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후변화적응 홍보정책 전략 마련 연구

        하종식,김동현 한국환경연구원 2013 수시연구보고서 Vol.2013 No.-

        2010년 국가기후변화적응대책(2010-2015)의 수립, 2015년 1월부터의 기초 지자체 세부이행계획 수립 의무화 등 우리나라는 기후변화적응 관련한 정책의 수립, 이행단계임에도 불구하고 일반국민의 기후변화적응에 대한 인식과 관련 전문가들의 기후변화적응 대책에 대한 관심은 아직 적극적이지 않다. 나아가 기후변화적응에 대한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홍보사업을 활용한 기후변화적응에 대한 사회적 인식개선 증대가 국민공감대를 통한 세부적인 정책수립 및 시행에 있어 필요사항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중장기적 홍보계획은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적응의 효과적 홍보를 위한 국가 홍보 전략을 마련하고 이와 관련된 홍보사업을 발굴,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적응의 효과적 홍보를 위한 국가 홍보 전략의 마련, 그리고 이와 관련된 홍보사업의 발굴 및 제안을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현으로서 기후변화적응의 홍보 대상 집단별 홍보 전략을 마련하고, 관련된 홍보사업의 발굴 및 제안은 국가기후변화적응대책 수립을 지원하는 국내 유일의 법적 기관인 국가기후변화 적응센터(이하 KACCC)에서의 홍보사업 발굴 및 제안 차원에서 접근하였다. 이에 KACCC의 홍보 효율화 방안 및 홍보사업을 제안하고, 마지막으로 KACCC 기후변화적 응 홍보의 중장기 계획을 제안하였다. 기후변화적응에 대한 국가 홍보 전략은 먼저 기후변화적응에 있어 위치 및 역할에 근거하여 홍보 대상 집단별로 구분하여 수립하였다. 정책 관련 전문가의 경우에 선도적 정책홍보를 목표로 기후변화적응대책의 인지와 협력에 정책적 포지셔닝을, 미래세대의 경우에 적응행동 기반 마련을 목표로 기후변화 및 기후변화적응과 관련된 기초개념 인지 및 실천적 행동 기반마련에 정책적 포지셔닝을, 취약계층의 경우에 맞춤형 정보 제공을 목표로 적응 수단과 방법, 그리고 기후변화 관련 이상기상 발생에 대응하기 위한 행동요령 제공에 정책적 포지셔닝을, 마지막으로 일반국민의 경우에 기후변화적응 개념 및 필요성 홍보를 목표로 기후변화와 기후변화적응과 관련된 기초개념 및 정부 대책의 쉬운 설명에 정책적 포지셔닝을 제안하였다. 특히 일반국민의 경우에 기후변화 인식의 관련 핵심이슈인 기후변화 건강영향에 기반한 공중유형별 리스크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제안하였다. 기후변화 건강영향에 심각성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비활동 공중 그리고 이들 중에서 문제 상황에 대한 어느 정도의 지식을 갖춘 인지공중의 경우에는 기후변화가 개인의 건강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을 일깨워주는 전략으로, 반면에 비록 기후변화 건강영향에 심각성 정도의 인지는 높지만 관련된 지식의 수준이 낮은 관심공중의 경우에는 기후변화 및 적응 관련한 지식을 쉽게 학습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해주는 전략으로 제안하였다. KACCC의 홍보 방안과 홍보 사업의 제안은 기후변화적응대책(정책)의 국가적 선도 및 일반국민의 기후변화적응 인식제고에 중점을 두었다. 이에 첫째, 정책 관련 전문가들 에게 정책 연구 선도를 위한 기후변화적응대책(정책) 및 동향의 초기 확산으로서, 둘째, 미래세대, 취약계층, 그리고 대다수 일반국민에게 국가기후변화적응정책의 원활한 수립 및 이행의 지원을 위한 국민의 정책순응으로서 각각의 주요 홍보내용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수행 가능한 홍보사업을 제안하였다. KACCC 기후변화적응 홍보 중장기 계획의 제안은 현 국내 기후변화적응대책(정책)의 당면과제로 부각될 수 있는 2015년 1월부터 의무화되는 기초지자제 기후변화적응대책 세부이행계획 수립과 2015년에 새롭게 수립되어야 하는 제2차 국가기후변화적응대책 (al16-alJ)) 수립에 중점을 두고 제안하였다. 특히 정책 관련 전문가에게는 이러한 국내 정책적 이슈에 대응하는 해외동향과 더불어 국내 정책 관련 정보 제공을 목표로? 일반국민에게는 이러한 국내 정책적 이슈에 발맞추어 정책 수립·이행의 순응 향상을 목표로 하였다. 향후 3년간 KACCC까 수행해야 할 필요가 있는 홍보사업으로 fact sheets, 정책홍보물, 뉴스레터 &SNS, 동영상 제작 및 광교 그리고 서포터즈 운영 및 활성화률 제안하였다. 제안된 홍보사업은 KACCC의 기후변화적응 홍보 역할에 있어서 효과달성을 높이는 측면에서 재정비, 역할을 강화하는 측면에서 신규 홍보사업을 제안하였다. Korea`s policies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s (2010-2015) in 2010 and detailed adaptation implementation plan of the local government in January 2015, are in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stage. However, public awareness of and expert attention to climate change adaptation is not yet 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effective public relation strategie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to suggest public relations activities in actualization of strategies. Effective public relation strategie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position and role of four groups: policy-related professionals, future generations, vulnerable groups, and other ordinary people, separated by four group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other ordinary people, a public health impact risk communication strategy was proposed, in accordance with public awareness in climate change. Public relations activities by the Korea Adaptation Center for Climate Change (KACCC) were focused on emerging as a national leader in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and raising public awareness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 KCI등재

