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체지표를 이용한 통근 스트레스 측정 및 분석

        박정욱 한국교통연구원 2013 交通硏究 Vol.20 No.1

        When people use transportation, they get stressed due to inner and external factors. It is important to reduce transportation user’ stress so as to improve the transportation services and upgrade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To achieve this, factors and the degree of stress should be identified accurately, and the results should be reflected to policies realisitically. But existing qualitative methods, such as user satisfaction surveys, is difficult to identify objective stress. It is also difficult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In this study, as a way to overcome limitations of qualitative analysis, stress evaluation method using bio-index is proposed. And this study measure and analyze commuting stress by mode and condition by using bio-index. Mean RRI, mean HR are designated as physical indicators, LF/HF are designated as psychological indicators, and RR triangular is designated as total gross indicator. These indicators makes a quantitative analysis possible. Stress level is analyzed to be low in the order of subway, bus and car in an experiment conducted for commuters between KINTEX, Ilsan and Seoul City Hall. And boarding stress is higher than transfer stress, approach stress, and waiting stress. Also, stress level by vehicle crowdedness, travel time, and sudden stop is also analyzed. It is expected that the evaluation system devised in the study will be used widely for transport services improvement policies by reflecting individual's different level of stress based on different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교통수단을 이용할 때마다 내․외적 요인에 의해 육체적․정신적으로 저항(이하 스트레스)을 받게 된다. 교통서비스개선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이용자가 체감하는 스트레스를 가능한 한 적게 받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스트레스의 요인과 그 정도를 가능한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정책에 현실성 있게 반영함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이용자 만족도 조사와 같이 인식에 기초를 둔 정성적인 방법으로는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스트레스를 파악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원인과 결과에 대한 인과관계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성적 분석의 한계성 개선을 위해 생체지표를 활용한 스트레스 평가방법을 제시하고, 제시된 방법을 기반으로 실증적으로 통근 시 교통수단별 이용 환경 조건에 따른 스트레스의 요인과 요인별 스트레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생체지표로는, 신체적 부하 지표로 mean RRI, mean HR, 심리적 부하 지표로 LF/HF, 총량적 지표로 RR triangular를 선정하였으며, 이들 지표를 활용하여 스트레스를 정량적으로 계측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설정된 통근 환경, 즉 일산 킨텍스와 서울 시청간 통근시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지하철·승용차·버스 순으로 스트레스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중교통 이용시 승차, 환승, 접근, 대기 순으로 스트레스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차내 혼잡도, 통행시간, 급정차 등에 따른 스트레스의 정도도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생체지표를 이용한 스트레스 평가 방법은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의 차이를 반영한 양적․질적 교통서비스 개선 정책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기숙사대학생의생활스트레스요인에따른예술치료프로그램설계

        김나경(Nakyoung kim),이에스더(Esther Rhee)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 2016 예술과 인간 Vol.2 No.1

        본 연구는 대학기숙사 생활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생활 스트레스 요인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음악치료와 미술치료를 활용한 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초기, 중기, 마무리 3단계의 총 12회기로 구성되어있다. 프로그램 회기별 목표는 기숙사 생활로 인해 발생되는 룸메이트 스트레스, 규율 스트레스, 공용시설 사용 스트레스, 환경 스트레스 이 4가지 요인에 대한 스트레스 감소로 설정하였다. 초기단계는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와 라포 형성, 중기단계는 참여를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생활 스트레스 요인 4가지에 대한 스트레스 감소, 마무리단계는 활동 후 생활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목표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기숙사 내에서 겪는 다양한 스트레스로부터 예술치료를 직접 경험하면서 부정적인 부분을 해소시키고 삶의 질, 기숙사 생활의 만족 등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줄 것을 기대한다.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diverse causes of stress that arises from living in a university dormitory, and outlines an arts therapy program that will alleviate said daily stress. The program, as described in the thesis, consists of 12 sessions, which constitute the three steps of first, second and conclusion. The goal of each session is to reduce stress caused by the following four causes encountered in dormitory life: roommate stress, rule stress, common use of facility stress and environmental stress. The goal of the first step is to help participants understand the program and build rapport. The goal of the second step is to reduce stress brought on by the four sources by encouraging the participants to engage in program activities. The goal of the conclusion step is to reshape their perception on the causes of daily stress following the end of the program. This thesis has been to develop a variety of programs the Foundation material. And university dormitory students spend a lot of time direct experience of the art therapy within a dormitory and alleviating the negative part due to stressors Positive and hope for the dormitory, the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흰쥐에서 스트레스가 불안 및 공간지각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진훈(Jin Hoon Lee),이준호(Jun Ho Lee),최근한(Keun Han Choi),김원정(Won Jung Kim),이수진(Su Jean Lee),정지혜(Ji Hye Jung),문성근(Sung Keun Moon),정규용(Kyu Yong Jung),최봉규(Bong Kyu Choi),이서울(Seoul Lee) 대한스트레스학회 2011 스트레스硏究 Vol.19 No.2

