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적 자본 수준과 축적노력에 대한 연구

        임진혁(Jinhyuk Rhim),이남희(Namhee Lee),곽비주(Bijou Kwa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C대학 학생들의 사회적 자본 수준을 측정하고 대학생에게 부족한 사회적 자본을 인식하고, 사회적 자본을 축적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지방 소재 C대학 학생 대상으로 사회적 자본 수준 측정을 위한 설문(질문 문항 17개)조사를 실시하여 학년별, 성별, 전공별 분석을 통해 사회적 자본 실태를 파악했다. C대학 학생들이 생각하는 부족한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 노력해야 할 점에 대해 인터뷰 조사를 진행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C대학 학생의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해 노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과 지방 소재 C대학의 학생 112명의 설문조사와 인터뷰 조사를 통해 사회적 자본 수준과 부족한 사회적 자본,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 노력해야 할 점을 분석한 결과와 내용을 바탕으로 C대학 학생이 생각하는 사회적 자본 형성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론 대학생의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사회적 자본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사회적 자본에 대한 보완과 사회적 자본을 축적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으로 사회적 자본에 대한 수준을 높여야 한다. 사회적 자본 축적은 사회관계 속에서 형성되므로 대학생이 사회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사회관계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Objectives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social capital level of C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d the lack of social capital for college students,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efforts to accumulate social capital. Methods For this purpose, by conducting a survey (question 17 questions) to measure social capital level for stu-dents at C university in the province, we grasped the actual condition of social capital through the analysis accord-ing to grade, gender, and major.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nalyze what C university students think is in-sufficient social capital and what they should strive to accumulate social capital, and based on this, directions for C university students to make efforts to form social capital were presented. Results Through a survey and interview survey of 112 students from C university located in the province, based on the results and contents of analyzing social capital level, insufficient social capital, and the points to work on social capital accumulation, the direction for the social capital formation that C university students think was presented. Conclusions In order to accumulate social capital of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raise students' awareness of social capital, to supplement social capital that they think is insufficient, and to raise the level of social capital by constant efforts to accumulate social capital. Since social capital accumulation is formed in social relations, ed-ucation for improving the social relations capacity that college students should have as members of society is needed.