        제16대 대선의 미디어선거 홍보전략 비교연구 : 노무현, 이회창 후보의 미디어전략 비교분석

        이호영,문연주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05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 No.-

        본 논문에서는 2002년부터 본격화된 '미디어 선거'에 초점을 맞춰서 대선 당시 여·야당의 미디어를 활용한 선거 홍보전략을 실질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변화된 환경과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민주당의 노무현 후보측과 그에 대비되는 한나라당의 이회창 후보 측의 미디어 전략을 신문, 방송, 인터넷으로 구분하여 양당의 선거홍보전략 현상과 문제점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대통령 당선자가 된 민주당 노무현 후보 측의 미디어 홍보전략은, 한나라당의 이회창 후보 측과는 달리 전체적으로 일관성 있는 정책 하에 미디어별 특성을 살려 유권자가 각각의 미디어에 접근하기 쉽도록 했을 뿐만 아니라, 각 세대에 맞춘 메시지 전달이 무엇보다 특징적이었다. 선거의 주 타깃이 된 40대의 부동자층 유권자 일부가 염려하고 있던 노무현 후보에 대한 과격·불안이라고 하는 이미지를 불식시키기 위해서, 노무현 후보의 청렴·정직이라는 이미지를 과거의 실적으로부터 끌어내어 전면에 내세움으로써 40대의 공감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가장 주목할 점은 민주당의 인터넷 홍보전략이었다. 기존의 신문, 방송미디어에 없는 쌍방향성이라고 하는 특징을 민주당은 인터넷을 사용하여 유감없이 활용하였다. 특히 인터넷 공간에 친화력이 높은 20-30대에 걸맞은 메시지를 만들어서 동세대의 눈높이로 기존 미디어에서는 볼 수 없었던 정보를 제공하였을 뿐만 아니라, 일방적인 홍보용 사이트가 아닌 선거에 있어서 다양한 정책과 전략에 대한 자유로운 제안과 토론이 행해지는 공론의 장으로서 적극 활용하는 사례를 남겼다. 2002년 대선을 통하여 선거 전략에 있어서 미디어를 활용한 홍보의 중요성이 전반적으로 인식되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Cyberspace Public Relations Strategies in U. S. Business Organizations

        박동진(Dong-jin Park)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6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17 No.1

        본 연구는 미국의 기업들이 사용하는 사이버 스페이스 홍보 전략을 알아보기 위해 214명의 홍보담당자를 대상으로 서베이 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미국의 기업들은 사이버 스페이스에서 공중에 대한 통제를 강조하는 불균형 전략보다는 공중과의 관계 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균형 전략을 더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재 사용하는 사이버 스페이스 홍보전략과 홍보 담당자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사이버 스페이스 홍보전략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기업의 규모와 업종과 같은 변수는 사이버 스페이스 홍보 전략의 선택에 있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만들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사이버 스페이스에서의 홍보 행위를 설명하기 위해 기존의 이론과 전략을 확대ㆍ적용함으로써, 사이버 스페이스 홍보 분야의 후속 연구의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This research surveyed 214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in U.S. business organizations to explore cyberspace public relations strategies. Results suggest that organizations use symmetrical strategies (i.e., relationship-building strategies) more often than asymmetrical strategies (i.e., control strategies) in cyberspace, and that there appears to be a substantial gap between normative strategies (i.e., ideal strategies) and positive strategies (i.e., actual strategies) in cyberspace public relations practices. The research contributes to a relatively thin cyberspace public relations literature by expanding and applying traditional strategies to explain cyberspace public relations practices.

