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 전통의 도야이념 소고

        이기흥 대동철학회 2012 大同哲學 Vol.61 No.-

        신자유주의의 도래와 함께 삶의 피로가 개인적, 사회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 와중에서 지식 중심, 기능 중심 교육이 전방위적으로 확산되어 가고 있는 반면, 인간교육 및 인문학은 정작 주변부로 밀려나고 있다. 그리고 이 자체가 다시 인간 삶을 더욱 궁핍하게 만들고 있다. 이를 계기로 인간 도야를 강조하는 독일의 도야교육 전통에 시선을 돌리는 것은 유의미하다. 독일의 도야교육은 주로 근대의 신인문주의로 대표된다. 하지만 본고는 서양교육사 전반의 배경 속에서 신인문주의 도야교육의 형성 배경과 그것의 발전관계를, 특히 신인문주의에서 역사주의/문화주의, 해석학-정신과학, 비판이론 및 그 이후 현재의 도야사상으로 이어지는 도야교육의 전통을 그 각각에 해당되는 당대의 역사적 배경을 고려하면서 고찰한다. 신인문주의 도야이념만으로는 오늘날의 교육적 상황에 대처할 인간교육 이념을 찾기에는 불충분하다는 필자의 판단 때문이다. 이 글은 단순히 도야이념의 역사를 기술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지 않다. 글의 목적은 오히려 각 시기의 역사적 상황에서 어떤 도야이념들이 발전되어 나왔으며 그리고 그것도 어떤 논리를 따라 발전되어 나갔는지를 사상사적으로 추적한다. 이를 통해 오늘날과 같이 글로벌화 되어 가고 있는 시대적 상황에서 도야이론을 개발하는 철학적 방법론을 예시적으로 선보일 뿐 아니라, 오늘날 우리가 어떤 종류의 도야이념들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인지를 예시하고자 한다. 도야교육은 또한 교양교육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이에 따라 본 논의는 교양교육의 철학적 이념설정을 위해서도 유용한 논의가 될 것이다. Mit dem Aufkommen des Neoliberalismus hat die Ermüdung des individuellen und sozialen Lebens der Koreaner drastisch erhöht und erweitert. Dabei verläuft Wissen- und Funktion-zentrierte Ausbildung weit und schnell in alle Richtungen. Dagegen werden Menschenbildung sowie Humanwissenschaften immer mehr ausgegrenzt. Angesichts dieser Situation wird es für uns nützlich sein, unsere Aufmerksamkeit auf die deutsche Bildungstradition, die besonders die Erziehung des Menschen betont, zu richten. Wenn man an Bildungskonzept in Deutschland denkt, dabei denkt man meistens das Bildungskonzept des Neu-Humanismus in 18 und 19 Jahrhundert. Die Diskussion in diesem Aufsatz ist aber nicht auf diese Tradition beschränkt, sondern geht darüber hinaus. Der Aufsatz unterscheidet einige Bildungskonzepte der deutschen Traidition und versucht, ihren Hintergrund und ihre Entwicklung in Bezug auf den historischen Hintergrund jeder Epoche zu zeigen. Insbesondere die Entwicklungslogik der Bildungskonzepte, die von dem Neo-Humanismus, über den Historismus / Kulturalismus, die hermeneutisch-humanistische Tradition, die kritische Theorie zur Bildungstheorien von heute reichen, zu zeigen, und daraus ein umfassendes Bildungskonzept zu formulieren ist die Hauptaufgabe dieses Aufsatzes. Diese Diskussion wird seitens des Autors vor dem Hintergrund entwickelt, der Problematik der aktuellen Bildungssituation in Korea entgegenzukommen. Außerdem kann diese Studie nicht nur auf die Frage eine Antwort liefern, wie eine philosophische Konzeption der Menschenbildung im Zeitalter der globalen Gesellschaft entwickelt werden kann, sondern auch, solange die Bildungsfrage mit der Frage der liberalen Erziehung (liberal arts) eng verbunden ist, dazu einen Beitrag leisten, ein philosophisches Ideal der liberalen Erziehung zu entwerfen.

