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수업이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에 미치는 영향

        허묘연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0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9 No.4

        After switching to online classes due to COVID-19, the biggest concern is that teenagers are leading to excessive Internet immersion and addiction. This study, targeting 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940), attempted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Internet use for learning and non-learning purposes, the impact and satisfaction of online classes on daily life,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amount of online class, GPA, devices used, and age. As a result, after switching to online classes, students with a large amount of online classes evaluated themselves to be better in terms of learning effects, regular lifestyle habits, and personal time use. Online classes did not necessarily increase Internet usage for non-learning purposes. But, GPA was an important variable, and students with low GPA had fewer online classes, and increased internet usage and internet addiction scores after conversion to online classes. In addition, when middle school students used phones, Internet usage for non-learning purposes was higher, and amount of increase in Internet use and the degree of Internet addiction were also higher after switching to online class. The implications related to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코로나 19로 인해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한 후 가장 큰 우려는 이것이 청소년의 인터넷 과다 몰입과 중독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자 중학생 및 고등학생(N=940)을 대상으로 학습 및 학습외 목적의 인터넷 사용 현황을 알아보고 온라인 수업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과 만족도는 어떠한지, 그리고 개인의 인터넷 수업량, 성적, 사용기기, 연령에 따른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수업전환과 관련된 만족도 측면에서 온라인 수업량이 많은 학생들이 학습효과나 규칙적인 생활습관, 개인시간 활용 등에서 스스로 더 좋아졌다고 평가하였다. 온라인 수업이 반드시 수업외 인터넷 사용량을 증가시키지는 않았으나, 성적이 중요 변수로서 성적이 낮은 학생은 온라인 수업량이 적고, 온라인수업전환 후 인터넷 사용증가량 및 인터넷 중독점수가 높았다. 이외에 중학생이 스마트폰을 사용한 경우 학업외 목적의 인터넷 사용량이 더 많았고, 온라인 수업전환 후 인터넷사용증가량 및 인터넷 중독 정도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와 관련된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허묘연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4 청소년상담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ventory for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verify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subjects were 146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846 subject participated in the scale development study, and 615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cross-validation and prediction validity. The 80 items of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were generated through document studies, and the content validity of this initial inventory was verified by children and adolescent psychiatrists. In the scale development stage, item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nternal consistency were used to assess the initial inventory. As a result, there were 8 significant factors and 43 items were select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cross-validate the factor structure was conducted, and the factor structure fitted well. Consequently, the sub-factors of the final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were monitoring, reasoning, inconsistency, over-expectation, intrusiveness, physical abuse, neglect and affection.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predictive validity, the total score of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predicted adolescent's total problem behavior well, Also, it showed that paternal parenting behaviour in the order of intrusiveness, neglect, affection, monitoring, and inconsistency predicted the adolescent's total score in problem behaviour. In the case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ur it came in the order of intrusiveness, neglect, inconsistency, and affection. As the result of discriminant analysis, both parents' total parenting behavior score distinguish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blem behavior group and non-problem behavior group. Among the paternal parenting behavior factors, neglect, intrusiveness and affection discriminated two groups, and in the maternal parenting behavior factors, neglect, intrusiveness and affection discriminated two groups significantly well. The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which is developed and validated in this study i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for assessing parenting behavior, which positively or negatively influences adolescent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의 개발, 타당화 연구로서, 서울지역 일반 인문계 중․고등학교 학생, 1,461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문헌고찰과 사전연구 및 전문가의 검토를 바탕으로 제작된 부모 양육행동 문항들에 대 해,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고려하여 8개의 요인(아버지 및 어머니 요인: 감독, 합리적 설 명, 비일관성, 과잉기대, 과잉간섭, 학대, 방치, 애정)을 부모양육행동의 의미있는 구성요인수로 결정하였고, 이에 포함된 문항은 총 43문항이었다. 각 요인별 신뢰도는 내적일치도는 .68-.86이었고, 교차타당화에서 8요인 43문항 이 잘 부합됨을 확인하였다. 부모양육행동 척도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최종 아버지 및 어머니 양육행동 척 도의 총점은 실제 청소년의 정신병리를 반영하는 총문제행동 점수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아버지 척도 의 요인 중 과잉간섭, 방치, 애정, 감독, 비일관성의 순서로, 어머니 척도의 요인 중 과잉간섭, 방치, 비일관성, 애정의 순서로 청소년의 총문제행동 점수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준거관련타당도를 위한 판별분석 결과, 최 종 부모 양육행동 척도의 총점은 문제행동집단과 비문제행동집단을 유의미하게 변별해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 버지의 양육행동 척도의 요인 중에서는 방치, 과잉간섭, 애정요인이,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에서는 과잉간섭, 방치, 애정, 비일관성 요인이 두 집단을 유의미하게 판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부모양육행동척도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언택트 교육의 시대: 온라인 교육을 위한 준비

