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크라테스의 산파술과 도덕교육

        이영문 ( Young Mun Lee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2 초등교육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소크라테스의 산파술을 분석하여 그것의 도덕교육적 의의를 찾는 것이다. 플라톤의 대화편들에는 산파술에 대한 설명이 여러 군데에 나온다. 그 중에서 가장 직접적으로 기록된 부분이 <테아이테토스>편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플라톤의 대화편 <테아이테토스>에서 소크라테스가 설명하는 산파술의 설명을 분석하고, 여기에 비추어 교사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산파술의 핵심은 상기설에 있기 때문에 상기설을 도덕교육과 관련하여 해석해 보았다.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산파술의 도덕교육적 의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산파술은 교사와 학생이 묻고 대답하는 과정을 통해서 인생의 진리를 발견하는 방법이다. 인생의 궁극적인 진리는 좋음의 이데아이다. 한 번 좋음의 이데아를 맛본 사람은 절대로 거짓된 삶의 방식에 의해 흔들리지 않는다. 좋음의 이데아는 불순한 것이 전혀 섞이지 않는 절대선으로서 마음이 온통``좋음``으로 가득 차 있는 사람은 그의 행동도 좋은 것만 나타날 것이다. 이렇게 해서 산파술은 우리나라 도덕교육의 고질적인 문제인 지행의 괴리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볼 때 소크라테스의 산파술은 일렌쿠스와 함께 협력하여 학교 도덕교육의 전체적인 프로그램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것의 궁극적인 목적은 지행이 일치되는 도덕적 인간의 형성에 있다. This study is to find the implication for moral education of maieutics of Socrates mainly through the analysis of ``maieutics`` explained in Plato`s dialogue Theaetetus. Frequently, it is known that maieutics of Socrates is a philosophical dialogue between teacher and student. But, maieutics of Socrates is doing more than this. It is not only an educational method but also a method of moral education. The process is as follows. Fist of all, Socrates eliminates the wrong knowledge in student`s belief through elenchus which is Plato`s word. Afterward, he tries to find the true knowledge about the theme of dialogue through maieutics of Socrates which is constituted mainly by recollection theory and discovery learning. Maieutics of Socrates pursues the formation of moral person whose action is coincident with knowledge. The secret is like this. Socrates tries to change the beliefs of interlocutors. The belief is the cause of action. Generally, human-beings behave as they know. If the interlocuter`s belief is right, they behave rightly. In most cases, Socrates dialogues with moral themes such as justice, self-control, courage, friendship and piety. In addition, he dialogues with the mathematical theme as Plato`s dialogue Meno.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of the formation of moral person whose knowledge and action are coincident. But there are such problems as difficulty of teacher education, controversy about recollection theory and so on. Nevertheless, we cannot deny that maieutics of Socrates throws the light to school moral education under the immoral situation prevalent in our present society.

      • KCI등재

        ‘소크라테스 산파술’의 구성과 적용에 관한 비판적 고찰

        이재현 대동철학회 2022 大同哲學 Vol.101 No.-

        The aim of this treatise is to critically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versation in the question and answer (= dialectic), which is interpreted and realized by Plato as the philosophical method of Socrates, and the midwifery (= maieutics) of Socrates, which is described in Plato's dialogues Theaetetus. Therefore, I want first to critically examine an traditional interpretation, in which one tries to understand by excluding elenctic from the midwifery, and then point out that this understanding is too narrow. In relation to th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levant texts, I claim that the midwifery described in Theaetetus are necessarily used in a method connected with the elenctic. Furthermore, it is to be proved that the midwifery of Socrates designed by Plato is to be understood as a metaphor referring to the entirety of the socratic conversation in the question and answer (= dialectic) by composing it from the elenctic and anamnesis. 본 논문은 플라톤에 의해 해석되어 구현된 소크라테스의 철학적 방법으로서 ‘문답식 대 화법(=변증법)’과 플라톤 대화편 테아이테토스에서 묘사되는 ‘소크라테스의 산파술’과 의 관계에 관한 비판적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필자는 우선 ‘산파술’에서 ‘논박술’을 배제하여 이해하려는 해석 전통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러한 이해가 편협되어 있음을 지적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필자는 테아이테토스에서 묘사된 ‘산파술’은 반드시 ‘논 박술’과 결합된 방식으로 사용되는 방법임을 관련 텍스트의 분석을 근거로 주장한다. 또 한, 플라톤에 의해 기획된 ‘소크라테스의 산파술’은 논박술과 함께 상기술로 구성됨으로써 ‘소크라테스적 문답식 대화법(=변증법)’ 전체를 지칭하는 비유로서 이해되어야 함을 입증 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하이브리드 가정 성교육 모형 개발

