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헌신에 영향을 주는 변인 탐색 연구

        김혜진(Hye jin Kim),양진희(Jin hui Yang),이쌍철(Ssang cheol Lee),손유진(Yoo jin Sh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사헌신이 가지는 중요성에 주목하여 교사헌신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사헌신을 교사가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특정한 대상에 관해 갖는 심리적 유대로서 정의하고, 헌신의 대상에 따라서 수업에 대한 헌신, 유아에 대한 헌신, 조직에 대한 헌신 등 3개의 하위변인으로 구성하였고, 교사의 개인적 차원에서의 변인으로 배경변인(연령, 경력, 직위, 학력)과 심리적변인(개인적 교사효능감, 직무만족)을 조직적 차원에서의 변인으로는 직무환경변인(보상정도, 전문성 성장 기회)과 사회관계적 변인(원장에 대한 신뢰, 부모와의 협력)을 독립변인으로 구성하였다. B광역시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330명을 임의표집하여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변인들을 단계적으로 투입하여 설명량의 증가여부를 판단하여 효과를 검증하고자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 그리고 부모와의 협력은 교사헌신뿐만 아니라 3개의 하위변인인 수업헌신, 유아헌신, 조직헌신에도 모두 유의미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중에서도 직무만족의 표준화회귀계수는 모든 분석결과에서 높게 나타나, 교사헌신과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이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원장에 대한 신뢰는 조직헌신에 영향을 주고 있으나 유아헌신과 수업헌신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 개인적 심리변인이 유아교사의 헌신에 주는 영향력이 규명되었다. This study focuses on exploring variables influencing teacher commit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 commitment, as a dependent variable, means a psychological connection with a specific object which teachers consider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s consist of person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working conditions,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a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independent variables and teacher commitment(commitment to class, children, and organization).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nput independent variables sequentially and find their effects on teacher commitment. As a result,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cooperation with parents a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eacher commitment and its three sub-variables. Specifically, job satisfaction shall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other variables, since its coefficient is the largest. In contrast, trust to the principal was verified as insignificant, showing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중년부부가 지각하는 성장 시 부모의 헌신이 노부모 수발헌신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자녀 간의 친밀성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이원준 ( Won June Lee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가족복지학 Vol.37 No.-

        연구는 대구 및 경북 지역에 거주하는 중년부부 257쌍(514명)을 연구대상으로 성장 시``부모헌신``, 부모와 성인자녀의 ``친밀성``, 그리고 노부모를 위한 ``수발헌신``간의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통하여 밝혔다. 성별비교 분석을 위해서 다집단 분석과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성장 시 부모헌신``은 중년 부부의 노부모 수발헌신에 직접효과를 주지 못하였다.``부모와 성인자녀의 친밀성``은 노부모 수발헌신에 매우 강한 직접효과를 주었을 뿐만 아니라,``성장 시 부모의 헌신``이 ``노부모 수발헌신``에 영향을 줄 수 있게 하는데 결정적인 완전매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이 실증적으로 입증되었다. 자녀를 위한 ``부모의 헌신``자체는 성인자녀들이 노부모``수발헌신``에 직접효과를 미치지 못했지만,``성장 시 부모의 헌신``은 결혼하여 자신의 가정을 가진 중년의 성인자녀와 부모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이 밝혀졌다. 노부모와 성인자녀의 ``관계``가 ``호혜성``을 작동시킬 수 있는 핵심적인 기제(mechanism)가 된다는 사실이 실증적으로 입증되었다. 모형에서 설정된각 경로계수 값은 중년남편집단과 중년아내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는 입증되지 않았다. 중년남편과 아내 간에 ``성장 시 부모헌신`` 및 ``부모와 성인자녀의 친밀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자신의 노부모를 위한 ``수발헌신``수준에서는 중년남편이 중년아내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주요 발견점을 토대로 시사점과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257 middle-aged couples residing in Daegu or Kyungpook Provi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 that (1) the positive direct effect of parental dedication received during childhood on the middle-aged adult offspring`s intimacy toward their parents; (2) the positive effect of middle-aged adult children`s intimacy toward their parents on their care-giving commitment to their parents. We failed to find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prior parental dedication during childhood and the offspring`s later care-giving commitment to their elderly parents. However, we did verify the significant full mediating effect of the intimacy between adult children and their parents; (3) the parental dedication of parents during their children`s youth does not directly influence their children`s later care-giving commitment towards them. However, we do find indirect influences of said parental dedication on adult offspring`s care-giving commitment to their elderly parents via the full mediator of the intimacy between said offspring and their elderly parents.