        개체가 스트레스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스트레스에 의한 감정과 신체의 대응에 변화를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반복되어지는 구금 스트레스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에 초래되는 행동변화를 관찰하여, 스트레스에 의한 신체의 대응양상으로서 선천적 행동(innate behavior)과 학습과 기억(learning and memory)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9주령 수컷 흰쥐(Sprague-Dawley)를 이용하여 7일 동안 연속적으로 하루 6시간씩 구금 스트레스(restraint stress) 환경에 노출시킨 스트레스군(Stressed group)은 정상적인 사육조건에서 사육된 대조군(Control group)에 비해 개체의 성장추세가 지연되었다. 구금 스트레스 노출 직후 흰쥐의 편도(amygdala)에서 NADPH-diaphorase 염색방법을 이용하여 뇌 산화질소생성효소(nNOS) 활성을 관찰한 결과 스트레스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활성을 나타내는 신경세포 수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동일한 스트레스에 노출 직후 흰쥐의 개방공간 탐색행동 검사(open-field exploratory behavior test)를 시행하였다. 개방공간에 최초 노출된 경우 스트레스군의 보행활동도(ambulatory activity)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으나, 개방장소 탐색활동도 측정을 통한 탐색 영역 분석 결과, 스트레스군의 경우 개장공간의 중앙영역에서 나타나는 탐색행동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그러나 이후 3일 동안 반복하여 동일한 탐색활동도 측정 장치에 노출시킨 경우, 스트레스군의 보행활동도는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스트레스 환경은 흰쥐에서 편도의 산화질소 생성효소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이는 불안을 표출하는 행동양식의 변화를 수반하였다. 본 연구에서 반복되는 스트레스는 선천적 행동양식의 변화를 초래하였지만, 공간지각에 대한 학습과 기억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environmental stress may produce to behavioral changes. In this study using a rodent stress model that exposure to the repetitive restraint stress elicits behavioral alterations, especially changes the patterns of the innate behavior but not the contextual memory and learning abilities. Nine weeks old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given the restraint stress (the stressed group) for 6 hours per day for seven consecutive days. The stressed rats were indicated the retarded development within the stressed-sess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xposure to restraint stress for seven days, the rats" brains were performed to the NADPH-diaphorase stain on the limbic region of the brain. In the stressed animals have increased the counts of the 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 (nNOS) active neurons in the central amygdala of the brain. For behavioral assessments, animals were subjected to the exposure to novel environment-open-field apparatus-in order to examining the exploratory behaviors especially the ambulatory activity after the stress paradigm. The stressed animals indicated a significantly higher ambulatory activity for 5 min compare to the control animals. Moreover, the zone analysis of the tracking of exploration in open-field monitoring system, the stressed rats were a significantly decreased their activities in the center of arena compared to the control rats. However, the stressed rats were repetitively exposed to the same arena at once per day for 3 consecutive days, which ambulatory activity did attenuate to the control levels 3 days after explora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crease of counts of the nNOS reactive neurons in the central amygdala area due to the experience of repetitive stress paradigm can alter the eliciting pattern of the innate behavior and which has not been modulate the contextual learning and memory functions of the brain. (Korean J Str Res 2011;19:107∼114)