      • KCI등재

        제주지역의 사회적 자본 연구

        진관훈(Gwan Hun Jin) 제주학회 2011 濟州島硏究 Vol.35 No.-

        이 연구는 제3의 자본 이라 불리는 사회적 자본의 개념과 상징성을 통해 제주사회를 분석하고 나아가 제주사회 사회적 자본의 확충 방안을 모색 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비롯되었다.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이라는 용어는 Judson Hanifan에 의하여 1916년에 처음 사용되었다. 그는 민주주의와 개발을 지속시키기 위해 지역사회가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할 필요성 및 중요성에 대해 주목했다. 그는 이웃다움(neighborliness)과 시민참여의 종말에 대해 언급하고 이러한 현상들로 인해 가족의 고립과 지역사회 정체가 야기되었다고 주장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현재 제주특별자치도에 거주하는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수행하였다. 즉, 거주 지역별 · 성별 · 연령별 인구비례로 표본 추출한 제주특별자치도에 거주하는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기기입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도구로는 사회적 자본의 4변수인 신뢰 6개 항목, 호혜성에 기반한 사회규범 8개 항목, 네트워크 8개 항목, 사회구조 8개 항목을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사회적 자본 간의 중요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회적 자본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순서로는 신뢰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사회규범, 사회구조, 네트워크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본 중 네트워크가 가장 낮은 수치를 보여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출신지, 거주지에 따라 신뢰, 사회규범, 네트워크, 사회구조는 평균 차이가 없으나 기부경험에 따라 사회적 자본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 자본 축적과 기부문화의 확산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아지며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해 기부문화 확산에 사회적 노력과 정책적 관심을 쏟아야 할 것이다. 셋째 성별, 출신지, 기부경험에 따라 네트워크는 평균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거주지에 따라서 네트워크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제주시 거주응답자가 서귀포시 응답자의 네트워크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유의미한 차이가 양 지역의 개발 불균형, 삶의 질 격차에서 기인한 것인지 심각하게 고려해 보아야 하며 지역 간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책적 배려가 시급하다고 하겠다. 넷째 연령, 학력에 따라 네트워크의 평균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경제활동인구일수록, 고학력일수록 네트워크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한 사회적 자본의 확충을 위해 평생교육을 통한 도민 학력능력 향상과 도민일자리 특히 실버세대와 청년일자리 창출을 시급히 도모해야 하겠다. 결론적으로 지역사회 발전의 전제 조건이라고 할 수 있는 사회적 자본확충을 위해 지역구성원과 지방정부에 대한 낮은 신뢰, 후진적인 법질서 의식, 폐쇄적 연구주의나 배타적 집단주의 등이 반드시 선결해야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ocial capital in Jeju. The reason is that social capital is created through relationship and shared by related people, which makes them cooperative and cohesive. For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are; first is to analyze of social capital in Jeju and the second is to develop the scale of social capital in Jeju.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is consist of trust, reciprocity, network and social structure. The social capital scale in Jeju in this study was developed through deductive process such as exploring literature on social capital and inductive process. The scale development process was 1) item development 2) pilot study 3) study. Data for analysis was collected from 1,000 peoples in Jeju. The scale of 30 items was constructed with 4 dimensions with high reliability coefficient. The first dimension is trust with 6 items; the second dimension is reciprocity with 8 items; the third dimension is network with 8 items; the last dimension is social structure with 8 items. All analyze revealed the construct validity, criterion-related validity and the discriminant validity. Thus the social capital scale for Jeju developed this study was proved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analysis of social capital in Jeju constitutes of 1) the relationship among components of social capital, 2) the types of social capital, 3) analysis of effect factors to social capital in Jeju. It is found that all component of structural aspects and cognitive aspects are positively correlated, bonding network and bridging network. It is the linkage network that correlated with both trust and reciprocity in cognitive aspects. In other words, when people in Jeju participate in linkage networks, the probability of interact with trust and reciprocity is increased. Therefore we can say that people in Jeju linkage networks are very important social capital in bala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existing theories about trust, reciprocity, network, social structure and provides new ways of understanding and strengthening of social capital in Jeju.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velopment for Jeju community by encouraging people in Jeju to cooperate and solidify to solve problem in Jeju and cope collective to the change Jeju community.