      • KCI등재

        인지역학 시론 ― 인지과학의 한 개념 틀에 붙여

        이기흥 대동철학회 2005 大同哲學 Vol.30 No.-

        삶에서는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인간들은 이런 문제상황들에 대처하는 다양한 활동들을 펼친다. 그리고 그 성취는 삶의 진행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고는 문제상황들에 대한 인간들의 활동들이 일구어내는 문제풀이적 성취와의 관계들로부터, 즉 문제량, 행위량 그리고 (문제풀이)성공도 간의 다양한 상호관계 혹은 그것들의 조합들로부터 앎(수준), 지적 능숙도, 학습(능력), 지력(학력), (지적 작업으로서의) 문제풀이 작업량, 지적 순발력(재치, 기지, 지혜), (지력 효과로서의) 문제 처리량, 문제 처리 효율(지식 재구성력, 응용력, 현명성), 지적 안정성 등을 정의하는 가운데, 이 정의 과정에서 사용되는 개념적 구조들을 다시 하나의 개념 체계로 묶어 (인지론적 논의의) 한 담론 분야를 이루게 되는 인지역학을 구성한다. 이 작업은 고전물리학의 운동역학 구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In diesem Aufsatz unternimmt der Autor, eine Theorie der kognitiven Mechanik zu konstruieren und gleichzeitig eine Gruppe der kognitiven Begriffe spezifischer Art zu definieren. Während die Theorie der kognitiven Mechanik im wesentlichen aus dem Bewertungsaspekt der dynamischen Verhältnisse zwischen Problem und Probleml?sehandlung konstruiert wird, verstehen sich die hier zu definierenden Begriffe als Begriffe, die zur sprachlichen Behandlung der Verhältnisse der Probleml?sung sowie Eigenschaften der Handlungen verwendet werden, die ihrerseits in der Probleml철sung im Spiel stehen. Sie fassen die Begriffe wie Wissen(-sniveau), kognitive Kompetenz der Probleml철sung, Lernen, Fähigkeit des Lernens, Intellekt bzw. Wissenskraft, Quantum der kognitiven Arbeit, Quantum der Probleml철seleistung bzw. Änderungsquantum der Problemzustände, Kraft der kognitiven Reaktion bzw. kognitive Spontanität, Esprit, Witz, Weisheit, Quantum der Probleml철seleistungen, Effektivität der Probleml철sung, Anwendungskraft des Wissens, Prudenz, kognitive Stabilität, kognitive Homogenität, Intelligenz usw. um. Insgesamt geht diese Arbeit ähnlich wie der Konstruktionsvorgang der mechanischen Theorie der klassischen Physik vor. Und diese Arbeit versteht sich als ein Beitrag zur Bereitstellung einer methodischen Basis der Kognitionswissenschaften.

      • KCI등재

        원불교 마음공부의 확장적 논의를 위한 한 개념틀 ― 동태적 마음공부법을 위하여

        이기흥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7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2 No.-

