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포천 <金水亭>을 중심으로 한 누정문학 연구

        정흥모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5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1 No.-

        This study reviewed the real state of social association and literary activity of writers related to <Keumsoojeong(금수정)> and surrounding areas. <Keumsoojeong> is a gazebo built on higher ground on the cliff of Pocheon Yeongpyeong stream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From the earliest days of construction, Kim Yoonbok(김윤복), the owner of the gazebo and closely associated with Yang Saeon(양사언), carved poems and handwriting of master calligraphers including Han Seokbong and Yang Saeon on surrounding rocks which became widely known while enjoying the arts playing the geomungo and writing poems.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Keumsoojeong> became the noted place for many writers to go sightseeing and keep a record and leave it in poetry for the following reasons. The first one is Yang Saeon and Kim Yoonbok's refined taste for the arts in early days of gazebo's construction. Yang Saeon became the center of public attention long ago for his personality of incredible charm and talent for handwriting, poetry and geomungo. Posterity admired his remarkable works and longed for his artistic life with Kim Yoonbok. Secondly, it was about geopolitical characteristic of Yeongpyeong area where Keumsoojeong is located. This area is an important points to Hamgyong Province and Geumgangsan so that many people passed through. It is common that people explore the attractions in Yeongpyeong area on their way to and from Hamgyong Province and Geumgangsan. Keumsoojeong was the noted attraction of this area, having similar track of Yang Saeon's tastes for the arts to that of Geumgansan. Lastly, Seoin, one of a political party that gained pow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lived in the area and frequently came and went to Keumsoojeong, which made posterity from Seoin often visit there. The review of literary works regarding Keumsoojeong revealed that the writers who lived in this area recognized this place as naive space of life that is separated from the troubled world. Writers who visited this place for sightseeing described Keumsoojeong and surrounding area as ‘別有天地’ (a haven of peace and tranquility) in their works and admired Yang Saeon for appreciating and enjoying arts. 이 글은 경기도 포천에 있는 <금수정>과 그 주변에 관련된 문인들의 교유활동과 문예활동의 실상에 대해서 검토한 것이다. <금수정>은 조선중기에 포천 영평천 절벽 위 높은 지대에 구안동김씨들이 세운 정자이다. 건립 초기에 정자 주인 김윤복이 양사언과 깊이 교유하여, 이곳에서 거문고를 타고 시를 지으며 풍류생활을 하면서 한석봉․양사언 등 명필들의 글씨와 시를 주변 바위에 새겨 놓아 문인들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후 조선시대 말기까지 <금수정>은 많은 문인들이 유람하고 그 감회를 기록과 시로 남기는 명소가 되었는데,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이유 때문이다. 먼저 건립 초기 양사언과 김윤복의 풍류이다. 양사언은 일찍이 글씨와 시와 거문고에 빼어난 재능을 지니고 신선 같은 풍격으로 세인의 주목을 받았는데, 그의 금강산 풍류에 버금가는 자취를 <금수정>에 남겼다. 후인들이 이곳에 와서 그의 시와 글씨에 감탄하고 김윤복과의 ‘신선풍류’를 동경했다. 두 번째 이유는 <금수정>이 자리 잡은 영평 지역의 지정학적 특성이다. 이 지역은 함경도와 금강산으로 가는 길목으로 많은 사람들이 거쳐 가는 곳이어서 함경도와 금강산을 오가는 길에 영평 지역의 명소를 답사하는 경우가 많다. <금수정>은 지역의 대표적인 명소로서, 이곳에 남아 있는 양사언의 풍류의 자취가 금강산의 그것과 비슷하여 금강산과 더불어 ‘동반유람’의 여정이 되었다. 마지막 이유는, 조선후기 서인의 핵심 가문인 신안동김씨 일파가 영평에 우거하면서 <금수정>을 출입한 일이다. 정자에서 가까운 곳에 박순이 우거하던 곳과 박순과 김수항을 제향한 <옥병서원>도 있어서 후대에 서인에 속한 인물들이 빈번하게 방문할 만한 조건을 갖추었다. <금수정>을 소재로 한 문학작품들은 이 지역에 거주했던 문인들과 단지 유람으로 방문했던 인물들의 작품에 미묘한 차이가 있다. 지역에 거주했던 문인들은, 풍류생활을 노래한 작품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이곳을 풍진세상과 구분되는 순박한 삶의 공간으로 인식했다. 유람의 일환으로 방문했던 문인들의 작품에는 <금수정>과 그 주변공간을 ‘別有天地’로 보고 이곳에서 신선 같은 풍류를 즐겼던 양사언을 동경하는 내용이 많다.