      • KCI등재

        교사헌신의 영향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정광희,박상완,김병찬 한국교육개발원 2009 한국교육 Vol.36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s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eachers' commitment. The in-depth interview method and life history (graph) analysis method were adopted to find the influential factors, which were then categorized into person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In order to analyze the traits of highly professional and committed teachers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m, 48 teachers, of 144 teachers chosen on the recommendation of municipal and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were chosen for in-depth interviews. The life history analysis showed that though teachers' commitment increased according to their teaching career, many other factors influenced teachers' commitment, either thwarting them or encouraging them. Highly committed teachers' life history pattern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1) teachers' commitment continuing and being sustained from the beginning of their teaching careers, 2) teachers' commitment increasing as their teaching careers developed, and 3) teachers' commitment decreasing, especially when teachers were in their fifti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12 influential factors were deduced: the five personal factors included 1) enthusiasm for the teaching profession, 2)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3) confidence and interest in subject matter and teaching, 4) teaching career, and 5) family and physical factors; the seven environmental factors included 1) other teachers as role models, 2) school administrators, 3) outcomes and intrinsic rewards, 4) autonomy in performing the duties, 5) development of expertise or learning opportunities, 6) promotion system and incentives, and 7) other factors such as educational policy, media, and social factor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nner stimulation and motivation of teachers were among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teachers' commitment. Based on this result, several policy suggestion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교사들의 교직 생애 발달 과정에서 교사헌신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이러한 요인이 개별 교사의 교직 생애 발달과정에서 어떻게 나타나며, 이는 향후 교원정책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사헌신 영향요인과 교사헌신 발달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16개 시·도교육청으로부터 학교급별로 각 3인의 헌신적인 교사를 추천받아(총 144명), 교사헌신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이들의 교직 생애발달을 조사하고(105명 응답), 추천 대상 교사 중 48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의 교직 생애 전 기간을 통해 교사헌신이 전반적으로 상승하고 있지만, 다양한 요인에 의해 교사헌신의 침체기와 상승기가 반복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헌신적인 교사의 생애발달 특성은 대체로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는데 첫째, 교직입문 초기부터 헌신 수준이 높으며 대체로 큰 변화 없이 높은 헌신 수준을 유지하는 경우, 둘째, 기복이 있기는 하나 교직경력이 늘어남에 따라 헌신도가 상승하는 경우, 셋째, 교직경력 후반기에 헌신이 저하되는 경향을 보이는 경우 등이다. 또 이러한 교사헌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 중 개인적 요인은 1) 교직 사명감과 자신감, 2) 교사의 인성적 특성, 3) 교수 및 전공 교과에 대한 자신감, 4) 교직경력, 5) 가정생활로, 환경적 요인은 1) 역할 모델로서 동료교사, 2) 학교 관리자 요인, 3) 결과 성취와 심리적 보상, 4) 직무 및 교수활동 수행의 자율성, 5) 전문성 개발 및 학습기회, 6) 승진제도, 7) 기타 정부정책, 언론, 사회적 요인 등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학교 관리자의 리더십 개선, 교사 전문가 공동체의 지원과 활성화, 교사 멘토링 특히 교직 초반기, 신임교사에 대한 멘토 제도의 강화 등을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교사 헌신의 재개념화

        홍창남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09 교육혁신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교직사회에 적합한 교사 헌신의 개념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탐색적 수준에서 대답을 모색하였다. 교사 헌신의 개념을 규정하기 위해 본 연구는 헌신의 본질과 헌신의 대상을 구분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헌신의 본질과 관련하여, 태도적 접근과 행위적 접근이 별개의 개념이라는 인식 하에, 교사 헌신 개념을 정의하는 데에는 태도적 접근을 취하는 것이 타당하며, 그 개념적 속성으로는 인지적 측면, 정의적 측면, 행위적 측면의 세 가지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는 점을 밝혔다. 한편, 헌신의 대상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수업, 학생, 학교조직의 세 가지를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교사 헌신은 교사가 수업, 학생, 학교조직에 대하여 갖는 인지적 측면의 가치 인식, 정의적 측면의 동일시, 그리고 행위적 측면의 관여의 정도로 규정되었다.

