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이전 대상기관 구성원들의 심리상태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최윤정(Choe, Yun-Jung) 서울행정학회 2013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4 No.1

        이 연구는 공공기관 지방이전 계획으로 인하여 해당 기관에 근무하는 이들이 거주지 이전이나 가족과의 이별 등의 문제로 이직을 고민하거나 업무에 몰입하지 못하는 등의 심리적 동요를 보이는 모습에서 착안한 것이다. 개인-조직 적합성(P-O-fit) 이론에 근거해 볼 때, 근무기관의 지방이전으로 인하여 개인과 조직 간의 적합성이 낮아지면 조직 구성원들의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바, 이 연구에서는 이를 실증조사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한편 기존 선행연구에 따르면, 공공기관 구성원 고유의 내재적 동기인 공공서비스동기(이하 PSM)는 직무태도나 조직 효과성에 장기적이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공공기관 구성원들의 심리상태와 조직몰입 간 관계에서 PSM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지방이전 대상기관 구성원들의 긍정적 심리상태는 규범적 조직몰입을 향상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인 반면, 부정적 심리상태는 정서적 몰입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공기관 구성원들의 PSM은 조직몰입의 거의 모든 하위요인에 직·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PSM은 조직 구성원들의 심리상태에 정(+)의 방향으로 간접적인 매개효과를 미쳐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Due to the government’s relocation plans, it has been reported that employees in public agencies are suffering from the psychological of anxiety and financial worries. This menas that they may be unable to concentrate on their work, and if the relocation plans negatively impact on their attitude towards their job, then they could try to quit or change their job. On the other hand,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of public employees may lead to positive job attitudes and improvements i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focusing on these issu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person-organization fit(P-O fit) and PSM.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tate and PSM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mployees in relocating public agencies and to confirm whether PSM acts as a mediator. The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psychological state of members in a relocating public agency partially affects organization commitment. Second, PSM among public sector employees helps to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PSM acts as a mediator between psychological stat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particular, PSM was found to mediate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states and both affective and norma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has both theore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theory, the findings can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mediator effects of PSM, and of the application of PSM and P-O fit in the relocation of government agencies. The political implications are that job redesign, after the relocation and reorganization of public agencies, should consider PSM from a long-term and strategic perspective.

      • KCI등재

        공정안전관리(PSM)사업장의 안전관리 개선 연구

        박종훈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9 No.3

        연구목적 : 유해위험한 물질을 다루는 사업장 내에서는 폭발·화재·누출 등의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상시 존재하므로 사고를 미리 예방하고 위험성을 파악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고 대처하는 안전관리가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1990년대 이후 중대 산업사고 예방을 위해 유해 위험방지계획서 시행, 공정 안전관리 제도 시행 등 여러모로 노력해 오고 있으나 최근의 일련의 중대 산업사고는 그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PSM 대상사업장의 안전관리 개선을 위한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산업재해 현황, 선행연구조사, PSM 대상사업장 재해 현황과 사고 발생 현황, PSM 대상사업장 안전관리 개선에 관한 선행연구와 사례를 조사하여, 기존의 안전관리를 기반으로 PSM 대상사업장 안전관리에 대한 개선방안을 수립하였다. 연구 결과 : PSM대상사업장의 안전관리 개선을 위해 철저한 안전 수칙 준수를 통해 중대 재해 발생을 방지하는 안전관리 개선에 대한 방안을 도출하였다. Purpose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management in the workplaces subject to PSM, this study studies how to act and cope with the safety of facilities that handle dangerous chemicals, fire, and high-pressure gas with high explosive potential. PSM conducts research on improving safety management to prevent and respond to possible accidents by preventing accidents in advance and identifying risks in industries with a high possibility of accidents such as explosions, fires, and leaks in workplaces that handle hazardous substances. Method: Investigate previous studies and cases on improving safety management at workplaces subject to PSM, seek ways to improve safety management at workplaces subject to PSM based on existing safety management, and evaluate safety management system one of the causes of accidents. Therefore, a safety education program is established to increase employees' safety awareness and understanding, and to improve the safety level.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safety management at workplaces subjecy to PSM, a plan for improving safety management to prevent serious accidents through strict compliance with safety rules was derived.