      • KCI등재

        주제 중원지역 전통문화의 문학지리학적 고찰 중원의 누정문학 -괴산지역의 누정을 중심으로-

        박연호 ( Youn Ho Park ) 한국고전문학회 2008 古典文學硏究 Vol.33 No.-

        A a lot of liver and lake poetry(江湖詩歌) is pavilion literature. And the former and the latter is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from the aspects of literary material and intention. Because the landscape assembled poetry of pavilion is very important to grasp the current and direction of the liver and lake poetry after 18C.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ate the inten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assembled poetry of pavilion(樓亭集景詩) by `Love Leisure Pavilion(愛閑亭)` and `Keep Silent Pavilion(醉默堂)` in Jung-won(中原) area. As a result, the intention of two pavilion literatures are to express the utopia of confucian by using the traditional code -night ship torch(漁火), song of farmers(農歌), abundant harvest(大秋) etc- what they symbolize the harmonic nature and affluent life of the people. They were constituted from the Korea dynasty and hand down to 20C. And at the merchant ship(or a ship at anchor) that is the traditional code to choice at two pavilion, we can discover the public and personal economic activities what was done at a ferry. And that is one of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Jung-won area literature.

      • KCI등재

        중원의 누정문학 -괴산지역의 누정을 중심으로-

        박연호 한국고전문학회 2008 古典文學硏究 Vol.33 No.-

        A a lot of liver and lake poetry(江湖詩歌) is pavilion literature. And the former and the latter is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from the aspects of literary material and intention. Because the landscape assembled poetry of pavilion is very important to grasp the current and direction of the liver and lake poetry after 18C.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ate the inten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assembled poetry of pavilion(樓亭集景詩) by ‘Love Leisure Pavilion(愛閑亭)’ and ‘Keep Silent Pavilion(醉黙堂)’ in Jung-won(中原) area. As a result, the intention of two pavilion literatures are to express the utopia of confucian by using the traditional code ―night ship torch(漁火), song of farmers(農歌), abundant harvest(大秋) etc― what they symbolize the harmonic nature and affluent life of the people. They were constituted from the Korea dynasty and hand down to 20C. And at the merchant ship(or a ship at anchor) that is the traditional code to choice at two pavilion, we can discover the public and personal economic activities what was done at a ferry. And that is one of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Jung-won area literature. 많은 강호시가 작품들이 누정문학이며, 소재와 주제 면에서 누정집경시와 많은 부분을 공유한다. 때문에 누정집경시는 18세기 이후 강호시가의 흐름과 향방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 본고에서는 17세기에 건립된 괴산지역의 누정― 愛閑亭과 醉黙堂 ―을 중심으로 중원지역의 누정집경시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중원지역 누정문학의 특성과 누정을 통해 누정 경영자가 표현하려 했던 바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두 누정은 조화로운 자연과 백성들의 삶을 표현하는 전형화된 코드(漁火, 農歌, 大秋)를 사용하여 유가적 이상세계를 담고 있으며, 이 유형은 고려 후기에 형성되기 시작하여 16세기 <면앙정가>, 17세기 <월선헌십육경가>뿐만 아니라 20세기까지 활발하게 창작되었다. 또한 두 누정집경시의 경물로 선택된 ‘商船(商舶)’과 ‘行人’ 등은 남한강과 그곳에 설치된 포구를 매개로 이루어졌던 공적, 사적 경제활동을 표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역적 특성을 발견할 수 있다.