      • 캡슐내시경 영상 딥러닝을 위한 색상 유사도 기반의 클래스 레이블링 기법

        박예슬 ( Ye-seul Park ),황규본 ( Gyubon Hwang ),이정원 ( Jung-won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2

        캡슐내시경 검사는 일반내시경으로는 관찰하기 힘든 소장 기관을 관찰할 수 있어 최근 환자들 사이에서 수요가 늘고 있는 검사 방법 중 하나이다. 이와 같은 캡슐내시경으로부터 병변에 대한 의료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데, 최근에는 캡슐내시경 영상의 학습을 통해 이를 자동으로 획득하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캡슐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위장관의 개략적인 위치(위, 소장 등)를 파악하거나, 캡슐내시경 영상으로부터 관찰될 수 있는 병변(폴립 등)을 검출하기 위해 영상의 학습이 수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캡슐내시경의 방대한 영상 프레임 중에서 병변에 대한 영상은 극히 일부분이기 때문에, 기존 학습 영상의 클래스(레이블)는 다양한 병변에 대한 정의나 영상에서 확인될 수 있는 구체적인 속성이 고려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캡슐내시경 관련 표준(MST, CEST)에서 정의하고 있는 주요 병변 정보에 대한 색상 유사도 분석을 통해, 출력층에서 활용될 수 있는 클래스 레이블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유사한 특성을 보이는 영상의 구분을 통해 세부적인 클래스 레이블링을 수행하여 체계적인 학습 모델의 설계를 가능케한다.

      • KCI등재

        교회학교 교사의 헌신에 대한 연구

        박은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3 기독교교육논총 Vol.34 No.-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commitment with other related concept of commitment such as, organization commitment,teacher commitment, religious commitment, and church school teacher commitment to stimulate and strengthen commitment of church school teachers. It is also to explore the objects of commitment and variables to influence on commitment. Based on this, it is to suggest the implication to Christian educational context. Commitment is a practical concept. It has been used to analyze individual and behavior of organization. There are many studies on organization commitment. Organization commitment is similar to involvement, royalty, and attachment. It is a will to stay in an organization. There are attitudinal approach and behavioral approach on this. Its objects are value, job, CEO, co-workers, customers, career,organization and etc. Teacher commitment is from the concept of professional commitment. Its objects are teaching itself, students, and school organization. The frequency of church attendance, prayer, Bible reading, meditation, and participation in church group activities are included in measuring religious commitment. We need to understand the commitment of church school teachers in two aspects-calling in God’s view and volunteerism in humans’ view. Its objects are God, students, educational content, and teaching skill. The more these four are overlapped, the more committed teachers can be. Variables which influence on commitment are personal characteristics,job satisfaction, professionalism and sharing knowledge, recognition about learning, emotional aspect, participation of physical and sports activities, occupation length,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organization. Based on those empirical studies,this study suggests three aspects of applications-teacher recruiting,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teacher organization. 본 연구는 교회학교 교사의 헌신을 촉진하고 강화하고 지속시키기 위해 헌신의 개념에 대해 다른 관련 개념들-조직헌신, 교직헌신, 종교적 헌신, 교회학교 교사의 헌신-과 비교하여 살펴보고, 헌신의 대상과 헌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차원적인 접근을 통해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의 헌신을 위해 사역현장에 적용할 점들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헌신이란 용어는 실천적 특성을 나타내는 용어로 개인과 조직행위를 분석하기 위한 개념으로 쓰이다가 조직헌신이라는 개념을 사용하면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조직헌신이란 관여, 충성심, 애착 등과 유사한 개념으로 조직 구성원들이 남아 있게 하는 요인,개인이 조직에 계속 있으려는 의지를 말한다. 행위적 접근과 태도적 접근으로 조직헌신에대해 이해할 수 있다. 조직헌신의 대상은 가치, 직업, 경영자, 소유자, 일선 종업원, 고객,직무, 조직, 노동조합 등 다양하다. 교직헌신이란 전문적인 헌신의 개념에서 나온 개념으로 학교조직에 대한 헌신에 교과목과 교직 자체, 학생에 대한 헌신으로 학교 목표 및 가치에 대한 개별 교사의 심리적 동일시와 조직 구성원의 신분을 유지하고 개인적인 이해를 뛰어넘어 직무에 전념하고자 하는 교사의 의지라고 정의한다. 종교적 헌신에 대한 정의도 다양하다. 측정 하위 요인으로는 종교적 가치, 신념, 실재에 충실한 정도와 매일의 삶에서 그것들을 사용하는 정도 등이있다. 교회 출석의 빈도수, 기도와 성경읽기의 빈도수, 묵상의 빈도수, 교회의 그룹들과 활동에 참여하는 것 등으로 측정하기도 한다. 교회학교 교사의 헌신은 하나님의 관점에서 소명적 차원과 인간의 관점에서 자원봉사자로서의 차원을 함께 이해해야 한다. 교회학교 교사의 헌신의 대상은 하나님, 학생, 교육내용, 가르치는 기술 등이다. 이 네 가지 관계가 중첩될수록 헌신적인 교사이다. 헌신에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적인 특성, 직무만족도, 전문성 및 지식공유, 학습의 필요에대한 인식, 감성지능, 스포츠 활동이나 신체활동, 재직기간, 학력, 직무, 학교 특성 등이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의 헌신을 위한 사역 현장에 적용할 점을 헌신의 대상별, 교사 선발 시, 그리고 교사 교육의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 KCI등재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리더십과 교사 임파워먼트가 유아교사 헌신에 미치는 영향

