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청소년기 문제행동과 부모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손석한,노경선,허묘연,정현옥,이소희,김세주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4

        연구목적 : 일반 청소년의 문제행동(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을 평가하고, 그들을 정상 집단과 문제행동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간에 부모 각각의 양육행동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서울 소재의 일반 고등학교 학생 792명을 대상으로 부모 양육행동 척도와 K-YSR을 실시하여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평가하였다.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문제행동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학생들이 보고한 각 문제행동을 상/하위 25% tile을 기준으로 정상 집단과 문제행동 집단으로 나누어 부모의 양육행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 다음과 같다. 1) 부모의 애정, 합리적 설명, 감독의 긍정적인 양육행동은 대부분의 청소년 문제행동들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에 학대, 과잉간섭, 과잉기대, 방임, 비일관성이 부정적인 양육행동은 문제행동들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2)내재화 문제를 보이는 청소년들은 정상 집단에 비해 부모로부터 학대, 과잉간섭, 과잉기대, 방임, 비일관성의 양육행동을 유의하게 더 많이 받았고, 반면에 애정을 유의하게 더 적게 받았다고 지각하고 있었다. 외현화문제를 보이는 청소년들은 정상집단의 청소년들에 비해 부모로부터 학대, 과잉간섭, 과잉기대, 방임, 비일관성의 양육행동을 유의하게 더 많이 받았고, 반면에 감독을 유의하게 더 적게 받았다고 지각하고 있었다. 3)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를 모두 보이는 집단이 내재화 문제만 보이는 집단과 외현화 문제만 보이는 집단에 비해서 양쪽 부모로부터 유의하게 더 많은 과잉간섭을 받을 것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또한, 내재화-외현화 집단과 내재화 집단은 외현화 집단에 비해서 어머니로부터 유의하게 더 적은 애정과 더 많은 방임을 받고 있고, 아버지로부터 유의하게 더 많은 학대를 받은 것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청소녕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 과잉간섭, 과잉기대, 방임, 비일관성의 양육행동은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모두와 유의한 연관이 있고, 반면에 부모의 애정, 감독, 합리적 설명의 양육행동은 다양한 청소년기 문제행동을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and to discriminate between parenting behaviors of problem behavior groups and those of non-problem behavior group.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92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We administered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and Korean version of Youth Self-Report(K-YSR) to the subjects in order to evaluate the parenting behaviors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the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We anal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problem behaviors. We classified the subjects into problem behavior groups(internalizing group, externalizing group, internalizing-externalizing group) and a non-problem behavior(normal) group. We studied the differences of parenting behaviors among the groups. Results :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such as affection, reasoning, and monitoring and the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By contra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such as physical abuse, intrusiveness, over-expectation, neglect, and inconsistency and the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2) Adolescents of the internalizing group perceived significantly more parental abuse, intrusiveness, over-expectation, neglect, and inconsistency than those of normal group. Meanwhile, they perceived significantly less affection than normal adolescents. Adolescents of the externalizing group also perceived significantly more parental abuse, intrusiveness, over-expectation, neglect, and inconsistency than those of normal group. Also, they perceived significantly less monitoring than normal adolescents. 3) Adolescents of the internalizing-externalizing group perceived significantly more intrusiveness from both parents than those of either the internalizing or the externalizing groups. Adolescents of the internalizing-externalizing group perceived significantly less affection and more neglect from their mothers than those of the internalizing of the externalizing groups. In addition, adolescents of the internalizing-externalizing group perceived significantly more physical abuse from their fathers than those of the internalizing or the externalizing groups. Conclusion : Parenting behaviors such as abuse, intrusiveness, over-expectation, neglect, and inconsistency are associated with bo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In contrast, our results suggest that parenting behaviors such as affection, monitoring, and reasoning might decrease the various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 KCI등재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대한 문제행동지도 자신감과 그릿 및 소진감의 영향

