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의 다문화 단원 분석 연구

        이영문 ( Young Mun Le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초등도덕교육 Vol.0 No.39

        본 연구는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의 다문화 단원들을 분석하여 그 장단점을 고찰하고 이상적인 방향을 제안하였다. 분석을 위해 우리나라 학교에서 ``다문화`` 용어가 갖는 의미, 다문화 학생에 대한 차이와 배려의 문제, 직접전달과 간접전달의 문제, ``민족``을 바라보는 시각의 네 가지를 설정하였다. 분석의 결과, 도덕 교과서에서 다문화교육은 전반적으로 동화주의에 바탕을 두고 있었으며, 문화의 차이에 대한 상호 이해라기보다는 우리나라 사람의 문화를 기준으로 하여 타문화를 배려와 관용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강하였다. 또한, 다문화적 삶을 다루는 단원과 민족의 문제를 다루는 단원이 서로 갈등을 이루는 측면이 많이 발견되었다. 앞으로 새로운 도덕교과서의 개발을 위해서, 각 학년별로 체계적인 다문화교육의 계획이 필요하며, 다문화교육에서 강조하는 ``이해``와 ``존중``이 선언적, 교화적으로 제시될 것이 아니라, 학생들 스스로의 마음속에서 우러나오도록 하는 이야기들이 많이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민족의 문제가 다문화적 삶에 조화를 이루는 방식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multicultural lesson unit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textbooks. At the same time, it suggested the desirable directions for elementary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For this analysis, this study desided four elements for effective analyses, that is, the meaning of multiculture in our schools, problems of difference and care for multicultural students, direct communication and indirect communication and perspectives concerning ethnic group. The results of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descriptions of our moral textbook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are based on assimilationism. That is, they tend to evaluate other cultures based on the criteron of our culture. Second, they are based on bi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kin color, shape of face, etc. in lower grade textbooks. On the other hand, this tendency dwindled in higher grade textbooks and the textbooks tried to teach the broad understanding about culture through picture, food, architecture, dress, cultural properties, etc.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conflict between the multicultural life unit and the national unification unit treating the matter of ethnic group. These problems need to be solved in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s of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2011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도덕교과서의 다문화 단원 분석 연구

        이영문 ( Young Mun Le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5 초등도덕교육 Vol.0 No.48

        본 연구는 2011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만들어진 초등학교 도덕교과서의 다문화 단원, 4학년 “다양한 문화, 조화로운 세상”을 비판 적으로 분석하고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의 다문화 단원의 바람직한 내용 을 제안하였다. 분석의 결과, 교과서의 내용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제일 절실한 다문화 도덕교육의 내용, 즉,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 생김새와 언어에 따른 편견과 차별 극복, 다문화적 인성 함양 등을 체계적으로 잘 다루고 있었지만, 그것을 다루는 방식에 있어서 이전의 초등학교 도덕교과서의 다문화 단원보다는 많이 개선되었지만 아직도 소개와 설득이 위주로 되어 있어서 다문화에 대한 비판적 능력과 다문화적 인성 함양의 관점에서 볼 때 다소 불충분한 점이 발견되었고, 교과서의 내용 기술상의 면에서 볼 때 이 단원을 가르치는 교사가 해야 할 일이 다소 불분명한 점이 있었다. 미래의 초등학교 도덕교과서에서는 이런 점을 보완하여 다문화 단원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suggested the desirable content and direction of multicultural lesson unit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textbook through the critical analysis of the multicultural lesson unit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textbook developed by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11. The results of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contents of the multicultural lesson unit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textbook dealt with the understanding of various cultures, the problems of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with regard to shape of face and language, cultivation of multicultural personality which are especially necessary in elementary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But the method of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put first understanding and respect in the form of persuasion without the explanation of necessity and reason. In the result, the educational method was a little superficial in aspect of cultivation of multicultural personality. Finally, the role of teacher was a little vague in aspect of description of moral education textbook content.