        고정리(Ko Jeo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7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리더십과 교사 임파워먼트가 유아교사 헌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에 소재한 어린이집 교 사 212명이다. 어린이집 교사 212명을 대상으로 원장의 서번트리더십과 교사 임파워 먼트, 헌신에 대해 검사하였다.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리더십과 교사 임파워먼트, 유아교사 헌신검사 도구는 선행연구에서 활용된 도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이를 근거로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Statistics 20 for Windo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Cronbach s α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공차 (Tolerance), 분산팽창지수(Variance Inflation Factor, VIF), 상관계수 등을 실시하 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치원장의 서번트리더십 및 교사 임파워먼트와 교사헌신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은 유아교사 헌신 하위변인 가운데 유아에 대한 헌신, 수업에 대한 헌신, 조직에 대한 헌신 순으 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 임파워먼트는 유아교사 헌신 하위변인 가운데 수업에 대한 헌신, 유아에 대한 헌신, 조직에 대한 헌신 순으로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임파워먼트 하위변인 중 자율성의 요소 는 오히려 교사의 헌신을 낮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nd teacher impowerment on early childhood teacher devo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ubject were 212 early childhood teacher who worked gyeong sang nam do.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and used for the collection of data. To analyze effect of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nd teacher impowerment on early childhood teacher devotion, questionnaires restructed from existing questionnaires for this study purpose were used. SPSS statistics 20 for window program, Cronbach s α verification,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lerance, Variance Inflation Factor, (VIF),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teacher impowerment and early childhood teacher devotion were correlation relation positively. Second,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effected on in regular sequence, devotion for early childhood, devotion for instruction, devotion for organization . positively. Third, teacher impowerment effected on in regular sequence, devotion for instruction, devotion for early childhood, devotion for organization . positively. but, autonomy of teacher impowerment subfactor effected on teacher devotion negatively.

      • KCI등재

        중년 딸이 지각하는 부모헌신이 노부모 신체부양에 대한 정서적, 규범적 헌신에 미치는 영향

        이원준(Won June Lee),신성자(Sung Ja Shi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3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1 No.4

        본 연구는 중년기혼여성 456명을 연구대상으로 노부모 신체부양에 대한 규범적 헌신 및 정서적 헌신과 관련요인들의 직ㆍ간접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Amos 19와 Mplus 6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신체적 부양에 대한 ‘정서적 헌신’과 ‘규범적 헌신’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인들의 직ㆍ간접효과에는 다소 상이한 양상이 발견되었지만, 취업집단과 미취업집단 간에는 동일한 양상이 발견되어, ‘취업여부’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부모헌신’은 중년 딸의 부모신체부양에 대한 ‘정서적 헌신’에 직접효과를 미치지는 않았으나, ‘부모-자녀 친밀성’ 또는 ‘부양부담감’을 완전매개로 각각 신체부양에 대한 ‘정서적 헌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부모헌신’은 부모신체부양에 대한 ‘규범적 헌신’에는 정적 직접효과를 미쳤고, ‘부모-자녀 친밀성’은 부분매개역할을 하였다. ‘부양부담’은 신체적 부양에 대한 ‘정서적 헌신’에는 부적 직접효과를 미쳤지만, ‘규범적 헌신’에는 유의한 효과를 미치지 못했다. 잠재평균분석 결과, 모형에 포함된 취업집단과 미취업집단의 잠재변인들(부모헌신, 부모-자녀 친밀성, 부양부담, 정서적 헌신, 규범적 헌신)의 평균에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함의를 모색하면서 논의하였다. Our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456 married women, residing in Daegu or Kyungpook Province. This study aims to verify (1) the direct effects of the prior parental dedication to daughters during childhood on the middle-aged daughters` later emotional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physical caring-giving to their elderly parents who can not perform day-to-day activities; (2)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the intimacy between middle-aged daughters and their elderly parents, and the burden of physical care-giving, on the influence of prior parental dedications on the middle-aged daughters` emotional commitment of or normative commitment of the physical care-giving to their elderly parents; (3)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employment status on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major variables in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In order to address our research question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using Amos and Mplus is explored. The indirect mediators are verified based on (bc)bootstrapping analysis using Mplus. The moderating effects are verified based on the multiple group analysis method. Some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based up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 KCI등재