      • KCI등재

        內浦 지역 누정문학 연구: 忠淸水營의 永保亭을 중심으로

        이재숙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6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4 No.-

        This writing was planned in a bid to look into the appearance of the historical & cultural original form of Yeongbo-Pavilion, which was restored by Boryeong-si in November, 2015, and to be of what little bit of help to providing content data related to the regional culture. Through this writing, this study intended to aim to shed new light on the cultural history of the bay region which has failed to get close attention all the while, and further to look into literary transmission and realization aspects through the medium of the representative pavilion of scenic beauty of the bay region. On the one hand, Yeongbo-Pavilion, as the one of scenic beauty located within Chungcheong Suyeong, was the object of sightseeing as it embraced picturesque scenery of the west coast, but on the other, it is located at the place assuming an unusual character, in which a top priority was put on a duty of national protection for defense against the frequent invasion of Japanese raiders. Accordingly, the pavilion name of ‘Yeongbo’ includes national security, such as territory protection, harmony, and Yeomindongnak(與民同樂;A king shares the happiness with the people), etc., and a symbolic meaning of pleasure of landscapes intending to enjoy elegant landscapes eternally therethrough. This study looked into the foundation, history and meaning of Yeongbo-Pavilion through the documents written when Yeongbo-Pavilion was first founded in 1504, and the repairing records written afterwards. Also, this study considered the beautiful scenery possessed by Yeongbo-Pavilion, and its related literary works. Many literary persons of many generations made a tour of Yeongbo-Pavilion noted for its scenic masterpiece, and recorded their excitement by grasping and expressing the beauty of geographical features, and tidal changes of the bay region in a literary sense, including the surrounding scenes of Yeongbo-Pavilion. The landscapes of the bays and islands made by low hills and tidal changes created a superb view peculiar to Yeongbo-Pavilion, which used to make this Pavilion become a representative tourist destination of the Chungcheong bay region. Comparing to other regions, the research on Nujeong(Pavilion)literature of Chungcheong-do has failed to get attention in particular all the while, and actually, its accumulated research results are in a insufficient state. This study considers that Nujeong(Pavilion)literature of Chungcheong is in need of continuous concern and introduction of bibliographic data as well as diverse provision of basic data for its restoration hereafter. 본고는 2015년 11월에 보령시에서 복원한 영보정의 역사 문화적 원형의 모습을 살펴보고 지역 문화와 관련된 콘텐츠 자료를 제공하는 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고자 기획한 것이다. 이를 통해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내포지역의 문화사를 재조명하고 나아가 내포의 대표 명승 정자를 매개로 한 문학적 전승과 구현 양상을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영보정은 충청수영 안에 위치한 명승 정자로서, 서해안의 절경을 품고 있는 유람의 대상이지만 한편으로는 잦은 왜구의 침입을 방비하는 국가수호의 책무가 우선이었던 특수한 성격을 지닌 곳에 위치하였다. 따라서 ‘永保’라는 정자 이름에 국토 수호와 人和, 與民同樂 등의 安保와 그를 통해 영원토록 아름다운 경치를 즐기고자 하는 景觀之樂의 상징적인 의미를 담은 것이다. 본고에서는 1504년 영보정이 처음 창건되었을 때 지은 기문과 이후 지어진 중수기를 통해 영보정의 창건과 역사 및 의미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영보정의 승경과 그와 관련한 문학적 작품들에 대해 고찰하였다. 역대 많은 문인들은 내포 지역의 地勢와 潮水의 아름다움을 포착하고 영보정 주변 풍광을 문학적으로 묘사하여 절경으로 이름난 영보정을 유람하고 그 흥취를 기록하였다. 낮은 구릉과 조수 간만의 차가 만들어내는 만과 섬의 풍경들은 영보정 특유의 절경을 이루어내고 이 때문에 충청 내포의 대표적인 유람지가 되기도 하였다. 다른 지역에 비해 충청의 누정문학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별다른 관심을 받지 못하였고 축적된 연구성과도 미비한 실정이다. 차후에 지속적인 관심과 문헌자료에 대한 소개가 필요하고,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다양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

        16~18세기 영·호남 누정에 깃든 문화경관의 의미론적 해석 - 지정 문화재를 중심으로 -

        이현우,Lee, Hyun Woo 국립문화재연구원 2012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5 No.1

