will no longer be a stumbling block in art education and that many programs and education for the disabled will be revitalized.

      • KCI등재

        시각문화미술교육의 생태학적 접근

        이재영(Jae-young L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13 美術敎育論叢 Vol.27 No.1

        본 연구는 시각문화미술교육에 대한 논의를 시각 생태학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시각이미지에 대한 생태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시각 생태론 (visual ecology) 을 개념화하고 적절한 미술교육적 방안을 이론적 차원에서 논의한다. 시각 이미지는 삶의 중요한 생태환경으로 전제하고 이에 대한 시각문화미술교육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특히 시각 이미지가 제공하는 생태 환경 속에서 이루어지는 인간/사회/이미지간의 역동적 상관성에 초점을 둔 시각문화미술교육 담론을 이끌어 낸다 이는 삶의 공간에서 시각 이미지가 인간의 인지와 의식에 작용하는 영향력에 대한 심층적 이해의 필요성을 근거로 한다. 제시된 논의를 위해 본 연구는 시각식 생태학, 문화적 생태학, 가상적(환영적) 생태학, 심층적(의식적) 생태학으로 구체화시켜 시각문화미술교육의 생태학적 접근을 살펴본다. 그리고 이에 근거한 새로운 시각문화미술교육 담론을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이끌어 낸다. 기존 시각문화미술교육의 범주를 보다 일상적인 삶의 장연과 관계된 생태 인식과 공간에서 검토한 본 연구는 기존 시각문화미술교육 담론의 범주를 확장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aims to address how to expand the scope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from ecological perspectives. How we respond to visual images impacts our consciousness. The reciprocal interaction between visual images and ourselves crates an ecosystem within which visual culture evolves as well as our knowledge. beliefs, values. interests. and consciousness are constructed. Based on this ecological approach. this paper explores the notion of ecological aspects of visual images. It primarily conceptualizes the needs for our investigation into visual ecology. The goal of VCAE does not need to be limited ways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and empower students to be active participants. More attempts to explore both the value and meaning of visual images and the visual environment as a habitat-where our understanding of the self. community. and society is constructed-is necessary. as this research proposes. Visual images construct a visual environment, fertilizing our evolution and adaptation of self-understanding. It makes sense of the visual ecology. The impact of the dynamic interconnection among humans, society, and images is well established. Meanings and values of this impact require our deliberation from socio-cultural. semiotic, phenomenological. epistemological. and even ontological points of view. In order to highlight this deliberation, more ecological analyses of visual culture, such as visual ecology, cultural ecology. digital ecology, virtual(illusory) ecology, and deep ecology, are established. The result of this theoretical discussion opens humanistic approaches to VCAE that are expected to expand our current landscape of VCAE toward visual ecology within our living context, interplayed with visual images.

      • KCI등재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시각적 문해력 교육 고찰

        황연주(Youn Ju Hoa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24 美術敎育論叢 Vol.38 No.1

        본 연구는 시각적 문해력 교육이 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언제부터 실시되었으며,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 그리고 최근에 고시된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내용은 먼저 미술과 교육에서 시각적 문해력 교육의 개념을 정립하고 실질적인 학교 교육에서의 현황을 고찰한 다음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시각적 문해력 교육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미술과 교육에서 시각적 문해력 교육의 필요성과 목적을 설정하고,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시각적 문해력 교육의 내용과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미술과 교육에서 시각적 문해력 교육은 2007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시각문화 미술교육’이 주요 이론적 토대가 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다루어지기 시작하였다. 그 이후 여러 차례 미술과 교육과정이 개정되었지만, 시각적 문해력 교육은 점점 비중있게 다루어져 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 when visual literacy education began in the school art education curriculum, how it has been developed, and how it is reflected in the recently announced 2022 revised art education curriculum. The research content first established the concept of visual literacy education in art education, reviewed the actual status of school education, and then examin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visual literacy education in the art education curriculum. In addition,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visual literacy education in art education were reviewed, and the contents of visual literacy education,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were examined, focusing on the 2022 revised art education curriculum. Visual literacy education in art education began to be dealt with in earnest in the 2007 revised art education curriculum, as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became the main theoretical basis. Since then, the art education curriculum has been revised several times, but visual literacy education has been treated with increasing weight.