        중등 현직 교사의 교직 선택 동기 및 헌신 연구

        강미옥 ( Kang Mi-ok ),박빛나라 ( Park Bitnara Jasmine ),이정애 ( Lee Jeong-a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교사교육연구 Vol.58 No.1

        본 연구는 전라북도 및 경인지역 중고등학교 교사 493명을 대상으로 교직 선택 동기 및 교사 헌신 간의 관계를 밝히는 데 중점을 두었다. 먼저 Watt & Richardson(2007, 2008)의 교직 선택 요인 모델[Factors Influencing Teaching Choice]과 Allen & Meyer(1990, 1991)의 조직 헌신의 삼중 모델[Three-component Mod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한국적 상황에서 검증하였고, (1) 교직적성, (2) 사회적 영향력, (3) 소득 및 복리 후생, (4) 대안적 직업, (5) 이전 교수 경험, (6) 업무 복잡성 및 과중성, (7) 부정적 변인, (8) 감정적 헌신(교직), (9) 지속적 헌신(교직), (10) 규범적 헌신(교직 및 학교), (11) 감정적 헌신(학교), (12) 지속적 헌신(학교) 등 12개 요인을 확정하였다. 교직 선택 동기 및 헌신의 세부 요인별 결과 산출의 기대치를 살펴본 결과, 업무 복잡 및 과중성, 사회적 영향력, 이전 교수 경험, 교직에 대한 감정적 헌신의 평균값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확정된 12개 요인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거의 모든 요인들이 서로 밀접한 상관을 보였으며, 특히 교직 적성과 교직에 대한 감정적 헌신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또한 교직 적성과 교직·학교에 대한 규범적 헌신의 상관 역시 높은 편이었으며, 사회적 영향력과 교직에 대한 감정적 헌신, 사회적 영향력과 교직·학교에 대한 규범적 헌신 역시 상관도가 높았다. 참가자의 성별, 교육경력, 학교 급(중학교 대 고등학교), 학교 설립 근거(국공립 대 사립), 주 전공 교과목 등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교직 선택 동기 및 교사 헌신의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이후 특히 능력 있고 헌신적인 교사 선발 및 수급에 관심 있는 학자, 연구자, 정책담당자들에게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validated the underlying factor structure of the Factors Influencing Teaching (FIT)-Choice survey (Watt & Richardson, 2007, 2008) and the Three-component Mod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llen & Meyer, 1990, 1991) in the South Korean context. Using these models, we extracted and validated 12 factors that represented 493 secondary in-service teachers’ choice of teaching as a career and her/his commitment to teaching: (1) aptitude for teaching (self-perception of teaching abilities), (2) social influence, (3) task return (salary and benefits), (4) teaching as an alternative choice, (5) prior teaching experience, (6) task demand (high demand and complexity), (7) negative factors (fallback), (8) affective commitment (teaching), (9) affective commitment (school), (10) continuance commitment (teaching), (11) continuance commitment (school), and (12) normative commitment (teaching & school).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correlations among latent constructs extracted from the surveys demonstrated higher values on and strong interrelations between task demand, social influence, prior teaching experience, and affective commitment to teaching. Our analysis found strongest relationships between aptitude for teaching and affective commitment to teaching among secondary in-service teachers. W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1) between aptitude for teaching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eaching and the school, (2) between social influence and affective commitment to teaching, and (3) between social influe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eaching and the school. Responses to the survey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ivation by maj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teaching context (middle vs. high school), teaching subjects, and years of experience. Based on these data analysis, we argue that policy makers, politicians, education researchers, and others who care about recruitment and retention of highly qualified teachers need to make efforts to improve ways to recruit teachers with strong aptitude for teaching, to give in-service teachers various opportunities for social influence, and decrease task demands of in-service teachers, especially middle school teachers.

