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도교육청의 혁신학교 정책 분석 : 2019학년도 혁신학교 계획을 중심으로

        박수정(Park, Soojung),박정우(Park, Jeong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9

        혁신학교는 2009년에 경기도교육청에서 처음 도입한 후, 10년이 경과한 현재 대부분의 교육청에서 공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정책이 되었다. 이 연구는 지역의 대표적인 교육정책인 혁신학교 정책의 내용을 파악하고 종합적, 지역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혁신학교 정책의 현황에 대한 이해와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16개 시·도교육청의 2019학년도 혁신학교 계획 문서를 수집하고, 분석 항목은 혁신학교 명칭, 비전, 개념, 가치, 유형, 선정, 행·재정 지원, 구성원 역량 강화, 평가 등 9가지로 설정하여, 주요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 정책의 동형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둘째, 혁신학교 정책 도입 시기에 따른 지역 간 시차가 나타났다. 셋째, 교육감의 성향에 따라 혁신학교 운영방식에 차이가 발생하였다. 넷째, 혁신학교의 구성원의 역량 강화와 지원은 주로 혁신학교의 교원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Innovative schools were first introduced by the Gyeonggi-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n 2009, and 10 years have passed, and as a result, most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al authorities have a common policy. This study provides an understanding and suggestions of the current state of innovative school policy by grasping the contents of the innovative school policy, which is a representative educational policy in the region, and analyzing the overal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For this reason, we collected 16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al authorities’s 2019 innovative school plan and analysis contents were set up in nine categories : name of the innovative school, vision, concept, value, type, selection, financial support, member competency reinforcement, evaluation of innovation schools, and the main contents were systematically analyz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isomorphism of innovative school policy was evident. Secondly, regional differences were revealed depending on when innovative school policy was introduced. Third, the method of operation of innovative schools also differ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perintendent. Fourth, member competency reinforcement and support of innovative school members are mainly provided to teachers of innovative schools.

      • KCI등재

        지속가능한 혁신교육 확산을 위한 학교장의 역량 탐색

        손성호(Son, Sung-ho),류광모(Ryu Kwangmo),이한진(Lee, Han-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4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혁신교육 확산을 위해 혁신학교 학교장에게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도출하고, Borich 요구도 조사를 통해 우선순위를 분석하기 위해서 수행되 었다. 연구결과 혁신학교장들은 마을공동체 네트워킹 협업능력, 혁신적 조직 관리 능력, 혁신교육 철학 순으로 필요하다고 보았고, 혁신학교 교사들은 학교장에게 필요한 역량으로 민주적 리더십, 공감적 소통능력, 혁신교육 철학이 필요하다고 나타 났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학교의 울타리를 넘어 마을과 학교의 협력 관계가 강조되는 측면에서 학교장들은 마을과의 네트워킹 협업능력이 가장 필요하며, 학교조직 전체적인 관점에서 조직관리 역량과 혁신교육철학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혁신학교 교사들 또한 혁신학교의 운영에 있어 전통적인 권위적인 학교장 리더십이 아닌 소통과 공감을 바탕으로 민주적인 운영을 원하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학교장의 혁신교육 철학 역시 교사들의 혁신 동력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량 으로 여겨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competencies are needed for the innovation school principals to disseminate sustainable innovation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novative school principals felt that they need community collaboration networking ability, innovative organizational management ability, and innovation education philosophy. On the other hand, innovation school teachers make much of that they need democratic leadership, empathic communication ability, innovation education philosoph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networking cooperation ability with the village in terms of emphasizing the co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village and the school beyond the school fence, and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capacity and innovation education philosophy are also needed from the viewpoint of the whole school organization. Innovative school teachers also want to run school democratically based on communication and empathy rather than traditional and authoritative way which empathize the principals leadership. It seems to be considered that the principals innovation education philosophy is important in maintaining the innovative power of teachers.