        권연희(Yeonhee Kwon),이희영(Heeyeong Lee),이경화(Kyeonghwa Lee) 인지발달중재학회 202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1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을 이해하기 위해,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자신감과 그릿 및 소진감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문제행동지도 자신감, 그릿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소진감 변인이 조절 및 매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B지역의 유치원․어린이집 22곳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23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ronbach’s α, 적률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대해 문제행동지도 자신감 및 그릿은 정적 상관관계를, 소진감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소진감은 문제행동지도 자신감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였다. 즉, 유아의 문제행동지도 자신감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은 소진감이 낮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사의 그릿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은 소진감 변인이 부분 매개하였다. 결론: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자신감 및 그릿과 같은 심리적 요인은 문제행동지도전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이러한 영향력은 소진감 변인의 조절 및 매개적 역할을 통해 완화된다. 유아교사의 바람직한 문제행동지도전략 사용을 위해서 이들의 소진감을 줄이기 위한 다각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confidence, grit and burnout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in order to understand psychological factors that affect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mediating and moderating role of burnout in the influence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confidence and grit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Methods: Two hundred twenty thre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α,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First,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blem behavior guidance confidence and grit,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burnout.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burnout moderated the influence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confidence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The positive influence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confidence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was significant only when the level of burnout were low. Finally, burnout parti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grit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Conclusions: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problem behavior guidance confidence and grit have positively influenced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and this influence was alleviated through moderating and mediating role of burnout. This results suggest that every effort needs to be made to reduce burnout in order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use desirable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 KCI등재

        어린이집 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과 셀프리더십이 문제행동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윤숙 한국보육학회 2019 한국보육학회지 Vol.19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and self-leadership on problem behavior management ability. Methods: Participants were 194 day care center teachers.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the questionnaire about behavioral efficacy, self-leadership, and problem behavioral management.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influence of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overall problem behavior management ability of the day care center was different. Problem behavior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but self-leader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Second, the influence of the two variables differed according to sub-factors of problem behavior management ability.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problem behavioral efficacy and self-leadership were different in the ability of problem behavior type recognition, problem behavior cause recognition, and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Self-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ll three subfactors, but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differed according to subfactors. There was no significant influence on problem behavior type recognition ability, and significant influence on problem behavior cause recognition and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However, i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recognition of the cause of problem behavior an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Conclusion/Implications: After all, self-leadership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ll dependent variables, but the problem behavioral efficacy had a difference in the presence or direction of influence depending on the subfactors of the dependent variables.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과 셀프리더십이 문제행동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 대상은 어린이집 교사 194명 이었다. 이들에게는 문제행동지도 효능감(김민숙, 2010), 셀프리더십(김민정, 2007), 문제행동 관리능력 설문지(양수영, 2014)가 실시되었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교사의 문제행동 관리능력 전체에 미치는 두 독립변인의 영향력은 차이가 있었다.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셀프리더십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행동 관리능력 하위 요인에 따라 두 변인이 미치는 영향력은 차이가 있었다. 즉, 문제행동 관리능력의 하위 요인인 문제행동 유형인식 능력과, 문제행동 원인인식능력, 그리고 문제행동 지도전략 사용능력에 있어 문제행동 효능감과 셀프리더십이 미치는 영향력이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은 세 가지 하위 요인 모두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은 하위요인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문제행동 유형인식 능력에는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문제행동 원인인식과 문제행동 지도전략에는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났다. 그러나 문제행동 원인인식에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보였으며, 문제행동 지도전략에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셀프리더십은 모든 종속변인에 긍정적인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은 종속변인의 하위 요인에 따라 영향력의 유무와 방향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정서·행동문제의 양상과 특수교사의 대처전략 및 지원요구

        박명화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ppearance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and to investigate the support needs and coping strategy of teachers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1 special education teachers, 322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who hav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distribution of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in the normal, quasi-clinical and clinical level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total behavior problem and 4 low type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appeared in students of special school higher than students of special classroom. Second, Special school teachers more often used positive prevention strategy Ⅱ for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than special classroom teachers. And Special school teachers more often used positive prevention strategy Ⅰ, Ⅱ fo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than special classroom teachers. Finally, Both of special school teachers and special classroom teachers’ the most highly support needs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were supply and development of behavioral intervention manual and arrange behavioral intervention specialist. 본 연구는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정서․행동문제의 양상이 어떠하며, 정서․행동문제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대처전략과 지원요구는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장애학생의 정서․행동문제의 예방 및 대처를 위한 교사 지원 및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초등특수교사 161명과 정서․행동문제를 보이는 장애학생 322명이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특수학교․급에 입급된 장애학생의 정서․행동문제는 내재화문제와 외현화문제, 총행동문제 및 8개 하위유형 모두 임상범위와 준임상범위, 정상범위에 분포되어 있었고, 외현화문제와 총행동문제 및 4개 하위유형은 특수학교 초등학급 장애학생의 발생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내재화문제에 대한 대처전략은 특수학교 초등교사가 특수학급 초등교사보다 긍정적 예방전략Ⅱ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현화문제에 대해 특수학교 초등교사가 특수학급 초등교사보다 긍정적 예방전략Ⅰ과 긍정적 예방전략Ⅱ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정서․행동문제 대한 특수교사의 지원요구는 내용면에서는 학급에서 실시할 수 있는 예방 및 행동중재 메뉴얼 개발 및 제공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고, 지원형태는 전문가 배치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장애학생의 교육권과 안전은 물론 특수교사의 교권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요구되는 실질적인 교사지원 및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게 되었다.