      • 대학 신입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요인에 관한 연구 : 에니어그램성격유형 및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최연택,박신영 한국에니어그램학회 2014 에니어그램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대학신입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학생상담에 활용하고자 함이 그 목적이 있다. 모든 사람은 일상생활을 하면서 끊임없이 스트레스 를 받으며 산다. 스트레스는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기도 하지만 대체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다.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몇 가지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어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트레스 대처 방식을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방식, 문제해결 중심 대처방식, 회피 중심 대처방식 으로 구분하였다.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선택하는 요인으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장유형, 가슴유형, 머리유형)과 자기효능감(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과제난이도선호)으로 한정하여 연구를 하였으며, 개인특성으로 성별, 학과, 출신지역을 다루었다. 스트레스대처방식에 대한 차이분석결과 평균점수가 보통이상으로 나타나 스트레스 대처 방식 을 선택함에 있어서 긍정적인 방식을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향력 분석결과 성격유형, 자 기효능감, 학과, 성별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특 성 중 출신지역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을 상담함에 있어서 학생의 성격유형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기본 지식은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직장인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이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이종국,서희영,전선영,박선규,방주현,황용범,임경빈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22 정신신체의학 Vol.30 No.1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office workers' stress level and stress vulnerability on heart rate variability (HRV), confirm the significance of objective stress indicators obtained through subjective stress and heart rate variability devices, and examine their effectiveness as an integrated stress measurement tool in community mental health projects. Methods:From June to July in 2020, 929 workers participated in the stress management and mental health promotion project carried out by K hospital, and their recorded database was used for study analysis with their agreeme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general stress level, and stress vulnerability on heart rate variability. Results:All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DNN (ln), RMSSD (ln), LF (ln), and HF (ln), but work experien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RMSSD (ln). Stress level and stress vulnerabilit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heart rate variability, but stress perception, a sub-factor of stress level,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MSSD (ln) (β=0.118, p=0.023). Conclusions:In this study, stress perception, a sub-factor of stress level, was found to be a factor affecting RMSSD (ln). This indicates an association with the activity of parasympathetic nerves in stressful situations, and more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use it as a direct indicator of chronic stress and integrated stress in the community mental health field. 연구목적이 연구는 직장인의 스트레스 수준과 스트레스 취약성이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에 미치는영향을 파악하여 주관적인 스트레스와 심박변이도 기기를 통해 얻어진 객관적 스트레스 지표의 유의성을 확인하고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에서 통합적 스트레스 측정도구로서의 효과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방 법2020년 6월부터 동년 7월까지 K병원에서 수행한 직장인의 스트레스 관리 및 정신건강증진 사업에 참여하고연구에 동의한 대상자 929명의 기록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스트레스 수준 및 스트레스 취약성이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일반적 특성 모두 SDNN (ln), RMSSD (ln), LF (ln), HF (ln)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소로 나타났지만근무경력은 RMSSD (ln)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스트레스 수준 및 스트레스 취약성은 심박변이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스트레스 수준의 하위 요인인 스트레스 지각이 RMSSD (ln) 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β=0.118, p=0.023). 결 론본 연구에서 스트레스 수준의 하위요인인 스트레스 지각이 RMSSD (ln)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나타나는 부교감신경의 활성과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역사회 정신건강현장에서 만성 스트레스 및 통합적 스트레스의 직접적인 지표로 평가하기에는 더 많은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우수등재