        강차선,허희임,정민,박정환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0

        Hybrid Parent-Child sexual education model is a model that parents teach their parents about the contents of sexual education by interacting with their children. They were deployed in a hybrid environment to facilitate such training. The M-M midwives are placed in a hybrid environment where parents can help their children open their minds to guidance of their children, and the techniques of midwifery include the ident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pre-assessment, learning, result evaluation. The contents of Parent-Child sexual education are combined with these procedural steps to develop hybrid Parent-Child sexual education model. These models can establish strategies for maintaining and managing parent-child relationships, boundaries, and functions in family relationships as well as attitudes related to performance, gender attitudes that reveal individual's sexuality, reliable value to child, and knowledge.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can be manifested in a dangerous manner so that personal boundary control can be secured through interac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theory of home sex education and to develop hybrid Parent-Child sexual education model to improve the time efficiency of dual - income families and to resolve the sexual conflicts in adolescence. Moreover, it will contribute to fostering and reducing the potential attackers and victims of child sexual abuse, which is a social problem, and contributing to the family, the society, and the national interest. 하이브리드 가정 성교육 모델은 부모가 가르치는 성교육으로서 부모는 자녀와의 상호작용으로 I-M 산파술을 활용하여 성교육의 콘텐츠 내용으로 교육하는 모델이다. 이러한 교육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하이브리드 환경에 배치하였다. I-M 산파술은 하이브리드 환경 안에 배치되어 부모가 자녀를 지도하는데 있어서 자녀가 자신의 마음을 열 수 있도록 도와주며, 산파술의 기법에는 교육목표확인, 사전평가, 학습, 결과평가의 절차적 단계가 있다. 이에 가정성교육의 내용을 갖고, 이러한 절차적 단계를 접목시켜 하이브리드 가정성교육 모형을 개발한다. 이러한 모형은 가족 간의 상호관계에 있어서 부모-자녀 간의 관계, 경계 및 기능,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한 전략을 세울 수 있으며, 또한 성과 관련된 마음가짐이나 자세, 개인의 sexuality를 드러내는 자세인 성 태도, 자녀에게 신뢰할 수 있는 가치, 그리고 지식 등의 지원이 가능하다. 특히 위험에 처한 관계를 나타나게 할 수 있어 부모와 자녀 간 상호작용으로 개인적 경계 조절을 확고하게 할 수 있다. 이에 가정 성교육 이론 확립과 하이브리드 가정 성교육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맞벌이 가정의 시간 효율성을 높이고, 학령기 아동들이 겪게 되는 사춘기 시기의 성적갈등을 해소 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성인식 함양으로, 사회문제가 되는 아동성폭력의 잠재적 가해자와 피해자를 예방하고 감소시킬 수 있어 안심할 수 있는 사회 환경 조성에 이바지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플라톤 [향연]에서 소년애와 철학