        Recently as the interest in well-being and healing is increasing, mind healing and mind practice has become a hot topic in modern society. Under these circumstances, various methods and programs of mind healing and mind practice are produced. In Won Buddhism, which has declared to be a Buddhism in everyday life since its inception, various methods and programs of mental practice have been formulated and applied. However, with the situation of time, the demands for communication and dialogu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parties of Won Buddhism are gradually increasing in the area of mental practice. In view of this situation, I try to present a theoretical framework of mental practice. It is such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can be used as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different theories of mind healing and mental practice, while at the same time covering theoretical programs of the mind practices of Won Buddhism. This framework is fundamentally derived from the core content of Won Buddhism. And various methods and programs of the mind practices of Won Buddhism can in principle be integrated into this conceptual framework. In addition, the conceptual framework is described in a third neutral language, which does not have the color of a particular religion. Therefore, other types of mind practices can be also integrated into this conceptual framework. In this sense, it could be a theoretical place where methods and programs of the mind practice of Won Buddhism and of other tradition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short, the conceptual framework presented here is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can serve as an interface between the spiritual practice of Won Buddhism on the one hand and the spiritual practice of other traditions on the other. In addition to presenting the above-mentioned theoretical framework, I also propose a principle of mind practice, which can be used in different contexts. It is a methodological principle that results from the application of the "Il『Won-Wang", the guiding principles of Won Buddhism, to the mind practice. This method of mental practice is, in principle, a method of mind practice that heals the mind by turning and changing the mind in different angles and directions, restoring the originality that was lacking from the beginning. I present this concept of dynamic mind practice as an alternative to mind healing and mind practice that is based on static type of mindfulness. 근래 웰빙 및 힐링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마음치유 및 마음공부가 바야흐로 시대의 화두가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적으로 마음공부법및 마음공부 프로그램들이 다양하게 양산되고 있다. 태동기부터 생활 불교를표방했던 원불교 내에서도 그간 다양한 마음공부법이나 마음공부 프로그램들이 입안되어 적용되어 왔다. 다만 시대적 시대의 상황이 상황이니만큼 대내외마음공부법들 간에 소통과 대화의 요청이 점차 비등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필자는 본고에서 원불교 마음공부법 및 마음공부 프로그램들을 이론적으로 아우름과 동시에 대외적으로도 여타 마음치유 및 마음공부론과의 소통창구로 사용될 수 있을 마음공부론적 이론틀 하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 이론틀은 기본적으로 원불교 『원불교 교전』의 핵심 내용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서, 그 개념틀에는 원불교의 다양한 마음공부법 및 마음공부프로그램들이, 원칙적으로는, 재배치될 수 있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그 뿐이 아니다. 그 개념틀은 특정 종교의 색채를 띠지 않은 채 제3의 중립적인 언어로 기술되고 있어, 그 개념틀 속에는 원불교 마음공부법 외 다른 여타의 마음치유법이나 마음공부법들도 수렴될 수 있다. 그래서 그것은 원불교 마음공부법이나 마음공부 프로그램이 다른 여타 마음치유법이나 마음공부법들과 소통할 수 있는 이론적 광장이 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짧게 말해, 여기 제시되는 개념틀은 원불교의 마음공부법들과 여타 마음공부론 간의 소통을 매개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할 수 있는 이론틀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이론틀의 제시와 함께 필자는 또한 범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마음공부법적 원리 하나를 제안한다. 그것이 바로 동태적 마음공부법인데, 이는 원불교 일원상의 원리를 마음공부방법론적으로 적용해본 것이다. 이 마음공부법은 기본적으로 마음을 다양한 다른 각도, 다양한 다른 방향으로 역동적으로돌려, 요란하고, 어리석고 그른 마음에서는 부재하는 온전성을 다시 회복해 마음을 치유하거나 마음의 평화와 행복을 추구하는 마음공부법이다. 필자는 이마음공부법을 정태적인 알아차림/마음챙김 중심의 마음치유 및 마음공부법에대한 대안으로 제시한다.

      • KCI등재

        괴로움의 병리학 : 자아, 경계, 체계 ― 불교 번뇌론의 체계적 재해석

        이기흥 대동철학회 2015 大同哲學 Vol.71 No.-

        일상의 평범한 사람들은 고통과 괴로움의 원인을 종종 자신의 외부에서 찾는다. 불교는 이와 달리 고통의 원인을 인간의 마음 안, 특히 아상의 관념에서 찾는다. 그리고 이 아상이 말나식에서 유래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고통의 극복을 위해서는 말나식이 만들어내는 아상과 같은 관념이 허상임을 깨달아야 한다고 말한다. 이러한 불교의 <자아-무아론>을 켄 윌버는 <경계-무경계론>으로 재구성한다. 그는 진화의 순차적 단계를 따라 구성되는 다섯 수준의 의식의 스펙트럼을 상정하고, 각 수준에서 구성되는 ‘나’와 ‘나가 아닌 것’ 간의 경계들로 인해 고통이 생겨나오는 것으로 보면서, 고통치유는 경계지우기, 즉 무경계를 통해서 실현된다고 본다. 이에 반해 필자는 진화론 및 체계론적으로 재해석된 자아론의 기반 위에서 역기능적 체계구조로부터 고통이 생겨나고, 순기능적 체계구조로부터 고통치유가 실현된다고 보는 가운데, 체계론적 혹은 구조기능론적 고통이론을 제시한다. 즉 불교의 <자아-무아> 고통이론, 윌버의 <경계-무경계> 고통이론에 대해 필자는 (기능 관련) <체계구조-체계재구조화>의 고통이론을 제시한다. 다만 여기서 말하는 체계는 인간 삶의 평화 내지 행복을 위해 요구되는 <자아-이상(가치)-실재>의 공존을 보장할 수 있는 속성을 체화하고 있어야 하는 바, 그러한 속성은 자연과학적, 심리학적, 심리치료적, 인문학적, 철학적 설명, 유불도 전통의 지혜 등 광범위한 논의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하는데, 이로부터 고통치유이론 및 실천들이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한다. People in everyday life usually seek the causes of suffering outside of oneself. Buddhism, on the other hand, proposes us to seek the causes of sufferings in our own minds, especially in the ego-image that is supposed to be produced by the Manas-vijnana. Buddhism goes on to say then, we need to go beyond the ego-centrism in order to let us be free from suffering. Ken Wilbur reconstructed this Buddhist theory of <self-selflessness> in a theory form of <boundary-no boundary>. He assumes a spectrum of consciousness of five stages that are configured in accordance with the successive stages of evolution, and then says that sufferings are caused through boundaries between 'ego'(inside) and 'non-ego'(outside) at every each level. He goes on to say that suffering can be cured by clearing such boundaries. In contrast to this new interpretative version of the Buddhist theory of suffering, the author of this article proposes, maybe supposed to be a synthesis of those two theories, a structural-functional theory of suffering that takes into account the theory of evolution and system-theory. This <(function-unsensitive) structure-(function-sensitive) restructuring> model might be viewed as a rival, on the one hand, to the Buddhist <self-selflessness> model and, on the other hand, to the Wilber's <boundary-no boundary> model.

