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의 운영과 성과: D 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안나(Han An na)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4

        본 연구는 핵심역량을 균형있게 함양하기 위해 개발된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 및 운영 체계 사례를 통해, 비교과 활동 성과와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비교과 활동의 계획 수립과 운영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D 대학교에서 시행 중인 비교과 교육과정에 참여한 대학생 8,016명의 비교과 활동 자료를 바탕으로 학생의 배경 변인에 따른 비교과 활동의 성과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비교과 활동에 참여한 노력과 실적을 비교과 활동 성과로 설정하고, 이를 정량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비교과 활동지수를 개발하였으며, 학생들의 계열, 학년, 성별, 입학유형, 복수전공 여부, 성적(학점)에 따른 비교과 활동지수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학생의 배경 변인에 따른 비교과 활동 성과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예체능 계열, 3학년, 여학생, 수시모집 학생, 복수전공 학생, 고학점의 학생이 다른 집단에 비해 비교과 활동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의 특성에 따른 비교과 활동의 계획수립이 필요하며, 수업과 수업 외 활동을 연결하는 비교과 프로그램의 개발과 비교과 활동에 대한 성과를 관리하고 지원하는 대학 차원에서의 노력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curriculum construction cases and operating systems to enhance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related variables. For this purpose, based on the data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8,016 sample college students, I analyzed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ccording to major, grade, gender, admission type, double major, and grade(GPA).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variables of the students. Arts and physical education major, third grade, female, occasional admission students, double major students, and high GPA students showed higher extracurricular performance than the other group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lan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and to develop the programs linking the classes and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o make efforts at the university level to support the outcomes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 KCI등재

        대학 교육에서의 비교과 활동 연계 활용 현황 및 교수자 인식 분석

        이영희,윤정현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1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0 No.4

        본 연구는 대학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수업에서 활용하는 비교과 활동의 유형과 방법등의 현황을 파악하고 비교과 활동의 교과 활용에 대한 인식과 요구 관련 조사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 A 종합대학의 교원 13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실제 비교과 활동을 수업에 활용한 경험이 있는 교수자 6명을 대상으로 현황과요구에 대한 초점집단면담(FGI)를 수행 및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의 60% 이상이 수업에 비교과 활동을 활용한 경험이 있으며, 실제 활용 유형으로는 학습 증진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으나, 반면 교수자들이 대학 수업에 활용하고싶은 비교과 활동 유형으로는 체험 활동이 가장 높게 나타나 실제 활동 현황과 차이를보였다. 둘째, 비교과 활동을 수업에 활용한 방법으로는 과제를 제일 많이 사용했고, 그 다음이 수업 중 활동과 자율 추천 활동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자들은 비교과 활동을 수업에 활용하기 위해서 대학 차원의 행정적인 지원과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 교육 혁신 차원에서 비교과 활동의 수업 활용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비교과 활동 활용에 대한 연구 중심의 증거를 기반으로 수업의 유형과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성화를 위한대학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utilization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he perceptions of professors about the needs for activation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university class. For doing this, 135 professors in one of major university located in metropolitan area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n 6 professors who had some experiences for utilizing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their classes were interviewed for the FGI(Focus Group Interview) about their teaching experience in classes. Results are followed. First, more than 60% of the participants used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their classes and while the most used type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the class was the activities for improving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at the participants most wanted to use was the experience-based activities. Second, as methods of using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classes, assignments was used the most, followed by class activities and autonomous recommendation activities. Third, the professors indicated that the administrative support as well as the supportive policy to activate the us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university classes. Therefore, a variety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need to be developed based on the research evidence as well as the needs of the professors and students in order to utilize it in class for the future innov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in university.