      • KCI등재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교사가 인식한 학교혁신 현황 및 과제: 중요도-수행도 차이분석을 중심으로

        이지연 ( Ji-yeon Lee ),권나영 ( Na Young Kwon ),강지혜 ( Jihye Kang ),오정현 ( Jeonghyeon Oh ),이은배 ( Eunbae Lee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S

        본 연구는 미래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학교혁신의 구체적인 내용과 전략을 설정하기에 앞서 지금까지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온 공교육 혁신의 현황과 과제, 일반학교로의 확산을 위한 시사점을 살펴보기 위해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교사의 학교혁신에 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교육청 관내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1,3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중요도-수행도 분석기법(IPA)을 적용하여 설문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운영, 교원전문성, 교육과정 및 평가, 학교문화, 공간 및 테크놀로지의 5대 학교혁신 영역별로 비교해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일반학교보다 혁신학교에서 학교혁신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혁신과제들을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간 차이가 가장 두드러진 영역은 학교운영과 학교문화로 나타났다. 셋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모든 학교급에서 행정적 지원과 교사협의를 위한 시·공간적 여건 조성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집단 연수, 수업공개 및 협의와 연구결과 및 실천 활동 공유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모두 교육과정 및 평가 영역의 중요도와 수행도가 다른 영역에 비해 높게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일반학교에서 더욱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공간 및 테크놀로지 영역에서는 서로 다른 수업규모로 진행되는 다양한 학습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 유연하고 가변적인 공간이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모든 학교급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한 학교혁신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미래 교육혁신의 방향을 설정하고 학교급과 유형에 따라 차별화된 추진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the Korean public school system to determine the goal and strategies for school innovation in preparation for rapidly changing future. We compared 1350 innovative pilot school and regular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five areas(governance, professional development, curriculum and assessment, school culture, and space/technology) using an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method.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from innovative pilot schools reported higher importance-performance perceptions in all areas of innovation than regular schools teachers. Second, pilot school teachers perceived their school governance and culture as high importance-performance, while regular school teachers perceived them high importance but low performance; thus priorities should be placed on creating democratic organizational systems and participatory culture. Third, all teachers perceived facilitating time and space for voluntary collaboration was more necessary than compulsory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classroom observation. Fourth, curriculum and assessment appeared to be perceived high importance-performance, particularly more in regular schools. Finally, adjustable classrooms conducive to accommodating a variety of activities and capacities are desired by all school types and grades. This study concludes with implications for providing directions and guidance for public school innov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우수등재

        단위학교 혁신과정에서의 학생의 역할에 관한 질적 연구 -경기도 A 혁신고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남미자,이규대,조윤정,정진화 한국교육학회 2015 敎育學硏究 Vol.53 No.1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내 한 혁신고등학교인 희망고등학교를 대상으로 단위학교 혁신과정을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학생들의 역할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희망고등학교의 혁신과정은 갑작스럽게 시작되었고 그로 인한 혼란을 겪었으나 현재는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했다고 요약할 수 있다. 학교 구성원들의 충분한 논의를 거치지 못하고 학교 혁신의 방편으로서 혁신학교를 시작하게 되면서 교사와 학생, 지역사회 모두 혼란을 겪게되었고, 이에 비교과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 부분적인 혁신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과정에서 희망고 학생들은 탁월한 팔로워(follower)의 모습을 나타냈다. 즉, 희망고등학교의 학교혁신은 기존의 입시중심교육에서 벗어난 새로운 교육체제로서 혁신학교에 대한 의지를 가진 교사들에서부터 시작되었고,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학생들이 학교 혁신을 보다 의미 있게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학교 혁신 과정에서 희망고 학생들은 다양한 교육활동 및 학교운영에 적극적인 참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학교혁신의 숨겨진 메커니즘이었다. 그 결과 교사와 학교가 학교 혁신에 박차를 가하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졌다. This study has explored the innovation process of a school and the role of students in the innovative process of Heemang high school in Gyeonggi-do. The results are as follows : The innovation process of the school started abruptly and the staffs and members of school went through confusion. But during the process, they discovered a new possibility. The teachers and principal experienced confusion because they did not discuss fully whether they would accept to be designated as an innovative school. Therefore they tried to reform their school mainly with nonsubject activities, as a result they accomplished a partial innovation. The students went one step forward : they were engaged in the school innovation as an active main agent and demonstrated an excellent followership. The innovation of Heemang high school began by a minority of teachers who longed for a new education system, but the level of the innovation became profound by active and independent students. The students played an active role as the participants in the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and school governance, and they wer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school innovation. As a result, the virtuous circle was created that both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gave an impetus to the school innovation.