      • 기호학에 토대한 시각장애학생 미술감상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정서연 한국장애인재단 2018 장애의 재해석 Vol.2018 No.-

        본 논문은 그간 연구・개발이 어려웠던 시각장애학생 미술 감상 교육을 기호학에 토대한 프로그램으로 개발해 이를 적용한 결과물이다. 미술 감상은 조형기호라는 언어로 환원되는 학문이며 언어적인 표현수단으로써 의미를 전달하고 공유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술은 흔히 ‘보는 것’으로 치부되어 시각장애학생에게 다양한 미술 감상의 기회를 제공하지 못했다. 하지만 시각장애학생이 미술을 감상할 때 주로 사용하는 작품묘사와 작품해설이 언어적이라는 점에서, 기호학적 연상은 시각장애학생에게 미술을 분석함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교육적으로도, 기호학의 구조는 미술이라는 시각적 기호를 비시각적으로 분석해보고 의미를 해석하는 것에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시각장애학생의 미술 감상에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미술의 의미작용에 토대가 되는 기호를 통해 프로그램을 6차시에 걸쳐 개발했으며, 이를 시각장애학생에게 적용했다. 특히 연구자는 학생들이 미술에 가장 소극적으로 접근하는 기표를 촉각과 청각으로 표현하게 했고, 기의에 대해 각자의 감상을 토론하게 했다. 이를 적용한 결과, 4명의 학생 중 선・후천맹학생과 저시력학생인 3명은 인지적 능력에 있어 중-하 그룹에서 상 혹은 상-중 그룹의 성취를 보였다. 중복장애학생 1명은 인지적 능력에서 지식, 문제해결에 있어 하 그룹에서 중 그룹으로 성취를 보였으며, 적용은 하 그룹에서 머물렀다. 수업 이후 대부분의 학생들은 개발한 미술 감상 교육에 긍정적인 반응과 만족도를 보였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시각장애학생들은 미술사를 통한 역사적 지식을 습득했으며, 그간 감상하기 어려웠던 시각예술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발표와 토론의 수업방식은 개인의 발표력과 학생들의 연대의식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

        시각장애학교 중등부 학생의 미술교육에 대한 인식

        이윤희,강보순,이해균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1 시각장애연구 Vol.27 No.3

        연구는 시각장애학생들의 바람직한 미술교육을 위하여 학생들의 미술교과와 미술 표현ㆍ감상에 대한 인식 정도를 알아보고 효율적인 시각장애학교의 미술과 교육과정 운영과 미술교육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시각장애학생들은 미술수업에 대한 흥미와 만족도가 높았으며 미술수업이 표현영역의 만들기 활동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보다 효율적인 미술수업을 위하여 미술교육의 목적과 장애특성을 고려하여 시각장애학생의 창의성을 개발할 수 있는 미술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시각장애학생의 다양한 미술활동과 창조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미술수업 교수매체의 개발과 시각장애학교 미술교사의 재교육 실시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students about art subject and art expression․appreciation in order to provide ideal ar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The Efficient management methods of art education curriculum and improvement strategies for art education we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results,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had high interests and satisfaction level about art class and main part of art classes were consisted of creating activities in expression. To provide more efficient art class, organizing art education curriculum for developing creativity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by considering the purpose of art edu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as suggested. Also,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for art class and retraining of teachers were suggested. These will help teacher to provide several art activities and help students to live a creative life.

