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휴대용 휘도측정시스템의 측정각도기반 휘도보정알고리즘

        선은혜(Eun-Hey Sun),김동연(Dongyeon Kim),김용태(Yong-Tae Kim)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6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6 No.4

        본 논문에서는 휴대용 휘도측정시스템의 측정위치기반 휘도보정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측정거리와 측정각도에 따라 휘도값은 변화하며, 측정거리와 측정각도를 고려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기존에 개발된 영상기반 휘도측정시스템의 오차를 개선한다. 카메라 영상기반의 휘도 정보를 정확하게 획득하는 면측정방법을 제안하기 위해서 점휘도계로 측정대상물과의 측정각도에 따른 휘도 값의 변화를 측정한다. 측정거리, 측정각도와 휘도 값 간의 연관성을 수식으로 나타내었고, 측정위치를 고려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실험용 간판을 대상으로 점휘도계와 제안한 휘도측정시스템을 비교 평가실험하고 제안한 휘도측정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luminance correction algorithm based on measuring position for potable luminance measurement system. Measurement position and angle have an affect on the luminance value. We improve the position-based luminance measurement system using luminance correction algorithm based on the measuring angle. We analyze change of luminance valu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distance and angle from camera and light source. The certified point-luminance meter is used to evaluate a scene luminance measuring method using the image information of camera. Also, we derive an expression equation for evaluating luminance value from determined position. The performances of the proposed system are verified by using comparative experiments with the point-luminance meter using experimental signboard.

      • 설계속도별 순응휘도와 터널 경계부 휘도 관계 연구

        조원범 한국도로학회 2014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4 No.9

        도로 터널은 주간에도 조명이 필요한 구간이며, 특히 비교적 밝은 야외 환경과 접한 터널 경계부는 시각환 경의 복잡함을 고려 시 조명 설계에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터널 경계부는 터널 입구, 혹은 태양에 의한 입구 그림자 선으로부터 터널 안쪽으로 정지거리만큼까지의 구역으로, 터널 경계부의 조명은 설계속도로 주 행 중인 운전자가 터널 입구 경계로부터 정지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부터 터널 입구 경계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터널 경계부의 장해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휘도 수준이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터널 경계부의 휘도는 운전자의 시각적인 특성과 더불어 설계속도 및 이에 상응하는 정지거리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조원범, 정준화(2014)는 설계속도 100km/h인 도로를 대상으로 터널로 접근하는 운전자의 시야를 축소하 여 묘사한 조명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터널로 접근하는 운전자 시야 내 휘도분포를 묘사하기 위한 시나리 오를 구성하고, 피험자 21명 대상 실험을 수행하여 정지거리에서 터널 입구 경계에 위치한 장해물을 발견하 기 위해 필요한 경계부 휘도를 안전율별로 산정하였다. 안전율은 특정 순응 휘도와 경계부 휘도 조건에서 장해물을 확인할 수 있는 운전자의 비율 또는 특정 운전자가 장해물을 확인할 수 있는 확률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설계속도에 따른 터널 경계부 휘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설계속도 80km/h인 도로를 대상으로 피험자 19명을 대상으로 터널 경계부 휘도 도출을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 결과를 조원범, 정준화 (2014)의 연구에서 도출한 설계속도 100km/h인 도로의 경계부 휘도 도출 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조 원범, 정준화(2014)와 동일한 실험조건을 적용하였으며, 단, 조명 시뮬레이터는 연구대상 도로의 설계속도 80km/h에 상응하는 최소 정지거리 110m에 맞춰 수정․활용하였다. 본 연구와 조원범, 정준화(2014)의 비교 결과는 표 1 및 그림 1과 같다. 설계속도 80km/h 대비 설계속도 100km/h 도로의 필요 경계부 휘도의 비율(이하 ʻ경계부 휘도비ʼ)은 안전율 75%의 경우 1.3~3.0, 안전율 50%의 경우 1.3~2.8에 분포하며, 순응휘도가 증가할수록 경계부 휘도비는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 계부 휘도비는 80km/h 도로에서 필요한 특정 안전율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경계부 휘도와 비교하였을 때, 동일한 안전율을 확보하기 위한 필요한 100km/h 도로의 경계부 휘도의 비율이다.

