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 리더십 훈련: 미국의 유아교사교육을 중심으로

        조은경(Cho, Eun Kyeong)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1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3 No.4

        전통적으로 유아교육계에서 리더십이라는 용어는 원장 등의 ‘직위에 기반한 리더십’으로 정의되고 연구되어 왔다. 근래에는 유아교육자들이 현장에서 마주치는 다양한 문제해결을 위해 시도하는 협력적 노력, 결정, 및 행위에 내포되어 있는 ‘현장에 기반한 리더십’이 강조되며, 특히 유아교사의 옹호 리더십 개발을 위한 훈련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고는 미국의 유아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과정 및 인준정책을 조사하고, 교육과정 및 인준정책에서 나타나는 리더십에 대해 문헌고찰하였다. 연구결과, 1) 학부과정의 유아교사양성프로그램을 인준하는 NAEYC의 정책문건에는 리더십이라는 단어가 전혀 언급되지 않았으며, 대학원과정에 대한 인준 기준에서는 리더십이라는 단어가 명시되어 있고, 가장 먼저 언급되고 있었다, 2) 교사의 전문적지식과 기술을 다루는 교사양성과정의 여러 교육과목 중 리더십 관련 교육내용이 전공필수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가 많고, 포함된 경우에는 운영관리 리더십이 주로 다뤄지며 옹호 리더십 관련내용은 학부과정보다는 대학원 과정에 포함된 경우가 많이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육계에서 리더십을 원장/관리자라는 직위에 기반한 리더십으로 정의하는 견해가 아직도 지배적임을 시사한다. 현장에 종사하는 모든 유아교사가 리더로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학부과정에서부터 유아교사 리더십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옹호리더십 역량개발을 위한 교사훈련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Leadership studies in the early childhood (EC) field has long been dominated by a traditional view focusing on positional leadership. An alternative view of leadership as situated action and collaborative endeavor provides a broader vision of EC practitioners as leaders and calls for developing leadership of the EC workforce. Through an exploratory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paper investigated a policy (i.e., initial and advanced professional preparation standards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NAEYC) and practice (i.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of the EC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term leadership was not mentioned in the NAEYC initial standards that serves as the basis for NAEYC Higher Education Accreditation decisions for undergraduate programs, while the NAEYC advanced standards explicitly stated the need to develop leadership skills of degree candidates in graduate programs; 2) courses on developing advocacy leadership and other leadership competencies were not often offered as requirements of the EC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The EC field needs to pay intentional, targeted and strategic attention to building leadership competence of EC educators starting from the teacher preparation stage, especially focusing on addressing the gap in advocacy leadership capacity of the EC workforce.

      • KCI등재

        교육과정 리더십을 바라보는 세 가지 관점과 해석

        한민철 ( Minchul Han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8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2 No.4

        ‘리더십’의 역량은 주로 학교장이 가져야 하는 것으로 생각한다는 오해에서 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교육과정 리더십’이 지니고 있는 개념을 분석한 것을 토대로 교육과정 리더십을 바라보는 관점을 세 가지로 나누어 해석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을 배움의 과정 즉, 앎의 과정으로, ‘리더십’을 ‘방향을 제시하는 능력’으로 정의하였을 때, 교육과정 리더십이 학교장뿐만이 아니라 교사에게도 있어야할 역량임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연구자는 교육과정 리더십을 학교장에게 요구되는 관점, 교사에게 요구되는 관점, 교육과정 주체 모두에게 필요한 상호작용적인 관점으로 나누어 대담자료를 해석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연구자는 교육과정 리더십은 교육과정 수립 주체 모두에게 필요한 역량, 즉 상호작용적인 관점을 지녀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상호작용적인 관점에서 교육과정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학교장과 교사는 교육과정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역량,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워크숍 및 연수 등의 보조적인 노력 또한 수반되어야 한다. The study, which began with the misunderstanding that leadership competency was primarily affected by the principal of a school, divided curriculum leadership into three distinct categori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cepts that curriculum leadership possess. Curriculum is learning process, namely, knowledge process. Leadership is defined as the ability to give direction to a teacher as well as the principal of a school. In this study, school curriculum leadership was interpreted by dividing it into the separate viewpoints of principals and teachers, as well as the mutual complementary perspectives necessary for all participants in the curriculum. In order to establish a curriculum from a mutual and complementary viewpoint, it involve the ability to show literacy and leadership, as well as supporting efforts such as workshops and trainings to gather diverse opinions.