      • KCI등재

        농촌 여성의 사회적 관계의 변화

        김주희(Joo Hee Kim) 한국농촌사회학회 2011 農村社會 Vol.21 No.2

        이 연구는 지난 삼십여 년간 경기도에 소재한 S 농촌마을 여성들의 사회적 관계의 변화를 알아보고 그 의미를 사회적 자본, 즉 접착성 사회적 자본과 연결성 사회적 자본의 관점에서 이해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조사 자료는 2010년 6월부터 6개월 간 16명의 마을 여성들과의 심층적 인터뷰를 통해 구해졌으며, 이를 연구자가 1970년대 후반 10여개월간 참여관찰을 통한 민속지(ethnography) 조사와 비교하면서 논의를 진행했다. S마을 여성들의 사회적 관계가 마을 안에서 마을 밖으로 확대되었다는 것 그리고 예전 그들에게 중요했던 이웃관계가 현저히 약화되었다는 것이 이 연구의 결과이다. S마을 여성들은 농경기계화가 가져다준 시간적·육체적 여유를 마을 밖 경제활동에 활용해 왔으며, 인구 감소로 인한 마을 내 관계의 감소를 마을 밖 사람들과의 교류를 통해 보완해 왔다. 이러한 활동들은 의식의 변화를 가져왔고 봉사활동 또한 일상으로 받아들이게 했다. S마을 여성주민들은 도시와의 차이를 거의 느끼고 있지 않으며, 도시생활에서 발달하는 것으로 알려진 사적 관계망을 공적 관계망을 통해 만들어 가고 있다. 지난 삼십여 년간 S마을 여성들의 사회적 관계의 변화는 접착성 사회적 자본이 감소하고 대신 연결성 사회적 자본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그동안 접착성 사회적 자본에 익숙했던 여성들이 연결성 사회적 자본의 유용성을 이용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물론 "친한 사람"과의 관계에서 보듯이 마을 내 접착성 사회적 자본이 아주 없어진 것은 아니다. 그러나 마을 여성들의 마을 밖에서의 활동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그럴수록 그들의 사회적 관계망은 확대될 것이며, 이는 연결성 사회적 자본의 확대로 이어질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관계는 접착성 사회적 자본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결성 사회적 자본의 확대에 대한 예상은 조심스러워야 한다.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changes that have occurred during the past three decades in social relationships among women in a Korean rural village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The author has been acquainted with the life of the village for more than thirty years.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for the present study to the causes that are responsible for the changes of women`s social relationships, namely, the mechanization of farming and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The former has reduced the economic inter-dependence among villagers and the contribution of women`s labor to the family farming. The latter has enabled women with spare labor power to easily seek new economic opportunities provided by nearby towns such as Asan tourist facilities. Sixteen women aged from the forties to the seventies were interviewed in-depth. The most conspicuous change in women`s social relationships can be termed as extens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village. Unlike those whose social relationships were bounded within the village in the past, women in the village now not only actively participate in various official organizations sponsored by the District Office, but enjoy social gatherings formed through those formal meetings. They pursue instrumental needs and emotional satisfaction by maintaining social networks with women from other villages. Even the neighbor relationship within the village that used to be the most importa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women has greatly weakened. All these changes are the manifestations of the rapid decrease of community consciousness and reciprocal acts among villagers. The changes in social networks among the village women wer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apital, the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in particular. The weakened social relationships within the village and their extension outside of the village were taken as the phenomenon of enlarging of the bridging social capital among women in the village, who used to lack such social capital. But their bridging social capital is operated on the basis of the bonding social capital.