      • 경기도의회 전략적 홍보활동 구축을 위한 미디어 보도 분석 연구

        신원득,이희복,신명희,김경은 경기연구원 2009 위탁연구 Vol.2009 No.11

        지방의 권한과 역할 확대에 대한 관심과 기대 속에서 출발한 지방자치제는 지방분권특별법, 교육자치 및 자치경찰제 등이 확대되면서 지방자치에 의한 정책결정이 강화되고 있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의 주요한 정책과 운영에 관한 의사결정 기관인 지방의회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지방의회는 보다 적극적으로 지역의 여론을 수렴함은 물론 지방의회의 활동을 지역민에게 적극적으로 알려 관심과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디어 정치시대에 지방자치 활성화를 위해 지역의 의견을 수렴하고 지방의회의 활동을 지역민에게 적극적으로 알림으로써 지역민의 관심과 참여를 높이기 위한 경기도의회의 홍보 전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의회의 공보활동 현황 및 경기도의회에 대한 미디어 보도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동안 지방의회 활동에 대한 미디어 보도 연구가 언론의 기능 및 역할에 중점을 두었던 것과는 달리, 지방의회의 활성화 및 공보활동의 전략 구축이라는 차원에서 공보활동 현황과 미디어 보도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는 지방분권 활성화를 통한 국가발전과 지방분권시대 지방의회 활동에 관한 언론보도 및 홍보 전략을 모색하는 기초연구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경기도의회의 공보활동은 2007년 2월 22일 신설된 공보담당관실에서 맡고 있으며, 간행물 및 영상홍보물의 제작ㆍ배포와 보도자료 제공 등이 주를 이루었다. 지역민의 의견 수렴 및 배포된 간행물의 효과 등에 대한 업무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이는 경기도의회의 홍보활동이 공중과의 적극적 상호작용이 가능한 미디어가 아닌 일방향적 미디어를 이용한 공보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홍보 전문성 및 전문인력이 부족한 가운데 전통적 방식의 홍보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의회에 대한 미디어 보도는 주로 보도자료에 의존한 스트레이트 기사들이 회기일정 기간에 집중되어 보도되고 있었다. 보도내용에 있어서는 의회안건, 이슈 및 정책, 의회활동을 내용으로 하는 보도가 대부분이었으며, 보도성향에 있어서는 중립적 보도의 비중이 높았다. 그러나 부정적 보도가 긍정적 보도보다 상대적으로 많게 나타나, 수용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다면 미디어 보도 관리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특히, 부정적 쟁점이 되는 뉴스의 경우, 전국지는 물론 지상파 방송 및 인터넷 포털에서의 관심이 높게 나타나, 지방의회에 있어서도 위기관리에 대한 대응책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경기도의회 공보활동 현황 및 미디어 보도 분석에서 나타난 문제점은 홍보 및 미디어 보도관리의 전문성 부족이 가장 큰 원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전문기관과의 협력 및 홍보전문인력의 충원 등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홍보담당자들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과 더불어 적극적 홍보활동을 위한 제도적ㆍ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미디어 정치시대에 걸맞게 상호작용적 미디어를 통한 홍보활동을 적극 개발하고, 미디어 모니터링 및 위기관리 시스템 등의 도입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방의회가 지역민의 의견을 대변하는 의원들의 적극적 활동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민의 의견 수렴 및 의원들의 홍보활동에 대한 제도적 지원 및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 local self-governing system started in interest and expectation about increasing power and role of locals and the decision making by local self-governing is strengthened with expanding special law of decentralization, education self-governing and self-governing police system. According to this, the role of local council, an institute for decisions about main policies and workings of local governments, is becoming more important and local councils need to induce interest and participation by letting local people know about activities of the local council aggressively as well as collect public opinions aggressively. For local self-governing activation in an era of media policy, this study tried to grope PR strategy of Gyeonggi-Do Provincial Council to increas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local people by collecting public opinions and informing local people about activities of local council aggressively. For this, it analyzed features of status of information activities of Gyeonggi-Do Provincial Council and media coverages about Gyeonggi-Do Provincial Council itself. Unlike studies on media coverage about activities of local councils which have focused on the function and role of media, this study researched the status of information activities and features of media coverage in terms of booming local councils and building strategy of information activities. This study has a meaning as a fundamental study for groping media coverages about activities of local councils in an era of country development through decentralization activation and decentralization and PR strategy. The press secretary department built on February 22, 2007 performs information activities of Gyeonggi-Do Provincial Council and mainly produce publications and image promotional materials, distribute and provide press releases. Workings about collecting opinions of local people and effects of distributed publications are not being performed. This reveals that PR activities of Gyeonggi-Do Provincial Council are attained by an official report using one-side media not one that can interact with the public aggressively. Conventional ways of PR are main with the shortage of PR expertise and professionals. Media Coverages on Gyeonggi-Do Provincial Council which were straight articles mostly depending on media coverages were being reported mainly on the session of council. The contents of the media coverage were mainly about a bill, issue and policy, council activity and the tendency of media coverages were mainly neutral. But negative media coverages are relatively more frequent than positive ones. This could be a serious problem considering effect on user recognition. Especially, news can be a negative issue attracting high interest from the whole country papers, land-based television services and internet portal so that local councils are supposed to prepare a response about crisis management. The status of information activities of Gyeonggi-Do Provincial Council and studies on the media coverage show the problem that shortage of expertise on PR and media coverage management. Therefore, collaboration with a professional institute and supplement of PR experts are urgently called for. Both constant education for public relations and institutional and financial support for aggressive PR activities are required as well. Moreover, in accordance with an era of media policy, PR activities through commutative media should be developed aggressively. Media monitoring and introduction of crisis management system should be obtained as well. Finally, considering that a local council consists of assemblymen’s aggressive activities, representing opinions of local people, institutional supports and system for collecting opinions of local people and assemblymen’s PR activities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