        허묘연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0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9 No.3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the non-face-to-face education environment in the emergency situation caused by COVID-19 was conducted in a state of lack of knowledge and experience in online education, and support from universities, which caused many trials and errors. The problem is that COVID-19 is unlikely to disappear easily, and the second pandemic is predicted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Therefore, preparations for systematically well-prepared online classes are required, rather than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as an emergency countermeasure conducted in the last semester, which include strengthening teaching capabilities for online teaching methods and developing classes suitable for the online environment, collaborating with experts in each field, establishing, operating learning management systems in the online environment, establishing stable distance education facilities, and changing academic policies and regulations for online education environments. In this paper, implications on the requirements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were examin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last semester. In the post-Corona era, as a powerful country of the IT industry, we look forward to K-Edu, which domestic universities lead with online education by reflecting the requirements of online education. 2020년 1학기 코로나19 비상상황에서의 비대면 교육환경은 온라인 교육에 대한 지식과 경험, 그리고 대학의 지원이 부족한 상태에서 진행하다보니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다. 문제는, 코로나19가 쉽게 사라지지 않고 2학기에는 제2차 대유행이 예측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지난 1학기 진행한 비상대책으로서의 비대면 온라인 수업이 아닌 체계적으로 잘 준비된 온라인 수업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비대면 온라인교육을 위한 기본적 요구사항으로는, 온라인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교수역량 강화 및 온라인 환경에 적합한 수업 개발, 각 분야 전문가와 협업, 온라인 환경의 학습관리시스템 구축 및 운영, 안정적인 원격교육 설비의 구축과 운영, 그리고 비대면 온라인 교육 환경에 맞는 학사 정책과 규정의 변화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난 1학기 경험을 바탕으로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요구사항 및 국내대학의 온라인교육 준비를 위한 시사점을 검토하였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IT 강국으로서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국내대학들이 온라인 교육으로 선도하는 K-Edu를 기대해본다.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이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영향: 또래애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허묘연,옥정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3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3 No.3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ing behaviors on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in adolescent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er attachment. Methods: A total of 1919 middle school students (males 968, females 951) were selec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data sets of the Korea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The t-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WIN 18.0. Results: Of the parenting behaviors, high monitoring, affection, and reasoning were associated with lower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of their adolescent offsprings, whereas inconsistency, intrusiveness, and over-expectation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The moderating effects of peer attach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adolescent. In males, the moderating effects of peer attachment were significant between reasoning and attention problems and between affection and aggression. However, in females, they were significant when parental monitoring, inconsistency, and reasoning affected attention problems. Conclusions: Peer attach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aggressive behaviors of male adolescents. This finding should be considered in preventing violence in schools. 연구배경: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이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또래애착의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자료 중 중학교 1학년 패널의 1차년도, 2차년도 자료 1,919명(남 968명, 여951명)을 대상으로 SPSS/WIN 18.0을 사용하여 t-test,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첫째, 부모의 양육행동 중 감독, 애정, 합리적 설명이 높을수록 정서행동문제는 낮아지고, 비일관성, 과잉간섭, 과잉기대가 높을수록 정서행동문제가 많이 보고되었다. 둘째, 부모의 양육행동과 정서행동문제 간 관계에서 또래애착의 조절효과는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즉남자청소년의 경우, 부모의 양육행동 중 합리적 설명이 주의집중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또한 애정이 공격성에미치는 영향력에서 또래애착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한편 여자청소년의 경우, 부모의 감독, 비일관성, 합리적설명의 양육행동이 주의집중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또래애착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특히 남자청소년의 공격성 행동에또래애착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학교폭력 문제의 예방 및 개입에 대한 함의가 있다 하겠다.