      • KCI등재

        조직경험과 업무특성이 PSM(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한에스더,이근주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2 行政論叢 Vol.50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experience on PSM. PSM, as a distinctive motivational factor in public organization, is known as a critical factor that can boost the performance of a public organization but little is known about what organizational factors actually affect PSM. Thus, there is virtually no knowledge about how to manage PSM to boost performance. This study measures and estimates the effect of job ambiguity, critical psychological states (CPS), and job satisfaction on the PSM of public officials in Korea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job ambiguity decreases PSM while CPS and job satisfaction increase the PSM of public officials. In addition, public officials who participate in the polic-making process have a higher PSM than those who participate in implementation.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at the end of the paper. 본 연구는 공무원의 조직경험과 업무특성이 PSM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PSM(Public Service Motivation)은 공공부문 특유의 동기요인으로 공공부문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 알려져 있지만 공공부문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PSM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 가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그 중요성에 비하여 아직 충분하지 못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 조직 구성원의 PSM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조직 경험과 업무 특성이 PSM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업무모호성 (Job Ambiguity), 경험된 주요 심리상태 (CPS), 직무만족도(Job Satisfaction)로 구성된 조직 경험 및 정책 형성과 집행으로 구분되는 업무 특성에 대한 기존의 이론적·경험적 논의를 종합하여 PSM과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고 415명의 공무원 표본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조직 경험과 업무 특성이 PSM의 변화를 설명하는 중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업무모호성이 높을수록 PSM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PSM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험된 주요 심리상태가 긍정적일수록 PSM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책형성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집행업무를 수행하는 것보다 높은 수준의 PSM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UML 프로파일에 기반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PIM/PSM 변환 기법

        최윤석(Yun-Seok Choi)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7 No.6

        모델 기반 개발 방법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의 특성을 잘 수용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러나 모델 기반 개발 수행 시 PIM과 PSM 설계에 필요한 UML 프로파일의 체계적인 개발 관련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며, 프로파일을 활용한 모델 변환 기법 관련 연구도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PIM과 PSM 설계에 적용할 UML 프로파일 구성 기법과 이를 활용한 모델 변환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반영하여 스테레오타입을 분류한 후 프로파일 구성 지침에 따라 각 모델에 적용할 프로파일을 구성한다. 프로파일을 적용하여 구성한 PIM은 모델 변환 절차에 따라 프로파일 간 대응 규칙에 의하여 초기 PSM으로 변환되며, 모바일 플랫폼의 세부정보를 반영하여 구성한 PSM 템플릿을 적용하여 정제한 PSM으로 변환 생성된다. 제안한 기법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안드로이드 기반 위치 기록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제안 기법을 적용하여 개발하고, 기존의 기법들과 비교를 수행하였다. MDD is suitable to satisfy constraints of development of mobile applications. So, there are various studies about applying MDD to the developments of mobile application but systematic development methods about UML profile for PIM/PSM of mobile applications and model transformation techniques are needed. This paper suggests that a development technique about UML profile for PIM/PSM of mobile applications and a model transformation techniques with the profiles. We classify stereotypes by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application to compose profiles and suggest development guidelines of profiles for PIM/PSM. On the suggested model transformation process, the PIM with the profiles is transformed to the intial PSM with the mapping rules and the PSM is transformed to the refined PSM with templates which reflected detailed information of a mobile platform. We developed a location based service mobile application with the suggested techniques on the Android platform and compared with other techniques to validate usefulness of the suggested techniques.

      • KCI등재

        공공봉사동기(PSM)의 매개역할과 조절역할에 관한 통합적 고찰

        이태우 ( Lee Tae-woo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0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4 No.2

