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교의 마음치유

        장진영(Jang, Jin-Young) 동양사회사상학회 2012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

        Buddhist practices play a prominent role in healing since the beginning of Buddhism. Throughout the history of Buddhism, various practice methods were produced as a way to heal the mind. In the case of Korean Buddhism, Ganhwa Seon (Koan meditation) is the main practice method. However, Ganhwa seon cannot play a direct role in solving the desire of practice and specific problems in secular life, because practitioners who intend to withdraw from the world and enter the monastic life use this method of practice. Since the 1990s, Vipassanā, the representative meditation of Theravāda Buddhism rapidly brought new changes to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This burgeoning method of practice attracts the attention of the general public since it can be applied in everyday life by focusing on mindfulness (sati). Vipassanā and Ganhwa Seon are recognized as having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rather than a contradictory one, and it is reported that there needs to be a kind of universal direction of mind healing of Buddhism where Vipassanā and Ganhwa Seon are approached from the point of view of complementing one another. These recent changes in Korean Buddhism are an opportunity to solve the problems that were brought up during the course of Buddhist reform movements in modern tim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Mind Practice (Maeum-Gongbu) of Won-Buddhism, which was founded by Sotaesan who diagnosed the cause of society’s illnesses in the early 20th century. Since Won-Buddhism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innovation and social role of Buddhism since the modern period, its perspective will help form a universal direction of Buddhist Mind Healing, responding to the request of modern tomes. In addition, based on the two sides of ‘Mindfulness’ (Yu-Nyeom), maintaining the thought with a attention and ‘No Thought’ (Mu-Nyeom) without a thought through the practice of Buddhism, this study will compare the practices of Vipassanā, Ganhwa Seon and Won-Buddhist Mind Practice. Consequently, Vipassanā is used mainly to apply mindfulness in daily life, whereas Ganhwa Seon is driven by emptying the mind through the ‘Critical Phrase’ (Hwa-Du, Koan). I argue that Vipassanā is closer to the ‘Mindfulness’ Practice of Won-Buddhism and Ganhwa Seon closely resembles the ‘No Thought’ Practice of Won-Buddhism. Furthermore, Won-Buddhist Mind Practice (Maeum-Gongbu) seems to be the only practice that balances these two aspects, ‘Mindfulness’ Practice and ‘No Thought’ Practice, and at the same time emphasizes specific action and life practice. Buddhism’s method of mind healing will have to go in the direction that carefully balances both ‘Self-Healing’ and ‘Relation-Healing’ and the numerous existing practice methods will also have to propose ways to go in the direction of mind healing that harmonizes the two aspects of ‘Mindfulness’ and ‘No Thought.’ 불교의 수행은 본래부터 마음치유의 역할을 가진 것이다. 그리고 불교의 유구한 역사 속에서 다양하고 훌륭한 수행법(마음치유의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특히 한국불교에서는 간화선看話禪을 주된 수행법으로 여겨왔다. 그러나 간화선은 출세간 위주의 수행으로 세간 생활을 하는 일반인들의 수행에 대한 갈증과 구체적인 삶의 문제해결에 있어서는 직접적인 역할을 하지 못했다. 그러다가 1990년대 이후 남방 상좌부불교(Theravāda Buddhism)의 위빠사나 vipassanā가 전래되면서 한국불교계에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특히 위빠사나는 마음챙김(sati)을 위주로 하는 사념처 수행을 통해 일상생활에서도 널리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마음챙김의 심리치료적 효과까지 알려지면서 일반인들에게 급속히 퍼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후 두 수행법은 더 이상 배척의 관계가 아닌 상호보완의 관계로 인식되었으며, 간화선만을 고집하던 한국불교계의 수행풍토에도 전반적인 변화가 진행중이다. 불교마음치유의 방향도 이러한 맥락에서 고민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최근 한국불교계의 변화는 근대기 이후 제기되었던 다양한 불교개혁논의의 연장선에서 그 구체적인 해결의 기회를 만난 것으로 이해된다. 이에 근대기 이후 불교의 혁신과 사회적 실천에 능동적으로 참여해왔던 원불교가 지녔던 시대 진단과 그 처방으로 제시된 ‘마음공부’를 함께 고려하였다. 이는 향후 불교마음치유의 보편적 지향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문제의식과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아울러 위빠사나와 간화선, 그리고 원불교 마음공부를 비교함에 있어서 불교 수행의 전반에 흐르는 ‘유념有念’과 ‘무념無念’의 두 측면에 의지하였다. 이를 통해 위빠사나는 일상생활에서 마음을 챙기는 공부인 유념 공부가 위주가 된다면, 간화선은 화두를 통해 마음을 비우는 공부인 무념 공부이 위주가 된다고 보았으며, 원불교 마음공부는 이러한 유념과 무념의 두 측면의 공부를 조화시킴과 동시에 구체적인 실천을 통한 마음치유의 방법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불교의 마음치유가 불교 본래적인 지향과 시대적 요청에 맞도록 ‘자기치유’와 ‘관계치유’가 잘 조화된 방향에서 제시되고, 기존의 많은 공부법도 유념 공부와 무념 공부의 두 측면이 잘 종합된 마음치유의 방향에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孔子의 마음이해와 老子의 마음이해의 동이