      • KCI등재
      • KCI등재

        교사 협력이 교사 만족에 미치는 효과 분석 : 혁신 학교와 일반 학교의 차이를 중심으로

        김혜진,김혜영,홍창남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교사 간 협력 활동이 교사의 교직 만족이나 학교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혁신 학교와 일반 학교의 차이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로는 경기교육종단연구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는 위계적 선형 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 학교와 일반 학교의 교사 협력과 학교 만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혁신 학교가 일반 학교에 비해 교사 간 협력활동 및 학교 만족에 관해 상대적으로 높은 인식을 보여주고 있어, 혁신 학교가 본래의 취지와 목적에 적합한 성과를 거두고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교사 협력이 교직 만족에 미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지만, 학교 만족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혁신 학교와 일반 학교 모두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혁신 학교의 교사 협력이 교사 만족에 주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데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경기도 내 혁신 학교와 일반 학교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는 한계가 있으며, 타 시·도에 위치한 혁신 학교와 일반 학교로 연구 대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사 협력의 형태와 수준, 학습공동체 형성에 기여하는 점 등 교사 협력의 다양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개별 학교에 대한 미시적인 사례 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결과를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ollaboration and teacher satisfaction in Innovativ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using 2nd year data from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Hierarchical Linear Model was used for analysis.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eacher collaboration and school satisfaction in innovative schools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e one in general schools. Second, teacher collaboration was revealed to have no impact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Meanwhile, teacher’s school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eacher collaboration in both innovative and general schoo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novative schools might show positive performance in both in-school collaboration and satisfaction. Considering satisfaction may be connected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it could be proved that innovative schools are managed by their original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eacher collaboration on teacher satisfaction in innovative schools empirically. However, it still needs to perform the statistical analysis on schools in other provinces as well as the case study of individual schools in order to generalize its findings.

      • KCI등재

        경기도혁신학교 운영에 따른 학교체제 변화 연구 :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나효진,안선회 한국교육정치학회 2015 敎育政治學硏究 Vol.22 No.4

        This research is for investigating school system changes according to operation of Gyeonggi-do innovation school. To investigate school system change, a school system change model modified from that of Hoy and Miskel was used.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assumed to have many school system changes was selected as a subject of research. Depths interview was a main research method. Also materials revealed from School-info, internal documents in the school, etc were complemented. The research results showed innovation school operation made notable school system changes. These changes could be the motive power that drew excellent educational attainments. Thus,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make features suggested as Gyeonggi-do innovation school indexes elaborate. In addition, institutional strategies should be provided to be free of the superintendent of schools' inclination and ideas. To build the self management system from principal's leadership, autonomy of the compilation and execution of a budget, recognition of diverse organization of curriculum and demonstraion of flexible authority over human resources should be devised. Lastly, the educational authorities have to provide conditions, circumstances for Gyeonggi-do innovation school that reflect the school's distinct characteristic and the local community's anticipation. 이 연구는 경기도혁신학교 운영에 따른 학교체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Hoy와 Miskel의 학교체제 모형을 수정하여 개발한 학교체제 변화 모형을 활용하여 학교체제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혁신학교 운영 등으로 학교체제의 변화가 많을 것으로 추정되는 경기도 소재 공립 초등학교이고,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심층면접을 병행하였으며,‘학교알리미’에 공개된 자료, 학교의 내부문서 등 양적 자료들을 통해 보완하였다. 연구결과 경기도혁신학교 운영 전과 후‘혁신초’의 학교체제 변화는 눈에 띄게 나타났으며, 학교장이 교감과 함께 주도하고 교사들이 적극 참여한 학교체제의 변화는 높은 교육적 성과를 도출해 내는 원동력이 되었다. 따라서 교육정책 당국은 혁신학교가 성공적으로 확산되고 정착될 수 있도록 경기도혁신학교 지표로 제시한 특성들을 정교화 하여 교육감의 교육적 성향이나 이념에 따라 혁신학교 지정이나 운영이 좌우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또한, 학교장이 충분한 리더십을 가지고 자율경영체제가 구축될 수 있도록 예산 편성·집행의 자율권 부여,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다양성 인정, 경직된 인사권의 융통성 발휘 등 행·재정적 지원이 강구되어야 한다. 그리고 학교의 특색과 지역사회의 요구가 반영된 경기도혁신학교가 운영될 수 있는 여건과 환경을 제공하여야 한다.