      • KCI등재

        글로벌 리더십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대학 리더십 교육과정의 개선방안

        허영주 ( Young Ju Hur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1 교육과정연구 Vol.29 No.4

        이 연구는 국내외 대학의 글로벌 리더십 교육과정이 글로벌 리더십 핵심역량을 함양하는데 있어 여러 가지 문제점을 지니고 있음을 명확히 밝히고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대학의 글로벌 리더십 교육과정을 어떻게 개선해야 할지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등을 통해 추출한 글로벌 리더십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의 바람직한 방향 및 기준과 국내외 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글로벌 리더십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글로벌 리더십 교육의 개선방안을 추출하였다. 개선방안은 글로벌 리더십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분석단계, 교육과정의 설계 및 개발단계, 교육과정의 적용 및 평가 단계로 나누어 추출 하였다. 결과적으로, 글로벌 리더십 핵심역량의 개념화 그리고 초점집단에 대한 심층면담과 업무활동의 관찰 등을 통해 글로벌 리더십 역량 모델과 숙달수준을 결정해야 하며, 이를 기준으로 재학생들의 출발점 수준을 분석하여 교육목표를 명료화하고 교육내용을 선정하며, 평가의 기준을 확립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글로 벌 리더십 교육내용을 체계화 할 수 있는 방안으로는 네 가지 차별화된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실천학습(action learning)이 글로벌 리더십 교육을 위한 최적의 교육방법이라는 것을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리더십 교육 운영위원회 및 평가위원회 등을 통한 글로벌 리더십 교육의 적용과 평가 그리고 피드백의 활성화 방안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lore and suggest how change and advance the university curriculum for cultivate global leadership`s key competencie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is study, I look for desirable ways for development and use of global leadership`s educational program through analyze to precedent studies. And I compare the it and internal and external global leadership`s educational program, thereby suggest how change and advance the university curriculum for cultivate global leadership`s key competencies. The conclusion are as follows: First, I strongly insist that conceptualize global leadership`s key competencies, fix global leadership`s key competency model and master level through in-depth interviewing and a careful observation on focus groups, compare present level of students with it`s. And I suggest that educational objects make clear, educational contents select and criterion of evaluation establish based on collected data. Second, I propose four different alternatives for global leadership`s key competencies curriculum and argue that action learning is best methods for cultivate global leadership`s key competencies. Third, I suggest that a committee for global leadership education & evaluation must be established, and make various ways clear to use and evaluate performance, give feedback on global leadership`s key competencies curriculum.

      • 내러티브에 기반한 교육과정 리더십 모형 개발의 예비적 탐색

        이윤복(Yun-Bok, Lee)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4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2 No.2