      • 시인 성능을 고려한 도로 조명 기준의 적정성 검토

        조원범,박원일 한국도로학회 2015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10

        도로조명은 야간 운전자에게 시각정보를 제공하고 장애물이 보일 수 있게 하는 것이 설치 목적이다. 즉, 도로조명의 궁극적 설치 목적은 야간 운전자에게 전방 장애물 등 위험요소 출현 시 이를 확인하고 회피할 수 있도록 시각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운전자는 도로 주행 중 필요한 정보의 90% 이상을 시각을 통해 획 득하며, 따라서 야간 도로의 시인성은 교통사고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도로 조 명의 설치 및 이를 통한 야간 운전자의 시인성 확보는 야간 교통사고 감소를 위한 가장 이상적인 대안이다. 야간 도로를 주행하는 운전자가 전방의 장애물 확인을 위해서는 일정 수준이상의 노면과 장애물의 밝기, 즉 휘도 차이가 필요하며, 현 도로 조명 기준은 노면 휘도가 높아질수록 장애물과의 휘도차가 커진다는 가정하에 도로 조명의 질적 수준을 규정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운전자의 시야 내 휘도 분포 변화를 묘사한 실내 축 소모형 실험을 통해 정지거리 110m(설계속도 80kph)에서 표준장애물(15×15 cm2)의 확인(perception)이 가능한 노면 휘도와 장애물 휘도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다양한 조명 조 건의 도로에서 측정된 노면 휘도 및 장애물 휘도와 비교, 분 석하여 도로 조명 기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조명의 질적 수준 (노면 휘도)과 시인성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도로에서의 노 면 휘도 및 장애물 휘도는 표준장애물로부터 75m, 110m, 155m(설계속도 60, 80, 100kph에 해당) 거리에서 휘도 측 정 장비(LMK5)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그림 1 참조). 본 실험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그림 2와 같다. X축은 노면 휘도(road surface luminance), Y축은 장애물 휘도(object luminance)이며, 음영으로 표시된 영역은 실내 축소모형에서 도출된 장애물 확인 불가능 영역(시인 불가 영역, invisible area), 이외의 영역은 각각 노면 휘도보다 더 밝은 장애물 휘 도 조건 및 더 어두운 조건에서의 장애물 확인 가능 영역(시 인 가능 영역, visible area)이다. 표시된 점은 도로에서 노면 휘도 조건별로 측정된 노면 휘도와 장애물 휘도의 관계이다. 분석결과 도로에서 측정된 노면 휘도와 장애물 휘도의 관계는 대부분 시인 불가 영역 내에 존재하며, 해당 도로 조명이 현 도로 조명 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최고의 시인성 확보 수준 에 해당하는 M1~M2임을 고려 시 현재 도로 조명 기준에서 가정하고 있는 노면 휘도와 시인성의 관계는 재검토 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여름철 낙뢰 발생 시 정지궤도 위성의 휘도온도 특성

