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충북지역 향토문화산업 육성방안

        정삼철(Sam-Cheol Jeong) 한국동서경제학회 2007 한국동서경제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향토문화자원의 잠재적 가치와 향토문화산업의 중요성을 올바로 이해하고 인식하여, 이를 산업화함으로써 지역경제 활력제고와 지역발전촉진전략으로 활용되도록 하고자 충북지역 향토문화산업 육성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향토문화는 일정한 지역사회에 사는 사람들이 정신적ㆍ물질적으로 이루어 놓은 일체의 성과물이라 할 수 있고, 향토자원은 일정한 지역사회 범주 내에 내재된 유ㆍ무형의 특성 있는 지역자원 또는 전통자원을 말한다. 그리고 향토문화산업은 일정한 지역사회에서 지역성과 전통성을 지닌 특성 있는 향토문화자원요소를 개발 또는 활용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향토문화 산업은 자원의 투입단계별, 주도산업별, 자원활용별, 사업추진주체별로 유형화 할 수 있으며, 향토문화산업의 발전단계는 생성단계, 조직화단계, 클러스터화단계, 복합화단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충북지역 향토문화산업의 육성을 위해 단계별 맞춤형 육성방안, 안정적 관리체계 구축방안, 성장기반 조성방안 등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단계별 맞춤형 육성방안에서 생성단계에서는 충북향토문화자원발굴조사, 충북향토문화자원 산업화 가능성 진단평가를, 조직화단계에서는 충북향토문화산업 네트워크 채널구축, 충북향토문화산업 브랜드 명품지정운영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클러스터화 단계에서는 충북향토문화산업 기능명장 양성프로젝트 추진, 충북향토 문화비즈니스 컨설팅 지원사업전개, 향토문화산업 전문모델단지개발을, 복합화단계에서는 충북향토문화산업축제의 전략적 육성, 충북향토문화테마마을 개발 등의 사업을 제시하였다. 안정적 관리체계 구축방안으로는 충북향토문화산업 펀드조성과 충북향토문화자원 직접지불제도 도입, 충북향토문화명품 전시판매장 설치운영 등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성장기반 조성방안으로는 충북향토문화자원개발 육성계획 수립, 충북향토문화자원개발협의회 설치운영, 충북향토문화자원개발 및 산업육성에 관한 조례제정 운영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olves suggesting developmental strategic of culture industry in Chungbuk by using potential values and consequence of rural culture resources. Rural culture is total output on physical or spiritual activities in local society. Rural resources are characteristic materiality and immateriality local or traditional resources in local society. Rural culture industry cab\n be defined what creates new values by using and developing regional and traditional rural culture resources. Rural culture industry concretes as classified by input level, leading industry, resource inflection, subject of business promotion. Developmental steps of rural culture industry classify by creating step, organization step, cluster step, complex step and so on. The study proposes concrete plan to 1) Promote Strategy on Stages and Customized, 2) Construction Plan on Stable Management System, 3) Composition Plan in Promotion Basis. In part of Promotion Strategy on Stages and Customized, creating step proposes improvement researching and apprising of industrialization potentialities. It proposes network construction and assigned brand luxury goods administration of rural culture industry in Chungbuk on organization step. And it proposes that promote education project for rural industry master of ability, support business about consulting of rural culture business, develop professional model zone of rural culture industry on organization step. It proposes that promotion strategic festival, develop theme park of rural culture industry. In part of construction plan on stable management system, it proposes that make fund of rural culture industry, introduce direct payment system of rural culture resource, manage luxury goods store. In part of composition plan in promotion basis, it proposes that promotion plan of Chungbuk rural culture resource development, administer Chungbuk rural culture resource development conference, establish law about industry promotion and Chungbuk rural culture resource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지방정부의 향토자원 사업화방안에 관한 연구

        최윤상,김종수,정해동 경인행정학회 2013 한국정책연구 Vol.13 No.1

        현재까지 향토자원을 활용한 각종 사업들은 외형적인 성과에만 치중한 결과 향토자원의 잠재력을 제대로 이끌어내지 못해 단편적으로 끝나버리는 경우가 많았고 지역에 대한 실질적 기여도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토자원은 전통성, 지역성이 강하고 지역주민들의 참여와 지역의 내생적 발전을 선도하여야 하므로 타 사업화 과정과는 차별적인 요소가 존재한다. 향토자원의 성공적인 사업화를 위해서는 여건 분석, 사업계획 수립, 사업비전 수립, 추진주체 구성, 내부 인프라 구축 등에서 세부적인 분석 및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향토자원을 활용하여 사업화를 추진하려는 지방정부가 향토자원의 활용 유형별 사업 아이디어 구성, 사업여건 분석, 사업계획 및 비전 수립, 추진주체 구성, 내부 인프라 구축 등 사업추진 과정에서 필요한 실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방정부 향토자원 사업화 담당자와 향토자원 사업화 사례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고, 조사결과를 기초로 지방정부의 행정적 접근 전략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향토문화자원의 스토리텔링 과정에 관한 연구