        유권종(Yoo, Kwon Jo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5 철학탐구 Vol.40 No.-

        본 연구는 아직 학계에서 탐구되지 않은 공자의 마음 이해와 노자의 마음 이해를 비교하는 시론적 연구에 해당한다. 마음 이해란 어느 한 사상가 혹은 어느 고전에 담긴 마음을 이해하는 관점과 방법을 통칭하며, 특히 개념을 단위로 삼아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마음 이해에 대한 연구는 어느 사상가 혹은 어느 고전에서 발견되는 마음과 유관한 개념군의 성격과 그들의 관계 유형에 주목함으로써 접근방법을 구체화하게 된다. 이에 공자와 노자의 마음이해의 同異를 밝히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필자가 지난 3년동안 토대기초연구를 행하면서 제작한 통합마음모형의 범주를 적용하여 양자의 마음 이해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통합마음모형은 동서양 철학, 심리학, 정신분석, 사회학, 인지과학, 문학 등의 마음 이해로부터 관찰된 마음 개념들의 속성을 모두 여섯 가지의 범주(마음의 구조와 작동, 마음의 변화 및 성장과 퇴화, 마음의 존재와 영역, 마음의 관찰 평가 진단, 마음의 작용과 효과 범주, 마음의 은유)로 구성되어 있다. 논의의 결과에 의하면, 양자는 마음의 구조와 존재 영역에 대한 논의는 소략하거나 없으며, 마음의 작동에 관한 관찰 내용은 풍성하다. 그리고 마음의 변화(성장 또는 퇴화)에 관한 논의가 주를 이룬다. 그 결과 공자와 노자는 각각 마음의 양성 혹은 성장을 추구하는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그 효과에 대한 논의도 역시 세밀하고 깊이 있게 전개한 것으로 보인다. 바로 이점이 같거나 유사하게 보이는 점이다. 그러나 마음의 성장 방향과 그 방법에 대한 설명은 매우 상이한 내용을 담고 있다. 대체로 공자가 禮의 실천을 통해서 덕을 축적한 결과가 仁이라고 하는 일종의 축적과 건립의 방법으로 이해한다면, 노자는 허정의 상태로 나아가는 비움에 의한 성장의 방법으로 이해하는 점이 매우 다르다. 그러나 최근의 인지과학적 관점은 이러한 차이가 관념상의 차이인가 아니면 실질적인 차이인가라는 새로운 물음을 제기하고 있어서 이에 대해서는 판단을 보류하고 미래의 과제로 남겨놓는다. This study purports to attempt a new comparative study of Confucius and Laozi in their understanding of mind, which has never been inquired properly recently. The understanding of mind includes the viewpoints and methods in understanding the mind that are observed in the ideas of a scholar or a homogenous group sharing some thoughts or a classical text, consisting of concepts. Thus, it is the quality of concepts and linkage patterns of the concepts that the study of the understanding stresses on. This study adopts as a useful standard of comparison the integrated mind model that has been developed as the result of a foundational research on the comparative studies of the mind models. The integrated mind model includes all six categories of the mind: structure and activities; existence and field; change to growth or degeneracy; observation, evaluation, and diagnosis; work and effect; metapho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discussion, Confucius and Laozi commonly have few ideas about the structure of the mind, but have a number of ideas about its activities. Both of them respectively keep their deep attention on the change to growth or degeneracy. Accordingly, each of them develops one’s own program for the growth of the mind to the highest level. Of course, about the effect of the growth, each of them adds explanation. Conceptually, each of them proposes a very different way on its growth, explaining the substance of its highest level peculiarly. However, a group of recent cognitive scientists has explained their substance is not so different from each other. Due to this new explanation, our proper judgement on their difference, in the substantial effect of the mind or the situation of its highest level, should be our future task.