        이윤정,엄효식,서은경,서명석 한국지구과학회 2009 韓國地球科學會誌 Vol.30 No.6

        The characteristics of brightness temperature (BT) of infrared and water vapor channels from MTSAT-1R have been investigated using 12 persistent and frequent lightning cases selected from the summer lightnings of 2006-2008. The infrared (IR1, 10.3-11.3 μm) and water vapor (WV, 6.5-7.0 μm) channels from the MTSAT-1R and the lightning observation data from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re used. When there is no lightning, the BTs of the IR1 and WV channels show the largest frequency at around 290-295K and 245K,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BTs of two channels show the largest frequency at 215K caused by strong convection when there is lightning. As a result, the WVIR1 difference (BTDWI) sharply increases from -50K to 0K. Although it depends on the evolution stage of thunderstorms, the lightning mainly occurs at the core of circular convection in the mesoscale convective complex (MCC), whereas the lightning occurs by concentrated line-shape in the squall line.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exists between the lightning frequency and the BT in the MCC regardless of the BT, but only at the very cold BT in the squall line. In general, while the characteristics of BT are well defined for the lightning occurring in the concentrated line, they are not well defined in the MCC, especially during the decaying stage of MCC. When they are defined well, the lightning occurs when the BTs of IR1 and WV are lower than 215K, BTDWI is near -3 to 1K, and local standard deviation of IR1 decreases to around 1K. 본 연구에서는 2006-2008년 여름(6-8월)에 발생한 12개 낙뢰 사례에 대하여 기상청의 낙뢰관측 자료와 MTSAT-1R 위성의 적외(IR1) 및 수증기(WV) 채널 휘도온도를 이용하여 낙뢰 발생 시 위성영상 특성을 분석하였다. 낙 뢰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IR1 채널의 휘도온도는 290-295K, WV 채널의 휘도온도는 245K 부근에서 최대 분포를 보인 다. 그러나 낙뢰가 발생하는 경우, 강한 대류의 영향으로 두 채널 모두에서 휘도온도가 215K 이하로 낮아졌으며, 두 채 널의 휘도온도차는 약 -50K에서 0K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뇌우 시스템의 발달 단계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원형 또는 타원형의 중규모 대류복합체에서는 그 대류 중심에서 많은 낙뢰가 발생하고, 스콜선 형 뇌우에서는 낙뢰가 선상으로 발 생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낙뢰 발생빈도와 휘도온도는 중규모 대류계에서는 휘도온도에 관계없이 비교적 높은 상관 성을 보이나 스콜선 형에서는 휘도온도가 낮을 때만 높은 상관성을 보인다. 또한 낙뢰는 두 채널의 휘도온도가 215K 이하, 휘도온도 차가 -3-1K 이고, IR1 채널의 국지표준편차가 급격히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지역에서 많이 발생하는 특 징을 보였다. 그러나 위 조건은 선상으로 발생하는 낙뢰의 경우 탐지 정확도가 비교적 높지만, 중규모 대류복합체가 소멸단계에 이르러 모루운이 광범위하게 확장된 경우에는 탐지 정확도가 낮다. 따라서 휘도온도의 특성을 이용하여 낙뢰 를 탐지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사례와 다른 채널의 자료를 이용하여 낙뢰 발생시의 위성영상 특성을 정교화 하여야 할 것이다.

      • 차량 전조등의 시인 성능 평가

        조원범,박원일 한국도로학회 2015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10

        도로 조명은 설치 및 유지관리 비용의 부담으로 인해 설치장소가 극히 제한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국내 고속․일반국도의 88%가 무조명 구간으로 존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야간 무조명 도로 구간은 전방의 시거 제약으로 인해 매우 위험한 주행환경이다. 무조명 구간을 주행하는 운전자는 차량 전조등을 통해 전방의 상황을 확인하고 위험 상황에 대처할 수밖에 없다. 반면 자동차 전조등의 조사 길이에는 한계가 있으며, 더욱이 전조등 조정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하향등 상태로 주행하는 것이 일반적임을 고려 시 무조명 구간 에서 국내 도로 설계 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정지거리의 확보는 거의 불가한 상황이다. 야간 도로를 주행 중인 운전자가 전방 장애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노면과 장애물의 밝기 차이, 즉 휘도 차이가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정지거리 110m(설계속도 80kph)에서 표준 장애물 (15×15 cm2)의 확인을 위해 필요한 노면 및 장애물의 휘도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실내 축소 모형 실험을 수 행하였으며, 이 결과를 실제 무조명 도로 구간에서 측정된 차종 별, 전조등 상태별로 측정된 휘도 관계와 비교, 분석하여 차량 전 조등을 통한 시인성 확보 수준을 검토하였다. 실내 축소 모형 실 험은 야간 도로를 주행 중인 운전자의 시야 내 휘도 분포 변화를 표준적으로 묘사한 시환경 모사 시뮬레이터를 제작, 활용하여 수 행되었으며, 차량 전조등에 의한 휘도는 차량 전방 40m~180m 거리에 20m 간격으로 배치된 표준장애물과 그 주변의 노면 휘도 를 휘도 측정 장비(LMK5)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그림 1 참조). 본 실험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그림 2와 같다. X축은 노면 휘도 (road surface luminance), Y축은 장애물 휘도(object luminance) 이며, 음영으로 표시된 영역은 실내 축소모형에서 도출된 장애물 확인 불가능 영역(시인 불가 영역, invisible area), 이외의 영역은 각각 노면 휘도보다 더 밝은 장애물 휘도 조건 및 더 어두운 조건에 서의 장애물 확인 가능 영역(시인 가능 영역, visible area)이다. 표 시된 점은 차종별(승용, RV), 전조등 상태별(상향등, 하향등), 거리 별로 측정된 노면 휘도와 장애물 휘도의 관계이다. 분석결과 차량 전조등만으로 장애물 확인이 가능한 차량과 장애물 간 최대 거리는 하향등의 경우 RV 차량은 약 70m, 승용 차량은 40m, 상향등의 경 우 RV, 승용 차량 모두 약 100m이며, 따라서 무조명 구간에서 차량 전조등만으로 정지거리 110m(설계속도 80kph)의 확보는 불가한 것 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무조명 구간에서 정지거리를 확보하기 위 해서는 차량 전조등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조명 설치가 필요할 것 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주간, 야간의 옥외 HD전광판 영상 콘텐츠에 적합한 휘도 연구