        매개변수와 조절변수는 하나의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두 변수들 간의 연관관계를 다루는 연구이므로 그 연관관계가 매개적 연관관계일수도 있고 아니면 조절적 연관관계일 수도 있는 가능성이 열려 있다. 그러므로 연관관계를 둘 다 분석해 보지 않고는 두 연관관계 중 어느 하나만의 연관관계가 성립한다고 미리 단정할 수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공공봉사동기를 매개변수로만 설정하거나 또는 조절변수로만 설정해서 검증하고 매개변수이라는 확증만을 제시하거나 조절변수이라는 확증만을 제시하였다. 그러므로 공공봉사동기는 조절변수가 아니라는 것인가 또는 공공봉사동기는 매개변수가 아니라는 것인가의 합리적 의문들을 해소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윤리의식과 조직몰입 사이에서 공공봉사동기를 매개변수와 조절변수로 하나의 연구모형에 동시에 통합적으로 설정하고 경험적으로 검증하여 공공봉사동기는 윤리의식을 대신하는 대체관계의 매개변수이지만 윤리의식과 상호 보완하는 보완관계의 조절변수는 아니라는 확증을 동시에 제시하여 합리적 의문을 해소하였다. 본 연구는 조직몰입을 높여서 조직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기초 지방정부의 조직 관리자에게 공공봉사동기가 매개변수이지 조절변수는 아니므로 윤리의식과 공공봉사동기를 대등하게 비중을 두는 보완적 관리전략보다는 윤리의식의 비중을 줄이고 공공봉사동기로 대체하는 대체적 관리전략을 수립해야 하는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The precedented studies set PSM as only a mediating variable. They presented the confirmatory proof that PSM was a mediating variable. They didn’t eliminate the rational question of whether it meant that PSM was not a moderating variable. The other precedented studies set PSM as only a moderating variable. They presented the confirmatory proof that PSM was a moderating variable. They didn’t eliminate the rational question of whether it meant that PSM was not a mediating variable. This present study set and verified empirically PSM as both of the mediating variable and the moderating variable between the ethical consciousness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single research model at the same time. It showed the confirmatory evidences that PSM was not the moderating variable but the mediating variable. This study provided the organizational managers in the primary regional government with the managerial meaning of policy. They had to adopt the substitutional managing strategy diminishing the weight of ethical consciousness and increasing that of PSM instead of the complementary managing strategy stressing the same weight of ethical consciousness and PSM.

      • KCI등재

        신임해양경찰관의 성격 요인과 보상 요인이 PSM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종길 해양환경안전학회 2020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6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personality and reward affect PSM of new maritime police officer recrui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personality factors, the neuroticism sub-factor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SM sub-factors favorable perception towards public policy, commitment to public interest, and empathy. Also, the extroversion sub-factor had significant effect only on the self-sacrifice sub-factor of PSM. Second, the reward factor mostly didn't have significant effect on PSM. The internal reward sub-factor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empathy sub-factor of PSM. These results confirm that personality factors have significant impact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This implicates the need for policy improvements to reflect this result, and further empirical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ward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본 연구는 신임해양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성격과 보상이 PSM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첫째, 성격 요인의 하위변인 중 신경성은 PSM의 하위변인인 공공정책 호감도와 공익몰입, 동정심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성격 요인의 하위요인 중 외향성 요인은 PSM의 하위변인 중 자기희생에만 영향을 미쳤다. 둘째, 보상 요인은 대부분 PSM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중 내적 보상은 PSM 하위변인 중 동정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기반으로 성격 요인이 공공봉사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확인된 결과 채용에서 반영할 수 있는 제도적인 개선이 필요하며 보상과 공공봉사 동기와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 KCI우수등재