        조흥만 범한철학회 2012 汎韓哲學 Vol.65 No.2

        This article attempts to consider the Role Reversal of Socrates in Plato's Symposium in terms of Plato's unique educational enterprise. It lies in this paper that the each socially fixed roles in the strict hierarchy and an asymmetry of desire between an erastēs and an erōmenos is dramatically shifted into the mutual roles of the philosophical erōs by Socrates' performing the erōmenos-role of Greek paiderastia. As a result, Socrates has played not only a role of erastēs but also that of erōmenos. Therefore, he goes to urge his erōs partners to perform those dual role. Besides, the Role Reversal of Socrates related to Agathon, Alcibiades and so on has come to a climax in Diotima's discourse on love, that is, the desire to give birth in what is beautiful. Here, then, is Plato's notion of education, the midwifery as a metaphor on philosophical activities. Socrates' midwifery is an device to be designed to explain the contrast between putting ideas into the pupil's mind and drawing them out from within. It proved to be Socrates' respect for the pupil's own creativity, holding that, with the right kind of assistance, the young man will produce ideas from his own mind. Plato has substituted the mutuality of philosophical erōs for Greek paiderastia being caught in a trap of an hierarchical role. Furthermore, Plato's Symposium includes a beautiful discourse that the enhancement of Greek paiderastia, in other words, paiderastia pregnant in soul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in human soul. Plato has changed Greek paiderastia rooted on Athenian social and political background into the philosophical ascent to an unique educational dimension through his own heavenly and otherworldly vision. 본 논문은 그리스의 전통적인 소년애적 관계에서 사랑하는 사람(erastēs)과 사랑받는 사람(erōmenos)간의 엄격한 위계질서로 인해 고착된 역할들을 플라톤이 소크라테스가 행한 역할 전도를 통해 교육적 차원에서 자신의 독특한 철학적 기획으로 전환시켰다는 것을 고찰하고 있다. 필자는 역할 전도의 구체적인 사례들과 철학적 산파술에서 아름다움의 의미를 논급하면서, 역할 전도를 통해 소크라테스가 아름다운 사랑받는 사람의 역할을 함으로써 영혼에 임신한 젊은이들의 정신적인 출산을 돕는 산파의 역할을 수행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소크라테스는 이 관계에서 사랑하는 사람과 사랑받는 사람 모두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그의 상대방에게도 동일한 일을 하도록 만들어서, 위계질서에 포박된 소년애적 관계를 붕괴시키고 그것을 철학적 에로스의 상호성으로 대체하고 있는 것이다. 에로스적 관계에서 각자는 사랑하는 사람이자 동시에 사랑받는 사람이고, 상호적인 노력과 상호적인 성장을 필요로 하는 둘을 위한 출산이기 때문이다. 철학적 활동에 대한 은유로서 산파술은 소크라테스가 자신의 생각을 자신의 대화 상대자들에게 주입하지 않고 그들이 그들 자신의 생각을 분명하게 말하도록 돕는 데서 그들 자신의 생각을 끌어내는 하나의 과정인 것이다. 플라톤은 아테네의 전통적인 소년애적 관계에서 능동적인 역할과 수동적인 역할간의 구분을 만드는 데 활용되는 위계 질서상의 전문 용어를 차용해서 그것을 자신의 독특한 철학적인 목적, 즉 '내부로부터 끌어내기'라는 교육 관념으로 전환시켰던 것이다. 이로써 각각의 상대방이 능동적이고 열정적으로 공헌하는 상호적인 에로스적 관계는 플라톤의 철학적 배움의 이상을 위한 모델로 작용하게 된 것이다. 플라톤은 소크라테스를 그의 대화 상대자들의 비옥한 젊은 정신에 생각을 낳고 그들에게 철학적 도그마를 세뇌시키는 인물로 묘사하지 않고, 오히려 소크라테스의 현존이 이들 젊은이들이 자신들의 생각을 낳는 데에 하나의 지적인 자극으로 작용하도록 만들고 있다. 사랑하는 사람들이 그들이 낳았던 사리분별과 여타의 덕들을 함께 양육하듯이, 그들은 철학의 길을 따라 모두 진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향연』에는 그리스 소년애가 승화될 경우, 즉 그것이 영혼에 임신한 소년애적 관계라면 인간의 정신적 성장과 향상에 얼마나 크게 기여할 수 있을지에 대한 아름다운 담론이 들어 있다 플라톤은 당시의 사회, 정치적 현실이라는 아테네의 토양에 뿌리박고 있는 그리스 소년애를 자신의 천상적이고 피안적인 상상력을 통해 또 다른 교육적 차원으로의 상승이라는 철학적 목적으로 전환시키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니체의 탄생철학