      • KCI등재

        다문화교육과 다문화 도덕교육의 개념 분석과 도덕교육에의 시사점

        이영문(Lee Young Mu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4 도덕윤리과교육 Vol.- No.44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다문화’라는 말은 많은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고 그래서 학교의 다문화 교육의 방향에 혼선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학생들의 인성교육에 중요한 역 할을 하는 도덕교육에 있어서도 그 혼란은 그대로 나타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화’, ‘다문 화’, ‘다문화교육’ 및 ‘다문화 도덕교육’의 개념을 ‘언어학적으로’ ‘상황적으로’ 분석하여 다문화 교육의 바른 의미를 찾으려고 노력하였고, 그 바탕에서 다문화 도덕교육의 개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즉, 본 연구는 다문화 교육과 다문화 도덕교육의 개념을 분명히 함으로써 학교 다문화 도덕교육의 방향을 확인하고, 다문화 가정 학생들이 학교에서 겪는 문제를 중심으로 그 해결책 을 모색함으로써 다문화 도덕교육의 실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학교의 다문화 도덕교육은 다양한 문화를 포용할 수 있는 열린 마음과 더불어 사는 것이 행복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마음이 어우러진 다문화적 인성을 함양시켜 그것이 세계시민성으로 확장될 수 있게 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런 방식의 다문화 도덕교육을 실행함으로써 우리나라의 학 교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다문화 학생들에 대한 편견이나 놀림 등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 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줄 것을 기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esirable directions of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in Korea in the light of the concep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First of all,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the study analyzed concepts of multicultur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The analyses were performed by two aspects of word analysis based on the glossary of dictionary and situational analysis based on the socio-linguistic analysis. The academic meaning and the socio-linguistic meaning about multiculture, multicultural education are very different in many aspects. This study defined the meaning of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in the both aspects. Especially, the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in our schools needs to be defined in view of situational analysis. The problem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ith regard to moral education such as prejudice, bantering and discrimination can be solved from the approach about multicultur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The ultimate goal of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should be the cultivation of global citizenship such as respect for equal human right, care and understanding about difference, beauty of diversity, protection of the weak and virtue of cooperation, which are can be called 'open mind' or 'together mind'.

      • KCI등재

        초등학교 다문화 도덕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이영문 ( Young Mun Le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3 초등도덕교육 Vol.0 No.41

        오늘날 급속하게 진행되어 가는 글로벌 사회의 추세와 함께 우리나라는 현재 다문화 사회로 진행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현재 초?중등학교의 교실에는 다문화 가정의 학생들이 적지 않게 공부하고 있다. 우리 사회의 다문화 진전 속도를볼 때 학교에서의 다문화 도덕교육은 도덕 교과서 내의 한 두 단원속에서 부분적으로 가르치기에는 부족한 감이 많다. 이제 우리의학교 다문화 도덕교육은 학교에서 독립된 교과의 차원에서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만들어서 가르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다문화 도덕과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원리들과 논쟁점들을 고찰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도덕 교과의 교육과정 구성 요소를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네 가지로 확인하고,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다문화 도덕과의 목표 설정과 내용 구성에 대해서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 With the broad movement of population as a phenomenon of globalization, our nation is in progress toward the multicultural society. The need of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in schools becomes higher in the flow of this social change. Besides, a few units of multiculture in the textbook of moral education is not enough for the teaching about the increasing multicultural problems which are occurred to the students from the multicultural family. In the light of this situation of our school and society, this study performed a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textbook for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For this study, first of all, this study confirmed four elements of curriculum construction, that is, educational objective, educational content, educational method and educational evaluation.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educational objective and educational content which are the core of curriculum. In addition, this study discussed the issues on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based on the peculiarity of our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의 기초로서 소크라테스의 교육관에 대한 연구

        이영문 ( Young Mun Le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4 초등도덕교육 Vol.0 No.44