      • KCI등재

        문제행동을 가진 아동과 일반아동의 학교 생활화 반응 특성 연구

        김기보 한국예술치료학회 2013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문제행동을 가진 아동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기 위해서, 적은 시간과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KSD를 사용하여 문제행동을 가진 아동과 일반 아동의 그림상의 차이를 살펴보려고 한다.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 남 25명, 여 22명으로 총 47명을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 활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Independent samplet-test)으로 문제행동을 가진 아동집단과 일반 아동집단의 차이를 검정하고, 두 집단의 학교생활화(KSD)에 나타난 표현상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자료 분석은 본 연구의 자료는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통계 프로그램 SPSS 1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K-CBCL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 T점수를 통하여 일반아동과 문제행동아동 간에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하여 각 집단 간 평균 비교를 분석하였으고, 두 집단 간의 세부부분(나, 교사, 교우)에 대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독립성 여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의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 T점수 65를 통하여 일반아동과 문제 행동아동 간에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하여 각 집단 간 평균 비교를 분석하였는데 각각 의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T점수 65 점을 기준으로 나눈 두 집단이 다른 집단임을 알 수 있다. 2. 이 같은 절차로 나눈 일 반아동과 문제행동을 가진 아동 간에 학교생활화(KSD)에서는 인물상의 행위, 인물상 의 특징, 역동성, 양식, 상징의 5개의 영역을 살펴보았다. 첫째, 인물상의 행위에서는 교사 협동성 부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인물상의 특징에서는 나 얼굴표 정, 교사눈 강조, 나 지우기, 교사 지우기, 교사를 그린 필압과 교사를 그린 선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역동성 부분에서는 교사 인물상 방향과 교우 인물상의 크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양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부분이 없었다. 다섯째, 상징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부분이 없었다.

      • KCI등재후보

        정서․행동문제 유무에 따른 청소년의 인물화검사 반응특성 연구

        유경미,조용태 한국발달장애학회 2011 발달장애연구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ied that the DAP:SPED has responsiv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or without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The sample for this study was 416 adolesc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in north Gyeonggido by cluster sampling. Then, 53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60 students without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selected by basing on high rank 15%(T score more than 60) and low rank 15%(T score less than 40) according to the total behavior problems scale of the K-YSR. Additionally, the study subject were administrated DAP:SPED and were analyzed responsive characteristics. The collected date materials were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t-test and discriminant/classficat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male, female, self, and total scores on drawings, 2)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bottom placement, right placement, lettering/numbering, eyes omitted, slash mouth, inconsistent position, and background filled in, 3) Possibility of classification between the two groups indicated diagnostic accuracy by 85%. Therefore, this study was quite meaningful to make use the DAP:SPED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s a clinical ut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의 유무에 따른 인물화검사의 반응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북부에 거주하고 있는 중․고등학생 1,2,3학년 416명을 군집표집하였다. 그리고 청소년 자기행동 평가척도(K-YSR) 총 문제행동 척도의 상위 15%(T점수 60점 이상)인 대상 53명을 정서․행동문제 집단으로, 하위 15%(T점수 40점 이하)인 대상 60명을 일반 집단으로 정하였다. 또한, 정서․행동문제 선별 인물화 검사(DAP:SPED)를 실시하고 집단에 따라 나타난 반응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정서․행동문제 유무에 따른 두 집단의 인물화 점수 차이와 55개 채점기준의 차이를 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55개 채점기준으로 정서․행동 유무의 판별력과 예측정확도를 보기 위해 판별분석 및 분류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정서․행동문제 유무에 따라 남자상, 여자상, 자기상, 전체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채점기준 중에서 그림위치(하단), 그림위치(우측), 문자 및 숫자 표시, 눈 생략, 사선 입, 부조화 자세 팔, 배경 채우기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DAP:SPED가 정서․행동문제 유무를 분류하는데 85%의 예측정확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DAP:SPED는 일반 청소년과 정서․행동문제를 보이는 청소년 간 반응의 차이를 보임으로써 임상현장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투사검사로써 의의가 있다.