        이선 한국니체학회 2016 니체연구 Vol.30 No.-

        이 글은 탄생을 중심으로 비극, 도덕, 종교를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니체의 철학에서 삶에 대한 근거와 대안을 밝히고자 한다. 탄생은 삶의 생성을 구체화시킴으로써 니체의 삶의 철학인 근거로서 생성적 힘인 창조성을 잘 드러낸다. 니체에게 존재는 생성이기에 탄생은 탄생이 일어나는 사건으로 사유된다. 탄생의 생성적 사건과 이 사건의 생성적 힘은 디오니소스적인 것에 의해 구체화된다. 산모의 고통을 생명 탄생의 조건으로 기꺼이 긍정하는 그리스의 비극적 삶은실레노스의 허무주의조차도 삶의 긍정으로 전환시킨다. 그러나 그리스 황혼기의 문화에 나타난 인식의 태어남을 돕는 소크라테스적 산파술은 탄생의 철학이아니라 오히려 죽음의 철학이다. 이 죽음의 철학은 기독교 도덕에 의해 인류 전체의 죽음의 문화로 확산된다. 니체 철학은 이렇게 탄생의 생성적 힘을 말살하는 기독교 도덕의 죽음의 문화를 디오니소스적인 것과의 대립적 해체를 통해 탄생의 문화로 변형시키고자 한다. Diese Arbeit behandelt Grundbegründung des Lebens bei Nieztsches Lebensphilosophie dadurch, dass seine Kritik an Tragödie, Moral und Religion in Bezug auf Geburt analysiert. Die Geburt verköpert das Werden des Lebens. Die Geburt als Werden des Lebens bringt die Kreativität als Macht zum Werden ins Licht, die der Lebensphilosophie Nietzsches zugrunde liegt. Nietzsche bestimmt die Geburt als das werdende Ereignis und die Macht zum Werden in diesem Ereignis. Die Geburt bei Nieztsches verkörpert das Dionysische. Das tragische Leben im Griechenland bejaht die ‘Wehen der Gebaererin’ als Bedingung der Geburt. Dadurch verwandelt der Pessmismus Silens in die Bejahung des Lebens. Aber die sokratische Maieutik, die einer Geburt der Erkenntnis hilft, ist nicht Philosophie der Geburt sondern philosophischen Todeslehre(Thanatologie). Diese Todeslehre wird vom Christentum verbreitet, sodass sie sich zur Todeskultur aller Menschen entwickelt. Die Todeskultur löscht die Macht zum Werden in der Geburt aus. Der Übergang von der Todeskultur zur Lebenskultur(oder Geburtskultur) ergibt sich aus der Auseinandersetzung des Dionysisches mit christlicher Todeskultur.

      • KCI등재

        「메논」에서 본 교육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에 관한 고찰

        이승미 안암교육학회 2007 한국교육학연구 Vol.13 No.2

        메논에서 소크라테스는 상기설을 통하여, 학습자에게 관습이나 경험을 주입시킨다는 기존의 교육의 개념을 비판하고, 올바른 교육이란 학습자에게 관습이나 경험 등을 이성적으로 사유함으로써 내면화하도록 돕는 과정이라고 주장하였다. 즉, 소크라테스가 제시한 교육의 개념은 학습자의 능동적인 인식과정을 요구하는 것으로, 이 때 학습자의 자율성은 완성되어 있는 것이 아닌 잠재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교육의 개념을 실현하기 위하여 인류의 위대한 스승인 소크라테스는 학습동기의 유발을 위하여 학습자 자신의 무지를 자각하도록 이끄는 방법인 반어법을 사용하였으며, 그 이후에 지식을 직접 전달해주기 보다 학습자 자신의 능동적인 활동에 의하여 학습하기 위한 산파술을 통하여 새로운 지식을 낳도록 유도하였다. 또한, 소크라테스는 교사 자신의 무지를 고백하는 것을 의미하는 아이러니를 통하여 학습자의 수준에 발맞추는 한편, 지식 탐구자로서의 모범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이 메논에서 제시된 교육의 의미와 그에 따른 교사의 역할을 고찰은, 교육의 근본적인 의미와 그에 따른 탐구학습의 원형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그 의의를 지닌다. Socrates showed a critical view toward the standpoint that teachers should inject knowledge into learners and insisted his concept of education that teachers should help learners internalize knowledge. The meaning of education according to Socrates needs the process of learners' active cognition that is related to the constructivist epistemology. For the purpose of realizing the meaning of education, Socrates used the elenchus that helps learners find out their ignorance, and he also used the maieutics that leads learners to study actively. Besides, Socrates used the method of irony that admitted his own ignorance and adjusted himself to the level of learners. Furthermore, using the method, he aimed to be a role model as a inquirer of knowledge. The meaning of education and the role of teachers in Meno highlight the fundamental ground of education towards the advent of knowledge-based society. They also suggest the significance of basic inquiry in the role of schooling.