      • KCI등재

        시각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현행 교과서 내용 분석

        김예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0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urriculum and art textbooks based on the content elements of discourse o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to inform the development of new art textbooks. Method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i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studies and to analyze the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relevant textbook units by restructuring the goals and content of visual culture education. In the literature, a researcher have us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s to conduct studies. Results The literature search showed that most of the sections of art textbooks related to visual culture mainly featured content that sought to understand the mode of transmission of visual images,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visual culture, the meaning of visual images in a social context. However, content on the exchange between artwork and the visual culture of the narrow meaning and the experience of visual images that can foster visual enjoyment were lacking. Conclusions When developing a new art textbook that applies the 2022 curriculum, the textbook should reflect recent academic trends related to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so that more elements of content that are not covered in the art textbooks based on the 2015 curriculum can be included. 목적 본 연구는 시각문화 미술교육 담론에 근거한 내용 요소를 바탕으로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고 새로운 미술교과서 개발시 그 결과를 반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시각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을 탐색하고 이를 반영한 시각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 요소를 재구성하여교육과정과 교과서 단원 내용을 분석하는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문헌 연구 중에서도 질적 내용 분석의 방법으로 연구를진행하였다. 결과 문헌 연구 결과, 시각문화 관련 미술교과서 단원에서는 대부분 시각이미지의 전달 방식, 시각문화의 매체 특성, 사회적 맥락속에서 시각이미지의 의미 등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내용들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미술작품과 협의적 의미의 시각문화 간의교류, 시각적 즐거움을 향유할 수 있는 시각이미지의 체험 등의 내용은 부족하였다. 결론 2022년 교육과정을 적용한 새로운 미술교과서를 개발할 경우 시각문화 미술교육과 관련된 최근의 학문적 동향을 반영하고2015 교육과정에 기반한 미술교과서에서 다루지 못한 내용 요소들을 좀 더 포함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미술수업에서 시각 이미지가 학습자에게 갖는 의미 탐구

        권혁미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7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0 No.-

        In this research, it is a Auto-ethnography that shows visual images in my art class. I noticed in what way the student is accommodating the visual image that the students have shown to students for the idea and production of the work at the introduction stage of my art class and the aesthetic experience. An encounter with a visual image is a process of paying attention to the object, imagining the object, and interpreting the object. Also, it is a cognitive process of learning knowledge and skills for work creation. In order for such a process to be integrated into teaching and student learning toward one growth, the viewpoint of the teacher and the viewpoint of the students are matched as attention and interest. As a result of reviewing my art lesson and interviewing the students' voices, the images of the times that were screened out by the teacher helped to visualize the concepts and ideas of the art to the students. However, it was able to know that the visual image deprived students' ideas and made difficulties in their work creation. The belief that a teacher can decide the direction of learning and use various visual images to step through the uniformed procedure in that direction makes it possible to gain artistic understanding literally and reliably It is not. Even with the same stimulus, the reactions and expressions of each learner are different for each learner. Reaction and expression in art learning are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students. Therefore, selection and input of visual images reflecting the differences of each learner should be given priority over learning objectives, ideas. The visual image must conform to th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 should be useful for the work, and is consistent with the attention and interest of the learner. It is a visual image as a good learning material and it is the teacher's ability to sort out it. 본 연구는 ‘나’의 미술수업 중 시각이미지 보여주기에 대한 자문화기술지이다. ‘나’의 미술수업 도입단계에서 작품의 구상과 제작, 미적 체험을 위해 학생들에게 보여준 시각 이미지가 학생들에게는 어떤 의미로 수용되는지 주목하였다. 미술시간, 시각 이미지와의 만남은 대상에 주목하고, 대상을 상상하며, 대상을 해석하는 숙고(熟考)의 과정이면서, 작품 제작을 위한 지식과 기술 습득의 인지적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이 교사의 가르침과 학생의 학습으로 통합되어 하나의 성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교사의 시각과 학생의 시각이 관심과 흥미로서 일치되어야 한다. ‘나’의 미술수업을 되돌아보고 학생들의 목소리를 인터뷰한 결과, 미술수업 도입단계에서 교사에 의해 선별되어 보여진 시각 이미지는 학생들에게 미술 개념과 아이디어 떠올리는데 도움이 되었지만, 한편으로는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빼앗아 작품 제작에 어려움을 주기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교사가 학습의 방향을 정해 주고 다양한 시각 이미지를 통해 그 방향에 획일화된 절차를 밟도록 함으로써 미술적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는 믿음은 말 그대로 믿음에 불과하다. 같은 자극이더라도 학습자 개개인의 반응과 표현은 학습자마다 다르다. 학습자 수에 비례하는 학습자의 반응과 표현은 미술학습의 특징이며, 그렇기에 학습자 개개인의 다름을 반영한 시각 이미지의 선별과 투입은 학습목표 달성과, 효과적인 발상을 위한 중요한 조건이 된다.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부합하면서, 작품 창안 아이디어 씨앗의 역할도 하고,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에 호소하는 시각 이미지는 너무 많지도, 너무 적지도 않게 선별되어 투입되어야 한다. 그것이 좋은 학습 자료로서 효과적인 시각 이미지가 되며, 그것을 선별해 낼 수 있는 것이 교사의 역량이 되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시각장애아 미술교사의 삶