      • KCI등재후보

        인문예술통합교육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허묘연,최현정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18 디지털예술공학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1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trend of integrating cultural arts and humanities in recent years, this study developed an educational program that integrated humanities and arts in various fields and identified the effects of the humanities program, especially focusing on adolescents’ sociability. The main features of the program developed are as follows: an educational program that integrates arts and humanities of various fields such as philosophy, dance, film, and visual arts. In other words, the program focused on developing various activities that enhanced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using stimuli from various fields to create different products. In addition, the program was constructed to promote humanistic development, for example,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our attitudes of living together in our environment rather than the contemporary materialism and individualism. This study specifically focuses on the social development of adolescents and is designed to allow the effective acquisition of conflict resolution abilities and social skills by providing interactive materials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most of the lessons are collaborative in structure so that the participants could easily develop a sense of belonging, fellow consciousness,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 comparison of the sociability of adolesce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sulted in the overall improvement of adolescent sociability and the sub-factors of: problem solving, cooper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care improved significantly. On the other hand, self-esteem, self-expression, optimism, and happines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Through the confirmation of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humanities and arts program developed for this study on the social development of adolescents, this study contributed to expanding the possibilities of humanities education in the fields of culture and the arts. Also, it differentiates from previously existing programs as it has attracted the interests and involvement of youth by integrating various approaches from a variety of disciplines. 본 연구는 최근 문화예술과 인문학의 접목에 주목하여, 다양한 분야의 문화예술을 통합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것의 인문학적 교육 측면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큰 변화를 경험하는 과도기에 있는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철학과 무용, 영화, 시각예술이라는 다양한 분야의 예술과 인문을 통합시킨 교육이다. 즉 다양한 분야의 문화예술적 자극들을 통합적으로 체험하고 이를 다시 창조적인 산물로 만들어내는 활동에 초점을 두었다. 또한 현대의 물질주의와 개인주의적 사고를 벗어나, 나로부터 너와의 관계, 그리고 나를 포함한 우리, 환경에서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태도 등 인문학적 소양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특히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초점을 맞추고 가능하면 상호작용이 많이 일어나는 소재를 제공함으로써 갈등해결 능력과 사회적 기술을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이외에도 대부분의 수업을 공동 작업으로 구성함으로써 쉽게 소속감과 동료 의식, 공동체의식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청소년에게 8회에 걸쳐 실시하고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청소년의 사회성을 비교한 결과, 청소년의 사회성이 전반적으로 증진되었으며, 하위요인 중 문제해결, 공동체성, 대인관계, 성취동기, 자기관리 순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다. 반면에 자아존중감, 자기표현, 낙관성, 행복감은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인문예술 교육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있음을 검증함으로써 문화예술분야의 인문교육적 가능성을 확장시키는데 기여하였으며, 기존의 프로그램과는 차별적이고 다양한 접근 방식을 통합함으로써 청소년의 관심과 관여를 이끌어내었다고 본다.