        여수시 해양관광상품의 홍보를 위한 MICE 산업 활용방안

        김용완 ( Kim Yong-wan ),이웅규 ( Lee Woong-kyu ) 한국도서(섬)학회 2021 韓國島嶼硏究 Vol.33 No.3

        대규모 전시컨벤션센터가 많지 않은 전라남도가 여수를 중심으로 MICE 산업에 집중하고 있는 상황이다. 여수시는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 등을 중심으로 회의숙박시설과 관광체험 콘텐츠 및 해양관광상품을 갖춘 MICE 도시로서 주목받기 위해 인센티브 제도를 개선하였다. 즉, MICE 개최 인센티브 제도를 통해 지역 관심도를 높이고 지역 MICE업계의 홍보마케팅을 돕겠다는 계획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여수시가 보유한 해양생태관광 자원과 콘텐츠를 활용하여 개발한 해양관광상품을 MICE를 활용하여 홍보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본 연구 결과, 여수시의 MICE 산업을 활용하여 여수해양관광상품을 효과적으로 홍보하는 방안이 여수시의 MICE 산업을 활성화하는 방안이라는 점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세 가지의 홍보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2026 여수세계섬박람회를 통한 지속적인 홍보가 여수시 해양관광상품의 성공적 홍보를 보장할뿐만 아니라 2026 여수세계섬박람회까지 성공으로 이끈다는 점을 지적하며 개최를 위한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둘째, 여수시의 해양생태관광 관련 관광상품을 홍보하는 MICE행사를 지속적으로 개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셋째, 여수시 해양관광 콘텐츠를 동적(動的)으로 연결하는 관광루트 개발과 연계된 시공간(時空間)을 창출할 해양관광 상품 확충과 개발을 제시하였다. 이는 결국 국내외 MICE 관계자에게 포스트코로나시대 MICE 유치 환경 변화에 따른 맞춤형 여수 해양관광상품 홍보방안을 온라인 설명회 등 다양한 MICE 행사 개최를 통한 접근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성공적인 글로벌 MICE 네트워킹 강화와 여수시의 보다 발전적이고 국제적인 MICE 산업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MICE 개최를 통한 여수시 홍보를 ‘ 독은 독으로 치료한다[이독제독(以毒制毒)).’ 또는 ‘ 열은 열로 다스린다[이열치열(以熱治熱)]’ 라는 우리 조상들의 지혜를 빌려 ‘ MICE는 MICE로 홍보한다.’ 는 전략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여수시의 해양관광상품을 홍보하는 다양한 방안이 있겠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MICE 산업 관련 전문 인력 등을 확보하여 회의 인프라 및 소프트웨어를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등 해양관광상품 개발 및 홍보 등의 MICE를 개최하는 것이 과제를 시급히 해결하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사실들을 고려하면서 본 연구는 여수시 해양관광상품 등 여수시를 홍보하기 위해서는 MICE 행사 개최를 통해 이를 달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분석하고 있다. 더 나아가 MICE 산업을 육성하는 등의 일거양득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해양관광상품을 효과적으로 홍보하는 방안을 MICE 산업 활용으로 접근하는 역발상을 제시하였다. 즉, 여수시의 해양관광상품을 홍보하기 위해서는 MICE 행사를 개최하여 홍보하고, 이것이 다시 여수시의 MICE 산업을 육성하는 등 선순환되는 과정을 제시한 것이다. 결국 여수시의 다양한 해양관광상품이 관련 MICE행사를 통해 효과적으로 홍보되고 이런 과정 속에서 여수시 MICE 산업이 발전한다는 ‘ 선순환 전략’ 은 본 연구자의 발상의 전환이자 아이디어이다. 뉴미디어 시대에 가장 효과적인 홍보수단 중의 하나는 MICE 산업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MICE 산업을 뉴미디어, 즉 새로운 매체로 인정하여 홍보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는 기업이나 단체, 국가 등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Jeollanam-do, which does not have many large-scal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s, is concentrating on the MICE industry, mainly in Yeosu. Yeosu City has improved its incentive system to attract attention as a MICE city with conference accommodations, tourism experience contents, and marine tourism products centered on the Yeosu Expo Convention Center. In other words, the plan is to increase local interest and help the local MICE industry promote marketing through an incentive system for holding MICE.