      • KCI등재

        한국 어촌사회의 사회적자본 축적과정에 관한 연구 - 부안군 격포리를 중심으로 -

        김언상,원도연 한국지역사회학회 2023 지역사회연구 Vol.31 No.3

        사회적자본은 지역사회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는데 이는 사회적자본이 추구하고 있는 신뢰와 호혜성의 규범, 수평적인 네트워크가 지역이나 공동체 단위의 협동과 협력 그리고 연대와 인과성이 있기 때문이다. 사회적자본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공동체 내에서 형성되는 신뢰다. 신뢰는 추상적인 도덕적 관념이 아니라 사회적 규범으로서 성격을 갖는다. 사회적 자본으로서 신뢰의 의미를 연구한 다스굽타는 신뢰를 촉진하는 네 가지 요소로 상호애정, 친사회적 태도, 외적강제, 상호강제를 제시한 바 있다. 본 연구는 부안군 격포리라는 어촌사회에서 이 네 가지 신뢰의 요소가 어떤 방식으로 형성되고 작동하는지 분석한 것이다. 어촌사회를 대상으로 한 것은 어촌이 자연과 밀접하고 특히 재난에 대해 민감한 감수성을 가지고 있는 곳이며, 지리적으로 제한된 공간 안에서 활동하는 지역성과 마을어장의 총유(總有)를 통한 구성원들 간에 활발한 사회적 상호작용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어촌사회는 거친 바다와 싸우며 생겨난 강한 신뢰를 바탕으로 공동체 내부에 깊은 애정이 형성되며, ‘우리’라는 친사회적 태도를 갖게 된다. 그러나 어촌공동체가 정한 일정한 규범을 벗어날 때 주어지는 외적강제는 매우 강력하며, 재난과 위기에 부딪쳤을 때 신뢰와 의무에 바탕한 상호강제의 기제가 강하게 작동한다. 어촌공동체가 신뢰를 구축하고 이를 사회적자본으로 발전시키는 과정은 향후 시장경제하의 우리 사회가 사회적자본을 이해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Social capital is gaining increasing attention in local communities, primarily due to the norm of trust and reciprocity pursued by social capital, as well as the horizontal networks that foster cooperation, collaboration, solidarity, and causality at the local or communal level. Trust, cultivated within the community, stands as the most crucial element of social capital. Trust, in this context, is not an abstract moral concept but rather a social norm with distinct characteristics. Drawing from Dasgupta's research on trust as a component of social capital, four key factors that promote trust have been identified: mutual affection, pro-social attitudes, external enforcement, and mutual enforcement. his study analyzes how these four elements of trust are formed and operate in the fishing village society of Gyeokpo-ri, Buan-gun. fishing areas are chosen as the focus due to their close connection to nature, heightened sensitivity to disasters, and active social interactions among members confined within a limited geographical space, facilitated by shared localities and communal bonds. fishing communities, formed through the struggles against the unforgiving sea, develop deep affections within the community, fostering a pro-social attitude characterized by a sense of 'us.' However, external enforcement measures are quite robust when community norms are transgressed, especially during times of disaster and crisis. In such situations, mechanisms of mutual enforcement, grounded in trust and obligation, come into play. The process through which fishing communities build trust and develop it into social capital will likely prove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 our society's understanding of social capital in the context of a future market economy.

      • KCI등재

        자본조달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미치는 영향

        조상민(Sangmin Cho),강선아(Suna Kang),홍순욱(Soonwook Hong) 대한경영학회 2020 大韓經營學會誌 Vol.33 No.2

        본 논문은 기업의 재무활동과 사회적 책임의 관계에 대해 연구한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업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긍정적이라는 의견과 단지 이익을 감소시키는 비용에 지나지 않는다는 부정적인 의견이 대립되는 상황에서, 기업의 자본조달 여부와 자본조달 방법에 따른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영향을 실증 분석함으로써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긍정적이라는 입장에 대하여 추가증거를 제시한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자본공급자와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정보비대칭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수행되는 것이라면 정보비대칭이 더 큰 경우 사회적 책임활동이 더 크게 증가할 것이다. 검증을 위하여 1993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본조달을 실시한 경우 자본조달을 하지 않은 경우보다 사회적 책임활동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자기자본을 통해 자본을 조달한 경우 부채를 통해 자본을 조달한 경우보다 사회적 책임활동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자본조달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수준이 높은 것은 부채조달이 아닌 자기자본조달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수준이 높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자본을 조달하는 기업의 경우 자본공급자와의 정보비대칭을 완화시키려는 의도가 강할 것이며, 자기자본을 조달하는 경우에는 부채를 조달하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정보비대칭 수준이 높고 정보비대칭 완화로 인한 효과가 클 뿐만 아니라 주주는 채권자와 달리 사회적 책임활동을 통한 가치 증가에 대한 청구권을 갖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기업이 사회적 책임활동을 수행하는 이유가 기업의 위험을 감소시기 위한 것이라는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입장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본 논문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평가가 서로 대립되는 상황에서 기업의 자본조달 여부, 자본조달 방법을 활용하여 이러한 논란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finance and social responsibility. There are pros and c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hereafter ’CSR’). The affirmative side insist that management use CSR to decrease the risk of firm and the negative side emphasize the management’s opportunistic behavior of CSR. If management use CSR to mitigate th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firm and capital suppliers, the CSR level is higher in case of equity capital raising rather than in debt capital raising. To examine this, an empirical analysis is conducted for companies listed on the Korea Exchange’s securities market from 1993 to 2017. Charitable contribution is used for CSR because it could measure the CSR more objectively and more directive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reported that the capital raising firms have higher level of CSR rather than non capital raising firms. Second, it is documented that the level of CSR in the equity capital raising firms is higher than in debt capital raising firms. These results support the affirmative opinion of CSR The equity capital raising firms have higher information asymmetry and the shareholders could have the fruits of CSR more than the creditors, so the higher level of CSR in the equity capital raising firms means that management use CSR for decreasing firm’s risk not for private benefit of management. The followings are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First, this paper tried to examine the purpose of CSR with capital raising. Second, this paper used charitable contribution for CSR proxies to emphasize the objective and direct characteristics of CSR.