        김영순(Kim Young-soon),윤희진(Yun Hee-jin) 인문콘텐츠학회 2010 인문콘텐츠 Vol.0 No.17

        본 연구의 목적은 향토문화자원을 활용한 스토리텔링의 과정을 제안하는데 있다. 특히 인천시 서구 검단지역의 황곡마을의 향토문화자원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본 연구는 향토문화자원을 원천소스로 하는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해 향토문화자원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스토리텔링 하는 과정에 주목한다. 향토문화자원은 한 향토와 그 지역에서 사람들이 창조한 전통성과 역사성을 지닌 일체이다. 아울러 향토문화자원을 활용한 스토리텔링은 지역의 역사성ㆍ전통성ㆍ고유성을 기반으로 하며 향토민들의 정서적인 경험 혹은 실천적인 감성을 기반으로 한다. 또한 향토문화 자원의 스토리텔링은 문화인류학의 현지조사법과 참여관찰법을 비롯하여 민속학의 민담채집 방법 등 인문학적 연구기제들을 활용한 인문콘텐츠학에 바탕을 둔다. 이 연구를 통해 진행된 향토문화자원의 스토리텔링 과정은 자료조사, 자료가공, 스토리텔링 유형결정 단계, 실제 스토리텔링 단계들로 구성되며 이 연구에서는 검단의 황곡마을의 실제 스토리텔링 과정을 제시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storytelling process to take advantage of the native culture resources. Especially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storytelling as the first step for cultural industry development. The Storytelling is the conveying of events in words, images, and sounds often by improvisation or embellishment. Stories or narratives have been shared in every culture as a means of entertainment, education, cultural preservation, and in order to instill moral values. Crucial elements of stories and storytelling include plot, characters, and narrative point of view. In this context Korean traditional Village has a lot of culture resources. Then the resources from village can change to culture contents. In basis of the storytelling, We have a proposal of the possibility that is method discovered cultural contents and applied cultural industry. Native culture resources are resources which ar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has created by native people. Storytelling process is composed this research, database and set type step. There are two types of setting storytelling: A-type has a creative character, and B-type has a character based the historical fact. We presented the real storytelling case for a Hwanggok village located in Incheon Seo-gu.

      • KCI등재

        향토 문화 자료의 자원화 방안 연구

        한동현(Han, Dong-hyu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0 역사문화연구 Vol.36 No.-