        다층생존분석을 적용한 초등학생의 최초 스트레스 발생 시점에 대한 영향요인 검증

        정다혜(Jeong Da-hye) 한국교육학회 2019 敎育學硏究 Vol.57 No.4

        최근 초등학생이 직면하는 스트레스의 수준이 점점 높아지고 이로 인해 여러 가지 개인적․사회적문제를 야기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스트레스가 어느 시점에서 최초로 발생하는지, 각 요인이 스트레스 발생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명쾌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종단적인 스트레스 양상과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경기도교육연구원에서 제공한 경기교육종단연구(GEPS)의 1-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고, 초등학교 4학년 3,541명을 기점으로 다층생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이 올라갈수록 초기 스트레스 발생 비율이 증가하였다. 둘째, 초등학생이 느끼는 스트레스 유형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스트레스 유형은 가정스트레스이다. 셋째, 정신건강과 부모의 양육태도는 모든 스트레스의 주된 원인이다. 넷째, 초등학생들이 느끼는 스트레스는 대인관계와 밀접한 상관이 있다. 다섯째, 학교스트레스와 사회스트레스는 교육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후속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Recently, the level of stress fac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s been increasing, causing many personal and social problems. Nevertheless, it is not clear at what point their stress first occurs and how much each factor affects. Therefore,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Gyeonggi Provincial Institute of Education (GEPS) to analyze the longitudinal stress patterns and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onducted a multi-level survival analysis based on 3,541 fourth grad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early stress increases as the grade goes up. Second,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stres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family stress. Third, in all of the noted stress, depression, anxiety, and parental situation had a major influence. Fourth, the str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closely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ifth, civil education provided at school level had an influence in discouraging stress.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strategies were proposed and the possibility of follow-up study was presented.

      • KCI등재

        경찰의 직무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 관계 변인분석

        오성희(Oh, Seung Hee),박영신(Park, Young Shin),지영환(Ji, Young Hwan) 한국민간경비학회 2010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5 No.-

        이 연구의 목적은 경찰 직무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을 위한 범이론적 모델(TTM)을 이용한 직무스트레스 관리에 관련된 변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표집대상은 인천광역시 경찰관 280명(남 240명, 여 40명)이었다. 측정도구는 박영신과 김의철(2009)이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신뢰도는 Cronbach α= .66~.93으로 양호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관의 배경정보와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회계층이 낮을수록, 직업성취도가 낮을수록, 직업에 대한 회의가 있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았다. 학력이 높을수록, 가족과 거주하지 않을수록, 근무경력이 적을수록 일반 스트레스증상(RISCI)이 높았다. 둘째, 사회적 지원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장상사로부터 정서적 지원을 적게 받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았다. 가족으로부터 정서적 지원을 적게 받을수록 우울증이 높았다. 셋째, 경찰관의 성격 및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외향적이고 친화적이며, 정서적 안정성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았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았다. 정서적 안정성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증상(RISCI)과 우울증이 낮았다.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스트레스에 잘 대처하고 우울증이 낮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alyzes the factor related to the job stress management using the theoretical model(TTM) for the police job stress settlement program. A total of 280 policeman(male 240, female 40) at Inchon Metro-Politan City have been recruited. They completed the question which has been developed by Park & Kim(2009).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as Cronbach α=.66~.93.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between background information and stress of policeman have been examined. Policeman showed high level of job related stress when they had lower status, lower occupational achievement, and more being skeptical for their job. And also they showed high level of general stress symptoms(RISCI) when they have high attainments in scholarship, low career in job, and they did not live with family. Second,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stress of policeman have been examined. Policeman showed high level of job related stress when they received less emotional support from their boss. On the other hand, policeman showed high level of depression when they received less emotional support from their family. Third,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self-efficacy and stress of policeman have been examined. Policeman showed low level of job relatedstress when they were extrovert, friendly, emotionally stable i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they have high self-efficacy. Also, policeman showed low level of general stress symptoms(RISCI) and depression when they were emotionally stable i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they have high efficacy beliefs.

      • 노인의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엄인숙(Um, In-Sook) 한국복지행정학회 2012 복지행정논총 Vol.22 No.1

        본 연구는 노인의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우울과의 관계에 대해서 연구함으로서 노인복지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생활스트레스의 수준은 크게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건강스트레스가 다른 요인들에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 정보적 지지의 순으로, 노인의 우울은 보통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우울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노인들의 생활스트레스 요인 중 경제, 건강, 가족 스트레스는 우울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노인들의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생활스트레스 중 가족 스트레스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생활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이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사회적 지지는 정서적 지지가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고 있었으며,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생활스트레스를 경험하는 노인들을 위해 지역사회 차원에서 노인봉사활동이나 일자리 창출 사업들과 연계하는 프로그램을 활성화해야 할 것이며 사회적 지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과 가족상담 프로그램이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이러한 프로그램은 나아가 사회적 지지의 프로그램이 될 수 있으며 우울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t researching relationship among elderly’s living stres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n order to provide a correct guideline for welfare for the ag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elderly’s living stress levels are not particularly high, instead health stres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other factors. Social supports were in order of emotional, material, and informational support and the stress were normal level. Secondly, when the relationship among living stres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s examined, economic, health, and family stress, all factors of living stress, have valid correlation with depression. Thirdly, after examining the effect of elderly’s living stress on depression, family stress was found to be the leading influence of living stress,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the living stress, the higher the rate of depression. Fourthly, mental support has a highest effect on social support, a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the lower the rate of depression. The local government needs to vitalize programs that connects the elderly with volunteering activities and workplace placement projects for the elderly who experiences living stress, and family life education programs and family consultation programs are needed to be vitalize in order to heighten social support. This is because these kinds of programs can be those for social support, and has effects on depression.