      • KCI등재

        경찰조직 내 사회적 자본에 대한 인식

        박선영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6 경찰학논총 Vol.11 No.1

        2015년 전 현직 경찰관들이 경찰청에 모여 경찰서장과 지방청장의 사퇴를 요구하였다. 경찰관들은 조직 내에서 직원에 대한 욕설, 경찰조직 내에서의 인권침해를 문제시하였다. 경찰청에서도 SNS를 활용하여 경찰조직 내에 POL 밴드 등을 만들어 조직 내의 의사소통을 강화하려 하고 있으나 공식적인 소통 망을 통해 과연 실질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한지는 의문이다. 결국은 경찰관이 자발적 의견을 표출하고, 커뮤니티에도 참여할 수 있는 조직 내의 사회적 자본이 제대로 형성되어야 의사소통과 상호존중의 분위기 마련될 수 있다. 경찰조직내의 사회적 자본은 상명 하복적 위계질서를 바탕으로 하는 경찰 조직 내에서 아직까지 그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문제점을 인식하고 개선해 나가기 위해서는 경찰 사회적 자본의 정확한 실태 파악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조직 내의 사회적 자본 현 실태를 설문을 통해 파악해 보았다. 사회적 자본의 실태 파악은 경찰이 조직 내의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해 노력하는 계기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남녀경찰관을 대상으로 Nahapiet & Ghoshal 의 설문을 활용하여 사회적 자본을 조사하였다. 조직의 친밀도에 대한 인식내용 조사에서는 연령이 낮을 수 록 부정적인 답변을 하였고, 경장이하에서 낮게 나타났다. 비전관련 질문에서 긍정적 답변이 20%대로 낮게 나타났다. 조직 구성원의 신뢰도 질문에서도 업무능력이나, 질서의식에 대한 답변은 긍정적이었으나, 서로의 의도나 생각에 대한 신뢰도에 대한 문항은 긍정적인 답변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 커뮤니티 활동에 대한 문항에서 시민 단체 활동, 봉사활동, 동문회 활동은 10%대로 나타나 경찰관들의 사회활동과 공동체를 통한 커뮤니티 형성에 소극적임을 알 수 있다. 업무관련 질문을 제외하고 경찰조직내의 사회적 자본은 상당히 낮은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경찰조직내의 사회적자본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경찰조직 내 사회적자본의 형성이 필요함을 실증연구를 통해 강조하고자 한다. Police officers demonstrated against the chief of police in front of Police Agency. Abuse and the human rights violation in the police agency were problems. Police agency made an effort to enforce the communication through POL band. However it wonders that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voluntarily at the formal communication site. For the voluntary opinion sharing and private association, they need the social capital in the police agency. Police do not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capital in police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hierarchial order rank system. However the low ratio of social capital in the present Korea society appears at the police agency, so police agency should make an effort to improve the police social capital. To know the police social capital problems, they have to figure out the exact social capital condition. This research shows the current police social capital situation with the survey. Through the police social capital analysis, police agency will realize that they need the social capital building in the police system. By Nahapiet & Ghoshal survey questions, this study researched the current police social capital. At the intimacy questions, young age and low rank police officers answered in the negative way. There were just 20% positive answers at the vision questions. To the confidence questions, police officers answered positively for the work ability and the order awareness but they marked negatively at the mutual trust for the intention and thought questions. Especially, police officers were not interested in the civil society activities, the volunteer works in the community and the alumnae association acts. Through this analysis, police agency will realize the social capital problems in the police system and they will also know the need of the social capital building among the police officers.