        신유진(You-Jin Shin)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1 미술과 교육 Vol.12 No.2

        이 연구는 시각장애아를 가르치는 미술교사들의 일상과 미술교육이 그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를 연구하였다. 5명의 맹학교 미술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심층면담, 참여관찰, 수업자료의 수집 등을 통해 문화기술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에서 드러난 “시각장애아 미술교사의 삶”은 선입견과 편견에 맞서고, 시각 너머의 미술을 위해 아동의 입장이 되어보며, 아동들이 어떻게 하면 미술시간에 어려움을 덜 겪을 수 있을지 지속적으로 연구하며 더 나은 미술교사가 되어가기였다. 그들은 아이들을 향해 마음으로 다가가고, 지속적인 칭찬과 격려를 통해 힘을 실어주며, 아이들과 함께 수업을 만들어 나가고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수많은 한계와 맞닥뜨리고, 동료교사 및 학부모와의 갈등, 업무의 부담, 그리고 자신의 노력을 몰라주는 아이들로 인해 힘과 열정의 소진을 겪으면서 시각장애아 미술교육에 대한 회의도 느끼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술시간을 참으로 좋아하는 아이들에게서 다시 희망을 보며 아이들을 위한 교육과정을 새롭게 개발해 나가고, 누구도 가지 않은 그 길을 힘내어 헤쳐 나가고 있었다. 시각장애아 미술교사들은 남다른 노력과 인내, 그리고 아동에 대한 헌신으로 좌절과 회의, 보람과 신념이 교차하는 실존적 삶을 살아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aily lives of art teachers of visually impaired children and determine how meaningful art education is to these teachers. Therefore, an ethnographic study method was adopted to conduct a qualitative study of five such art teachers. The teachers’ daily lives were analyzed using in-depth interviews, class-participant observations, and the examination of teaching materials. Teachers of visually impaired children have battled prejudice and bias and have tried to maintain their artistic professionalism. These teachers practice art activities with their eyes closed, putting themselves in the visually impaired children’s position, and they are constantly studying and reflecting on their field in order to determine ways to ease the children’s difficulty with the art activities. In addition, the teachers wholeheartedly grow closer to the children, supporting them with constant praise and encouragement while teaching them the rewards of art. However, the daily life of an art teacher is not easy. They face intense stress, are confronted with numerous limitations, and experience feelings of doubt about art education, while expending all of their energy and passion on conflicts with co-workers and parents, on the workload, and on children who do not appreciate their effort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rt education allows visually impaired children to live like other children and contributes significantly toward their learning of the forms and colors of the world. The study also showed that art teachers of visually impaired children are constantly challenging their limits with great patience and intense passion, and their ability to teach the visually impaired children can be attributed to their dedicated efforts, infinite patience, and genuine love for the visually impaired children.

      • KCI등재후보

        새로운 미술교육의 패러다임으로서의 시각문화교육의 가능성과 적용 연구

        이지연(Ji-Yeon Lee)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1 미술과 교육 Vol.12 No.2