        본 연구는 국가지정 또는 시도지정 문화재 중 총 22개의 영 호남 소재 누정을 중심으로 16~18세기 명리를 등지고 초야에 은거한 사림(士林)의 누정 문화를 고찰함으로써, 조영자의 자연관과 누정건립 등의 문화형성과정에서 축적된 미의식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개별 누정에 작용된 의미론적 경관특성을 밝히기 위한 제안으로 '풍수적 입지 누정명 분석 누정문학 분석' 등의 해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누정의 '입지[風水] 명칭[懸板] 문학[板上詩]' 등의 분석 및 해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 누정만이 갖는 특수성을 논한다면, 누정의 입지는 풍수가 지향하는 목표와 일맥상통함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땅의 모양(物形)을 의미론적 풍수형국으로 해석함으로써 은유적이면서도 풍자적으로 '터잡기' 한 특징에서도 잘 드러나고 있다. 특히 풍수형국론(風水形局論) 관점에서 본 누정의 입지는 배산임수의 요건을 모두 충족했으며, 지향했던 전형적인 좌향은 남동향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땅의 모양에 대한 직관적이거나 자연론적인 표현보다는, 서로 다른 의미를 부여하여 은유적이면서도 풍자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전통적 경관짜임의 특징을 형이상학적인 해학(諧謔)으로까지 승화시키고자 하는 보편성이 발견된다. 더 나아가 누정의 입지를 광역적 경관인식 체계로 본 의미론적 낙토(樂土) 개념이 표출되고 있다. 한편 누정명은 누정이 위치한 서로 다른 개별적 경관을 응축함으로써 상정된 의미론적인 어휘였다. '누정명의 어의 분석'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것은 주변경관을 간명한 어휘로 함축한 것인데, 그 특징은 첫째 '자연예찬(自然禮讚)' 즉 승경(勝景) 및 사시경물(四時景物)에 대한 흥취, 둘째, '유가사상(儒家思想)'과 관련된 경서(經書) 문장(文章) 성리학적 가치관 중국의 고사성어, 셋째, '선현칭송(先賢稱頌)'에 관한 상고성(尙古性), 넷째, 유유자적과 안빈낙도의 전형으로 청빈하지만 자존적인 삶의 '풍류(風流)', 다섯째, '도가사상(道家思想)'과 관련하여 좌절된 자아를 달래기 위한 치유수단으로써의 '선경(仙境) 갈구' 등이 깊이 내포되어 있었다. 특이하게도 16세기 초반까지는 유가사상에 기반을 둔 명칭이 주류를 이루었지만, 16세기 중반을 넘기며 '자연예찬 및 선현칭송'의 제재가 증가하면서 유가사상에만 편중되지 않는 제재 상의 다양성을 보여준다. 이와 함께 문학이란 예술장르를 빌어 아름다운 자연에 비긴 작가의 심상을 투영시킴으로써 내면의 문제를 완곡히 토로한 누정문학의 주요한 특성으로는 '자연예찬 풍류 도가사상 및 유가사상 선현칭송' 등의 보편성과 '우국충정 연군지정 과거회상' 등의 키워드가 도출되었다. 그러나 이 당시 팽배했던 '성리학적 유교관'에도 불구하고 누정문학을 주도한 일의적(一意的) 개념이 '자연예찬 및 풍류'였음은 매우 주목할 만하다. This research has studied the building awareness of Nu-Jeong that a view of nature and aesthetic consciousness to unite the nature are inherent by considering Nu-Jeong of scholars who left fame and wealth behind and retired to hermitage in the backwoods in the 16~18 Century. This is to clarify correlation with leaving nature as it is, namely, an ideal state that scholars at the time would enjoy, through landscape awareness accepted into Nu-Jeong literature. In addition, this research has tracked the ideologic flow that acts on space formation by clarifying Korean unique meanings inherent to Nu-Jeong's cultural landscape. As a suggestion for this, the interpretation through 'Pungsu location Nu-Jeong name's analysis Nu-Jeong literature analysis', etc. was tried, so its integrated conclusion is as follows. It is not a chance that scholars of Joseon have left numerous literature works singing the nature. They already had huge interest and knowledge on the nature, and achieved active poetic exchange by sublimating the praise of nature as literature. Nu-Jeong, which was a place of exchange like this, had cleanliness of the nature and ideological purity as an oppositional space on turbid political realities. The Nu-Jeong literature drew the nature into a literature space as it is, without doing abstraction or ideation on the nature. The owner of Nu-Jeong exclusively possessed such natural landscape in grim and independent postures, so it provided a clue of Nu-Jeong cultural landscape that this research aimed to discuss. Scholars who aimed to raise wide and large vigor filled in between the sky and earth got to convince that people are born from the nature, grow in the nature and finally return to the nature. What people are born from the nature and finally return to the nature is just consistent with Taoistic and Zhua-ngzi thoughts denying human work, and leaving nature as it is or nature itself remained intact which is an ideal state. The construction at the time is a vessel containing the spirit of the times of the era. This thesis has proved that the Nu-Jeong culture of scholars located on the central line of Korean landscape was the flower of Joseon's scholar culture by interpreting it semantically.