      • 유아기와 초등 저학년의 문제행동 : 연령과 성별에 따른 차이

        김영아(Kim, young Ah)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9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5차~10차(9차 제외) 자료를 이용하여 유아기와 초등 저학년의 문제행동의 변화과정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아동패널은 2008년 출생한 영아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1차년도 조사를 시작으로 매년마다 해당 대상자들에 대한 추적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대상자들은 아동패널에 참여한 대상자들 중에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유아행동평가척도(CBCL 1.5-5)에 참여한 만4세 1,694명, 만5세 1,651명, 만6세 1,605명과 2015년과 2017년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CBCL 6-18) 검사에 참여한 만7세 1,577명, 만9세 1,461명이다. 연령과 성별문제행동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SPS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추출하고 상관분석, 반복측정 분산분석,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2012년 만4세에 조사된 문제행동의 정도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상관정도는 약해지긴 하지만 2017년 만9세의 점수와 .48의 상관을 보였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여아보다 남아들의 문제행동의 정도가 심하였는데 문제행동 전체점수와 외현화 문제행동 점수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내재화 문제행동 점수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유아기의 문제행동은 감소되기는 하나 초등학교 저학년의 문제행동과 관련이 있으며, 남아들이 전체적인 문제행동과 외현화 문제행동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문제행동 지도는 유아기부터 시작되어야 하며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실시되어야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young children s problem behaviors had been changed from four years old through nine years old and also how the behaviors were different between genders over the years. The 5th to 10th data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colle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used for the study. The data included total, internal, and external scores of the Korean version of Child Behavior Checklist 1.5-5 and 6-18 collected from children aged four through nine. The first finding was the problem behaviors of the children were decreased as their ages increas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ag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ges were .35 to .65. As the interval between ages were increas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getting weak. The difference in the total score and external behavior scores between gend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boys showed more problem behaviors than girls in total scores and external scores.

      • KCI등재

        유아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과 자아탄력성, 놀이성, 언어능력 간의 관계 분석

        박영숙(Yeong Suk Park),이영진(Young Jin Lee),이민경(Min Kyung Lee),김혜경(Hye Kyung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7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과 자아탄력성, 놀이성, 언어능력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유아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밝히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기관 만 4세반에 재원 중인 유아 166명으로, 평균 월령은 65.90이었다. K-BASC-2에서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 검사도구, 유아의 자아탄력성 검사도구(DECA), 유아의 놀이성 척도(CPS), 유아의 언어 능력 검사도구(REVT)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 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과 외현화 문제행동 둘 다 자아탄력성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과 놀이성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사회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현화 문제행동과 놀이성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하위요인 중 신체적 자발성은 정적 상관관계, 사회적 자발성과 즐거움의 표현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과 언어능력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수용언어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표현언어와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외현화 문제행동과 언어능력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종속변인의 하위요인 간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재화 문제행동은 자기통제력과 수용언어, 즐거움의 표현이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외현화 문제행동은 자기통제력과 사회적 자발성이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가 가진 문제행동의 특성에 따라 유아에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달라짐을 보여주고 있으며, 유아의 문제행동에 따라 다른 측면에서의 도움을 제공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problem behavior, ego-resilience, playfulness, and language abilit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166 children(mean age : 65.90 months) who attended 6 preschools and kindergartens. BASC, DECA, CPS, REVT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problem behavior and their ego-resilience. Second,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playfulness. Thir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their receptive language ability. Fourth, it was revealed that children’s self-control ability was found as the most meaningful predictive variable that affects problem behavior. In addition, children‘s receptive language ability and enjoyment were found as predictive variables that affect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Finally, children‘s social spontaneity was found to be a predictive variable that affect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 KCI등재