        최근 미술교육의 화두는 시각문화 미술교육이다. 창의성을 중요시하는 아동중심 미술교육을 거처, 학문기초 미술교육을 거쳐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상한 시각문화 미술교육은 다원주의를 표방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과 함께 그 영향력이 커졌다. 시각문화 미술교육은 이미지를 둘러싼 사회 문화적 맥락에 주의하고, 이미지를 둘러싼 다양한 해석과 접근법을 인정한다. 미술교육의 대상 역시 순수미술에서 대중문화, 시각적인 자극을 주는 환경, 각종 시각정보, 디지털 미디어 등으로 확장시켰으며 작품제작 뿐 아니라 비평을 적극적으로 권장한다. 자기 표현을 위한 미술 작품 제작뿐만 아니라 개개인에게 민주적인 권한을 부여하고 의미의 영역을 확장시키는 시각문화 미술교육이 나아갈 실천적 방향을 모색해본다. 먼저 개인의 성장을 도모하고 개인의 권한을 강조하는 프로젝트 기반 미술교육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또한 동시대의 시각정보와 시각문화의 대다수가 디지털 포맷임을 인지할 때 디지털 세대들에게 흥미와 가능성을 열어주는 미술교육으로 디지털 미디어 제작에 주안점을 두는 커리큘럼을 제안한다. 시각중심의 미적경험을 뛰어넘는 공감각적인 접근으로 미술 감상과 미술작품 제작을 하는 방향이 제시된다. 포스트모던 미술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언어학적인 기법들(이야기, 은유, 패러디)을 활용하여 미술작품 제작하도록 한다. 또한 사회-문화 맥락적인 해석과 분석을 중시하는 시각문화 미술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보다 실천적이며 사회 참여적이도록 권장해야 할 것이다. 위와 같은 다양한 가능성을 제안하는 하나의 실례로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통한 디지털 미디어 프로젝트를 소개한다. From the history, we have noticed the significant paradigm shift in art education. From the late 20C, art educators moved from DBAE to more contextual and expansive curriculum. Visual culture art education(VCAE) as a new art education paradigm allows new and expansive topic, subjects, medium, and technologies to come about. Also, VCAE allows an atmosphere to talk about social, political and global issues in art classroom. Therefore,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s widely accepted and became a powerful paradigm in contemporary society. The use of new technologies has brought about new forms of computer-generated visual culture. A large part of contemporary visual culture consists of a digital visual culture whose manifestations have been facilitated by digital technology. Thus, educating students in a systematic manner about the benefits of digital media creation has become a significant part of art education. Art education should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digital culture through digital visuals, which students can use to analyze the contextual socio-cultural meaning of digital visual culture. I believe that the role of contemporary art education should be the facilitation of digital visual culture creation, and I also believe that students should understand both how media can be used to produce meaning and how media can be used to produce digital visual pieces of art. As a new paradigm, VCAE suggests many different potentialities to integrate with and approach to.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K-12 curricular and instructional considerations tha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VCAE. I propose five possible approaches to teach a wide range of visual culture. First, the spirit of DIY(Do it yourself) can be integrated into VCAE in terms of producing project based curriculum. This implication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can frame a new style of learning about art and can be an alternative art pedagogy which is individual and meaningful. Further, focusing on digital art and digital media is significant in contemporary art education. Although vision is necessarily ranked as the highest sense, contemporary art education should necessarily involve multi-sensory experience. Adapting literary device such as storytelling, parody and metaphor to art making practice may open new possibility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Also, incorporating art activism into art classroom can inspire students' critical thinking and debate, and this will open the possiblities to change the perspectives to look at the world, politics, social issues. Thus, I introduced the possibilities of digital storytelling in art education as a practical example. Digital storytelling allows students to construct their own knowledge and ideas, and to present and share their ideas more effectively through the use of multi-media production, provoking multi-sensory experience. My pedagogical stance is that students are digital generation, and they engage socio-cultural activities, adapt literary devices, emphasize multi-sensory experience, communicate with digital technology, and develop personal-social-cultural identities. Past decade has seen a great number of art educators deciding to integrate visual culture into their classroom. The art world and art classrooms has changed dramatically, and they have become more democratic and participatory with digital technology. It is important to examine a wide range of potentialities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n order to reassess and reconstruct our goals and course for contemporary art education. Contemporary art education should shape students' experiences and creative expression. Also art educators should keep in mind that art education is not for mere image creation but for the meaning-making process. I suggested five different principles for teaching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 believe this insight offers exciting new possibilities for art educators to promote meaningful artistic production in the classro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