      • KCI등재

        智異山 遊山記에 나타난 조선조 지식인의 山水認識

        강정화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08 남명학연구 Vol.26 No.-

        이 글은 논자가 앞으로 10여 년간 중점적으로 탐구해야 할 과제 중 하나인 지리산 유산기 연구의 試論이다. 논자가 진행해야 할 연구는 지리산권역을 중심으로 한 조선조 지식인의 문학이다. 특히 조선조 지식인의 지리산 관련 遊山文學과 영남・호남 지식인의 樓亭文學 작품을 주요 논의대상으로 삼아 그들의 山水美學과 그 속에 융화된 자연관을 집중 탐구하고, 이의 전반적 이해를 통해 조선조 지식인의 자연에 대한 이해, 나아가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모색하던 태도를 밝혀내게 될 것이다. 본고는 그 첫 시도로써, 조선조 지식인이 지리산을 유람하고 남긴 유산 작품을 대상으로 삼아 그 동안 발굴된 자료를 개괄하고, 작품 속에 내재된 그들의 산수인식을 고찰함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조선초기 李陸의 「智異山記」에서 시작된 지리산 유산기는 20세기까지 약 90여 편이 발굴되었다. 이를 시대별로 분류하면 15세기 6편, 16세기 5편, 17세기 전반과 후반에 각 6편과 7편, 18세기 20편, 19세기 27편, 20세기는 21편인데, 후대로 갈수록 작품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작품 수의 차이는 조선시대 정치적 사회적 상황과 그에 따른 지식인들의 浮沈에 그 원인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지리산 유산기에 보이는 산수인식은 4가지로 압축할 수 있었다. 먼저 유산기 담당층이 조선조 유학자인 만큼 다양한 儒家的 志趣를 先賢尊崇으로 압축하여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지리산 산수자연 가운데 佛家的・巫俗的 유적지를 통해 異端을 배척하는 지식인의 의식을 살펴보았고, 현실과 이상의 괴리에서 오는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仙境을 찾는 그들의 遊仙 의식을 살필 수 있었다. 특히 그들은 지리산의 절경 속에서 道家的 志趣를 갈망하면서도 유학자로서의 자세를 잃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유람을 통해 뛰어난 文學的 志趣를 표출해 내었는데, 이는 우리 국토에 대한 예찬으로 일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편액과 시문으로 본 요월정원림(邀月亭園林)의 입지 및 조영 해석

        이현우 ( Hyun Woo Lee ),김상욱 ( Sang Wook Kim ),임근홍 ( Qin Hong Re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3