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suggest a way to promote marine tourism products developed by utilizing marine ecotourism resources and contents possessed by Yeosu City using MIC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intensively analyzed that the method of effectively promoting Yeosu marine tourism products utilizing the MICE industry of Yeosu is a way to revitalize the MICE industry of Yeosu. Through this, three promotional methods were suggested. First, continuous efforts are required for the successful hosting of the 2026 Yeosu World Islands Expo. Second, the continuous holding of MICE events related to marine ecotourism in Yeosu was reconsidered. Finally, th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marine tourism products that will create time and space linked to the development of dynamic tourism routes were presented. This means that, in the end, it is necessary to approach domestic and foreign MICE officials through various MICE events such as online briefing sessions to promote customized Yeosu marine tourism product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environment to attract MICE in the post-corona era. This study analyzes the importance of achieving this through holding MICE events in order to promote Yeosu, such as via marine tourism products. Furthermore, in order to present a strategy of one-to-one wins such as fostering the MICE industry, the reverse idea of approaching the promotion of marine tourism products through the use of the MICE industry was presented. In other words, in order to promote the marine tourism products of Yeosu, MICE events were held and promoted, and this presented a beneficial cycle, such as fostering the MICE industry in Yeosu. In the end, the ‘ virtuous cycle strategy’ in which various marine tourism products in Yeosu are effectively promoted and the MICE industry in Yeosu develops in this process is a shift in the thinking and idea of this researcher. This is because one of the most effective means of publicity in the new media era may be the MICE industry. This can also be confirmed from the fact that the number of companies, organizations, and countries that recognize the MICE industry as a new medium is increasing and are using it as a means of publicity.

      • 공공정책의 대 국민 설득커뮤니케이션 전략과 효과에 관한 연구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 분석을 중심으로-