        현장교사들이 생각하는 학교에서의 학생 문제행동에 대한 단계별 지도 매뉴얼 개발 연구

        현진이,김지혜,김송연,김은영,백다은,서찬양,이용균,최서연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4 敎育問題硏究 Vol.37 No.1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for student problem behavior in schools, and to develop a problem behavior checklist, guide, and problem behavior dealing flow chart. For that, The study conducted need analysis to analyze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using survey methodology. Based on the results of demand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 initial checklist, guide, and problem behavior dealing flow chart was developed. The usability evaluation of the developed field solu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second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hecklist of the final problem behavior stage was classified into three stages of problem behavior according to words and actions, attitudes, risk and 3 stages by severity. The problem behavior guide introduced a problem behavior guidance method that can be used for students' problem behaviors divided into three stages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initially, middle, or continuous interference. Finally, through the problem behavior flow chart, the role of school administrators was emphasized when problem behavior occurred.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에서의 학생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학생 문제행동 지도 매뉴얼(체크리스트와 지도 가이드, 대처 흐름도)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기 위한 설문조사(survey methodology)를 활용하여 현장교사들이 생각하는 문제행동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1차로 조사하고, 요구분석 결과와 선행문헌 분석을 바탕으로 한 초기 학생 문제행동 지도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이후 개발된 현장 해결안의 사용성 평가(타당성, 유용성, 만족도)를 2차 설문을 통해 실시한 후, 사용성 평가를 토대로 학교현장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학생 문제행동 지도 매뉴얼을 최종 개발하였다. 최종 문제행동 단계 체크리스트는 언행, 태도, 위험도와 심각도를 기준으로 문제행동을 3단계로 구분하여 학생의 문제행동이 해당하는 단계를 교사가 스스로 판단하도록 하였다. 최종 문제행동 지도 가이드는 3단계로 구분된 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해 초기, 중기, 지속적 방해 여부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문제행동 지도법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최종 문제행동 대처 흐름도를 통해 문제행동이 발생했을 때 각 교육 주체들의 역할에 맞는 적절한 대처 방법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문제행동과 보호환경의 관계에 대한 문제행동통제의 매개효과

        김진호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0 미래청소년학회지 Vol.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related variables of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presented to describe the hypothetical causal relationships among situational factors, problem-control behavior, and their levels of problem behavior. In the model, problem-control behavior was assumed as a variable, which mediates the effects of situational factors on the levels of problem behavior. 10,850 youth were asked to respond the questionnaires which was conceived to obtain the measures of five latent variables(protective factors of family, protective factors of school, perceptions of dangers in community, problem-control behavior,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After screening the data, 7,374 response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for this study. Lisrel 8.3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problem-control behavior had negative effects o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Second, problem-control behavior was affected by protective factors of family, protective factors of school, and perceptions of dangers in community. Third,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was affected directly by protective factors of family, protective factors of school, and perceptions of dangers in community. Fourth, indirect effects of situational factors were mediated by problem-control behavior of adolescent. It shows that problem-control behavior mediate the effects of situational factors(protective factors of family, protective factors of school, and perceptions of dangers) o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All this findings were discussed for youth workers and researches. 본 연구는 청소년의 문제행동 통제를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가정하고, 그것이 어떠한 환경적 특성변수에 의해 결정되는지를 확인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문제행동과 환경적 특성변수로서 가정환경, 학교생활환경, 지역사회 위험인지를 가정하였다. 그리고 청소년의 문제행동 통제를 환경적 특성변수가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로 가정하고, 이들 변수들이 청소년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조방정식 모형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총 10,8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한국청소년지표조사Ⅴ-안전(보호)지표』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회수된 9,727매의 설문지 중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2,353매를 제외한 7,374매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는 Lisrel 8.30을 통해 분석되었다. 조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문제행동 통제는 문제행동에 부적인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긍정적인 환경적 특성변인은 청소년의 문제행동 통제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긍정적인 환경적 특성변인은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부적인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환경적 특성변인이 문제행동 통제를 매개로 하여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한 결과, 긍정적인 가정환경과 긍정적인 학교환경, 그리고 지역사회의 위험인지는 문제행동 통제를 매개로 하여 유의한 간접효과를 가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들이 갖는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