        스마트폰, 태블릿 PC, 전자북과 같은 새로운 디바이스의 등장은 탈 종이화 시대로의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제 소비자들은 새로운 디지털 기기를 통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많은 콘텐츠들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따라서 더 많은 콘텐츠가 제작될 필요가 생기게 되었다. 이 만들어져야 할 필요가 생기게 되었다. 역사는 인류 경험과 지식의 보고이며 인간의 삶의 총체성을 담고 있다. 현재를 사는 우리는 과거를 통하여 창의력을 얻고 미래를 준비해 나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역사 자료들은 무수히 많은 콘텐츠로 기획되어 활용될 수 있고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역사 지식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 논문은 이런 문제의식을 가지고 향토 문화 자료를 자원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려고 했다. 자원화라는 용어는 원자료를 콘텐츠 개발의 리소스가 되는 자원으로 전환하는 단계로서 노나카 이치쿠로가 제시한 지식창조 프로세스에 비교될 수 있다. 폴라니는 지식을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암묵지와 암묵지가 외부로 표출되는 형식지로 구분하였다. 노나카 이치쿠로는 이를 발전시켜 암묵지가 형식지로 형식지가 다시 암묵지로 변환되는 네 가지 변환 과정(공동화, 표출화, 연결화, 내면화)을 제시하였다. 필자가 제시하는 자원화 과정은 지식창조 프로세스 중 연결화 과정에 포함되었고, 역사 자료 가운데 대중들이 의미를 이해하기 어려운 문헌 자료나 유물, 유적 등을 메타데이터와 시각화를 이용하여 콘텐츠 제작자들이 활용하기 쉽도록 만드는 것이다. 메타데이터 작성 시 자료들의 연결성을 고려하여 내용 분석을 해야 하며, 분석된 내용은 사용자들이 잘 볼 수 있도록 정보를 디자인하는 과정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현재 많은 향토 문화 자원들이 보존, 발굴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 자원들 대부분이 대중들에게 알려지지 못하고 활용되고 있지도 않다. 한국 문화의 지속적인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향토 자료들을 자원화 하여 활용을 할 수 있도록 하야 하는데, 이러한 역할은 공공기관에서 수행하여야 한다. 그 이유는 첫 번째로 공공기관들이 향토 문화 자료들을 수집해 왔고, 보관하고 있기 때문이며, 두 번째는 향토문화 자료들이 공공재로서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이미 공공기관들은 이미 수집된 다양한 정보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본 논문에서 필자는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우리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화 사업의 사례를 통하여 역사 자료의 자원화 과정을 보여주었고 이를 바탕으로 김천시 향토 자료의 자원화 방안을 사례로 제시하였다. 역사 자료들은 스토리텔링을 하기가 용이하며, 스토리텔링은 영화, 연극, 애니메이션, 도서 등과 같은 다른 콘텐츠들의 기본 토대가 된다. 따라서 스토리 개발을 중심으로 하여 향토 자료들을 자원화 한다면 지금까지 빛을 보지 못했던 많은 자료들이 알려지게 될 것이고, 우리 문화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We are now witnessing so-called new devices such as smartphone, tablet PC, e-book getting rid of paper in our daily life, in slow but constant pace. Now consumers are enabled to consume content thanks to these devices, and this trend brings up the need for diverse content. History is an aggregate of human experiences and knowledge which reveals itself as a whole. We who live today get creativity from the past and prepare for the future. So, historic resources can be, and should be transformed into countless number of content so as to be accessible to public. The writer of this thesis aims to propose methods concerning resource rendering of local cultural data or information. The term of resource rendering, equivalent to SECI process proposed by Nonaka Ichikuro, refers to the stage where raw materials are transformed into resources of content development. Nonaka, departing from the classic categorization of knowledge proposed by Michael Polanyi, proposed four stages of knowledge transformation cycle of Socialization, Externalization, Combination, Internalization. The writer’s proposal is relevant to the process of Combination which aims to facilitate content developers to utilize historic data or information through metadata and visualization, which will bring out a better understanding of meaning of historic resources for public. When establishing metadata, one should consider connectivity of different resources, analyze its contents, and include design process so as to ameliorate its readability for users. Even at this very moment, discovery of cultural resources is on the way, but their exposure and usage are somehow limited. In respect to sustainabl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e, amelioration of their usage should not be neglected, and public institutions should take the leading role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ly, it is they who have large collection of cultural data or information because they have taken charge in discovering and collecting them. Secondly, the nature of local cultural data or information is public, which means they should remain open for public. Thirdly, the cooperation between institutions can make possible the organic usage of cultural data or information collected by multiple institutions. In this thesis, departing from the case study of the Korea Culture Archtypes Digitalization project executed by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 the writer described the resource rendering process of historic data or information and proposed Kimcheon city’s case as its viable example. Historic resources are suitable for storytelling. Storytelling serves as basis of many other contents, such as movie, drama, animation, books, and so on. So, if we concentrate on the resource rendering of historic data or information in regards of story development, this will unveil many historic resources which have been hidden for long time, and they will greatly enrich our cultures.

      • 사회과 지역화 교재의 향토자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경험유형 분석 -경기도의 2개 시·군 통합 교육지원청을 중심으로-

        김송찬 ( Kim Song-chan ),남상준 ( Nam Sang-joon )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8 초등교과교육연구 Vol.28 No.-

        본 연구에서는 2개 시·군이 통합된 경기도 6곳의 교육지원청에서 발행한 지역화 교재에 포함되어 있는 향토자원들을 분류하고 이에 대해 초등학생들의 경험유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조사, 분석하여 지역화 교재의 구성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에 경기도 2개 시·군이 통합된 6곳의 교육지원청 중 3곳의 지역화 교재에 나타난 대표 향토자원 10개를 선정하여 각 시·군별 초등학생 3, 4학년 20명씩 총 240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경험유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질문지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경기도 3곳 교육지원청 지역화 교재의 대표 향토자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경험유형을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이 향토자원을 경험하는 가장 중요한 경험유형은 ‘교과서’ 이다. 둘째, 초등학생들은 이웃지역보다 거주지역 향토자원에 대한 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들은 자신의 행정구역 해당하는 지역의 향토자원에 대한 경험보다는 생활범위에 해당하는 지역의 향토자원에 대한 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지역특성을 고려한 추사김정희문화상품화사업 사례분석