      • KCI등재

        소크라테스의 교육방법 철학에 대한 성인교육적 논의

        박응희(Park, Eung-hee)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6 敎育思想硏究 Vol.19 No.-

        오늘날 성인교육에서는 학습자의 주관적인 특성을 고려한 교육방법의 적용이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학습자의 일상생활과 자기성찰성을 강조한 소크라테스의 교육철학을 성인교육적 차원에서 고찰해 보는 것은 매우 큰 의미가 있다. 소크라테스는 교육을 지식전달이나 직업훈련이 아니라 학습자들의 성찰적인 사고를 확장시키는 것으로 간주하였으며 대화과정을 통해 그 목적을 실현해갔다. 소크라테스적 교육방법인 산파술은 이러한 측면에서 성인의 교육과 학습의 원칙에 매우 맞닿아 있다. 소크라테스의 교육방법의 철학에서 학습자가 스스로 사고하고, 결정하는 자율성의 원칙과 학습자의 경험과 내적인 판단원칙을 기초로 하여 스스로가 학습의 주체가 되는 자기 주도적 학습의 원칙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그의 이론은 교수자와 학습자가 상호 작용을 통해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토론속의 집단역학의 가능성을 보여 주면서 학습자의 태도나 행동의 변화를 촉진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시각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소크라테스의 교육방법은 학습자들이 끊임없는 자기성찰을 통해 자기의 부족함을 깨닫고 주체적으로 배우고자 하는 노력을 계속하게 하도록 독려하고 있다는 점에서 성인교육의 방법론적 철학이 엿보인다. 이러한 측면에서 소크라테스적 대화과정은 학습자의 주관적인 특성을 고려한 대상자 중심의 성인교육방법의 이론적 토대로서 인식되어져야 한다. In today's lifelong education, it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o offer educational methods and programs that take into account the subjectiv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ccordingly, this study hopes to rediscover the modern meaning of the Socratic method by examining the philosopher who personally practiced his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daily lives of learners and self-reflection. Socrates regarded education not as knowledge delivery or vocational training but as the extension of reflective thinking of learners, realized through the dialogue process. Maieutics, Socrates' teaching method, is consistent with principles of life education. In maieutics, you can find the principle of autonomy in which learners think and decide for themselves. Specifically, this is the principle of self-leading learning in which learners themselves become the subjects of learning based on their experience and personal judgement rules. In addition, while showing the group dynamics which help instructors and learners enhance learning effects through interactions, maieutics facilitates changes in attitude and behavior. Lastly, the Socratic method helps learners perceive their weaknesses through ceaseless self-reflection and encourages them to continue to learn more autonomously. In this sense, it seems that the Socratic method can be used as a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subjective characteristics of learner.

      • 철학 상담과 철학적 대화법 -플라톤의 대화편을 중심으로-

        장영란 ( Chang Young-ran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1 존재론 연구 Vol.25 No.-