      • KCI등재

        현대 서구사회에서의 마음챙김 활용

        안희영(Ahn, He-young)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3 No.-

        본 연구의 목적은 불교명상의 핵심개념인 마음챙김(mindfulness)이 현대 서구사회에서 어떻게 정의되고 활용되고 있는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방법론으로서는 영어권 문헌을 중심으로 마음챙김의 불교적 근원을 살펴 본 후 현대 서구사회에서 마음챙김이 어떻게 해석되고 적용되고 있는지를 불교학자와 마음챙김에 근거한 접근법의 하나인 MBSR의 관점에서 탐구하였다. 논의를 통하여 현대서양사회의 마음챙김 활용은 불교와 연계를 유지하면서도 때로는 매우 독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범위가 광범위하고, 실용적이며, 다양한 형태로 적용되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이 논의를 통해 마음챙김이 단순한 개념이 아니며 여러 측면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고찰 할 수 있었다. 마음챙김은 서구사회에서 ‘순수한 주의’와 ‘비판단적 자각’이라는 조작적 정의로 활용되면서 실용적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순수한 주의’라는 통념과는 달리 불교전통의 마음챙김은 인지적 측면도 포함하고 있음을 고찰 하였다. 불교 전통적 마음챙김은 팔정도, 칠각지 등의 교학적 맥락에서 파악되는 데 비해, MBSR의 경우 마음챙김을 인류에게 보편적인 특성으로 인정한다. 불교전통의 입장에 있는 Bodhi 스님 같은 학자들은 마음챙김의 임상적, 세속적 활용들을 경계하면서도 다르마의 유익한 활용이란 관점에서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마음챙김의 임상적 활용을 비판적으로 보지 않고 시대적 변화에 따른 다르마의 새로운 적용이라는 측면에서 발전영역을 찾아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mindfulness, which has been long considered the heart of Buddhist meditation, is defined and applied in contemporary Western society. The materials and sources used in this study are limited to those written in English. This study first focuses on the Buddhist origins and definitions of mindfulness by Western mindfulness practitioners and scholars, followed by a contrastive overview of how major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such as MBSR were implemented, in order to understand how mindfulness is implemented in the mainstream Western society, especially in medicine and psychotherapy. All the discussions are centered around Buddhism, medicine and psychotherapy. Over the past three decades, the way mindfulness is accepted in Western society has been sometimes in relations hip with Buddhism, and other times independent of Buddhism, thus evolving own its own and charting its unique territory, supported by scientific investig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cope of the meaning of mindfulness in the West seems to have been extended so broadly, transcending its original boundaries defined by Buddhism. Its use in the West is in large measure very secular, non-Buddhist, and universal, buoyed up by science. Without trying to be prescriptive, or privileging one over the other, this study welcomes the universal and secular stance taken by the West. It seems to become more clear by the minute that the Western experiment with the Buddhist practice of mindfulness so far have been so promising that the majority of clinicians as well as practitioners are led to believe that mindfulness is conducive to alleviating human suffering, regardless of the differences in religion, race, and nationality. The challenge for us both in the East and the West is not to be very attached to our own belief systems and to be more open to this emerging new exploration surrounding mindfulness, without being imprisoned by our own traditions.