      • KCI등재

        비교과 교육 활동 참여가 학점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성, 전공, 학년 변인과 비교과 활동 유형을 중심으로

        황순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4

        Extracurricular activities (hereafter ECA) are reported to have many positive effects on education which are especially better grades, good academic achievement, school completion, low dropout rate and the other positive aspects to become successful students. However, few domestic studies have addressed the question of how student engagements to ECA affect students’ grade point average (GPA).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798 students to know whether the students’ GPA at H University in Korea, is affected by their participation in the ECA.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we analyzed GPA’s change before and after the participation in ECA according to students’ demographic factors as well as ECA types. Our findings showed that firstly, participation in ECA affects the students’ GPA in a positive way. Also, the study found that those who participated in ECA have higher GPA than those who did not.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PA increase by gender, majors and grades. GPA’s increase was higher in female participants and students at school of games. Also, freshmen’s GPA increase was the highest of the other grade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GPA increases according to ECA types. Participants in learning consulting program as well as academic club for foreign students got the highest GPA increase. Finally, tutee’s GPA increased significantly than tutors who participated in tutoring program. Implications for more objective instrument to asses ECA outcomes as well as variables to be considered were also provided. 비교과 활동은 학점 향상, 높은 학업 성취, 교과과정의 이수, 낮은 중도탈락 및 성공적인 학습자가 되기 위한 다양한 긍정적 효과를 거둔다고 보고되었다. 하지만 비교과 활동의 참여가 학습자의 성적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룬 국내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H 대학, 1,798명의 비교과 활동 참가자를 대상으로 비교과 활동 참여가 학점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비교과 활동 참가자의 활동 전후 학점의 변화를 성, 전공, 학년 변인과 비교과 활동 유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과 활동 참여는 학습자의 학점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비교과 활동 참가자가 비참가자보다 학점이 상승하였다. 둘째, 활동 전후 학점 변화는 성별, 전공, 학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여학생과 특정 전공생(게임학부)의 학점 상승이 유의하였고, 신입생의 성적 향상이 다른 학년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참가자의 학점 상승은 비교과 활동 유형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였다. 학습컨설팅, 학습공동체(유학생) 참가자가 다른 활동 참가자들보다 성적 상승이 유의하였다. 넷째, 튜터링 참자가 중 튜티의 성적 향상이 유의하였다. 아울러 비교과 활동의 성과 측정을 위해서 보다 객관적인 평가 지표 개발과 다양한 변인들이 고려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교과-비교과 활동을 연계한 글쓰기 수업 사례와 교육 효과