        본 연구는 편액과 시문이 과거 누정원림의 고유한 입지 및 조영 특성 추론의 중요한 준거(準據)가 된다는 전제 하에, 요월정원림(邀月亭園林)을 대상으로 과거 시점의 입지 및 조영 해석을 고구(考究)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요월정원림이 갖는 의미와 문화재적 위상과 가치의 진정성 제고 및 보존의 당위성을 논의할 목적으로 시도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월정원림은 정원주 김경우(金景遇)를 비롯한 당대 거유들이 교유한 시율풍류의 현장이었다. 『조선환여승람(朝鮮煥輿勝覽)·호남읍지(湖南邑誌)·장성읍지(長城邑誌)』등 고문헌을 통해 사화(士禍)를 피해 머문 은신처로서의 성격과 함께 지역정체성을 형성한 교두보로서의 장소성이 확인되었다. 또한「요월정원운(邀月亭原韻)」을 통해 누정원림 작정(作庭) 의도 및 조영 동기를 확인한 바, 요월정원림은 세속과 탈속 그리고 현실과 이상이 뒤섞여 길항(拮抗)한 공간으로 해석된다. 둘째, 당호 요월(邀月)은 누정에서 조망했을 때의 승경적 요인 및 자연현상과 관련된 명칭으로, 마주한 ‘월봉산에 뜨는 달을 맞이함’을 함의하는 어휘로, 이는 자연의 섭리이자 풍류로서 탈속의 이미지와 맞닿아 있다. 즉 요월정은 세속의 희비를 벗어나 자연의 섭리를 따르려한 조영 의도를 반영한 당호로 해석된다. 셋째, 요월정원림의 입지는『영광속수여지승람(靈光續修輿地勝覽)』을 통해 조영자가 퇴관 후 휴식을 위해 마련한 처소였으며, 월봉산을 마주하여 황룡강(黃龍江)이 굽이쳐 흐르던 승경지였음을 고문헌과 다수의 시문을 통해 확인하였다. 특히, 수호인 인터뷰에 따르면 요월정원림에서 야경의 시지각 빈도(頻度)는 수호인 거처인 고직사에서 요월정을 향해황룡강 방향인 동쪽을 숙시각(熟視角)으로 조망했을 때가 가장 높다고 한다. 또한 시지각 강도(强度)가 가장 높고 아름다운 풍경은 요월정 좌측 배후면에서 달이 부상하여 요월정 전면(前面)의 배롱나무동산을 가로질러 요월정과 마주한 월봉산 사이에 남중한 때로 증언한 바 있다. 현재 요월정원림의 좌향은 SE 141.2°로서 거의 남동향 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요월정 좌향 설정은 지형조건뿐 아니라 달의 궤적을 유상(遊賞)하기에 최적화된 방향과 시계(視界)를 확보하기 위한 기도(企圖)가 담겼다고 판단된다. 나아가 전면의 황룡강 수면 위로 남중한 달빛이 투영됨으로써, 하늘의 달과 황룡강 강물에 투영된 달이 동시에 감지되게끔 고려된 것으로 추론된다. 넷째, 현재 요월정원림은 요월정과 광산김씨문숙공파종회각(光山金氏文肅公派宗會閣) 및 고직사(庫直舍)로 구성된 ‘내원권역’과 진입부를 아우른 배롱나무동산 및 소나무 배후림이 포함된 ‘외원 권역’으로 구분된다. 나아가 ‘용소 및 수생식물원 권역’ 및 최근 조성된 ‘황룡정과 공원 권역’으로 외연(外緣)이 확산되면서 교란되고 변용되었다. 다섯째, 조영 당시 요월정원림은 누정에서 조망한 풍경을 안아 들여 누정을 중심으로 지근거리의 일정한 자연을 점유한 방식인 ‘경계 없는 산수원림’이었으나, 현재 복합경관은 과거 원형경관과는 괴리된 ‘이질화·분절화·파편화된’ 경관으로 파악된다. 마지막으로, 요월정원림이 문화재지정보호구역임을 감안할 때, 편액과 기문에 묘사된 완전한 원형경관으로의 복원은 아니더라도 최소한 원림권역에서의 경관적 악영향과 시각적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수립이 요망된다. The study attempts to interpret original location and landscape composition of Yowol-pavilion Garden under the premise that tablet and poetry are important criteria for inference of unique location and landscape composition of a pavilion garden. The study raises the meaning, status, and value of Yowol Pavilion Garden as a cultural asse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Yowol-pavilion Garden was a place where famous Confucius scholars in Joseon Dynasty in 16th Century, including Kim, Kyung-Woo, the owner of the garden, used to share the taste for the arts and poetries with their colleagues. Along with a main characteristic of Yowol Pavilion Garden as a hideout for the Confucius scholars who stayed away from a political turmoil, the new place characteristic of the garden, a bridgehead for the formation of regional identity, was discovered in the record of 『Joseon-Hwanyeo-Seungram·Honam-Eupji·JangSeong-Eupji』, As described in 「The first creative poetry of Yowol-pavilion」, the intention for the creation of Yowol-pavilion Garden and the motive for its landscape composition is interpreted as a space of rivalry where the world, reality and ideals are mixed up. Second, related to outstanding scenic factors and natural phenomena when taking a view from the pavilion, the name of the house ‘Yowol’, which means ‘Greeting the moon rising on the Mt. Wolbong’ is the provision of nature and taste for the arts,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mage of leaving the worldly. In other words, the name was identified to be the one that reflected the intention for landscape composition to follow the provision of nature separating from joy and sorrow of the mundane world. Third, as for the location, it was confirmed through『YeongGwang-Soksu-Yeoji-Seungram』that Yowol-pavilion Garden was a place where the person who made the pavilion prepared for relaxation after stepping down from a government post, and literature and various poetry show that it was also a place of outstanding scenic where Yellow-dragon River meandered facing Mt. Wolbong. Especially, according to an interview with a keeper, the visual perception frequency of the nightscape of Yowol-pavilion Garden is the highest when viewing by considering the east, the direction of Yellow-dragon River, as Suksigak[normal angle``s view], towards Yowel-pavilion from the keeper``s house. In addition, he said that the most beautiful landscape with high perception strength is when the moon came up from the left side of Yowol-pavilion, cuts across the Lagerstroemia india heal in front of Yowol-pavilion, and crosses the meridian between Mt. Wolbong peaks facing Yowol-pavilion. Currently, the exposure of Yowol-pavilion Garden is SE 141.2°, which is almost facing southeast. It is assumed that the exposure of Yowol-pavilion Garden was determined considering the optimized direction for appreciating the trace of the moon and the intention of securing the visibility as well as topographic conditions. Furthermore, it is presumed that the exposure of Yowol-pavilion Garden was determined so that the moon is reflected on the water of Yellow-dragon River and the moon and its reflection form a symmetry. Fourth, currently, Yowol-pavilion Garden is divided into ‘inner garden sphere’ composed of Yowol-pavilion, meeting place of the clan and administration building, and ‘outer garden sphere’ which is inclusive of entrance space, Crape Myrtle Community Garden and Pine Tree Forest in the back. Further, Yowol-pavilion Garden has been deteriorated as the edge was expanded to ‘Small lake[Yong-so] and Gardens of aquatic plants sphere’ and recently-created ‘Yellow-dragon Pavilion and park sphere’. Fifth, at the time it was first made, Yowol-pavilion Garden was borderless gardens consisting of mountains and water taking a method of occupying a specific space of nearby nature centering around pavilion by embracing landscape viewed from the pavilion, but interpreted current complex landscapes are identified to be entirely different from landscapes of the original due to ‘Different Changes’, ’Fragmentation’ and ‘Apart piece’ in many parts. Lastly, considering that Yowol-pavilion Garden belongs to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Zone, though not the restoration to the landscapes of the original described in tablet and literature record, at least taking a measure from the aspect of land use for minimizing adverse effect on landscape and visual damage is required.