      • KCI등재

        ‘마음’의 학문적 재발견

        박소진(So Jin Park) 한국문화사회학회 2016 문화와 사회 Vol.22 No.-

        자살률이 가장 높은 나라 한국에서 다양한 중독증, 우울감 및 우울증, 무기력, 만성 피로 등의 정신적 문제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치유’와 ‘힐링’에 대한 담론의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한국 사회 마음풍경의 한 단면이다. 이 글은 이런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최근 인문사회학계에서 ‘마음’ 개념에 주목하고 있는 다양한 학자들의 논의를 세 가지 흐름으로 살펴본다. 첫째는 김홍중의 ‘마음의 사회학’의 이론화 작업을 살펴보고, 그가 주목하는 마음의 사회성 또는 집단성, 특히 ‘마음의 레짐’에 대한 논의를 살펴본다. 두 번째는 현대 감정사회학과 관련한 논의와 정동(affect) 개념에 대한 주목과 치유와 힐링 담론에 대한 여성학적 비판을 살펴본다. 세 번째로는 인문학자 김우창의 『깊은 마음의 생태학: 인간중심주의를 넘어서』을 중심으로, 소위 존재론적, 윤리적, 또는 동아시아 종교문화적 차원의 깊은 마음에 대한 논의를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생활불교를 강조하는 대행선사의 한마음사상을 중심으로 마음과 한마음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그 속에서 개인의 마음, 집단의 마음과 한마음이 하나로 작동하는 것이 바로 한마음이라고 주장한다. 나아가 이러한 주장은 한국사회의 오래된 언어문화적 전통과 일맥상통함을 밝힐 것이다. 여러 가지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 글은 도심 불교사찰에서의 남녀불교인의 종교적 실천을 문화적으로 연구하는데 이론적인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이 글은 ‘실천하는(한)마음의 사회문화학’을 향한 주춧돌이 될 것이다. In the age of healing and curing, many Koreans are suffering from the diverse sicknesses of mind. This article examines the recent academic concerns and works of ‘mind’ in Korea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First, it examines the sociology of mind which the famous sociologist, Kim Hong-Jung developed. He concentrates on the sociality of mind, and focuses on ‘the resime of mind.’ Second, it focuses on the sociology of emotion and the discussion of affect, while examing the feminist critics of discourese of curing and healing. Third, this article examines Kim U-Chang’s book, “An Ecology of Deep Mind,” while focusing on the concept of mind on the base of universal, ontological, ethical mind and/or that of East Asian Buddhist culture. Finally, it focuses on Seon Master Daehaeng’s concept of ‘one mind(han’maeum).’ Seon Master Daehaeng, who emphasized the everyday-life practices, developed the concept of one mind, which is not different from the individual and social mind. Furthermore, her teaching is articulated with Korean linguistic and cultural tradition.