      • KCI등재

        혁신학교 ‘도입’ 단계 특성 연구

        맹재숙,박수정 한국교육개발원 2021 한국교육 Vol.48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itiation phase of the Hyukshin School, which is the one of the institutionalized school innovation policies. The distinction of ‘Initiation’ phase is based on Fullan(2016)'s school innovation process. We explored how the related factors of the initiation phase, which are information accessibility, advocacy from Administrators, teacher advocacy, and policy environment appear in schools. Approach: In order to establish the research purposes, data were collected for three months from late August to December 2019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FGI), interview with principals, and artificial collections. Finding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Hyukshin Schools fully accepted the framework present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to set up an agenda, and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a “Christmas tree school” focusing on planning various program. In addition, they were busy seeking information on best practices and models outside the school rather than in-school. The principal of the school was a gatekeeper who enabled the rapid transition to Hyukshin School mode, and teachers showed signs of empathy and support for the good leader's attitude. Valu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propose the following: The Office of Education should present roughly outlined tasks presenting the fundamental values and orientations of innovation and support schools to produce the information for “our school” innovation. In addition, the Office of Education should support and encourage schools to create a big flow during the initiation phase by utilizing the principal’s leadership. 이 연구의 목적은 제도화된 학교 혁신 정책의 하나인 혁신학교 운영의 도입(initiation) 단계에서 나타난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도입 단계란 Fullan(2016)의 학교혁신 프로세스에 근거한 구분이며, 혁신학교 도입 단계에서 혁신의 내용, 정보 접근, 교장의 지지, 교원의 지지, 정책 환경 등이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A교육청에서 추진한 혁신학교 1, 2년차에 운영을 시작한 10개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2019년 8월 말부터 12월까지 약 3개월 동안 교육청 정책담당자・혁신학교 운영위원・혁신학교 업무담당자 FGI(focus group interview), 교장 면담, 학교 방문, 인공물 수집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입 단계에서 학교 내부 주체들은 교육청에서 제시한 틀을 전면 수용하여 학교혁신의 과제(agenda)를 설정하였고, 다수의 프로그램 운영 계획에 초점을 둔 ‘크리스마스트리 학교(christmas tree school)’의 특성을 보였다. 또한 ‘여기(in-school)가 아닌 저 다른 곳(out there)’, 즉 학교 밖 우수 사례나 모델 등에 관한 정보를 구하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였다. 학교장은 혁신학교 모드로의 빠른 전환을 가능케 하는 문지기(gatekeeper)였으며, 교사들은 좋은 리더의 태도에 공감하고 조력하는 참여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육청은 혁신의 기본 가치와 지향점을 제시하는 정도의 대강화 과제를 제시하고, ‘우리 학교’ 혁신을 위한 정보가 학교 안에서 생산되도록 지원하며, 학교장의 에너지를 활용하여 도입 단계에서 큰 흐름을 만드는 방법을 고려할 것을 제언하였다.

      • 혁신학교 교원의 학교 교육활동에 대한 참여의식 분석

        최준렬(Joon Yul Choi)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연구 Vol.37 No.1