      • KCI등재

        깨달음의 본질, 기제 그리고 전략: 깨달음의 일상적 적용을 위한 시론

        이기흥 철학연구회 2018 哲學硏究 Vol.0 No.121

        Understanding of enlightenment needs to have a multi-faceted approach to it, not a single approach. At first, I considered the enlightenment as a multi-faceted meaning of awakening, realizing, awareness and enlightenment. Accordingly, I handle the issue of enlightenment or awakening from a multi-layered perspective such as epistemology, subject theory, the ontology of consciousness, the theory of thought, and relational attitude theory. From these perspectives, I will introduce various ideas concerning enlightenment. Then I will extract some points concerning the essence, mechanism, and strategies of enlightenment that appear in these enlightenment ideas. My conclusion is that the essence of enlightenment lies in the qualitative sublation or rehabilitation of the problematic ego, and its effects can lead to a qualitative advancement of society. The path of thequalitative advancement of the ego to the Self can be largely divided in two directions. One is the way the ego removes the veil of thoughts and becomes the true Self, and the other is the way the biased ego is transformed into the non-biased ego or big Ego. About the former, the issues such as the turning the deluded mind into wisdom and enlightenment, the perception of the true light of the mind through contemplation, disidentification, and detachment are discussed. With reagard to the latter, some strategies of inversion, such as turning the mind, positions, and attitudes into opposite or not yet considered directions are discussed. The former is the path of awakening known in the eastern tradition, and the latter is in the western tradition, so the concept of enlightenment that I present in this article is a kind ofsynthesis of ego-enlightenment and self-awakening on the one hand and of eastern and western enlightenment traditions on the other hand. At the end of the article, I will introduce a strategy that makes it easy to understand the above mentioned intuitively. 필자는 깨달음의 이해에는 단일한 접근이 아니라, 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와 함께 깨달음을 일단 깨침, 깨어남, 깨어있음, 알아차림, 계몽 등의 의미복합체로 보고, 깨달음의 문제에 인식론, 자아론, (의식)존재론, 생각이론, 관점이론 등 다각도에서 접근한다. 그리고 이들 깨달음 담론들에 나타나는 면면과 공통점들로부터 깨달음의 본질, 기제, 전략을 추출해낸다. 깨달음의 핵심은 에고의 질적 상승 내지 초월에 있고, 그것의 효과가 사회의 질적 상승까지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 필자의 결론이다. 이때 에고의 질적 상승 내지 초월은 크게 두 방향으로 나뉜다. 하나는 에고가 생각의 너울을 걷고 참나로 전환해가는 길, 즉 <에고→참나>이고 그리고 다른 하나는 편향적인 에고가 온전한 에고로 전환되는 길, 즉 <소아→대아>이다. 전자와 관련해서는 전식득지, 회광반조, 탈동일시, 탈지향성 등이 논의되고, 그리고 후자와 관련해서는 생각, 관점, 입장, 처지 등을 반대방향 내지 알려지지 않은 방향으로 돌리는 전환의 방법이 논의된다. 전자는 동양전통이, 후자는 서양전통이 걸어간 깨달음의 길이기도 하다는 의미에서 필자가 제시하는 깨달음 개념은 참나와 에고를 통합하고 그리고 또 동서양 깨달음 전통을 통합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글의 말미에서는 상술한 내용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전략 하나가 소개된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체화인지 기반 통합형 인지계 모델에 관한 예비적 고찰 ― 인지계의 구조에 관한 한 연구