        현대에 이르러 철학의 실천적 활동들 중 하나로서 철학 상담은 기존의 심리치료나 정신분석학적 치료 등과 같은 요법으로 접근하기 힘들거나 해결하기 어려웠던 수많은 인간의 정신적 문제들을 다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철학 상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소크라테스 대화법을 분석하고, 철학 상담의 몇 가지 기본 요소들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우선 철학 상담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선 몇 가지 기본적인 조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첫째는 ‘솔직히 말하기’이다. 철학 상담은 상담자가 일방적으로 진단하고 처방하는 의학적인 치료 방식이 아니다. 파레시아, 즉 솔직히 말하기 또는 진실하게 말하기는 상담자와 내담자가 상호소통을 하는 중요한 단초가 된다. 둘째는 ‘공감적 듣기’이다. 철학 상담자는 내담자의 감정이나 서사에 공감적인 태도를 가질 필요가 있지만 객관적 거리를 잃고 지나치게 빠져들게 되면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다. 다음으로 소크라테스의 방법으로부터 철학 상담의 몇 가지 방법들을 도출하고 활용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소크라테스의 보편적 정의를 통한 일반적인 상식과 통념을 깨트리는 방법으로 내담자가 일상적 삶 속에서 무심코 획득한 사회적 편견이나 가치로 인해 발생한 갈등이나 고통을 해소시킬 수 있다. 둘째, 논박술을 통해 스스로 자신의 무지를 인식하고 비판적으로 사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이다. 그러나 철학 상담자가 소크라테스의 논박술을 사용할 경우에 매우 조심스럽게 다룰 필요가 있다. 셋째, 철학 상담자는 산파술을 통해 내담자가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스스로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조력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 따라서 내담자에게 지나치게 개입하여 내담자가 자율적으로 사유하는 것을 방해하거나, 상담자가 자신의 입장을 직접 제시하여 내담자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일을 삼가야 한다. Philosophical Counseling can b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aling with human mental problems which haven’t be solved by psychotherapy and psychoanalysis. This treatise aims to analyze Socratic conversation as methodolog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to find out it’s fundamental elements. First of all we have to examine two basic conditions for philosophical counseling. The one is ‘telling frankly or freely’. Philosophical counseling is different from medical therapy. Philosophical counselor can’t diagnose and prescribe uni-laterally. Plato’s parrhesia is the clue of mutual communication or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counselor and client. The other is ‘hearing compassionately’. Philosophical counselor has to have compassionate attitude toward client’s emotion or narratives, but to preserve at a certain distance from client. If not so, he or she can’t play a role as helper. Next we can find out some methods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they are applicable to each case. First, it is the universal definition as method to reflect common sense and general belief. It can be cured mental pain and grief caused by social prejudices and virtues that has received or agreed unconsciously. Second, it is Socratic elenchos as method that makes his ignorance recognize by himself and helps him think critically. But philosophical counselor has to deal with it very carefully when he uses elenchos. Third, it is Socratic midwife-method that philosophical counselor help client find and analyze his problem and consider how does client to solve it for himself. So he have to take precautions against intervening client’s considering positively, and influencing to client’ decision too much.

      • KCI등재

        플라톤의 〈테아이테토스〉와 소크라테스적 삶의 철학적 변론

        박성우(Sungwoo Park) 한국정치학회 2010 한국정치학회보 Vol.44 No.3

        소크라테스는 아테네의 배심원 법정에서 자신의 삶 전체를 훌륭한 삶으로 설득시키는 데 실패했다. 그러나 그의 실패는 그의 정치적 심판이 부여한 수사학적 한계에 기인한 바 크다. 소크라테스에 대한 정치적 심판이 이와 같이 불리한 조건에서 이뤄진 것이라면, 소위 철학적 심판의 장에서 그의 삶은 성공적으로 변호될 수 있었을까? 논문은 플라톤의 〈테아이테토스〉 대화편의 분석을 통해, 소크라테스가 철학적 심판이라는 가정적 조건 하에서 자신의 삶을 어떻게 변호할 수 있었는가를 검토한다. 〈테아이테토스〉는 전통적으로 형이상학적, 인식론적 주제만을 다룬 대화편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논문은 이 대화편의 극적 요소가 소크라테스의 재판과 죽음을 암시하고 있음에 주목하고, 이 대화편이 소크라테스적 삶의 철학적 변론의 장이 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논문은 이대화편의 두 부분, 즉 소크라테스가 자신을 산파로 소개하는 부분과, 철학자와 수사가를 비교하는 여담 부분에 특히 주목한다. 논문은 첫 번째 부분의 해석을 통해, 소크라테스가 자신의 삶을 산파와 비교하면서 아테네의 젊은이들을 타락시켰다는 기왕의 비난을 성공적으로 변호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논문은 또한“여담”의 해석을 통해, 소크라테스의 철학적 삶이 자연철학자나 소피스트의 삶과 구분되는 훌륭한 삶이었음을 변론하는 데 성공했음을 보인다. 결론적으로, 논문은 철학적 심판이라는 가정적 조건 하에서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삶을 성공적으로 변론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Socrates failed to persuade the jury in the Athenian court that his philosophical life was the worthiest way of life. His failure, however, was primarily due to the rhetorical condition in which his political trial situated him. Now the paper asks the question whether he would succeed in presenting his life as good life, if his trial took place in the philosophical atmosphere. To answer the question, the paper turns to one of the Plato’s dialogues, “Theaetetus,”that has been traditionally regarded as dealing with metaphysical and epistemological theme. The paper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dramatic elements of the dialogue in order to show that the dialogue contains philosophical defense of Socrates’life. In particular, the paper examines closely two specific parts of the dialogue: argument for midwifery and digression. In the midwifery part, Socrates succeeds in rejecting the traditional criticism that Socrates himself corrupted the young, whereas in digression he succeeds in presenting his life as differentiated from the lives of Sophists or natural philosophers. In sum, the paper concludes that Socrates succeeds in presenting philosophical defense of his life in Theaetetus.