      • KCI등재

        제6장 마음과 세계

        정천구(Chun-Koo Jeong) 한국민족사상학회 2008 민족사상 Vol.2 No.1

        프로이트가 인간의 심층의식에 주목하여 심리학을 개척한 이후 현대사회과학에서도 심리분석이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불교에서는 오래전에 “모든 것은 마음이 지은 것”이라는 붓다의 메시지를 중심으로 마음의 구조와 마음 닦는 방법이 정교하게 발전시켰다. 불교는 마음을 심(心), 의(意), 식(識)으로 파악하고 이를 5가지 감각기관의 식, 분별하는 제6식, 자아의식으로서의 제7식, 그리고 저장식으로서의 제8 아뢰아식으로 분석하고 있다. 모든 현상은 8식에 저장된 식들이 인(因)과 연(緣)을 만나 발현되는 것이다. 닦음이란 8식의 순수한 부분이 오염된 부분을 정화하여 청정한 본심을 회복한다는 것이다. 붓다에서 시작되어 불교에서는 이렇게 청정한 본마음을 회복하여 이상적 상태인 열반에 이르는 수행방법이 정교하게 개발되었다. 핵심은 산란한 마음을 하나로 집중하는 지(止)와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는 관(觀)의 수행인데 선(禪)에서 지와 관은 다른 말로 정(定)과 혜(慧)라 하며 이는 분리 수행이 아니라 함께 닦는 것(定慧雙修)이라고 한다. 대승불교는 자기 한 마음 만을 다스리는 것이 아니라 자기 마음, 남의 마음 구별 없이 마음속에 일어나는 모든 마음을 닦기 때문에 마음 닦는 일과 정치사회적 문제를 다스리는 일은 연관을 맺고 있다. 정치사회적 문제들의 진단과 해법을 모색하는데 있어서 붓다의 마음 닦기는 크게 유용한 것으로 본다. 현대사회의 제 문제들이 인간의 본심에서 너무 멀어져 있기 때문에 인간의 청정한 본심을 회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Since Freud first elaborated the theory that mind is a complex energy system, many psychological analysis on politico-social subjects have been carried. In the ancient Orient, Buddhism developed an elaborated theory of mind and mind control techniques after the Buddha had declared that all is mind made. Mind is composed of eight different sorts of consciousness, namely five threshold consciousness, six sense, self consciousness, and no.8 consciousness in Buddhist mind theory. Every thing manifested itselffrom the eighth which is the storehouse of all the consciousness when every stock in it meets its cause and occasion. Buddhist mind control practice is to purify the contaminated part of the eighth consciousness with the help of its pure part thereby recover our pure and undefiled mind. Concentration(止 or 定) and contemplation(觀 or 慧)are the two pillars of the practice. The two should be practiced concurrently not separately. Mind should be concentrated and contemplated at the same time. In Mahayana Buddhism, the trainee's goal is to purify not only one's own mind but also every mind of living beings that arises in his mind. So mind control and practice in Mahayana system necessarily deals with political and global issues. Since almost every important issues in the modern world is contradictory with the pure human mind, it requires the recovery of the pure mind before we think of the structural problems. In this sense Buddhist theory and practice of mind would be very helpful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politico-social problems in the modern world.

      • 시편 73편의 ‘마음’에 대한 연구

        전봉순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08 神學展望 Vol.- No.160

        본고는 시편 73편에 나오는 ‘마음’과 관련된 표현들을 중심으로 ‘마음의 의미’를 살펴본다. 먼저 구약성경의 ‘마음’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을 정리한 후, 시편 73편의 유형과 삶의 자리, 구조를 총체적으로 고찰해 보겠다. 그 다음 본문에 나오는 마음에 관한 표현들을 ‘윤리적 의미’와 ‘영성적 의미’로 나누어 설명하고, 이러한 연구를 요약하여 73편의 마음의 의미를 종합적으로 제시한다. 여기서 우리말 본문은 히브리어 본문에서 직접 번역하여 인용한다. 시편 73편은 지혜 용어들, 지혜문학의 주제들, ‘마음’이라는 주제어를 통해 시인의 마음 안에서 일어나는 영적 성장의 이야기를 교훈 형태로 전하는 지혜문학적 교훈시이다. 이 시편은 시인과 악인들의 삶이 대조를 이루는 구조로 짜여있지만 신정론의 문제를 넘어서서 마음 안에서 일어나는 영적 성장의 이야기를 전한다. 시인은 영적 투쟁을 통해 윤리적으로 마음을 깨끗이 하기보다는 영성적으로 ‘하느님을 마음의 반석’으로 모시고 ‘하느님께 가까이 있음’으로 하느님의 선을 이해하게 된다. 마음의 윤리적 의미와 영성적 의미를 통해 우리는 시인의 마음의 영적 성장을 정화?조명?일치의 과정으로 요약할 수 있다.