      • KCI등재
      • KCI등재

        古小說 속 詩酒宴會 文化의 성격과 기능 -<춘향전>과 <옥루몽>의 시주연회를 중심으로-

        김용기 동아시아고대학회 2015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7

        이 글은 <춘향전>과 <옥루몽>에 나타나는 詩酒宴會 문화의 성격과 서사적 기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둔 글이다. <춘향전>의 경우에는 변학도의 유흥을 드러내면서 그의 失政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는 점이 확인된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몽룡의 현실인식을 드러내면서 동시에 민중들의 욕망이 투영될 수 있는 장을 마련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달리 <옥루몽>의 경우에는 시주연회가 남녀 주인공의 才子佳人적 성격을 드러내면서 동시에 두 남녀가 결연하게 되는 계기로 작용한다. 그리고 남녀 주인공이 황여옥과 같은 인물과 갈등관계를 형성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동시에 여주인공 강남홍이 시련을 겪고 이어서 여성영웅으로 변모될 수 있는 기제가 되는 것이 시주연회이기도 하다. 이상을 통해서 볼 때, 고소설 속 시주연회는 한국 배경 작품이나 중국 배경 작품이나 간에 공통적으로 유흥이나 풍류의 형식을 취하기는 한다. 하지만 그것이 단순한 삽화로 그치지는 않고, 시주연회가 직접적으로 주제의식을 드러내기도 하고, 인물의 갈등을 증폭시키거나, 새로운 사건을 유발하여 서사의 전환을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 and narrative function of banquet culture, including drinking and writing poetry, in Choonh- yang-Jeon and Ok-Ru-Mong. In Choonhyang-Jeon, Byeonhakdo’s giving himself up to entertainment symbolizes his misgovernment. At the same time, the banquet expresses Yimongyong’s awareness of reality, and also arranges a space that reflects people’s desires. In Ok-Ru-Mong, the banquet acts as an opportunity to demonstrate the wit and beauty of heroes and heroines, and simultaneously connects two characters. It becomes the reason for the hero and heroine’s conflict with Hwangyeook, and that Kangnamhong becomes the female hero after overcoming her trials. In both Korean and Chinese works, the banquets of old novels commonly allow their guests to enjoy entertainment and express a taste for the arts. However, the banquet is not just a background. It has the role of directly revealing the theme of the novel and amplifying the characters’ conflicts. It also has the function of inducing narrative development by triggering a new event.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원림관을 통해서 본 <다산화사(茶山花史)>