        고령/비고령 보행자와 차량간의 상충위험도 측정연구

        장정아,이현미,최기주 대한교통학회 2017 大韓交通學會誌 Vol.35 No.6

        Traffic accident fatalities in Korea in 2016 was 4,292 and 1,732 cases were deaths of elderly people. In spite of this, the researches on behaviors of the elderly when crossing roads, are rather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road crossing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hen crossing roads, especially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s and vehicles. Cross-sectional data was collected from six different sites in two regions and the following results was identified. First, at road crossings, 528 cases(84.3%) out of 626 conflict situations of the elderly and 303 cases(63.3%) out of 478 conflict situations of the non-elderly pedestrians were found to be dangerous, respectively. The elderly tend to fac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k of 3.11 times higher than that of non-elderly people. Second, 519 cases(82.9%) of jaywalking occurred in 626 conflict cases of the elderly and 375 cases(78.5%) of jaywalking in 478 conflict events of non-elderly persons, which indicates the elderly’s 1.34 times higher trend compared with the non-elderly’s . Third, the pedestrian safety margin (PSM) analysis showed that the PSM of the elderly and the non-elderly were 3.33 seconds and 4.04 seconds respectively, which is 17.5% high. Fourth, the difference in pedestrian safety interval was examined by dividing the speed of approaching vehicle into less than 30km/h, above 30km/h and less than 50km/h, and over 50km/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SM of coming vehicles with the speed less than 30km/h and the PSM of approaching with the speed 30km/h~50km/h, but the conflicts with vehicle of the speed above 50km/h show significantly lower PSM than with vehicle speed of 30km/h~50km/h. Finally, when the risk threshold is set to less than 2.5 seconds, the analysis shows that older pedestrians tend to cross roads dangerously 1.59~2.53 times than younger pedestrians. The results set forth here can be used as a basis for constructing the elderly safety measures at present and a potential basis for autonomous vehicle safety application in the future for solving the issue of the difference in crossing behavior between elderly and non-elderly pedestrians. 2016년 우리나라 교통사고 사망자 수 4,292명 중, 노인사고 사망자 수는 1,732명에 달한다. 그럼에도, 고령 보행자의 도로횡단 특성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보행자와 차량 간의 횡단특성을 고령 보행자 측면에서 조사 및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에서는 2개 지역, 6개 지점에 대한 횡단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로 횡단 시 고령자는 626건의 상충상황 중에서 528건(84.3%), 비고령자는 478건의 상충상황 중에서 303건(63.3%)이 위험상황으로 나타나, 고령자가 비고령자에 비하여 3.11배의 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위험상황에 직면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고령자의 경우 전체 626건의 상충상황 중에서 519건(82.9%)의 무단횡단이 나타났고, 비고령자의 경우 478건의 상충 상황 중에서 375건(78.5%)를 보여, 고령자가 비고령자에 비하여 1.34배의 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무단횡단 경향을 보였다. 셋째, 보행자안전간격(Pedestrian Safety Margin, PSM)을 분석 결과 고령자의 PSM은 3.33초, 비고령자의 PSM은 4.04초로 고령자의 PSM은 비고령자보다 약 17.5%가 작은 경향을 보였다. 넷째, 접근하는 차량의 속도를 30km/h 이하 차량, 30-50km/h 차량, 50km/h 이상인 차량으로 나누어 보행자 안전간격의 차이를 검토해 본 결과 속도30km/h 미만 차량과 속도 30km/h 이상 50km/h 미만 차량의 PSM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속도가 50km/h 이상인 차량과의 상충은 30km/h 미만과 30km/h 이상 50km/h 미만보다 PSM 이 유의미하게 작아진다. 다섯째, 위험상황의 임계치를 PSM 2.5초 이하로 설정한 경우, 고령자가 비고령자 보다 1.59-2.53배 위험하게 횡단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고령 보행자와 비고령보행자의 횡단 행태 차이를 토대로 고령 보행자안전대책, 자율주행차량의 안전 등의 기반 연구로 활용할 수 있다.

      • KCI등재

        공직자의 부패와 자살에 관한 탐색적 연구: 공직동기(PSM)를 통한 자살예방을 중심으로

        김영종 한국부패학회 2017 한국부패학회보 Vol.22 No.1

        This exploratory study focuses on the prevention of corruption and suicide by public officials using 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offering both theoretical and empirical findings. A total of 334 respondents, who were trained at the Central Education Officials Development Institute and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s Development Institute, participated in a social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November 1 and December 15, 2016. The survey gathered public officials' attitudes about corruption, suicide, and the application of PSM.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1 program. The findings are, briefly, as follows. First, in the frequency analysis, most respondents agreed that a high level of PSM could be useful for preventing corruption and suicide. In particular, more than 82.7% of the respondents agreed that suicide prevention based upon mental, psychological, and cognizant factors was possible, while more than 64.9%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sociocultural factors could be used to prevent suicide. Second, the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family (.800) and sociocultural factors (.654) were significant (p<.001) in term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with PSM application. Thir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showed that PSM based upon sociocultural factors was statistically more powerful than family factors, when referring to sociocultural corelation coefficient(.515)> family corelation coefficient(.419). Finall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 PSM education program or PSM personnel policy could be useful in preventing suicide (p<.001). In conclusion, we note that PSM education programs and PSM recruitment personnel policies could be useful in preventing public officials' corruption and suicide. 이 논문은 공직자의 부패와 자살예방이 공직동기를 통하여 가능하다는 것을 이론적, 실증적인 사회조사의 상호 보완적 방법론을 통하여 해결을 제시한 탐색적인 연구이다. 사회 조사대상자는 중앙교육공무원연수원과 지방공무원 연수원의 피교육 공무원 중에서 판단 표본 추출된 조사대상자 334명이었다. 조사기간은 2016.11.1-12.15 이었으며 조사내용은 “공직동기와 자살예방에 관한 인식과 태도” 이었다. 표본에서 수집된 데이타를 SPSS Win 21 프로그램에 의하여 기술통계와 추론통계를 이용한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발견한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분석에서 응답자들은 높은 공직동기가 자살예방을 할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정신적, 심리적, 인지적 요인으로 인한 자살예방에 가장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82.7%). 그다음은 자기 파괴적 도피행위라고 인지한 자살예방이었다(64.9%). 둘째, 요인분석결과 공직동기가 자살예방을 가능하게 하는 요인은 가족관계요인(요인1)과 사회문화 환경요인(요인2)이었다. 요인1의 경우 주성분분석에서 타당성과 신뢰성이 검증되었다. 그 신뢰도는 높은 점수이었고, 각각 .800 과 .654 이었다. 셋째, 상관관계분석결과 공직동기 교육 프로그램이 가족관계요인의 상관관계보다(.468) 사회문화 환경과 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515). 그리고 공직자 동기 인사정책도 가족관계요인(.419)보다 사회문화 환경요인(.435)에 더 상관관계가 높았다. 이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넷째, 다중회귀분석결과 공직동기교육프로그램(β=.321)이나 인사정책(β=.236)이 가족관계요인에 유의미한(p<.001)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직자동기가 사회문화 환경으로 인한 자살예방에 교육프로그램(β=.363), 인사정책(β=.226)에 유의미한(p<.001) 정(+) 의 영향을 주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높은 공직동기(PSM)는 부패방지와 자살예방을 높이는데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으로 공직동기를 높이는 미래지향적인 새로운 인사정책방향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공직동기(PSM)의 선행요인: 사회화 요인의 비교분석