      • KCI등재

        ‘마음’의 한 정의, -마음인문학과의 관계에서

        이기흥(Lee, Ki-heung) 대한철학회 2012 哲學硏究 Vol.123 No.-

        이 글은 마음인문학의 철학적 정초 작업의 목적으로 마음 정의를 시도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먼저 제반 심리개념들이 전반적으로 어떤 영역과 관계하고 있는지 물은 후, 그 영역을 세계 내 존재로서의 인간의 실존 활동들에다 정위시킨다. 세계 내 존재로서의 인간이 삶을 영위할 때, 그 구성요소는 유기체 내부세계, 공간 세계, 시간 세계 그리고 행동세계고, 이것들이 역동적으로 엮여 인간 삶의 다양한 장면들을 창출해 낸다. 이의 설명을 위해 먼저 자급자족체계로 이해되는 유기체에 관한 체계론적 기술이 제시된다. 그러고 나서 이 모델에 기반을 둬서 유기체/인간이 어떤 (논리적) 경로로 삶을 구성하고 개선하는지 단계별로 밝히는 가운데, 필자는 이 과정을 참조하여 충동적 마음, 조작적 마음, 메타 마음, 집단의식/사회적 마음, 인성적 마음 등을 구성해 내고(이때 각 계열의 마음은 다시 세분되어 논해진다), 그리고 종국적으로 그 모든 과정의 특징을 일반화시켜 마음을 (기능론적으로) 정의한다. 이 글에서 마음은, 간단하게 말해, 인간 실존에 소용되는 세계적 요소들을 거미줄처럼 엮어 인간 실존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인간 실존을 승화시키는, 인간과 세계의 매개 및 자기승화의 장치/기관으로 이해된다. In this paper I undertake to define what is mind, as a partial project of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the Mind Humanities. To this end I ask myself, where can be found the field, to which the various or whole psychological concepts and discourses generally relate, and then I identify the correct field to be the field of existential activities of human beings as being-in-the-world. When human beings as being-in-the-world live their lives, her life is built up out of the internal biological activities, the worlds of space and time, and actions. While the various scenes of individual life of man produced by a dynamic coordination of those worldly components, the basis of the mechanism of that coordination is explained by a biological model of self-sufficiency system that I developed here. On the basis of this model, I show step by step, how and through which (logical) way organisms configures their living, as it is. With respect to those steps of the life-construction of the organism, or in light of each step corresponding to each configuration, I construct different types of mind, i.e. impulsive mind, manipulative mind, meta-mind, collective consciousness/mind and finally personality, while every mind is further subdivided. Finally, I define mind, in light of its function in human life and with respect to the generalized sense of the whole processes as outlined above, as an organ which weaves (above mentioned) worldly components to Dasein, and sublimates and expands it to a better living.

      • KCI등재

        마음챙김(mindfulness) 담론의 전개 맥락과 과제 - 교육적 활용을 지향하며 -

        지우섭 ( Ji¸ Woosub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0 교육철학연구 Vol.42 No.4