        황상현(Hwang, Sanghyeon),김태완(Kim, Taiwa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5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4 No.3

        연구배경 : 최근 프로야구가 대한민국 대표관람스포츠로 자리매김하면서 경기를 보러 오는 관람객들의 현장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졌다. 현재 야구구장의 80%이상이 이미 전광판의 대형화와 성능을 대폭 개선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SD전광판에서 HD전광판으로 교체가 되고 있는 지금, 전광판 사용에 있어 불편함이 없도록 주간과 야간 모든 시간대에 수용할 수 있는 영상의 적절한 휘도를 찾아내 보다 효율적인 전광판 콘텐츠 제작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옥외전광판의 현황과 영상에 대한 선행연구를 실시한 뒤 관찰 실험에 사용할 콘텐츠를 제작하여 전광판에 대입하여 주간과 야간 시간대모두 수용할 수 있는 적절한 휘도를 분석하여 옥외전광판 적절한 영상콘텐츠의 휘도에 대한 가이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 주간에 상영하는 영상의 경우, 색 번짐, 명암대비, 가독성, 색 재현율을 따져 보았을 때 가장 적절한 휘도는 8000cd/㎡로 나타났다. 반면에 야간에 상영하는 영상의 경우 모든 항목에서 우위를 차지한 4000cd/㎡값으로 나타났다. 주간과 야간 경기가 계속되는 프로야구 경기의 경우 영상자체의 휘도 값 조절보다는 HD전광판 내에서의 휘도 조절장치의 설정이 더욱 효과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결론 : 야외 전광판 상영의 안정과 쾌적함을 위하여 영상제작의 휘도의 조절은 중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광판 자체 조절 장치로 휘도를 다르게 하여 사직야구장의 전광판을 측정한 결과 낮 시간대의 적절한 휘도는 8000cd/m² 이고, 밤 시간대의 적절한 휘도는 4000cd/m²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주간과 야간의 적정한 휘도로 영상을 대입하여 전광판 사용의 퀄리티 향상과 안정성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전광판 상영 영상 콘텐츠의 휘도에 대한 가이드라인 연구뿐만 아니라 상영 화질을 구성하는 다른 분야의 연구도 필요하다. Background : At present, more than 80% of Korea’s baseball stadiums are already drastically enlarging and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ir electronic display boards. As existing SD electronic display boards are being replaced with HD electronic display boards, appropriate luminance values that can be accommodated at all times, either daytime or nighttime, are being sought so that electronic display boards can be used without inconvenience to propose guidelines for producing more effective electronic display board contents. Methods : The present study aimed at conducting a pilot study regarding the current state of outdoor electronic display boards and videos, producing videos to use in the experiment, using them on the electronic display board, and performing analysis to analyze appropriate luminance values that can be accommodated in both the daytime and nighttime to propose a guide for luminance for outdoor electronic display board video contents. Result : For videos shown in the daytime, the most appropriate luminance was 8000cd/㎡ when putting color bleeding, contrast, readability, and color recall into consideration. On the other hand, for videos shown at nighttime, the value of 4000cd/㎡ was superior in all categories. For professional baseball games which can continue on from daytime to nighttime, luminance adjustment system settings within the HD electronic display board provided more effective results than luminance value adjustments in the videos themselves. Conclusion : Hopefu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showing videos with appropriate luminance in the daytime and at nighttime for quality enhancement and stability in electronic display board use. From now on, It will be necessary to study not only guideline research regarding the luminance of video contents shown on electronic display boards but also to research in other fields that compose screening image quality.