        강연임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61 No.4

        This paper examines writing class examples and educational effects in connection with subject-extra curricular activities. A writing class using a nonsubject program was designed, and the operating case of the writing class according to the design was empirically considered. Then, the effect of writing classes connecting subject-extra curricular activities were presented from several perspectives.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sign of writing class examples and educational effects in connection with subject-extra curricular activities were confirmed. In advance, the class was designed to naturally assimilate into writing by changing the perception that writing is interesting and necessary by subject-extra curricular activities connecting. The class of one semester consists three stages, with an emphasis on friendly writing in the introduction, and the development part designed to learn the essential contents of writing step by step, and in the final stage, it was intended to complete and evaluate one's thoughts in one piece of writing. Second, the reality of writing classes using subject- extra curricular activities were considered. The main point of writing classes is to understand information and express new ideas processed through understanding. Accordingly, the focus was on education that first acquires and understands information and organizes and expresses thoughts. The writing class was largely divided into three stages. In the first stage(1-4 weeks), the emphasis was placed on the acquisition and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In the second stage(5-12 weeks), the basic theory of writing as well as the practice was studied, and at the final stage(13-15 weeks), a non subject program was operated to complete and evaluate a piece of writing. Third, An extra curricular program was operat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considering students who are familiar with images rather than writing and untact classes caused by COVID-19.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change the perception that writing was more common than special, and it was possible to increase self-efficacy by completing a piece of writing and being evaluated. In addition, it was useful not only to enable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an easy approach to writing, but also to increase academic achievement while expanding the scope of writing classes. 이 논문은 교과-비교과 활동을 연계한 글쓰기 수업 사례와 교육 효과를 검토한 것이다. 먼저 교과-비교과 활동을 연계한 글쓰기 수업을 설계하고, 그 설계에 따른 글쓰기 수업의 운영 사례를 고찰하였다. 이어서 교과-비교과 활동을 연계한 글쓰기 수업의 교육 효과를 몇 가지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연구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비교과 활동을 연계한 글쓰기 수업 설계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요즘 학생들은 쓰는 행위에서 멀어지다 보니, 글쓰기에 대한 관심이 적을 뿐만 아니라 문해력도 낮아지는 경우가 없지 않다. 이를 감안하여 글쓰기가 재미있으면서도 필요한 활동이라는 인식을 갖게 하고 글쓰기에 자연스럽게 동화되도록 교과 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연계하여 수업을 설계했다. 글쓰기 수업은 3단계로 구성했는데, 도입에서는 일상생활과 글쓰기의 연관성을 통해 글쓰기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꾀하고, 전개부에서는 글쓰기의 필수적인 내용을 단계적으로 익히도록 구안했으며, 마무리 단계에서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한 편의 글로 완성·평가하여 글 쓰는 행위의 효능성을 인지하도록 의도했다. 둘째, 교과-비교과 활동을 연계한 글쓰기 수업의 실제를 고찰하였다. 글쓰기 수업은 정보를 이해하고, 이해를 통해 가공된 새로운 생각을 표현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에 맞추어 글쓰기 수업을 설계하여 운영하였다. 먼저 정보를 습득·이해하고 생각을 정리·표현하는 교육에 역점을 두었다. 인풋과 아웃풋을 전제하여 정보의 파악과 이해, 그리고 생각의 정리와 표출을 큰 줄기로 삼았다. 구체적인 수업 진행은 다음과 같다. 제1단계인 1-4주의 도입에서는 정보의 습득·이해에 역점을 두었다. 정보를 얻는 방법을 다각화해서 메모, 문자, 카톡, 그림, 영상, 텍스트 등 일상생활에 기반을 둔 사례를 활용하였다. 2단계인 5-12주의 전개에서는 글쓰기의 기초적인 이론을 단계별로 학습하며 실습 활동과 연동하였고, 마지막 13-15주의 마무리에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연계하여 학생들이 그동안 익혔던 것을 총괄하여 한 편의 글로 완성함으로써 한 학기 학습에 대한 성취감을 얻도록 했다. 셋째, 교과-비교과 활동을 연계한 글쓰기 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검토하였다. 코로나로 인한 장기간의 비대면 수업과 문자 텍스트보다 그림이나 영상에 익숙한 학생들을 생각하여 글쓰기의 효과를 제고하고자 교과-비교과 활동을 연계하여 수업을 운영하였다. 그 결과 글쓰기가 특별한 무엇이 아니라 일상적인 일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가능했거니와 한 편의 글을 완성하는 활동을 통해 성취감을 경험하며 자기 효능감을 높일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글쓰기에 대한 쉬운 접근으로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했음은 물론 글쓰기 수업의 외연을 확장하면서 학업 성취도를 높이는 데도 유용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비교과 활동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상우 대한산업경영학회 2023 산업융합연구 Vol.21 No.3

        우리나라의 대학은 존립과 성장을 위해 대학생의 비교과 활동을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다. 비교과 활동의 목표는 다 양하지만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개선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교과 활동을 난이도별로 가중하여 누 적한 비교과 활동점수와 학업 성취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학생들의 기초적 수학능력을 통제하더라도 비교과 활동은 학생의 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 이는 대학이 보다 다양하고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비교과 활동을 제공하여 학생들의 참여율을 높여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여학생의 비학점 활동 참여도는 남학생과 비슷하지만 성과는 매우 높 게 나타나고 있는 반면, 고학년 학생은 참여도와 성과가 모두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점은 여학생과 저학년 학생의 참여 율을 적극적으로 높일 필요가 있다는 점을 의미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비학점 활동에 대한 홍보나 장학금 등 경제적 보상 뿐 아니라 교수자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요할 것이다. Universities in Korea are presenting various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survival and growth. Although the goal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re diverse, one of the most important is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mulative scor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by difficulty level and academic achievement. As a result, first, even if students' basic academic skills were controlled, extracurricular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 achievement. This suggests that universities should provide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at are more diverse and tailored to the needs of students. Second, the participation rate of female students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is similar to that of male students, but the performance is very high. Third, Senior students show high levels of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This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of female students and lower grade students. To this end, not only publicity and compensation, but also activ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instructors will be required.