        마음챙김(mindfulness)은 다양한 맥락에서 논의된다. 그럼에도 맥락에 대한 세심한 검토 없이 논의가 종종 진행된다. 이런 까닭에 마음챙김의 정의, 목적, 방법, 활용방안 등에 대한 이해가 복잡하고, 그 논의가 파생적, 분산적,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곤 한다. 이를 해결하려면 담론의 주요 맥락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마음챙김 담론의 주요 맥락별 전개 과정과 주요 논의 및 쟁점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마음챙김 담론의 발전 과제와 마음챙김의 교육적 활용을 검토한다. 주요 맥락은 불교의 사띠, 재맥락화된 마음챙김, 랭어의 마음챙김, 성리학의 경 등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그 발전 과제로는 주요 맥락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기존 논의 분석하기와, 마음챙김의 통합적 논의를 위한 새로운 맥락 창출하기를 꼽을 수 있다. 새로운 맥락은 ‘존재하기’를 기반으로 삼을 것을 제안한다. 마음챙김의 교육적 활용을 위해서는 먼저 마음챙김에 대한 기존 논의를 정리하고, 마음챙김을 통합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육은 ‘존재하기’를 기반으로 하는 마음챙김을 다룰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마음챙김 기반 교육’을 활용해볼 수 있다. 나아가, 종교적 중립성에 대해 재고해보고, 존재에 대한 종교적 지혜를 활용할 방법을 모색해볼 필요가 있다. 좋은 교재와 우수한 지도자를 확보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Mindfulness is discussed in various contexts, yet a careful consideration of these contexts is often lacking. The understanding of the definition, purpose, method, and application of mindfulness is confusing and complicated. Discussions on mindfulness are typically derivative, decentralized, and sporadic. The study of the main context of mindfulness is necessary for deeper and more meaningful conversations about the implications of mindfulness and the application to educa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main contexts in the discourse regarding mindfulness and its relevant issues in various fields. Mindfulness discourse can be classified into four basic contexts: Buddhism, recontextualized mindfulness, Langer, and Neo-Confucianism. This article argues that analyzing discussions on mindfulness in four basic contexts and integrating discussions in a new context based on ‘being’ are needed for advanced discourse. The following matters may be considered for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mindfulness: First, it is essential to analyze preceding studies on mindfulness and to integrate discussions on mindfulness. Second, for education, a ‘being-based’ mindfulness approach is significant. To this end, ‘mindfulness-based education’ may be utilized. Third, religious problems on mindfulness should be considered. Fourth, methods of writing good textbooks and training excellent teachers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마음’의 사회학적 재발견과 ‘합심(合心)’의 소통행위론적 이해: 조선왕조실록의 용례 분석에 근거하여

        유승무,박수호,신종화 동양사회사상학회 2013 사회사상과 문화 Vol.28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Maum(마음, 心) to sociological theory and social thought. Maum as one of key terms has been remarkably mobilized in many discourses. It is a medium of communications in the Korean tradition. Maum is very often found in a number of texts over intellectual history of Korea, while it has been neglected in sociology, which is more interested in theorizing with reason/rationality or emotions. The authors think that maum is decisive to understand actor’s self-reflective interpretation of own state of mind and activities, on the one hand and to recognize the way of expanding the ranges of common grounds among actors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Annals of Chosun Dynasty, which includes nearly five hundred years records on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affairs in the dialogues between kings and administrators and civil officers, are analyzed and the usages of maum are summarized. Especially, some cases on Hapsim(합심, 合心) are analyzed for explaining how maum is crucial to improve the level of sympathized communication. 일상적 사회관계와 사회현상 중에는 이성이나 감성으로는 설명하기 힘든 영역이 존재한다. 서구적 합리성에 기초한 기존의 사회학적 관행이나 대안으로 시도되고 있는 감정사회학적 논의조차 이 영역은 공히 한계로 남아 있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마음’ 개념을 활용함으로써 그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구체화 하였다.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마음(心)과 합심에 대한 용례의 탐색적 분석 결과는 ‘마음’이 한국 및 동아시아의 고유한 사유체계와 문화적 축적의 결과물임을 알려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우리는 마음과 합심의 사회학적 해석을 시도한다. 마음과 합심 개념의 용례들을 통해서 우리가 포착한 것은 ‘소통 행위’이다. 이성과 감성을 포괄하는 총체로서 마음 개념은 사회관계를 매개하는 핵심적 실체이며, 마음의 소통으로 이해할 수 있는 합심은 또 하나의 새로운 의사소통의 단위로 규정할 수 있었다. 나아가 마음을 매개로 한 합심이라는 소통은 소통양식의 질적 단계에서 가장 심화된 형태로 볼 수 있는 동조적 소통양식에 다름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기존의 소통이론에서 배제하거나 경시했던 자기 자신과의 소통과 일탈 및 상황반전을 위한 소통이 합심이라는 소통양식 안에서는 중요한 소통 영역이라는 점도 밝혀낸다. 이 논문은 이성과 감성만으로는 온전히 설명할 수 없었던 사회관계의 빈틈을 메울 수 있는 사회학적 개념으로 ‘마음’을 발굴해냈다는 점, 소통의 새로운 구성요소로서 ‘마음’과 ‘합심’ 개념을 재발견하여 경험적으로 실증했다는 점, 본심과의 합심이나 상황반전을 위한 합심 등 새로운 소통영역을 제시함으로써 관련 논의의 지평을 확장하고 있다는 점 등에서 일차적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마음인문학의 철학사상적 토대에 대하여: 마음공부론을 중심으로