      • KCI등재

        LCD-TV용 백라이트 광학시트의 휘도 정량화

        정종문,김정현,신명주,이미란,정재윤,정희석,김진선,강준길,홍병희,조광섭,Jeong, Jong-Mun,Kim, Jung-Hyun,Shin, Myeong-Ju,Lee, Mi-Ran,Chung, Jae-Yoon,Jeong, Hee-Suk,Kim, Jin-Sheon,Hong, Byeong-Hee,Kang, June-Gill,Cho, Guang-Sup 한국진공학회 2007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6 No.6

        32인치 WXGA급 (해상도 1366$\times$768) LCD-TV용 백라이트를 구성하는 외부전극 형광램프 및 각 광학 부품들에 대한 휘도 특성을 조사하고, 광학시트들의 빛의 투과율을 계측하였다. 12등식과 18 등식의 백라이트에 대한 휘도 특성을 조사하였다. 휘도 균일도는 12등식 백라이트에서도 85 %의 휘도 균일도를 갖지만, 광학 부품들의 휘도 값과 백라이트의 효율은 18 등식의 백라이트에 비하여 낮다. 외부전극 형광램프 12 등식과 18 등식의 백라이트에 대하여 램프의 휘도를 100 %로 규격화하면, 확산판, 확산시트, 프리즘시트 (BEF) 및 편광시트 (DBEF)의 상대 휘도는 램프의 휘도 값과 무관하게 정량화된다. 광학 부품의 상대 휘도 값은 12등식은 18등식보다 낮다. 백라이트의 휘도 100 %에 대한 액정 패널의 투과도는 DBEF와 BEF를 사용한백라이트는 7.14 %, DBEF만을 사용하면 6.12 %, 그리고 BEF만을 사용하면 3.21 %이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광학 부품들의 상대 휘도의 정량화 데이터와 액정의 투과도는 백라이트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이다. Luminance properties of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and optical components in backlight unit (BLU) and optical transmission rates of optical sheets, are investigated for LCD-TV of 32" in diagonal with WXGA level resolution (1366$\times$768). The luminance is measured in 12-lamps and 18-lamps of BLU. The luminance uniformity preserves about 85 % in the 12-lamps backlight, while the luminance of optical components and the efficiency of backlight in the 12-lamps are lower than those in the 18-lamps backlight. When the lamp luminance in BLU having 12-lamps and 18-lamps is normalized as 100 %, the relative luminance of a diffusion plate, a diffusion sheet, a prism sheet (BEF), a polarization sheet (DBEF), has a constant value without dependence on a lamp luminance. The relative luminance of optical components in 12-lamps BLU is lower than that in 18-lamps backlight. The light transmission rate, the relative luminance of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with the luminance 100 % of backlight, is 7.14 % in the use of DBEF and BEF, 6.12 % in the use of only DBEF, and 3.21 % in the use of only BEF. Those Data obtained in this experiment for the lamps and optical components, are the design parameters for the LCD backlight.