      • KCI등재후보

        간호학과 졸업예정자의 구직스트레스와 대처방식, 사회심리적 건강의 관계

        정영해,최정숙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9 사회연구 Vol.10 No.1

        이 연구는 G광역시와 J도에 소재하는 5개 대학교 간호학과 졸업예정자 190명을 대상으로 구직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사회심리적 건강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08년 11월 6일부터 22일까지 집단면접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의 구직스트레스는 중간쯤 되었고, 사회심리적 건강점수는 평균적으로 잠재적 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은 스트레스 대처방식으로 ‘정서적지원추구’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대상자의 취업여부에 따라 구직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건강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직시도 횟수가 많아질수록 구직스트레스도 높아지고 구직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사회심리적 건강도 나빠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 자기조절/문제해결, 정서적 표출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비판/자책 점수가 낮을수록 구직스트레스는 낮고 사회심리적 건강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대처방식 점수에 따라 4가지 대처유형군으로 나누어 본 결과, 사회심리적 건강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수동적대처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학과 졸업예정 여학생들은 대부분이 사회심리적 건강이 잠재적 위험군이나 고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의 사회심리적 건강을 증진시키는 중재가 시급히 필요하다. 특히 스트레스에 수동적으로 대처하는 집단에 대한 집중적인 중재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간호학과 졸업예정자가 학업 및 구직스트레스와 취업 후에 겪게 될 다양한 스트레스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사회심리적 건강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효과적이고 건강한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훈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 유치원 교사의 MeFOT기반 스트레스 대처방안

        박영태 mefot창의인성학회 2015 MeFOT 창의인성연구 Vol.4 No.1

        일회적 경험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누적되어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유치원 교사는 업 무와 관련된 직무스트레스는 물론 일상생활 속에서 나타나는 일상적 스트레스에 의해 자신의 생활 뿐 아니라 유아의 생활에 까지 깊이 영향을 준다. 이에 본 연구는 스트레스의 발생과 대처능력에 대해 살 펴보고, 나아가 유아교사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MeFOT 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그 방안을 강구하 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스트레스는 외부적 힘에 의하여 내부적으로 발생하는 신체적 반응이며 이는 심리적 에너지의 원활한 흐름이 방해된 것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심리적 에너지의 흐름 을 원만하게 하는 방법으로 명상이나 신체이완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고, 스트레스를 제공하는 생각(신 념)을 변화시키는 인지적 활동도 중시되고 있다. 또 스트레스는 기존 생각에 얽매여 고통을 받는 것이므로 기존 생각에서 벗어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성하도록 하기 위해 MeFOT모형을 활용하는 방안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모든 과정에 생각자석을 활용한 상상활동과 어떠한 생각이라도 부정하지 않고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긍정적 수용하기를 하여야 한다. 둘째, 스트레스를 준 상황을 있는 그대로 지각하도록 한다. 셋째, 그 상황에서 느낀 자기 기분을 그대로 표현하고 객관적으로 그 기분이 나타난 것을 수용한다. 넷째, 자신의 기분표현과 관련하여 다양한 질문을 한다. 다섯째, 자신의 질문과 관련된 새로운 정보를 탐색한다. 여섯째, 생각해낸 모든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가장 바람직한 해결책을 스스로 구상하는 정보연상을 한다. 일곱째, 생각해낸 해결책을 구체화하며 실제 행동을 위한 준비와 연습을 한다. 여덟째, 생각한 최종 해결책을 즐거운 마음을 가지고 행동으로 실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