        이기흥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0 철학탐구 Vol.57 No.-

        In this article, I present a conceptual model of mind humanities to reveal the philosophical and ideological identity of mind humanities that is carried out as part of the Humanities Korea Project. In this model, I first introduce a spiral model of mind practice based on four minds: ego, metamind, Self, and relational mind. In this model, the more the axis of mind operation shifts towards ego, the more often the pain occurs, and the more the axis of mind operaton shifts toward the metamind, Self and relational mind, the more happiness and peace of mind arise. I discuss the mechanism by which pain is created with respect to the former, and with respect to the latter the process of mind healing and mind cultivation based on a sequential series of mind practices. As a matter of fact, I present four types of mind practice that focus on ego, metamind, Self, and relational mind. I believe that all kinds of mind practice, -healing and –cultivation methods of the ancient and modern times from East and West can be reconstructed into conceptual framework of mind practices. I propose to view the enterprise to discover, collect, reconstruct and reproduce various theories and practices that are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mind practice, -healing and -cultivation, and then to apply them to our modern living conditions as a central task of mind humanities. As a result, the mind humanities are understood as comprehensive practical studies related to management, administration, maintenance and repair of mind. 본고에서 필자는 인문한국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는 마음인문학의 철학사상적 정체성을 드러내기 위한 마음인문학의 한 개념적 모델을 제시한다. 이 모델에서 필자는 먼저 네 가지 마음(주체), 즉 에고, 메타마인드, 셀프, 관계심을 기반으로 하는 마음작용의 나선형 순환모델을 제시한다. 이 모델에서 필자는 마음작용의 축이 에고 쪽으로 치우칠수록 고통번뇌가 빈번해지고 그 반대방향으로 치우칠수록 마음의 행복과 평화가 빈번해지는 것으로 설명하는 가운데, 전자와 관련해서는 고통번뇌가 생성되는 메커니즘을 논하고, 후자와 관련해서는 일련의 마음공부, 마음도야 및 마음치유의 과정을 논한다. 그리고 이로부터 에고, 메타마인드, 셀프, 관계심에 중점을 두는 네 가지 유형의 마음공부를 구분한다. 필자는 동서고금의 제반 마음공부·치유·도야법들이 전반적으로 이들 네 가지 마음공부 개념틀에 재구성될 수 있다고 보는 가운데 (자발적) 마음공부·치유·도야와 직·간접으로 관련해 있는 다양한 마음이론 및 마음실천들을 발굴·채집·재구성·재생산해 현대인들의 마음공부·치유·도야실천과 사회/문화치유 및 개선작업에 적용하는 것을 마음인문학의 중심과제로 설정해 보았다. 이로써 필자는 마음인문학을 전반적으로 마음의 경영·관리·유지·보수와 관련한 종합학이자 실천적 학문으로 이해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