        본 연구는 소크라테스가 학생들의 도덕성을 효과적으로 형성시키는 일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고찰하고 이것이 초등학교의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에 어떠한 시사를 줄 수 있을지를 탐색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학생들의 인성과 인격의 진정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예를 플라톤의 대화편들 속에 등장하는 소크라테스의 생각과 말을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의 결과 소크라테스는 학생들의 도덕성이 바람직하게 변화되기 위해서는 수업시간 동안에 인지적 도덕성 정의적 도덕성 행위적 도덕성이 혼연일체가 되어 학생들의 인생관과 세계관의 변화로 이어지도록 하는 교수방법을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소크라테스는 진정한 도덕성의 교수 학습은 일주일에 시간의 도덕 수업으로 가능한 것이 아니라 가르치는 자와 배우는 자 모두 매일 전심전력으로 몰두하여 공부하고 그러한 정신으로 일상생활을 할 때 가능하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즉 교사와 학생은 그들의 모든 삶을 통해서 도덕적 사고를 하고 대화를 할 때 이 일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진정한 인성교육을 위해서는 소크라테스의 도덕교육관을 불가피하게 받아들여 초등학교 도덕과의 교육과정을 개정해야 할 필요성을 말해준다. This study examined Socratic view of education to find some problems of the present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provide some suggestions for a revision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Some problems of the present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have been raised. Especially, there are two problems. The first is the insufficiency of the amount of moral instruction in elementary education and the second is the incomplete integration of cognitive morality, affective morality and active morality. For this, the study investigated how Socrates develops people`s morality effectively for their lives of unity of moral knowledge and a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rates makes every educational effort in fostering good persons through the dialogue to examine people`s thought and action in everyday life. In the light of this point, the now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needs Lo provide more the amount of moral instruction. Second, Socrates analyzes the core of the interlocutor`s belief for the complete integration of cognitive morality, affective morality and active morality. As the result. the interlocutor finds his false-consciousness and acquires the right moral knowledge. In the light of this point, the new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needs to accept the method of Socratic integration of cognitive morality, affective morality and active morality In pursuit of the unity of moral knowledge and action. In conclusion, we need to accept Socratic view of education in a now 81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소크라테스의 산파술과 도덕교육

        이영문 ( Young Mun Lee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2 초등교육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소크라테스의 산파술을 분석하여 그것의 도덕교육적 의의를 찾는 것이다. 플라톤의 대화편들에는 산파술에 대한 설명이 여러 군데에 나온다. 그 중에서 가장 직접적으로 기록된 부분이 <테아이테토스>편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플라톤의 대화편 <테아이테토스>에서 소크라테스가 설명하는 산파술의 설명을 분석하고, 여기에 비추어 교사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산파술의 핵심은 상기설에 있기 때문에 상기설을 도덕교육과 관련하여 해석해 보았다.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산파술의 도덕교육적 의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산파술은 교사와 학생이 묻고 대답하는 과정을 통해서 인생의 진리를 발견하는 방법이다. 인생의 궁극적인 진리는 좋음의 이데아이다. 한 번 좋음의 이데아를 맛본 사람은 절대로 거짓된 삶의 방식에 의해 흔들리지 않는다. 좋음의 이데아는 불순한 것이 전혀 섞이지 않는 절대선으로서 마음이 온통``좋음``으로 가득 차 있는 사람은 그의 행동도 좋은 것만 나타날 것이다. 이렇게 해서 산파술은 우리나라 도덕교육의 고질적인 문제인 지행의 괴리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볼 때 소크라테스의 산파술은 일렌쿠스와 함께 협력하여 학교 도덕교육의 전체적인 프로그램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것의 궁극적인 목적은 지행이 일치되는 도덕적 인간의 형성에 있다. This study is to find the implication for moral education of maieutics of Socrates mainly through the analysis of ``maieutics`` explained in Plato`s dialogue Theaetetus. Frequently, it is known that maieutics of Socrates is a philosophical dialogue between teacher and student. But, maieutics of Socrates is doing more than this. It is not only an educational method but also a method of moral education. The process is as follows. Fist of all, Socrates eliminates the wrong knowledge in student`s belief through elenchus which is Plato`s word. Afterward, he tries to find the true knowledge about the theme of dialogue through maieutics of Socrates which is constituted mainly by recollection theory and discovery learning. Maieutics of Socrates pursues the formation of moral person whose action is coincident with knowledge. The secret is like this. Socrates tries to change the beliefs of interlocutors. The belief is the cause of action. Generally, human-beings behave as they know. If the interlocuter`s belief is right, they behave rightly. In most cases, Socrates dialogues with moral themes such as justice, self-control, courage, friendship and piety. In addition, he dialogues with the mathematical theme as Plato`s dialogue Meno.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of the formation of moral person whose knowledge and action are coincident. But there are such problems as difficulty of teacher education, controversy about recollection theory and so on. Nevertheless, we cannot deny that maieutics of Socrates throws the light to school moral education under the immoral situation prevalent in our present society.