        최선욱 ( Sun Wook Choi ) 한국협상학회 2013 협상연구 Vol.16 No.1

        이명박 정부가 실시한 4대강 살리기 사업이 09년도에 시작하여 11년 완공되었다. 그 동안 국토해양부의 홍보부서에서 지난 3년간 1백억 원이 넘는 비용을 정책홍보 비용으로 사용했으나, 한국언론진흥재단이 2011년 10월 홍보효과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국민의 대다수가 4대강 홍보프로 그램에 대해 모르거나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정책홍보에 사용한 예산에 비해 효과를 보지 못한 것이다. 본 연구는 4대강 살리기 사업에 대한 정부의 설득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실태를 파악하고, 보다 효율적인 정책홍보 전략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그 동안 정부의 설득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대한 분석이나 평가연구는 ‘정부-국민’, ‘정부-언론’, ‘언론-국민’이라는 세 가지 갈림길에서 두 가지 프레임을 연구했으나,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갈림길을 종합해 ‘정부-언론-국민’이라는 통합적 프레임을 가지고 4대강 살리기 정책홍보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부의 4대강에 대한 설득 커뮤니케이션을 유형화하는 한편 한국 언론 진흥재단이 실시한 4대강 광고효과에 대한 국민 설문조사 내용을 재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설득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4대강 살리기 사업 주무부처 홍보담당자들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인식을 조사?분석하는 한편 주무부처를 출입하는 언론사 기자들은 정책홍보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를 설문조사해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4대강 사업 정책홍보는 여론 수렴 및 공론장 형성을 포함하는 치밀한 홍보프로그램설계와 장기적?누적적?동적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제대로 수립하지 않았으며 주로 관례적인 홍보 방법을 채택하였고 홍보 효과에 대한 확인평가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출입 기자들의 설문조사와 홍보 담당관 심층면접에서 이 같은 점을 뒷받침하는 자료들이 도출되었다. 향후 진행될 정부의 대규모 국책사업의 정책홍보 방식은 대대적인 수정이 불가피하며, 향후보다 체계적인 홍보프로그램을 수립하고 이를 위하여 다양한 여론수렴 과정을 거치는 한편 의사결정성, 매체활용성, 유용성을 고려한 보다 전문적이고 효과적인 홍보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The four-river refurbishment project, implemented by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commenced in 2009 and was completed in 2011. During the past three years,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Dept. of Public Relations has spent over \20,000,000,000- on policy advertisement. However,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advertisement effect conducted by Korea Press Foundation on Oct. 2011, the majority of public were either unaware of or had a negative view of the four-river advertisement program. The effect was not in proportion to the budget used by governmental advertisement depar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strategical problems of this government`s persuasive communication regarding the Four-river Refurbishment Project and to search for a more effective policy advertisement strategy. The previous analysis and evaluation studies of the government`s persuasive communication strategy were mainly just two-frame based in relation to the triple crossroads namely, ``Government-Public``, ``Government-Media," and "Media-Public." However, this study attempts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triple crossroads that offers an integrated frame of "Government-Media-Public" in order to conduct a advertisement strategy analysis of the Four-river Refurbishment Project. For this purpose, the persuasive communication of the government`s Four-river Refurbishment Project were first categorized, the public survey results conducted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reanalyzed and its results used as basis for analysing the problems related to an "effective persuasive communication." Furthermore, the perception of the advertisement related personnel of the competent department for the Four-river Refurbishment Project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using an in-depth interview. Also, a survey was conducted on how media reporters, accredited to the competent department, viewed the advertisement strategy in order to study its problem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 that the advertisement strategy for the Four-river Refurbishment Project failed to properly design an accurate advertisement program that includes a sur vey of public opinion and the creation of a forum for public debate on the subject. It also failed to properly establish a long-term, accumulative, dynamic communication strategy. Instead, it choose to follow the customary advertisement method and v er ification study of the advertisement effect was not performed. Results supporting these findings were drawn from surveys of accredited r eporters and in-depth interviews of advertisement related personnels. As a result, extensive modifications to the strategy advertisement methods for future major governmental national policy projects are inevitable. In future, a more systemic advertisement program need to be established and, to do this, diverse public opinion need to be gathered on one hand while a more professional and effective advertisement strategy that takes into account factors such as decision-making, mass-media utilization, and usefulness is needed on the other hand.