        본 연구는 혁신학교 교원의 학교 교육활동에 대한 참여의식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혁신학교는 교원들에게 권한을 위임하여 자발적으로 학교를 경영하도록 하여 학교를 개선하려는 모델학교이기 때문에 교원의 참여의식이 대단히 중요하다. 충청남도에서 혁신학교를 4년 이상 운영한 경험이 있는 학교의 교원에게 참여의식을 질문지를 통해 조사한 결과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교원 160명이 응답하였다. 조사하여 분석 결과, 혁신학교가 학교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5점 만점에 4.28점으로 응답하여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혁신학교에 응답의 74.4%가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나 교사들의 31.3%는 수동적으로 참여하고 있었다. 혁신학교에 참여하는 이유로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활동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67.5%가 응답하였다. 혁신학교 발전을 위해서 교사들은 민주적 의사결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관리자들은 배움중심의 수업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부장 교사들은 학교업무 최적화가 중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편이었다. 응답자들은 혁신학교이기 때문에 민주적 협의문화, 학교업무 최적화, 전문적 학습공동체, 배움 중심의 수업 등이 가능하다고 답하였다. 혁신학교는 교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학교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혁신운동이다. 혁신학교의 교원들이 혁신운동에 대부분 공감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나 일부의 교원은 이런 정신에 공감하지 못하고 수동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혁신학교가 추구하는 학교 중심의 자율적인 공교육 혁신의 모델이 되기 위해서는 혁신학교에 공감하지 못하는 교사의 문제를 인식하여 이를 개선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articipation consciousness of innovative school teachers. Since innovative schools are model schools that try to improve schools by delegating authority to teachers to manage schools voluntarily, so the teachers' consciousness of participation is very important. 160 teachers from kindergartens, elementary schools, and middle schools that operated innovative school for more than four years in Chungcheongnam province responded to the survey questionnaire about consciousness of particip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eed of innovative schools for school development was strongly recognized by responding with 4.28 points out of 5. 74.4% of respondents answered they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innovative schools, but 31.3% of teachers answered they participate passively. 67.5% answered that the reason for participating in innovative schools is because they provide students with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For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schools, teachers considered democratic decision-making important, and managers recognized that learning-oriented classes are important. Senior teachers had a higher percentage of responses that optimizing school work was important. Participants responded that since it is an innovative school, democratic consultation culture, school work optimizatio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learning-oriented classes are possible. The innovative schools are an innovative movement in which teachers voluntarily participate in solving school problems. Most of the teachers of innovative schools agree with an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innovative movement, but some teachers do not agree with this spirit and participate passively. In order to become a model for autonomous school-centered public education innovation pursued by innovative schools, efforts should be made to recognize and improve the problems of teachers who do not agree with innovative schools.

      • KCI등재

        광역형 혁신⁺학교 교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임명희 교육종합연구원 2023 교육종합연구 Vol.21 No.4

        이 연구는 광역형 혁신+학교에 근무하는 혁신부장 교사의 혁신학교 성장과 변화에 대한 경험과 의미를 밝히기 위해 내러티브 연구를 하였다. 광역형 혁신⁺학교는 전라북도 교육청이 혁신학교 중에서 혁신교육 거점역할이나 참학력 기반 교사교육과정 연구 및 개발을 목적으로 초등학교 3개교, 중학교 1개교, 그리고 고등학교 1개교 등 5개 학교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학교의 혁신부장 교사 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연구참여자별로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Clandinin과 Connelly가 제안하는 내러티브 절차로 이루어졌다. 연구문제는 첫째, 혁신학교 운영과정에서 혁신부장들이 겪었던 다양한 교육경험은 무엇인가? 둘째, 혁신학교 운영에 있어서 구성원들에 대한 믿음과 공감은 어떠했는가? 셋째, 혁신부장들이 경험한 혁신학교 성장동력은 무엇이었는가? 그리고 혁신학교의 성장을 위해 극복해야 할 일들은 무엇인가? 이 연구는 혁신부장의 혁신교육 경험을 바탕으로 혁신학교 발전 방안 및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다. This study conducted a narrative study to reveal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the growth and change of innovation schools of teachers working in wide-area innovation + schools. The Jeollabuk-do Office of Education selected five schools, including three elementary schools, one middle school, and one high school, for the purpose of researching and developing an innovative education base or a teacher curriculum based on true education. In this study, five teachers from the innovation department of these school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ach research participant.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conducted with a narrative procedure proposed by Clandin and Connelly. The research question is, first, what are the various educational experiences experienced by innovation managers in the process of operating innovation schools? Second, what was the belief and empathy for the members in the operation of the innovative school? Third, what were the growth engines of innovative schools experienced by the innovation chiefs? And what are the things to overcome for the growth of innovative school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measures an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schools based on the innovation education experience of the head of the innovation depar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