      • KCI등재

        사회적 자본의 형성요인과 사회적 자본 및 공급사슬통합에 관한 연구

        박성민(Park SungMin),박찬권(Park ChanKwon) 한국산업경영학회 2017 경영연구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자본 이론을 활용하여 기업들 간 거래(교환)에서 사회적 자본을 형성 하게 되는 선행요인들을 규명하고, 이들 선행요인들이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하며, 나아가 사회적 자본이 공급사슬통합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아래 와 같다. 첫째, 거래공정성은 사회적 자본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거래진정성은 사회적 자본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CSR 활동은 사회적 자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넷째, 사회적 자본은 공급사슬통합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자본은 거래공정성, 거래진정성, CSR 활동과 공급사슬통합 사이에서 부분매개변수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의 결과, 공급사슬을 이루는 기업들은 최종 고객만족을 위해 협력적인 관계가 되어야 하는데 여기는 사회적 자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기 위해서 기업들은 서로 간의 거래에서 공정성을 유지하며, 거래과정에서 진정성 있는 모습, 자발적인 CSR 활동을 보여주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lead to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in the trade(exchange) between companies using social capital theory, to confirm the effect of these factors o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nd to identify the effec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hypothesis are as follows. First, transaction fairness has a positive (+) effect on social capital. Second, transaction authenticity has a positive (+) effect on social capital. Third, CSR activities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capital. Fourth, social capital has a positive (+) effect on supply chain integration. Finally, social capital serves as a partial parameter between transaction fairness, transaction authenticity, and CSR activities and supply chain integration. Finally, it has been clarified that maintaining fairness in the inter-supply chain transactions, demonstrating authenticity in the transaction process, and voluntary CSR activities lead to formation of social capital of individual companies, which can lead to supply chain integration.

      • KCI등재후보

        사회적경제기업가의 사회적 자본이 기업의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 검증

        이현주 ( Lee Hyun Ju ),여영훈 ( Yeo Yeong Hun ) 농협대학교 협동조합경영연구소 2023 협동조합경영연구 Vol.59 No.-

        본 연구는 전라북도 내 사회적경제기업을 대상으로 사회적 자본이 사회적 기업가정신을 통해 기업의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Baron and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 절차에 따라 먼저, 독립변수(사회적 자본)가 종속변수(지속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살펴보고, 2단계로 독립변수(사회적 자본)와 매개변수인 사회적 기업가정신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 3단계에서 독립변수(사회적 자본)와 종속변수(지속가능성)간 매개변수인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자본이 증가함에 따라 기업의 지속가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자본이 증가함에 따라 사회적 기업가정신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경제기업 리더의 사회적 자본과 기업의 지속가능성 사이를 사회적 기업가정신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사회적 자본이 더 많은 사회 집단에 속한 기업가는 네트워크를 통해 내부에서 유용한 상황에 놓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사회적 자본의 증감에 따라 기업가정신이 증감될 수 있다(Damirchi et al., 2011)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on corporate sustainability through social entrepreneurship targeting social economy enterprises in Jeollabuk-do. To verify this research model, according to the three-step procedure suggested by Baron and Kenny (1986), First, we examine whether the independent variable (social capital)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pendent variable(sustainability), Second, we examined whether social capital and the mediating variable, social entrepreneurship, had impact. In the final third step,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entrepreneurship, which i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social capital) and the dependent variable (sustainability), was tested. Finall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through the Sobel te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as social capital increases, it has a positive (+) impact on corporate sustainability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Second, as social capital increases, social entrepreneurship appears to have a positive (+) effect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ird, social entrepreneurship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of social economy enterprise leaders and corporate sustainability. This analysis result confirms that entrepreneurship can increase or decrease as social capital increases because entrepreneurs belonging to social groups with more social capital are more likely to be placed in useful situations internally through networks.