      • 부사관 획득을 위한 홍보방안 연구 : 미군의 홍보 전략을 중심으로

        최병욱,강원석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사회과학연구 Vol.35 No.1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군 감축에 따른 부사관 획득을 위한 홍보전 략을 개선하고자 미군의 홍보 전략을 벤치마킹하였다. 이는 출산율 감소 에 따른 병 인력 획득의 어려움과 최근 발표된 군 복무기간 단축에 따른 병사들의 숙련도 감소로 인한 전투력 감소로 인해 국방개혁에 있어 부사 관 인력 획득 연구의 필요성 증대에 기인한다. 국방개혁 기본계획의 요 지는 병사의 수를 줄이고 부사관의 수를 늘이면서 첨단 무기를 도입하여 전투력 보존을 하는 것인데, 부사관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군에서 부사 관의 역할이 중요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단지 수를 늘이는 것이아니라 우수한 자원을 뽑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홍보를 통하여 우수한 자 원의 지원을 유도해야한다. 현재 미군은 전 계급을 모병제로 시행하고 있으며 그 역사 또한 우리보다 깊다. 그렇기 때문에 홍보 전략과 모병 체계가 잘 갖추어져 있다. 미군의 홍보 전략의 핵심은 홍보 타겟을 설정 하는 것으로 설정된 홍보 타겟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통하여 집중적인 홍보를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군의 홍보 전략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하여 미군의 홍보 전략을 분석하고 미군과 군의 차이를 파악하여 군에 맞는 적용방안을 모색하였다. SNS을 통한 홍보 강화, 지방 기관 및 학 교들과의 협력, 육군, 해군, 공군,해병대의 모병 조직을 통합하여 새로운 조직 개편을 시도하고 이를 바탕으로 군에 적용하여 홍보의 효과를 높이 고 우수한 부사관 자원을 획득하기를 기대해본다.

      • 울산광역시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실무적 전략 - 중국 관광객 유치 및 확보를 중심으로 -

        이초양,박재용 한국경영실무학회 2020 한국경영실무학회지 Vol.6 No.2

        21세기는 관광 시대라고 불려도 과언이 아니다. 사람들의 경제 수준 향상과 삶의 질 제고 등으로 생활의 패턴과 양식의 변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처럼 변화되는 사회적 현상은 여행을 통 해 개인의 시야를 넓어지고 다양한 문화 체험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중국은 출국여행 자유화 정책을 실시한 후부터 외국에 나갈 사람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이는 지역의 관광산업 수입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따라서 울산광역시의 2040비전을 위해 프레스티지시티로서 전세계 여행객 최 대 배출국인 중국의 관광객 개발 및 유치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중국 관광시장이 급속하게 성 장하고 중국관광객들 소비트렌드 다변화에 대한 인식을 제고해야 하며, 중국인 관광객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해야한다.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문헌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특히 울산광역시의 현황과 중국 해외여행 관광객의 특성파악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울산관광산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중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관광홍보전략, 차별화된 상품개발전략, 글로벌시대하의 자매결연전략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프레스티지시티가 될 수 있도록 울산광역시로의 중국관광객의 방문을 촉진하는 방향 및 연구결과에 따른 기대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관광유치 전략을 통해 울산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명성 인지도 제도하고 관광 도시로 변화한다.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21st century is an era of tourism. Changes in patterns and styles of life are being carried out rapidly due to the improvement of people's economic standards and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This changing social phenomenon has led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going abroad, especially since China implemented a policy to liberalize departure travel, as travel can broaden individual horizons and provide diverse cultural experiences. This contributes greatly to the local tourism industry's importation. Therefore, for Ulsan Metropolitan City's 2040 vision, it is necessary to seek strategies to develop and attract tourists from China, the largest emitter of travelers worldwide as Prestige City. The Chinese tourism market should grow rapidly and raise awareness of the diversification of consumption trends among Chinese tourists, and make great efforts to attract Chinese tourists. This study basically conducted a literature survey and survey, and in particular analyzed the status of Ulsan Metropolitan City and the characterization of overseas tourists to China. Through this study, we presented a tourism promotion strategy, differentiated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and sisterhood strategy under the global era to attract Chinese tourists to Ulsan tourism industry. In order to become Prestige City, we would like to present the direction of promoting Chinese tourists to Ulsan Metropolitan City and the expected effects of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the tourism attraction strategy, it will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Ulsan economy, establish reputation recognition system, and transform itself into a tourist city.

      • KCI등재

        공공기관의 정책홍보 역량과 효과성에 대한 탐색연구: 대구시교육청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이경훈(李炅壎),황성수(黃成秀) 한국정부학회 2020 한국행정논집 Vol.32 No.4