        황민선 ( Min Sun Hang ) 택민국학연구원 2014 국학연구론총 Vol.0 No.13

        조선시대 문인들을 자연 완상을 수양의 한 방편으로 삼았을 만큼 자연을 사랑하였고 이는 전국 곳곳에 남겨진 원림과 누정으로 실현되었다. 그리고 이런 공간을 읊은 수 많은 문학작품은 그들의 자연관과 원림관을 극명하게 알 수 있는 자료가 된다. 조선후기 천재적인 실학자인 다산 정약용 또한 여타의 조선시대 문인들과 마찬가지로 자연을 사랑하였다. 재임 중 뿐아니라 유배 기간 동안에도 그치지 않았던 적극적인 원림조영은 이런 그의 태도를 엿볼 수 있다. 그러나 기존 다산의 시 연구는 대부분 그의 현실인식을 파악하는 것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있고, 그의 원림시나 산수시들은 비교적 많은 연구가 되어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다산의 자연관을 나타낸 시중 다산의 원림시를 중심으로 살펴 다산시에서 나타난 자연의식, 그리고 그 자연의식에 바탕 한 원림관을 살펴보고, 원림 문학으로서 다산초당을 주제로 한 작품 중 <茶山花史> 20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다산의 원림관을 현실의 삶을 근본으로 삼고 근본에 힘쓰는 務實지향적이라고 보고 <다산화사>의 작시 의도을 살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산화사>의 특징을 시적대 상이 생활에 밀착되어있고, 시상이 사실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고 보았다. 방대한 다산의 철학과 문학을 핍진히 살피지 못하고 지엽적인 부분만 들어 분석하여 미진한 부분이 많으나, 다산의 원림과 자연에 대한 작품의 연구는 다산의 시세계를 균형있는 시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사고의 틀을 마련해 줄 것이고, 나아가서는 원림문학의 다양한 연구를 일으킬 수 있는 촉매가 되리라 생각한다. Joseon`s literary men loved nature so much that they took appreciation of nature as a way of training, and it was realized bygroves and pavilions constructed in various places of the country. In addition, we have numerous literary works reciting such spaces that constitute materials allowing us to evidently see their views of nature and groves. Dasan Jeong Yak-yong, a genius Silhak scholar in the late Joseon, also loved nature as his contemporary literary men did. We can see his attitude in this regard from his positive arrangement of groves during his banishment as well as in his days as an official. However,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on Dasan’s poems have been focused on understanding his recognition of reality, and hence we have relatively less work on his poems of groves and nature. Thus,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nature shown by Dasan`s poems, in particular his poems of groves among other poems of his that represent his view of nature and his view of groves based on such recognition of nature, and explore the 20 pieces of poetry in Dasan Hwasa ‘Dasan`s history of flowers’ among other works of his as grove literature that take Dasan Chodang ‘Dasan`s thatched cottage’ as a theme. I have taken a look at the poetic consciousness of Dasan Hwasa while suggesting that Dasan`s view of groves take real life as its base and is practice-oriented with efforts for the base, and based on this, I take Dasan Hwasa to be characteristic in that its poetic subjects are life-based and its poetic conception is unfolded around facts. Though this paper has many unsatisfactory aspects as it has not vividly look at Dasan`s philosophy and literature and has analyzed minor parts, as a study of Dasan`s works about groves and nature, this study provides a framework of thought in which we can see his poetic world from a balanced perspective, an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play a catalytic role in bring about various studies on grove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