      • KCI등재

        지방정부의 사회적 자본 증대 방안 연구

        진관훈(秦寬勳) 한국지방정부학회 2012 지방정부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제주지역 사회적 자본의 인식 정도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지방정부 수준의 개별적 사회적 자본 증대방안을 모색해 본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부경험이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해 기부문화와 기부인식을 개선하여 기부를 활성화시키고 지역사회에 잠재해 있는 동원 가능한 자원봉사 인력을 다양한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 개발에 의해 지역사회발전의 토양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조치가 필요하다. 둘째, 제주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농촌특성이 있는 서귀포시의 사회적 자본 형성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적 균형을 감안한 사회적 자본 확충방안 모색이 바람직하다. 셋째, 학력이 높을수록 사회적 자본의 인식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활동이 활발한 40대, 50대의 사회적 자본의 인식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전문 관리직, 판매서비스직, 농/어/축산, 자영업 응답자가 사회적 자본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를 고려한 개별적 사회적자본 확충방안 모색이 중요하다.

      • KCI등재

        중고령 여성의 사회적 자본과 경제적 자본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연령대별 비교

        최민정 ( Choi Min Jeo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保健社會硏究 Vol.35 No.2

        본 연구는 2012년도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중고령 여성의 사회적 자본과 경제적 자본 간의 관계를 연령대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 검증된 바 있는 사회적 자본이 경제적 자본의 예측요인이라는 사실에 더해서 그 반대적인 관계 역시 실증적으로 검증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연립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중고령 여성의 사회적 자본 방정식과 경제적 자본 방정식을 하나의 연립방정식 체계로 구성하여 2단계 최소제곱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고령 여성의 사회적 자본과 경제적 자본은 45~64세 연령집단에서 서로 쌍방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65~74세 연령집단에서는 사회적 자본이 경제적 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일면적인 관계를 가지며, 75~84세 연령집단에서는 사회적 자본과 경제적 자본이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년기 여성 집단에서 사회적 자본은 경제적 자본을 증가시키는 원인이자 경제적 자본이 사회적 자본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반면, 전기노년기 집단에서는 사회적 자본이 경제적 자본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과 경제적 자본의 관계는 중년기 여성에게는 선순환적 관계를 가지며, 전기 노년기 여성에게는 사회적 자본이 경제적 자본을 증가시키는 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 아울러 75~84세 후기노년기 여성의 경우 사회적 자본과 경제적 자본과의 쌍방적 관계보다 건강상태의 중요 성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점 등을 보여주면서 사회적 자본과 경제적 자본의 형성 및 축적을 위해서 연령을 고려한 접근이 효율적인 전략이라는 점을 논의한다. 이를 통해 중고령 여성의 사회적 자본과 경제적 자본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더욱 풍부하게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economic capital of middle-aged Korean women. This study tried to compare the social capital and economic capital of four age groups: aged 45 to 54, aged 55 to 64, aged 65 to 74, aged 75 to 84. Using Korea Welfare Panel Survey (KOWEPS) data,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capital and economic capital by using simultaneous equation model. To analyze the 2SLS (Two Stage Least Square method) assumption method of simultaneous equations was used. By applying this simultaneous equation model, this study found, in addition to the previously verified fact that social capital is the predicting factor for young-old women`s economic capital, that the opposite relationship also can be practically verified. That is, social capital and economic capital is not in an unilateral relationship that social capital has effect on economic capital but is in a bilateral relationship that some part of economic capital increase social capital. It was found out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economic capital predicted Korean young-old women`s. In also confirmed the necessary of involvement strategy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social capital and economic capital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