      • KCI등재
      • KCI등재

        대인불안과 사회문화적 요인의 상관관계

        오강섭,허묘연,이시형 대한신경정신의학회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1

        연구목적 : 한국 일반인들에 대한 사회공포 증상의 정도와 양상, 기능의 손상정도 등을 알아보고, 대인불안과 성격특성, 부모의 양육태도, 대인관계에서의 특징들간의 상관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방 법 :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일반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및 성인 1087명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사회적 상황에서의 불안과 회피 정도, 증상과 상황, 대처방법, 가해의식, 일상생활에의 영향을 조사하였고, 내-외향성 검사, 부모양육태도 검사와 대인관계태도 검사를 이용하여 대인 불안과 관련된 성격과 사회적인 요인을 평가하였다. 결 과 : 대인불안 증상은 정시곤란, 실수공포, 표정공포, 횡시공포, 타인시선공포가 전 연령에 걸쳐 높게 나타났다. 청소년기는 전반적으로 대인상황에 대한 불안 수준이 올라가 있고,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경우 남자가 여자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정도의 대인불안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해의식은 성인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경향이 있었다. 대인불안의 상황은 모든 연령에서 연단이나 면접상황에서 가장 많은 어려움이 호소하였으며, 대처방식의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 ‘그럴 수 있다’ 건강한 대처방식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향성에 대한 자신의 평가와 타인의 평가를 비교해보면, 모든 연령집단에서 타인이 평가하는 것보다는 자신이 스스로를 더 내성적인 것으로 생각하였다. 양육태도의 경우에는 아버지나 어머니 모두, 거부나 높은 기대, 불안, 통제적인 태도는 대인불안이 높은 것과 관련되어 있는 반면에 감정적인 지지를 나타내는 태도는 낮은 대인불안과 관련되어 있었다. 대인관계태도에서 자기 바하나, 은근성, 타인의 의견을 지나치게 염려하는 태도, 체면 등은 대인불안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나타냈으며, 사교성이나 응석은 대인불안과 부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대인불안의 정도, 내향성, 대인불안 및 회피 정도와 일상생활에서의 지장 정도간에 서로 깊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대인불안의 정도와 내향성이 높을수록 일상생활에의 지장이 많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부모의 양육태도에서는 거부, 높은 기대, 불안, 통제적 태도 등이, 대인관계태도에서는 자기비하, 은근성, 타인의견 염려, 체면 등이 대인불안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 We examined the degree of social anxiety and physical symptoms, situations, maneuvers in phobic situations, the degree of offending others, disability in normal Korean sample. And We also studied the correlations of social anxiety and socio-cultural factor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child rearing attitudes and interpersonal attitudes). Methods : The subjects were total of 1087 includi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college students and adult population living in Seoul. We administered the following scales : SAD(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Social Anxiety Symptom and Situation, Maneuvers in Phobic situations, Offending others, SDS(Sheehan's Disability Scale), EPQ(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Child Rearing Scale and Interpersonal Attitude Scale. Results : Among social phobic symptoms, fear of eye to eye contact, fear of mistake, fear of facial expression, fear of side glancing and fear of other's gazing were prevalent in decreasing order. The level of general social anxiety were high in junior high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male subjects reported more social anxiety. the degree of offending others decreased with age. The most difficult social anxiety situations were public speaking and interviewing. The frequently used maneuver in phobic situations was reasoning. All subjects perceived themselves more introverted than others did. On the Child rearing attitude, rejection, high expectation, anxious, control subscales of both parent were correlated with high level of social anxiety, and the emotional care was correlated with low level of social anxiety. On the interpersonal attitudes, self-devaluation, indirectedness, overconcern of other's opinion, face saving subscal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anxiety, and the socialization and eungseok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anxiety. Conclusion : The social anxiety and the introversion were associated with the disability of daily activity. Some subscales of child rearing attitudes and interpersonal attitudes were also associated with the social anxiety.

      • KCI등재후보

        청소년기 애착 유형과 부모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노경선,허묘연,홍현주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3 신경정신의학 Vol.42 No.1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orean adolescent attachment patterns and their relations to parenting behaviors. Methods: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92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We assessed parenting behaviors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attachment type and quality of using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Self-report Attachment Style and Revised Adult Attachment Scale. Results:1) On the attachment pattern of adolescent, it revealed that 47.6% of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as “secure”, 32.2% as “preoccupied”, 14.6% as “dismissing” and 5.6% as “fearful”. 2) The parental neglect was related to fearful and preoccupied patterns and parental inconsistency was related to preoccupied pattern. In terms of attachment quality and parental behavior, more parental affection and reasoning were related with more reliance. And more affection and less intrusiveness, neglect, and inconsistency were related with more closeness. More affection and reasoning and less physical abuse, intrusivenes, over-expectation, neglect, inconsistency were related with less anxiety. Conclusions:This study shows that adolescent attachment pattern would be transitional compared with that of infancy and adult. More positive parenting behavior such as affection and reasoning, and less negative parenting behavior such as physical abuse, intrusiveness, neglect, inconsistency were related with secure attachment pattern. Also, les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such as affection and reasoning, and more negative parenting behavior such as physical abuse, intrusiveness, neglect, inconsistency were related with insecure attachment patterns.