        이기흥 대동철학회 2015 大同哲學 Vol.70 No.-

        인지과학의 중핵 과제 중 하나가 인지계의 모델을 제시하는 일이다. 이 과제를 해결하는 시도의 과정에서 인지과학은 태동 이후 계산주의 인지과학, 연결주의 인지과학, 체화주의 인지과학, 행위주의 인지과학 등을 낳았고 그리고 이 과정에서 직렬컴퓨터/논리계산주의 모델, 병렬컴퓨터/연결주의 모델, 지각-행동 및 개체-환경 연동의 체화인지모델(포섭구조 모델) 그리고 자기관계에 기반한 사이버네틱스 모델의 일종인 자가생산체계 모델 등이 제시되었다. 각 인지과학이론들은 각자 자신의 인지계 모델을 가지고 서로 각축을 벌이면서 패권다툼을 벌이고 있다. 필자의 견해로, 비록 그러한 모델들이 제반 인지현상들을 보편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제시된 것들이긴 하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특수 용도의 인지계를 모델링하는 과제에 더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러한 맥락에서라면 그것들은 서로 경쟁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특수 용도가 아닌 범용적인 성질의 목적이라면, 헤게모니싸움보다는 상호 공존과 화합, 보완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소기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그리고 범용 용도의 인지계를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각 인지계 모델들을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서는 제3의 전략이 요구된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사실 각 인지과학이론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들은 각기 달랐고 그리고 그에 따라 서로 다른 인지계 모델들을 제시하였음은 이미 인지과학의 문제사가 내보여주고 있다. 후속하는 인지이론들은 선행하는 인지이론들이 미처 챙기지 못한 주제와 문제들을 추가로 고려하는 가운데 새로운 인지계 모델들을 제시해 왔다. 근래 들어서는 체화인지가 각광을 받고 있다. 하지만 현행 체화인지만으로는 범용 용도의 인지계를 모델링할 수는 없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게다가 현행 체화인지가 그 자체 온전한 체화인지이론인지도 의문이다. 결국 현행 체화인지 자체도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 필자는 여타 인지계의 구조를 다루면서도 체화인지이론을 심화시키고 있는 바렐라의 행위주의 인지과학을 끌어들여 체화인지를 심화시키되, 그의 이론을 비판적으로 논하고 보완작업을 병행하는 가운데 체화인지이론을 한층 더 업그레이드 하고자 한다. 그리고 다시 이 토대 위에서 여타 인지계 모델들을 추가로 장착하는 방법을 간단하게나마 언급함으로써 앞으로 범용용도의 인지계를, 원리적인 수준에서나마, 어떤 방향에서 모델링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힌트를 제시하고자 한다. One of the core tasks of cognitive science is to clarify the question of how to build an viable architecture of cognitive system. In the course of answering to this question, some models have appeared since the advent of cognitive science. They are mainly the serial computer model of the computational approach, the parallel network model of the connectionist approach, the subsump- tion model of the embodied cognition, the autopoietic model of the enactivistic approach. Today, various models of cognitive systems are competing each other. In my opinion, when it comes to modelling of a cognitive system of special purpose but not of general purpose, they may compete against each other. But if the task is to model a cognitive system with (relative) general purpose, it might be better for them to move in the direction of mutual coexistence and harmony instead of competing against each other. That is, it is highly recommended for cognitive scientists to combine the various models of cognitive systems into an integrative cognitive system with general purpose. In fact, the factual history on the problems of cognitive science already shows that issues and problems that need to be solve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accordingly different models of cognitive system were introduced. Each descendant cognitive theories have brought even more effective solutions to the problems that the preceding theories have not yet taken into account. This is also the case for the embodied theory of cognition. Recently embodied theory of mind, which criticizes the internalist models of cognition, receives special attention among cognitive scientists. But the model of embodied cognitive science alone, in my opinion, is not enough to model a cognitive system with general purpose. That is to say, the embodied model of the cognitive system itself is not yet satisfactory as a general theory of cognition. It requires a reinforcement. For this purpose, I introduce and discuss the Varela’s autopoiesis model of enactive cognitive science critically and use the result of it for the deepening of the embodied cognitive theory. Here I propose my own model. Thereafter I present a short but principal answer to the question how to model a cognitive system of general purpose. The proposed answer tries to combine the various models of cognitive systems to a hybrid system -model on the basis of the revised model of embodied cognitive system. But this proposal is just a preliminary study that must be further scrutinized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