        김서용,조성수,박병주 한국행정학회 2010 韓國行政學報 Vol.44 No.1

        Our research explores the antecedent or formation factors for PSM (public service motivation). Although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to the role of general socialization on forming PSM, there are very few studies about the role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Hence we test the possibility both of applying the general socialization theories and of studying the role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 Korea. Based on survey data (n=906), we find that, first, the role of general socialization in determining PSM is confirmed. Seco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lso plays a significant role in forming PSM. Third, relational factors, such as the supervisor-coworker relationship, and experience in public service play a significant role in forming PSM. Finally, there are different determinants according to each sub-domain of PSM. 본 연구의 목적은 공직동기(PSM: Public Service Motivation)를 결정하는 선행요인을 실증자료에 근거하여 분석하는데 있다. 공직동기의 연구 초기부터 공직동기 형성에서 조직사회화(organizational socialization)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하지만 공직 입직前의 일반사회화에 대한 연구에 비해 공직 입직後 조직사회화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일반사회화 과정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들이 한국적 상황에서도 적용가능한지 검증한다. 둘째, 기존 연구들이 간과하고 있는 조직사회화 요인들이 공직동기 형성에 어느 정도의 설명력을 가지는지 분석하며, 셋째, 조직사회화가 일반사회화와 비교하여 독립적인 설명력을 가지는지를 분석한다.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n=906)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공직동기 형성에서 일반사회화 요인의 역할을 재확인할 수 있었으며 둘째, 일반사회화 요인뿐만 아니라 조직사회화 요인이 공직동기 형성에 유의미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 셋째, 공직동기 형성에 조직내에서 역할모델로서 상사역할과 동료역할, 공직생활中봉사경험이 중요하다는 점, 마지막으로 각 공직동기의 하위차원별로 그 결정요인이 상이하다는 점 등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PSM의 매개효과와 목표모호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강혜진,차세영 서울행정학회 2021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2 No.1

        This study examined how the impact of transformative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depends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goal ambiguity. Transformative leadership is usually known to stimulate internal motivation, and the relationship leading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likely to vary depending on the attitude of the members to their goals. We also want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among the internal motivations for public officials, could mediate the impact of transformative leadership. Specifically, we demonst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SM through the possibility that the positive impacts of transformative leadership could lea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increasing PS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of PSM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oal ambiguity were found, and through this, the possibility of implications to increas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erm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was confirmed.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공직봉사동기와 목표모호성 수준이라는 조건에 따라서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변혁적 리더십은 보통 내적 동기를 자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조직구성원들의 목표에 대한 태도에 따라서 조직몰입으로 이어지는 관계가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공무원들의 내적 동기 중에서도 공공서비스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 이하 PSM)가 변혁적 리 더십의 영향을 매개할 가능성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변혁적 리더십의 긍정적 영향이 PSM을 높임으로서 조직몰입으로 연결될 가능성을 통하여 PSM의 매개효과를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PSM의 매개효과와 목표모호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를 통하여 인적자원관리의 다각적 측면에서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한 처방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