      • KCI등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Problems and Game Commitment in Adolescents

        조옥희,허묘연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18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31 No.4

        This thesis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nd the use of games in the first year students of the national high school in 2016. The game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entertainment industries in Korea and is an industry that has a great influence on becoming a powerhouse as cultural contents. However, games and immersion are expressed as a negative vocabulary of game addiction and are referred to as social problems and youth problems, and they give negative perception to the content of games. All users have the right to enjoy the content, but only negative words are used in poisonous games and they are packed as if they are social problems. In the present study, many emotional problems that were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were not related to game use in general adolescents. Through the questions related to 'depression', students who are not motivated or energ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effects of game and youth emotional problems were derived through the conclusion that students who are active and emotionally bright are more likely to use game cont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change the social perception of the game positively by breaking the social fixed point of view that the emotionally troubled adolescents engage with the game and cause social problems.

      • 청소년기 문제행동과 부모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손석한,노경선,허묘연,정현옥,이소희,김세주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4

        연구목적 : 일반 청소년의 문제행동(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을 평가하고, 그들을 정상 집단과 문제행동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간에 부모 각각의 양육행동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서울 소재의 일반 고등학교 학생 792명을 대상으로 부모 양육행동 척도와 K-YSR을 실시하여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평가하였다.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문제행동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학생들이 보고한 각 문제행동을 상/하위 25% tile을 기준으로 정상 집단과 문제행동 집단으로 나누어 부모의 양육행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 다음과 같다. 1) 부모의 애정, 합리적 설명, 감독의 긍정적인 양육행동은 대부분의 청소년 문제행동들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에 학대, 과잉간섭, 과잉기대, 방임, 비일관성이 부정적인 양육행동은 문제행동들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2)내재화 문제를 보이는 청소년들은 정상 집단에 비해 부모로부터 학대, 과잉간섭, 과잉기대, 방임, 비일관성의 양육행동을 유의하게 더 많이 받았고, 반면에 애정을 유의하게 더 적게 받았다고 지각하고 있었다. 외현화문제를 보이는 청소년들은 정상집단의 청소년들에 비해 부모로부터 학대, 과잉간섭, 과잉기대, 방임, 비일관성의 양육행동을 유의하게 더 많이 받았고, 반면에 감독을 유의하게 더 적게 받았다고 지각하고 있었다. 3)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를 모두 보이는 집단이 내재화 문제만 보이는 집단과 외현화 문제만 보이는 집단에 비해서 양쪽 부모로부터 유의하게 더 많은 과잉간섭을 받을 것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또한, 내재화-외현화 집단과 내재화 집단은 외현화 집단에 비해서 어머니로부터 유의하게 더 적은 애정과 더 많은 방임을 받고 있고, 아버지로부터 유의하게 더 많은 학대를 받은 것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청소녕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 과잉간섭, 과잉기대, 방임, 비일관성의 양육행동은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모두와 유의한 연관이 있고, 반면에 부모의 애정, 감독, 합리적 설명의 양육행동은 다양한 청소년기 문제행동을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and to discriminate between parenting behaviors of problem behavior groups and those of non-problem behavior group.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92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We administered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and Korean version of Youth Self-Report(K-YSR) to the subjects in order to evaluate the parenting behaviors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the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We anal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problem behaviors. We classified the subjects into problem behavior groups(internalizing group, externalizing group, internalizing-externalizing group) and a non-problem behavior(normal) group. We studied the differences of parenting behaviors among the groups. Results :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such as affection, reasoning, and monitoring and the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By contra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such as physical abuse, intrusiveness, over-expectation, neglect, and inconsistency and the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2) Adolescents of the internalizing group perceived significantly more parental abuse, intrusiveness, over-expectation, neglect, and inconsistency than those of normal group. Meanwhile, they perceived significantly less affection than normal adolescents. Adolescents of the externalizing group also perceived significantly more parental abuse, intrusiveness, over-expectation, neglect, and inconsistency than those of normal group. Also, they perceived significantly less monitoring than normal adolescents. 3) Adolescents of the internalizing-externalizing group perceived significantly more intrusiveness from both parents than those of either the internalizing or the externalizing groups. Adolescents of the internalizing-externalizing group perceived significantly less affection and more neglect from their mothers than those of the internalizing of the externalizing groups. In addition, adolescents of the internalizing-externalizing group perceived significantly more physical abuse from their fathers than those of the internalizing or the externalizing groups. Conclusion : Parenting behaviors such as abuse, intrusiveness, over-expectation, neglect, and inconsistency are associated with bo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In contrast, our results suggest that parenting behaviors such as affection, monitoring, and reasoning might decrease the various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