        정남수,윤혜려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4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과거와 같은 대규모 산업화보다는 각 지역에 전래해 온 고유문화와 기술, 특정지역에 뿌리를 두고 지역주민의 삶과 밀접히 관련된 지역명 또는 지역의 상징물이나 정체성을 상품화, 수익화 하려는 지역자원 개발의 일환으로 향토산업육성사업이 시작되었으나 아직까지 향토자원의 조사에서 산업화까지 일관되게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추사김정희문화상품화 사례 연구를 대상으로 지역의 특징, 고용, 수요를 바탕으로 향토자원의 발굴, 사업화 방향의 결정, 사업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을 정리하였다. 연구 방법과 내용은 향토자원의 평가, 관련 주요산업의 결정, 사업내용의 도출 등 세 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그 첫 번째 작업으로 향토자원의 목록을 작성하고 관련전문가를 대상으로 중요도와 산업화 가능성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여 중심자원을 설정하였다. 두 번째로 입지계수를 응용하여 사업체수와 고용인원으로 대상지역의 보조사업계수를 설정하여 주요 관련 산업을 결정하였다. 세 번째로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향토자원에 대한 인지도조사와 사업내용을 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업추진결과를 정리하였으며, 향후 향토자원산업화사업에서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re are many local resources industrialization projects for regional development in South Korea but a lack of method for being adapted for project planning from survey of local resources to commercialization. In this research, we composed local resource commercialization process with a case study of Chusa Kimjeonghee cultural assets commercialization project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of resources, employment, and needs. This research is composed with three parts such as resource assessment, main manufacturing area selection, and project contents development. In first step, local resource lists are gathered and graded by expert survey with the item of importance and industrialization possibility. In second step, we proposed project asssistant coefficient with numbers of enterprises and employment data by manufacturing are gathered in national and target area level. In third step, we propose questionnaire survey items for developing project contents based on customer needs. Finally we summarized project results and induced implications for future cultural assets commercialization projects.

      • KCI등재

        일반논문 : 지역향토자원을 활용한 관광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개발 연구 -춘천시 구곡폭포 스토리텔링사례를 통해서-

        이학주 ( Hak Ju Lee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科學 Vol.0 No.57

        이 논문은 지역의 향토자원을 활용한 관광스토리텔링개발 사례연구이다. 그 방법은 춘천시 구곡폭포에 있는 ‘꿈’스토리텔링사례의 재해석으로하였다. 구곡폭포에 가면 ‘구곡혼(九曲魂)’이라 하여 ‘꿈’을 이룰 수 있는9개의 단어를 각각의 표지판에 적어서 세워두었다. 이 표지판은 구곡폭포를 오르는 길과 깔딱고개 너머 문배마을까지 포함한 관광스토리텔링의콘텐츠이다. 이를 대상으로 춘천시에서 향토자원을 활용한 관광스토리텔링을 어떻게 했는지, 그리고 향토자원을 활용한 관광스토리텔링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서 향토자원을 활용한 관광스토리텔링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 개념을 살폈다. 따라서 구곡폭포 관광스토리텔링의 사례분석을 통해서 얻은 이론인 향토자원의 원형을 추출해서 발상을 하고, 연상을 통해서 마케팅에도 관심을 두면서 관광스토리텔링을 했음을 알아보았다. 이런 명품관광스토리텔링이 나온 원인은 사례분석에서나온 이론이 개발과정에서 철저히 적용되었기 때문이었다. 곧, 특색[원형], 활력[발상], 시대요구에 부응[변화, 연상]한 것이었다. 이 이론은 향토자원을 활용한 관광스토리텔링개발에 또 다른 지표가 될 것이다. This is a study for the storytelling of Contents of Tourism and Culture to take advantage of local folk resources. I have re-interpreted the storytelling of “Dreams” in Gugok (Nive Valleys) Waterfalls case. There are nine spirits mentioned on each sign post along the way to the Waterfalls: dream, ability, wisdom, heart, professional, networking, shape, color, and an end. Here I have studied how Chuncheon had made the storytelling of Dreams by using Gugok Waterfalls and what characteristics should an efficient storytelling of local folk resources have. A storytelling should be made in the process of finding an archetype, adding some concepts of it, and imagining & associating. A storytelling should give consumers “some feelings” in order to be successful. In addition, it should be a “brand item” equipped with features and energy, and should synchronize with the needs of the contemporary times. The feature, here, should be local and traditional, by using the energy on economic wealth, and synchronization with dynamic changes. Nowadays, local governments are required to make more efforts to utilize local folk resources.