      • KCI등재

        사회복지전공생의 교과 및 비교과활동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도희(Kim, Do-Hee)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1 No.1

        본 연구목적은 사회복지전공생들의 교과활동과 비교과활동이 사회복지효능감을 매개하여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주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회복지교과 이해도, 현장실습만족도를 교과활동으로 자원봉사활동만족, 비교과활동수준으로 비교과 활동으로 그리고 사회복지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의 변수들로 모형을 구성하고, 288명의 사회복지전공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하여 응답결과를 통계프로그램 SPSS와 AMOS 20.0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분석결과로는 연구모형은 적합지수에 부합하며, 사회복지교육이해도→사회복지효능감, 자원봉사활동만족도→진로결정수준, 사회복지효능감→진로결정수준, 자원봉사활동만족도→사회복지효능감, 비교과활동수준→사회복지효능감 경로 순으로 유의했다.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결정은 자원봉사활동수준, 사회복지효능감, 비교과활동수준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교과 및 비교과활동이과 진로결정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사회복지효능감을 통해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 역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결정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The purpose of study examined effects of career for undergraduate student studying social work in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is study of model was consist of understanding of social work subject , practicum satisfaction ,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social work efficiency, level of career decision to be related career for undergraduate student studying social work. It was analysed by statistic programs SPSS and AMOS ver. 20.0 based on 206 cases. As result of this study was found following. The path of from understanding of social work subject to social work efficiency was the most significant statistically. Nextly, social work efficiency to level of career decision, from social work efficiency to level of career decision, from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to social work efficiency and from social work efficiency to level of extracurricular activity was the significant statistically. Also there were direct effect for fives path. Specailly, indirect effect was found path from social work in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o level of career decision through social work efficiency. Finally this study can be suggested enhancing alternatives for career for undergraduate student studying social work.

      • KCI등재

        비교과 활동과 대학생활적응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양정모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daptation to college life,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undergraduates. The subject of study was conducted among 601 undergraduates from a four-year university in Chungbuk province in Korea and analyzed the relations among those variables.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Academic Self-Efficacy Scale, University Life Scale, Student Competence Scale,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higher their school years and their grade point averages were, the higher their academic self-efficacy was. In addition, the higher the frequency of their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programs was, the higher their academic self-efficacy was. Next, In case of adaption to college life, the higher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programs was, the higher their ability to adapt to college life was. We could also find that, based on the results of competence of students, the higher their GPAs and the frequency of program participation were, the higher their competence was. Finally,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o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t was found to have.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at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college life adaption had a significand effect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self-efficacy was a significant preditor of academic achivem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institutional support and the importance of adequate environment f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since the degrees of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had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s. 본 연구는 대학생의 ‘비교과활동’과 ‘대학생활적응’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북도 소재의 4년제 대학교 재학생 601명으로 설정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대학생활적응척도, 학생역량척도 등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통해 각 변인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우선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살펴보면 학년과 평균성적이 높을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도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비교과 교육과정 프로그램의 참여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대학생활적응을 살펴보면 평균성적이 높은 집단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집단이 대학생활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개수가 많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비교과활동과 대학생활적응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비교과활동과 대학생활적응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비교과활동 참여와 대학생활적응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유의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적합한 비교과 학습 환경 조성의 중요성과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우리나라 학생들이 경험한 중등학교 내 비교과교육의 의미: 교직수업 참여 학생의 은유 분석을 바탕으로