      • KCI등재

        윌슨의 개념분석법에 따른 도덕과의 개념 분석 수업 모형에 대한 연구

        이영문 ( Young Mun Le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0 초등도덕교육 Vol.0 No.34

        고대 그리스의 소크라테스 이래로 개념의 학습은 모든 학습의 기초로서 중시되어 왔다. 특히, 도덕과에서 배우는 개념은 학생들의 삶의 태도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영국의 교육철학자 윌슨은 소크라테스의 개념분석법을 연구하여 개념 분석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10가지 절차로 제시하였다. 그것은 (1) 분석할 개념의 분리, (2) 전형적 사례의 검토, (3) 반대 사례의 검토, (4) 관련된 사례의 검토, (5) 경계 사례의 검토, (6) 가상적 사례의 검토, (7) 사회적 맥락의 검토, (8) 가정의 검토, (9) 실제적 결과의 검토, (10) 언어 정립 문제의 검토의 열 가지이다. 본 연구는 윌슨의 개념 분석 절차를 심도 있게 분석해서 도덕 교사들이 보다 잘 이해하여 쉽게 수업에 적용할 수 있게 하는 목적에서 시도되었다. 그래서 윌슨의 개념분석법을 예시와 함께 설명하고, 그것을 도덕과의 교사용 지도서와 전문 서적들에서 소개하는 간편 모형과도 비교하면서 설명하였다. 특히, 초등학교의 도덕 수업에서 교사가 어떤 점에 유의하여 활용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고찰해보았다. Learning concepts has been very importantly treated in schools ever since the age of Socrates in the ancient Greece. The moral subject among many subjects to be taught in school is important in that the learning of concept can be connected to students` attitude of life. For this reason, this study purposed to have elementary moral subject teachers use conceptual analysis instruction easily by introducing J. Wilson`s conceptual analysis procedures which are (1) isolating questions of concept, (2) model cases, (3) contrary cases, (4) related cases, (5) borderline cases, (6) invented cases, (7) social context, (8) underlying anxiety, (9) practical results, and (10) results in languages. Also, it suggested teacher`s desirable attitudes for effective conceptual analyses and provided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by comparison of the Wilson`s original method and the brief model presented in guidebooks for elementary teachers and treatises on the moral subject.

      • KCI등재후보

        통합교과 교육과정으로서의 초등학교 바른생활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영문 ( Young Mun Lee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2 통합교육과정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통합교과 교육과정으로서의 초등학교의 바른생활 교육과정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해보고 바른생활 교과가 나아가야 할 이상적인 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과거 바른생활 교육과정들을 고찰하고, 특히 현재 초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2009년 개정 바른생활 교육과정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바른생활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는 바른생활 교과가 독립교과인지 통합교과인지에 대한 정체성이 불확실하며, 통합교과라고 할지라도 교육과정 시기마다 그 통합의 형태가 다른 점이다. 여기에 대한 연구자의 관점은 바른생활이 통합교과이든 독립 교과이든 간에 그것이 학생들의 올바른 인생관과 세계관의 정립에 도움이 되는 방향이 되어야 하며, 그것이 통합교과의 형태가 된다면 교과의 통합이든 주제별 통합이든 그 내용 구성에 있어서 초등학생들의 발달과 생활에 적합한 내용으로 되어야 하며, 그 내용이 어느 한 주제로 편중되지 않고 필요한 내용들이 균형적으로 배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통합교과로서의 바른생활 교과를 가르치는 교사들은 바른생활과에서 배우는 내용이 최종적으로는 학생들의 마음 속으로 통합되어 학생들의 통합적인 인격 함양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ature and role of Disciplined Life curriculum in the history of our national curriculum and to suggest a desirable direction of Disciplined Life curriculum for the future.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Disciplined Life curriculum of the 9th revision national curriculum and analyzed its strengths and weaknesses. The present Disciplined Life curriculum is the integrated curriculum with Wise Life curriculum and Pleasant Life curriculum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But Disciplined Life curriculum in the sixth national curriculum was an independent curriculum which plays the role of the moral subject matter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In fact, there are different views on the nature of the Disciplined Life curriculum. Therefore, many people includ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confused with the identity of Disciplined Life curriculum. For this reason, this study analyzed the nature and contents of Disciplined Life curriculum and suggested the desirable direction of Disciplined Life curriculum.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Disciplined Life curriculum should play the role which leads the sound life of elementary students by helping the establishment of their view of life and world whether it is the integrated curriculum or the independent curriculum. Second, Disciplined Life curriculum should focus on the both the integration of subject matters and the integration within students` experiences or mind. Especially, with regard the latte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make every effort to cultivate students` integrated charac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