        이 연구는 정보통신과 미디어(media)의 발달로 인해 공공기관의 정책홍보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환경변화에 맞춰 공공기관의 홍보역량 제고와 홍보효과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기존 언론정보학 분야 선행연구의 측정지표를 공공기관의 특수성에 맞게 공공기관 4대 정책홍보역량체계로 재구조화하여 홍보조직역량을 진단하고, 정책홍보효과성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은 홍보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이에 더해 사례연구로 대구광역시교육청의 12여년의 언론보도현황을 살펴보고 추가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공공기관의 정책홍보역량을 높이는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공공기관의 홍보조직, 인력, 예산체계가 기본적으로 일정 수준 이상 확보되고 이에 더해 적절한 홍보 전략이 운용될 때 홍보효과성에 큰 차별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의 홍보전략 전문가 내부 육성, 지속적인 정책홍보역량 강화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which policy PR competency factors matters, as we face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policy PR with the influx of new media and Internet. From the previous studies, we restructured PR competency into the four policy promotion competency dimensions, fitting the specificity of public institutions to diagnose the competency of public relations organizations and to verify the causality between the effectiveness of policy promotion. The research method, as an in-depth case study, was diagnosed with public relations competency based on the media coverage of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for over 12 years. In addition, an empirical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relations competency of the public relations officers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in Korea. Additionally, FGI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findings from the case study and survey, as well as to address the future direction as policy impli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points out that the PR strategy dimension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effectiveness of public relations because public organizations are mostly secured with a public relations organization, manpower, and budget system. We offer some recommendations such as promoting PR strategy experts in public institutions, and incorporating policy PR or Government marketing into the public administration education.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홍보 전략

        문철수(Chul Soo Moon) 한국광고홍보학회 2005 한국광고홍보학보 Vol.7 No.5

        미디어 기술의 디지털화로 말미암아 기존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의 변화가 야기되면서, 미디어는 다양한 플랫폼을 중심으로 보다 복합적인 구도로 진화되고 있으며, 개인형 미디어와 맞춤형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홍보매체 환경에도 동일하게 적용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아날로그 패러다임에서 홍보 활동이 미디어의 중재적 기능에 의존했다면 디지털 패러다임 하에서는 공중과의 직접적인 관계 설정방식이 부각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인식 하에 본 연구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시대에 적합한 홍보 미디어 활용 방안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주요 조직별 홍보 실무자가 인식하는 디지털 미디어를 이용한 홍보의 필요성, 디지털 미디어의 홍보 활용 정도, 향후 디지털 미디어 활용의 기대감 등을 연구문제로 삼아, 사기업(2개사), 공기업(2개사), 방송사, 홍보대행사, 병원, 대학교, 시민단체, 국가기관 등 10개 조직에서 홍보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했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홍보 실무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홍보의 필요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디지털 홍보전문 인력의 부족과 홍보예산의 부족 등을 조직의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둘째, 현재 홍보에 활용되는 주요 디지털 미디어는 모바일이나 미니홈피, 블로그 등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었으며, 금년부터 시작된 DMB에 대해서는 많은 조직들이 홍보매체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향후 홍보용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기대감은 조직의 성격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여주었지만 대체로 모든 조직들이 높은 기대감을 나타냈다. 하지만 기존의 전통적 홍보매체가 모두 디지털 미디어로 대체되지는 않을 것이므로, 디지털 미디어를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하나로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종합해 볼 때,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부합하는 새로운 홍보 전략 수립을 위해 두 가지의 과제가 수행되어야 하는데, 첫째는 홍보 실무자의 전문화이다. 홍보 실무자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디지털 기술 상황에 적응할 수 있는 홍보전문가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할 것으로 본다. 둘째, 디지털 시대를 대비해 홍보 예산의 증가 및 홍보 업무의 세분화가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Due to the digitalization of media technology, existing paradigms of communication are changing. As personalized and customized media services are spreading, media are becoming more complex structures than ever. These changes can be applied to what is happening in public relations standpoints. Previously public relations matters have depended on arbitrary roles of media to reach the public, whereas it is predicted that public relations matters in a digital generation will focus on direct contacts with the public. Accordingly,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examine appropriate applications to digital communications in public relations. Publicists in private & public firms, broadcasting networks, public relations agents, hospitals, colleges, civil groups, and government branches were interviewed to examine present and future considerations of using digital media in public relations and the importance of using digital media in public relations.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first, publicists highly rated the importance of public relations through digital media. Yet, they pointed out problems with a lack of personnel specialized in digital communications of public relations and a deficit of budget. Second, publicists focus on mobile phones, personalized homepages, and weblogs by the means of using digital media. Also, the DMB service is considered to be another medium for public relations. Third, most organizations showed high interests on the future use of digital media in public relations. But, publicists agree that the use of digital media is another way of communications in public relations rather than a replacement. In summary, there are two ways of adopting digital media in public relation. First, publicists must be trained to be familiar with digitalized media. Second, budget increase and segmented fields within organizations are important priorities in public re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