        이림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tra Curriculum Activities in the secondary schools and to clarify the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 For this purpose, metaphors were analyzed for 32 students in teaching class. As a result, the meanings of the Extra Curriculum Activities in the secondary schools were ① a tool for entrance examination ② meaningless activities ③ meaningful activities for new experiences. The following improvement directions can be derived. First, the Extra Curriculum Activities should remain an educational term that refers to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Seco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should be a time of rest for students, not the subject of the evaluation or the selection tool. Third, we must abandon the illusion that quantitative and abundant Extra Curriculum Activities make desirable education and reach the normalization of education. Fourth, we should refrain from using the Extra Curriculum Activities as a tool to enhance the position of majors and the academic fields.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of only a handful of students belonging to the one university. Therefore, various studies for generalization should be conducted. In addition, it will be necessary to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the Extra Curriculum Activities in school field by studying the meaning of the Extra Curriculum Activities in depth 본 연구에서는 입시정책 등 간접적인 비교과교육 강화 정책 속에서 이를 직접 경험한 후 대학교에 입학하여 교직과정을이수하는 3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한 중등학교에서의 비교과교육을 조사하여 분석하고, 그 의미와향후 비교과교육과 관련한 개선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자들에게 비교과교육과 관련된 경험을반추한 후, 그 경험을 응축하여 은유로 표현하게 하고, 그 이유를 경험에 근거하여 기술하도록 요청하였으며, 이를분석하여 비교과교육의 의미 및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이 경험한 비교과교육의 의미는 ①입시를위한 도구, ②무의미한 활동, ③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는 의미 있는 활동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와 두 번째 경험들은상대적으로 부정적 경험들이고 세 번째는 긍정적 경험들이다. 이러한 분석이 가능했던 이유는 교과교육의 폐해를해결하고자, 비교과교육을 입시와 연결한 우리나라의 제도적 변천 때문이었다. 연구결과에 따라 제안할 수 있는개선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과는 온전히 창의적 체험활동을 지칭하는 교육적 용어로 남아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쉼이 될 수 있는 창의적 체험활동이 평가의 대상, 선발을 위한 도구로 활용되는 것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셋째, 양적으로 풍성한 비교과활동들이 바람직한 비교과교육의 모습을 만들고 교육의 정상화에 도달하게 한다는환상을 버려야 한다. 넷째, 비교과를 범교과처럼 특정 전공이나 학문 영역의 위상을 높이려는 도구로 활용하는 것을삼가야 한다. 이 연구는 일부 상위권 대학 소속의 소수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질적으로 연구한 것인 만큼 연구대상을확대하여 일반화에 다가갈 필요가 있다. 또한 비교과교육의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지 심도 있게 파악하는 연구가이루어져, 학교현장의 비교과교육 실태를 개선하는 데에 기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고교의 창의적 체험활동 특성분석과 평가 활용방안 연구

        이가영 ( Ka Young Lee ),박진만 ( Jin Man Park ),김명옥 ( Myung Ok Kim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2 입학전형연구 Vol.1 No.-