        단위학교가 학교교육과정 중심으로 운영되며 학생들에게 양질의 학습경험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교육과정 리더십이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교육과정 리더십은 학교장을 중심으로 연구되었으며, 교육과정 운영의 핵심적인 주체인 교사들은 소외되고 배제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현행 교육과정 리더십의 문제점과 한계점을 지적하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내러티브에 기반한 교사들의 교육과정 리더십 모형을 제시하였다. 학교교육과정은 계획, 개발, 실행, 평가의 단계를 거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내러티브적 사고 양식을 반영하는 대화, 이야기하기, 반성적 실천이 활용된다면 교사들의 리더십도 실현될 것이다. 내러티브에 기반한 교육과정 리더십 모형은 학교장 중심의 하향식 전달과 점검 위주로 실시되었던 교육과정 운영에서 벗어나 일반교사들의 전문성을 실현하도록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curriculum leadership model based on narrative. The school-based curriculum is heavily influenced by the leadership of school’s principal, and the teachers are excluded. But the school-based curriculum should make its members participate to curriculum’s planning,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For this purpose, influenced factors for curriculum leadership and narrative’s educational values were studied. As the model of curriculum leadership, this research proposes the curriculum leadership model based on narrative. The curriculum leadership matched with this new approach, the teacher’s life and experience has to be reinforced by communication and dialogue between school members. And the model’s process steps are cyclical and interactive than linearly and unilateral.The possibility of generalizing the narrative based curriculum leadership is relatively high. The curriculum leadership model based on narrative is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to enhance the quality of school-based curriculum. And, if the school’s teachers is to recognized as a curriculum leadership, that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school-based curriculum

      • KCI등재

        교사수준 교육과정을 바라보는 저경력 교사의 관점과 이해

        한민철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9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3 No.3

        Since the 7th curriculum, teachers’ autonomy in the curriculum has increased as their directing point have changed from ‘the given curriculum’ environment centered on the country to ‘the making curriculum.’ A series of courses in which teachers design and implement their own curriculum in the classroom is a teacher-level curriculum. However, the perspectives that teachers can take on this are not the same. This is because teachers may have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curriculum, namely the curriculum, as they implement a teacher-level curriculum. the researcher presented the curriculum that teachers could maintain and interpreted interview data on teacher-level curriculum accordingly. In doing so, the researchers presented directions for the views teachers should have on teacher-level curriculum. In addition, the researcher looked at the teacher's view of the curriculum and its leadership.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forward-looking view of the curriculum to help manage teacher-level curriculum. 7차 교육과정 이후 국가를 중심으로 한 ‘주어진 교육과정’에서 ‘만들어 가는 교육과정’으로 교육과정의 지향점이 변화하면서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자율성이 증대했다. 교실 내에서 교사가 자기 나름대로 교육과정을 설계하여 운영하는 일련의 과정이 바로 교사수준 교육과정이다. 그러나 이에 대해 교사가 취할 수 있는 관점은 동일하지 않다. 이것은 교사가 교사수준 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교육과정에 대해 지니고 있는 관점, 즉 교육과정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연구자는 교사가 견지할 수 있는 교육과정관에 대해 제시하고 이에 따라 교사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면담자료를 해석해 보았다. 그럼으로써 교사수준 교육과정에 대해 교사가 가져야 할 관점에 대한 방향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또한 교사의 교육과정관과 교육과정 리더십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교육과정관의 정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여 교사수준 교육과정을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 KCI등재

        초등교원이 인식한 학교장 교육과정 리더십 연구

        신화자(Shin, Hwaja),홍후조(Hong, Hoo-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본 연구는 초등학교장이 단위학교 경영자로서 학교 교육과정 경영에서 발휘하는 교육과정 리더십에 관한 교원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8년 8월 23일부터 9월 28일까지 서울지역 초등교원 3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 터는 SPSS Statistics 21.0과 엑셀을 활용하여 기초통계, 평균 차이 검증(t-검증, F검증), IPA, 그리고 Borich 요구도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초등학교장 교육과정 리더십은 교육과정 경영역량, 수업 지원역량, 교육행정 관리역량, 대외 협력역량, 책임과 윤리역량으로 도출하여 역량의 중요성을 교원들로부터 검증하였으며, 중요도와 수행도에 있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볼 때, 학교장의 교육과정 리더십 역량을 보다 증진시킬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장의 교육과정 리더십에 관한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학교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학교장의 교육과정 리더십 함양에 대해 필요성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으며, 연구 결과는 학교장 교육과정 리더십을 개발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surveyed 311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from August 13th 2018 to September 28th to find out the teachers’ perception of curriculum leadership in school curriculum management by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basic statistics, t-test, F-test,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nd Borich demand analysis. The analysis was processed by SPSS Statistics 21.0 and Excel. The curriculum leadership in school curriculum management by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is derived from curriculum management capability, class support capability, educational administration management capability, external cooperation capability, responsibility and ethics capability. There were statistically identifiable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the performance level of the curriculum leadership. As a result, we could derive the need to improve the principal s curriculum leadership capacit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cultivating the principal s curriculum leadership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by grasping the curriculum leadership capacity of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The resul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rther studies.