      • KCI등재

        경북 성주군의 향토자원에 대한 풍수적 개발과 관광활성화 방안 연구

        김동찬(Kim Dong chan),임진강(Lim Jin ka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5 조형디자인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경북 성주군의 한개마을과 그 주변의 풍수(風嗽)자원을 이용하여 관광객의 다양한 욕구 해소는 물론 정체성이 녹아 있는 지역개발이 가능하도록 풍수관광자원의 개발 및 이용 방안을 제시하는데 근본적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병행하였다. 연구내용으로 풍수와 관광자원과의 관계를 통해 풍수관광자원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였고 형기(形氣)론적 측면에서 한개마을의 특징과 성주군의 풍수관광자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성주지역 풍수관광자원의 개발 전략에 관한 기본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개마을의 개발에 있어서는 마을 고유의 특성과 정체성을 담은 보전적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한개마을과 주변 풍수자원과의 연계개발이 중요하다. 성주군은 세종대왕자태실을 비롯하여 많은 풍수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성주군의 지역성을 잘 대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성주 지역 캐릭터 및 비보(裨補)풍수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 비보풍수 상품개발로 인해 귀가 후 힐링의 여운이 오래도록 남도록 한다. 본 연구는 아직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는 풍수의 개념을 기본으로 지역자원과 개발과의 융합을 통한 지역의 특수한 개발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현재까지 선행연구가 미미한 풍수자원을 활용한 지역관광개발에 관한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This research has a fundamental purpose that suggests plans for development and use of Feng-Sui tourism resources so that it is possible not only community development with identity but also visitor's various desire solution by using Hangae Village, Seongju-gun, Gyeongbuk and Feng-Shui resources around the Village. The research method combines literature investigation with field survey. For Feng-Shui tourism resources that are not founded the concept, the research found a new concept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Feng-Shui and tourism resources. And the characteristic of Hangae Village and Feng-Shui tourism resources of Seongju-gun in morphological aspects. Through these analyses, the research suggests the basic measures about development strategy of Feng-Shui and tourism resources in Seongju area,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listed below. First, conservative development with specific characteristics of village and identity is needed for development of Hangae Village. Second, connect & develop between Hangae Village and Feng-Shui resources are important. Third, the character of Seongju area and complementary setup Feng-shui is needed. This research try to support a special development plan of the area through local resources and development's fusion based on Feng-Shui concept that is unfamiliar yet. Moreover, this research is considered that it has the significance as research about regional tourism development, and this uses Feng-Shui resources that there is nonexistent preceding research.

      • 영동지역 향토문화축제의 관광자원화 방안에 관한 연구

        심상화 도립 강원전문대학 1999 道立 江原專門大學 論文集 Vol.2 No.-

        The onset of regionalization positively brings about the tourism industry as a means of local economic development for each autonomy. With a strategic purpose for the regional development, the indigenous cultural festival regards to as a tourism resource growing to be a highly lucrative industry coupling with the Youngdong region's superb natural resources. Different kinds of cultural festival in many regions, each with the same title indigenous cultural festival" and formality of festival organization have been numerously taken place in an increasing pace with the objective of "resurrection of regional cultu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ims at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underlying standpoint of resurrection of the indigenous cultural festival concerning the current status and prevailing problems in Youngdong region. Furthermore the goal puts toward to address any tourism policy contemplation in question with the elementary materials.

      • KCI등재

        Consideration on How to Vitalize Export through the Sixth Industrialization of the Special Zone for Excellent Native Land Resources

        Dong-yoon Kang(강동윤),Cha-young Yun(윤차영) 한국국제상학회 2018 國際商學 Vol.33 No.4

        Ⅰ. 서론 Ⅱ. 지역특구의 개요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우수 향토자원 지역특구의 특성 분석 Ⅳ. 우수 향토자원특구의 수출활성화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본 연구는 우수 향토자원 지역특구의 특성을 6차산업화와 연계하여 분석함으로써 수출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우수 향토자원 지역특구는 대부분 사업주체가 지방자치단체장이며 2차 산업을 중심으로 1ㆍ3차 산업을 견인하는 가공중심형의 지역특구라는 특성을 보인다. 즉, 내수시장 중심의 지역적 한계를 벋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유통 및 수출산업이 중심이 되는 6차산업화 구조로의 변화가 필요한 것이다. 우수 향토자원 지역특구의 수출활성화를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 지역민간기업 및 지역연구기관의 협업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협업방향을 제안한다. 첫째, 지방자치단체와 민간기업의 합작회사를 통한 내수시장 유통활성화 및 수출판로 개척이 필요하다. 둘째,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지역 내 생산자를 통합하는 규모의 경제 실현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특구 상품의 글로벌 마케팅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넷째, 지역연구기관의 상품개발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