      • KCI등재

        측정 위치를 고려한 영상기반 휘도측정시스템에 관한 연구

        선은혜(Eun-Hey Sun),김용태(Yong-Tae Kim)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4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4 No.4

        본 논문에서는 발광광고물의 휘도를 측정하는 영상기반 휘도측정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휘도측정시스템은 DSLR 카메라의 영상을 이용하여 점휘도계의 효율성과 면휘도계의 휴대성 및 경제성의 단점을 보완하며, 대상의 전체적인 휘도를 측정하는 시스템으로 영상을 입력받아 휘도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실시간으로 휘도값이 출력되도록 설계하였다. 측정 대상인 발광광고물은 설치 위치, 크기, 모양이 다양하며, 발광광고물의 휘도는 측정 거리, 각도, 색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측정값이 달라진다. 따라서 정확한 휘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대상물과의 거리에 따른 휘도값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측정 거리가 증가하면 휘도값이 변화하는 것을 고찰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측정 위치와 휘도값의 연관성을 수식으로 나타내었고, 제안한 방법을 평가하기 위해 점휘도계를 이용한 측정값과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 In this paper, an image-based luminance measurement system(LMS) is proposed to measure the luminance of outdoor signboards. We design the LMS that can improve disadvantages of efficiency of the point-luminance meter and portability of face-luminance meter using the image of DSLR camera and print out the luminance value by using the proposed luminance analysis algorithm in real time. Outdoor signboards have various size and shape, and are also installed on the various place. Luminance of the signboard is influenced by measurement location, angle, color, etc. Therefore, we measure the change of luminance value in accordance with measurement location for accurate luminance measurement and then consider the luminance valu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distance. We obtain a numerical relation between luminance value and measurement location. The proposed LMS is verified through comparative experiment with point-luminance meter.

      • LED별 휘도 보정이 가능한 스마트 전광판 제어 시스템 설계

        하영재(Young-Jae Ha),김선형(Sun-Hyung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13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3 No.5

        본 논문은 LED 전광판 표출면의 선명한 화면 표출을 위한 보정기술에 대한 것으로 전광판 사용 중 모듈불량, 도트불량으로 LED 모듈 및 램프 교체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표출 도트의 휘도와 교체된 신품의 LED 도트의 휘도 사이에 서로 다른 휘도 값의 차이로 화질이 선명하지 못하고 얼룩이 진 것같이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이 전광판 표출 화면에 나타나는 얼룩현상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중인 전광판 LED 램프 휘도와 교체된 LED의 개별적 모듈, 도트 표출 휘도의 밝기 차이를 보정을 통해서, 전광판의 표출면이 얼룩지지 않고 일정한 밝기로 선명한 화면이 표출되도록, 교체한 LED의 휘도가 주변에 있는 기존의 LED 램프 휘도와 비슷하게 자동 보정하여 표출할 수 있는 LED 도트별 휘도 보정이 가능한 스마트 전광판 제어 시스템 설계 및 그 방법에 관하여 연구한 것이다.

      • KCI등재

        야간 도시주거지역 광고물의 인근 주택 창문 휘도 영향 조사

        정근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5 No.6

        도시 주거지역에서 소형 점포의 발광광고물은 주택에 과다한 빛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과다한 빛은 주택의 창문에 영향을 주고 도시의 밤하늘에 빛 공해를 줄뿐만 아니라 가로수 및 인근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친다. 인체의 건강과 관련된 연구에서는 빛 공해가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도시 거주자들은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불만을 나타내기도 한다. 한편으로 국내 환경부는 지난해 인공조명에의한빛공해방지법을 공표하였다. 그러므로 광고물에 의한 도시 주택의 빛 공해 수준에 관한 조사연구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시주거지역 소형점포의 빛공해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소형 점포의 발광광고물이 인근 주택의 창문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부산의 주거지역에서 빛 공해를 조사하였다. 13개 지점에서 점포의 발광광고물과 인근 주택 2, 3, 4층 거실 창문 내표면의 휘도를 측정하였다. 발광간판의 휘도는 도로의 중심, 높이 1.5m에서, 인근 주택 창문 휘도는 창문으로부터 거실로 2m, 높이 1.5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4개소의 광고물이 국내 빛방사 기준 800(cd/㎡)을 초과하였다. 그리고 광고물 및 인근 주택 2, 3, 4층 창문의 평균 휘도는 각각 783, 505, 408, 366(cd/㎡)로 나타났다. 향후 건축 및 도시계획 분야에서 도시 주거지역 빛 공해 저감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