      • 응용 연구 분야로서 내러티브를 이해하는 한 방안:뇌 교육 연구에 초점을 두고

        강현석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4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2 No.3

        단위학교가 학교교육과정 중심으로 운영되며 학생들에게 양질의 학습경험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교육과정 리더십이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교육과정 더십은 학교장을 중심으로 연구되었으며, 교육과정 운영의 핵심적인 주체인 교사들은 외되고 배제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현행 교육과정 리더십의 문제점과 한계점을 지적하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내러티브에 기반한 교사들의 교육과정 리더십 모형을 제시하였다. 학교교육과정은 계획, 개발, 실행, 평가의 단계를 거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내러티브적 사고 양식을 반영하는 대화, 이야기하기, 반성적 실천이 활용된다면 교사들의 리더십도 실현될 것이다. 내러티브에 기반한 교육과정 리더십 모형은 학교장 중심의 하향식 전달과 점검 위주로 실시되었던 교육과정 운영에서 벗어나 일반교사들의 전문성을 실현하도록 할 것이다. This article intends to discuss the another possibility of narrative research based on brain education and brain study. Existing researches on narrative have been biased on the pedagogical tacit, storytelling method, and teaching strategy in context of subjects education. During 20-30 years in Korean scholastic community, the status of narrative-related research has been consolidated because of its nature and viewpoint. But the scope and depth of narrative research will be extended to applicative sphere and new research tendency. In this article, I try to discuss the potential of brain research within narrative education.

      • KCI등재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리더십 교육내용의 설계 및 검증

        이재호,배기택 韓國英才學會 2010 영재교육연구 Vol.20 No.1

        우수한 정보과학분야 인재의 필요성은 누구나 공감하지만 아무리 정보과학분야의 인 재가 지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활용하여 첨단이론을 정립하고 정보통신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할 지라도 리더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다면 정보과학영재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정보과학영재의 지적 능력 및 창의 성 신장과 더불어 이제는 정보과학영재의 리더십 신장에 대한 관심과 교육이 필요한 시점이다. 정보과학영재교육에 있어 리더십 교육은 교육목표로서 포함되어 있으나 그동안 정보과학영재의 특성을 반영한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별도의 리더십 교육과정 과 프로그램 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정보과학영재의 특성을 반영한 리더십 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리더십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아직은 부족한 실정으로 본 논문의 교육과정을 설계하기 위해 정보과학영재의 특성과 교육목표에 대한 기존 연구와 리더십 교육에 대한 기존 연구를 분석하여 도출한 시사점을 초등정보과학영 재를 위한 리더십 교육과정 설계 시에 적용하였다. 또한 설계된 교육과정의 타당성 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문가 집단을 선정한 후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 KCI등재