        입학사정관전형에서는 창의 인재 선발을 위해 고교생들의 교과 성적 이외 비교과활동을 중요한 평가요소로 보고 있다. 입학사정관제 초기에는 비교과활동들이 주로 학생 개인의 교외 활동 위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이 새롭게 편성되면서 학생들이 교내에서도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고교마다 특색 있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다양하게 운영하여, 학생들이 교육과정 내에서 본인의 적성을 고려한 비교과 프로그램들을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이 연구는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고교의 창의적체험활동 실태를 파악하여 입학사정관전형 평가 시, 학생들의 창의적 체험활동을 바르게 해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서, 전국 190여 고교의 진학진로상담교사들을 대상으로 창의적체험활동 실태와 관련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문항은 창의적 체험활동 도입에 따른 변화, 실제 편성?운영 현황, 에듀팟 활용도 등의 9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조사결과, 고교진학진로상담교사들은 창의적 체험활동 시행으로 고교 교육과정의 실질적인 변화가 있다고 보았고,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방식은 ``한 활동을 몇 시간 연속하거나 여러 활동을 묶어서 시행하는 블록타임제 운영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적체험활동 중에서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진로활동 및 동아리활동 프로그램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입학사정관전형에서 창의적체험활동을 올바르게 평가할 수 있는 방안으로 창의적 체험활동목표 이해, 영역별 평가 관점 마련 및 평점 척도 활용, 활동자료(포트폴리오)의 활용 및 평가방법에 대해 제언하고 있다. In admissions officer system extracurricular activities are taken more seriously than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for selection of creative individuals. In the beginning of admissions officer system, non-academic activities made up most part of an individual student`s extracurricular activities outside of school, but as creative activities were organized i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tudents were able to be engaged in a variety of extracurricular programs on highschool campus. Every high school becomes to organizes its own creative activities, and students are now able to select extracurricular programs under formal curriculum considering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rasp the reality of creative activities in high school and to provide criteria for the admission officer screening process to correctly interpret and evaluate students` creative activities. A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about 190 high school career counselors on the status of creative activities. The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nine items such as changes made upon introduction of creative activities, actual formation and management status, and the use of edupot, etc. As a result, high school career counselors admitted that there were substantial changes made upon implementing creative activities, and it was shown that performing one activity continuously for a few hours or combining various activities as a block-time system were taken the most part of creative activity management process, and one of the most typical programs of creative activities was career activity and club activity program. Based on the result given, this study suggests the understanding the purpose of creative activities, preparation of perspective evaluation for area-specific assessment and rating scales, activity portfolio, and evaluation methods.

      • KCI등재

        예비교원의 비교과활동 및 사고력 중심 학습활동 참여가 STEAM 교수역량에 미치는 영향

        류다현,소효정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9 교과교육학연구 Vol.23 No.5

        Teachers’ STEAM teaching competency determines the success of the STEAM curriculum.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factors related to pre-service teachers’ STEAM teaching competency and to identify how to strengthen their STEAM teaching competency in teacher education. While the existing literature has considered STEAM teaching competency as theoretical knowledge, this study explored STEAM teaching competency in the aspects of thinking, attitudes, and practices. Three factors that predict pre-service teachers’ STEAM teaching competency were examined: learners’ backgrounds,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in thinking-centered learning activities.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238 pre-service teachers from four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lch-Asprin Test, Kruskal-Wallis H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EAM teaching competency in terms of learners’ background factors (i.e., gender, grade, major, and experience with the STEAM curriculum). In addition, only student interactions, study group activities, and learning activities in class showed significant predictive power on STEAM teaching competency.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showed higher predictive power than participation in thinking-centered learning activities. However,self-development activities and out-of-school activities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Drawn from the key findings, we suggest some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improving pre-service teachers’ STEAM teaching competency in teacher educationprograms. 본 연구는 예비교원의 STEAM 교수역량에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고, 교원교육 차원에서 어떻게 STEAM 교수역량을 강화해야 할지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STEAM 교수역량을 이론적 지식차원에서 접근했던 기존의 연구에서 나아가서, 사고방법 및 태도 그리고 실천적 측면에서 STEAM 교수역량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예비교원의 STEAM 교수역량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학습자 배경요인, 비교과활동 그리고 사고력 중심 학습활동 참여의 세 가지를 선정하여, 이들 간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수도권 및 지방의 4개 대학(사범대학 2, 교원대학 2)의 예비교원 23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집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Welch-Asprin Test, Kruskal-Wallis H Test,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습자 배경요인(성별, 학년, 전공계열, STEAM 교육과정 이수경험)에 따른 STEAM 교수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STEAM 교수역량에 비교과활동 중 다양한 배경의 학생간 교류, 학습스터디 활동과 수업 중 학습활동만이 STEAM 교수역량에 유의한 예측력을 보였으며, 비교과활동이 사고력 중심 학습활동보다 높은 예측력을 보여주었다. 반면, 비교과활동 중 학교 외 활동과 관련된 자기계발 활동, 대외경험은 유의미하지 못하였다. 분석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원의 STEAM 교수역량 증진을 위한 교원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