      • KCI등재

        교회학교 교사가 인지한 팀효과성이 교육부서 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 교육부서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함영주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2

        본 연구의 목적은 교회학교 교사가 인지한 팀 효과성이 만족도를 매개로 부서 헌신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한국교회의 교회학교 성장 하락세는 이미 오래전에 시작되었으며 이러한 쇠퇴를 극복하고 다시 성장의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교회의 내부적인 움직임이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교회학교 성장을 위한 내부요인 중에 교회학교 교사의 역할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교회학교 교사는 학생들의 영적인 성숙과 성장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특히 교사의 리더십 역량은 교육부서에 대한 만족도와 헌신도를 높여주고 이것이 학생지도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동안 교회학교 교사의 리더십에 대한 논의는 개인리더십에 초점 맞추어져 왔다. 그러나 부서 내에서 교사의 팀 사역에 대한 효과성은 자신이 섬기는 부서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주고 더 나아가 헌신도에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팀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이미 정부조직이나 일반 기업에서 활발하게 연구되어온 주제이다. 대부분의 연구결과는 팀효과성이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게 하고 생산성을 높여준다고 보고하고 있다. 일반 학교 내에서도 팀효과성은 긍정적인 교육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보았다. 이에 반하여 기독교교육의 영역에서는 팀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그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 않은 실정에 있다. 다만 부서 내에서의 팀워크가 부서의 운영 효율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회학교 부서 내에서 교사가 가진 팀 효과성이 부서 만족도를 매개로 부서 헌신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양적연구 방법으로 시행되었는데 서울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19개 교회에서 344명의 교사들이 연구설문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교회학교 교사가 인식한 부서의 팀 효과성이 헌신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604) 만족도가 간접매개효과를 보였다(.308). 한편 리더십 강의를 수강한 교사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팀 효과성, 헌신도, 만족도에 있어서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을 기록했으며 경험이 많은 40-50대 교사가 20대 교사에 비해 헌신도와 팀효과성 등이 더 높았다. 이를 토대로 세 가지 중요한 기독교교육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부서가 교사들의 사역만족도와 헌신도를 향상시켜주기 위해서 팀 효과성을 높여주어야 하며 이를 위해 성경이 제시하는 다양한 팀 사역의 모델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회학교 부서 내에서 팀 효과성을 높여주기 위해서 경력이 많은 교사와 경력이 짧은 교사 간에 유기체적인 학습 및 신앙공동체를 형성해 주어야 한다. 셋째, 교회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리더십 교육을 통해 팀효과성을 향상시켜주고 결국 교회학교를 더욱 건강하게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 각 교회에서 진행하고 있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교사 리더십’ 과목을 개설할 것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team effectiveness perceived by church schoolteachers affects their commitment to education departments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 of satisfaction. Although the downturn of church school growth in Korea began long ago, the internal movements of the church have been very active to overcome this decline and advance in the direction of regrowth. The role of church schoolteachers among the internal factors for the growth of church schools is paramount. Church schoolteachers play a key role in students’ spiritual maturity and growth. In particular, teachers’ leadership skills may boost satisfaction with and commitment to education departments, thereby positively affecting student guidance. Until now, discussions on the leadership of church schoolteachers have focused on personal leadership. However, teachers’ perceptions of team effectiveness within their departments may boost satisfaction with their departments and thu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ir commitment. Team effectiveness has already been the subject of active research by government organizations and general companies. Most of the research results have reported that team effectiveness contributes to effective management and increased productivity of organizations. Results also indicate that team effectiveness within regular schools may bring positive educational results. On the contrary, research on team effectiveness has not been actively conducted in the area of Christian education. However, teamwork within departments is believed to affect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departmen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eachers’ perceptions of team effectiveness within the departments at church schools on their commitment to the departments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 of satisfaction with their departm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and 344 teachers from 19 church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survey.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satisfaction showed a mediating effect (.308)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schoolteachers’ perceptions of departments’ team effectiveness and commitment (.604). On the other hand, the group of teachers who took a leadership course had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scores on team effectiveness, commitment, and satisfaction. The experienced teachers aged 40–50 had higher commitment and team effectiveness scores than those in their twenties. Based on this result, three important Christian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proposed. First, education departments should increase team effectiveness to improve teachers’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do so, they should utilize the various models of team effectiveness presented in the Bible. Second, an organic learning system and a community of believers should be formed between experienced teachers and less experienced teachers to increase the team effectiveness within the departments at church schools. Third, team effectiveness should be improved through ongoing leadership training for church schoolteachers, which will ultimately lead to healthier church schools. To do so, we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a “teacher leadership” course in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at are currently in progress in each chu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