        역량기반 인도주의 리더십 교육과정 개발

        오인수,김현수,반지윤,양수연,안혜지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2 교육연구 Vol.8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etency-based humanitarian leadership curriculum for educational consumers (learners) of humanitarian practice institutions. To this end, demand analysis, curriculum system, modules by core competency, and curriculum statement (draft) were designed and developed according to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CBC) and Awareness-Skills-Knowledge (ASK) models. As a result, first, the demand for core competencies for humanitarian leadership diffe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sition. Second, the humanitarian leadership curriculum system was composed of basic courses, common courses, and courses by position as reflecting the core competency needs of each position. Third, the module was designed based on the core competencies of humanitarian leadership. The modules were organized by core competency, and educational goals, educational contents, and educational method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core competencies. In order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selected module, it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an expert council. Finally,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cusing on the discussion derived from the previous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본 연구는 인도주의 실천 기관의 교육수요자(학습자)를 대상으로 역량기반인도주의 리더십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역량기반 교육과정(Competency-Based Curriculum; CBC) 및 인식-기술-지식(Awareness-Skills-Knowledge; ASK) 모형에 따라 요구도 분석, 교육과정 체계, 핵심역량별 모듈, 교육과정 명세서(안) 를 설계⋅개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인도주의 리더십에 대한 핵심역량 요구도는 직급특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인도주의 리더십 교육과정 체계는 직급별 핵심역량 요구도를 반영하여 기본과정, 공통과정, 직급별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인도주의 리더십 핵심역량을 기준으로 모듈을 설계하였다. 모듈은 핵심역량별로 구성하였으며, 핵심역량에 따라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을 개발하였다. 선정한 모듈의 내용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수정⋅보완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선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에서 도출된 논의를 중심으로 교육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교육과정 리더로의 성장 경험에 관한 고등학교장의 교직 생애 연구

        김지선(Jisun Kim) 한국교원교육학회 202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학교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에 따라 학교교육과정의 자율적 운영이 확대되고 있으나 실제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학교교육과정의 자율화 수준은 극히 미미하거나 소극적이며 이는 교원의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성 부족이라는 점에 문제의식을 갖고 시작되었다. 이에 교원이 학교조직에서 학교교육과정 운영의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교직에서의 일상과 학습의 경험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기 위해, 학교교육과정 운영의 전문가로 인정받고 있는 학교장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리더로 성장하기 위한 교직 생애에서의 경험이 무엇인지에 대해 생애사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연구참여자가 교직에서 교육과정 리더로 성장하기 위해 경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적 소양 및 교육철학의 형성을 위한 경험으로 교도교사 자격연수 및 상담교사로서의 경험, 동료교사와의 학습공동체 운영 경험이 있었다. 둘째, 수업과 교육과정 편성 및 개발의 실무적 지식과 기술을 쌓을 수 있었던 수업과 교육과정 편성의 경험, 교육과정 개발의 경험이 있었다. 셋째, 교육과정에 대한 학문적 기틀을 마련한 대학원에서의 학습 경험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경험 속에서 연구참여자가 교육과정 리더로 성장할 수 있었던 상황적 맥락은 교사의 전문성을 인정해주던 학교와 교육공동체의 분위기, 전문성 신장에 뜻을 함께 해준 동료교사들, 수많은 문제와 갈등, 교육공동체의 요구라는 상황적 맥락과 그에 적합하게 대응하고자 하는 스스로의 노력이 존재하였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e autonomous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school-level curriculum has been expanded according to the policy of autonomy of the school-level curriculum. However, the level of such practices is minimal or passive. This study was started with a problem awareness that the cause of this problem was the lack of expertise in the curriculum of teachers. Therefore, it was attempted to explore what experiences in teaching profession are necessary for teachers to grow into experts in school curriculum management in school. To this end, a life history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e principal, who is recognized as expert in the management of school curriculum, on what he experienced in the teaching profession in the process of growing up as a curriculum leader. As a result, the contents experienced to form curriculum leadership in teaching are as follows. First, the training of counselor qualifications, experience as a counselor and teacher learning community, which became the basis for deducational literacy and educational philosophy. Second, practical experience in curriculum organization and development, which was able to accumulate practical knowledge and skills in the school-level curriculum. Third, there was a learning experience in graduate school that laid the academic foundation for the curriculum.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existed a contextual context in which the research participants could grow into the curriculum leaders. At that time, it was found that the atmosphere of the school and the educational community that recognized the teacher s expertise, the peer teachers who had improved expertise, numerous problems and conflicts, and the demands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exi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