      • KCI등재

        철학 상담과 철학적 대화법 -플라톤의 대화편을 중심으로-

        장영란 한국하이데거학회 2011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25

        Philosophical Counseling can b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aling with human mental problems which haven’t be solved by psychotherapy and psychoanalysis. This treatise aims to analyze Socratic conversation as methodolog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to find out it’s fundamental elements. First of all we have to examine two basic conditions for philosophical counseling. The one is ‘telling frankly or freely’. Philosophical counseling is different from medical therapy. Philosophical counselor can’t diagnose and prescribe uni-laterally. Plato’s parrhesia is the clue of mutual communication or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counselor and client. The other is ‘hearing compassionately’. Philosophical counselor has to have compassionate attitude toward client’s emotion or narratives, but to preserve at a certain distance from client. If not so, he or she can’t play a role as helper. Next we can find out some methods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they are applicable to each case. First, it is the universal definition as method to reflect common sense and general belief. It can be cured mental pain and grief caused by social prejudices and virtues that has received or agreed unconsciously. Second, it is Socratic elenchos as method that makes his ignorance recognize by himself and helps him think critically. But philosophical counselor has to deal with it very carefully when he uses elenchos. Third, it is Socratic midwife-method that philosophical counselor help client find and analyze his problem and consider how does client to solve it for himself. So he have to take precautions against intervening client’s considering positively, and influencing to client’ decision too much. 현대에 이르러 철학의 실천적 활동들 중 하나로서 철학 상담은기존의 심리치료나 정신분석학적 치료 등과 같은 요법으로 접근하기 힘들거나해결하기 어려웠던 수많은 인간의 정신적 문제들을 다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담당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철학 상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소크라테스 대화법을 분석하고, 철학 상담의 몇 가지 기본 요소들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우선 철학 상담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선 몇 가지 기본적인조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첫째는 ‘솔직히 말하기’이다. 철학 상담은 상담자가 일방적으로 진단하고 처방하는 의학적인 치료 방식이 아니다. 파레시아,즉 솔직히 말하기 또는 진실하게 말하기는 상담자와 내담자가 상호소통을 하는 중요한 단초가 된다. 둘째는 ‘공감적 듣기’이다. 철학 상담자는 내담자의 감정이나 서사에 공감적인 태도를 가질 필요가 있지만 객관적 거리를 잃고 지나치게 빠져들게 되면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다. 다음으로 소크라테스의 방법으로부터 철학 상담의 몇 가지 방법들을 도출하고 활용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소크라테스의 보편적 정의를 통한 일반적인 상식과 통념을 깨트리는 방법으로 내담자가 일상적 삶 속에서 무심코 획득한 사회적 편견이나 가치로 인해 발생한 갈등이나 고통을 해소시킬 수 있다. 둘째, 논박술을통해 스스로 자신의 무지를 인식하고 비판적으로 사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방법이다. 그러나 철학 상담자가 소크라테스의 논박술을 사용할 경우에 매우조심스럽게 다룰 필요가 있다. 셋째, 철학 상담자는 산파술을 통해 내담자가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스스로 해결 방법을 찾을수 있도록 조력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 따라서 내담자에게 지나치게 개입하여내담자가 자율적으로 사유하는 것을 방해하거나, 상담자가 자신의 입장을 직접 제시하여 내담자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일을 삼가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