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전해체 법제에 관한 시론적 고찰 ― 원전해체산업 기반 조성의 관점에서 ―

        윤혜선 ( Hye-sun Yoon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학논총 Vol.37 No.4

        최근 고리 1호기에 이어, 월성 1호기 조기폐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면서, 원전의 영구정지와 해체 이슈가 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원전해체에 대한 법제 연구와 정비도 추진되고 있다. 원전해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해체비용의 적립 및 관리제도는 2008년 「방사성폐기물 관리법」을 제정하여 마련하였고, 해체 안전규제의 틀은 2015년 「원자력안전법」을 개정하여 확립하였다. 2019년 4월 발표된 정부의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에도 제도기반 구축 사항이 포함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성과는 원전해체를 위한 최소한의 법적 틀을 갖춘 것에 불과하다. 생소 할 뿐만 아니라, 많은 위험과 다양한 변수를 수반하는 것으로 알려진 원전해체를 국내에서 안정적으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보다 내실 있는 법제도적 준비가 필요하다. 더욱이 원전해체는 원전의 건설 및 운영과 다른 성질의 산업분야이고, 시기적으로 우리는 고리 1호기의 해체를 바로 목전에 두고 있으며, 무엇보다 우리나라와 원자력 분야에 있어서 경쟁력을 다투는 주요국에서 상업용 원전해체의 경험을 토대로 기술적, 산업적, 법제도적 자원을 축적해왔다는 현실을 고려하면 그 발걸음을 재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는 원전해체가 임박한 현실에서 그 수행 주체가 되어야 할 원전해체산업의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요청되는 법제도를 정책적 관점에서 논하고자 한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원전해체의 개념과 체계를 개관하고, 원자력법체계 안에서 원전해체산업의 기반과 적절한 규제 환경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실효성 있게 조성해 나가기 위해 가져야 할 관점(이를 ‘원전해체 관련 법제도 개발 지침’이라 한다)을 논하였다 (II). 다음으로 원전해체 관련 법제도 개발 지침에 따라 원전해체산업 기반 조성에 필요한 법제도 정비사항을 개괄적으로 검토하였다. 법제도 정비사항은 진흥, 안전규제, 행정절차, 기타규제 등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검토를 수행하였다(III). 마지막으로, 본고에서 제시한 법제도 정비방안을 현행 원자력법체계에 부합하게 반영하는 방안을 살핀 후, 원전해체산업 진흥 수단의 도입을 위해서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는 결론으로 글을 마무리하였다(IV). Following the recent shutdown decisions of Gori 1 reactor, the Korea’a first commercial nuclear power plant, and Wolseong 1 reactor,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shutdown of nuclear power plants and their decommissioning. However, despite our rich history of nuclear power generation, the size of the nuclear industry and its international status, policy and strategic developments and legal studies on this latter stage of nuclear lifecycle have recently sprung up. The impetus was provided by the National Energy Commission’s recommendation to permanently shutdown the Gori 1 nuclear power plant, rendered on June 12, 2015. Only then, the Nuclear Safety Act was amended to introduce a basic regulatory framework overseeing the safety of nuclear decommissioning. Fortunately, the strategy for creating a decommissioning fund, the most important issue in the nuclear decommissioning, had been legislated in Article 17 under the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Act earlier in 2008. Although a basic legal framework for nuclear decommissioning has been set out, this is not yet sufficient. There is still a long way to go before securing regulatory competence, technical capabilities and expertise to stably and safely carry out the decommissioning task This is especially so since the work is notoriously known to accompany unforeseeable risks and contingencies. Moreover, the size and competition in the international nuclear decommissioning market are ever growing without our presence as a competitive player, despite the fact that the time to start decommissioning of Gori 1 reactor approaches quickly at home. Thus, this article discusses and explores, with a clear aim to facilitate fostering a nuclear decommissioning industry in Korea, legal measures necessary to secure stability and safety of nuclear decommissioning, and addresses ways to introduce such measures to the established nuclear law regime. Specifically this article is organized into three main chapters: First, it generally overviews the concept and process of nuclear decommissioning, and proposes some guidance principles to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a legal system and/or measures for nuclear decommissioning. These principles will assist to see a complete picture that is created by interactions of the related legal systems so as to effectively, efficiently, and relative rapidly facilitate creation and promotion of a nuclear decommissioning industry in Korea, a new player in the international nuclear decommissioning market. (II). Next, legal measures that are necessary to forster a nuclear decommissioning industry are explored. These measures a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promotion, nuclear safety regulation,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other regulations (III). Finally, it examines various ways to introduce these measures to the current Korean nuclear law system, and concludes with some recommendations for better improvements of the nuclear decommissioning law (IV).

      • KCI등재

        Sur les certaines strategies de deconstruction pour echapper a la metaphysique traditionnelle

        김진택(KIM, Jun-Taek) 프랑스학회 2010 프랑스학연구 Vol.51 No.-

        니체와 데리다의 해체적 사유와 전략은 아직도 많은 오해와 왜곡 속에서 읽혀지는 듯하다 많은 오류 중 하나는 어떤 대상을 해체한다고 하면서도 언제나 해체되는 대상이 사용하고 작동시켰던 개념과 사유의 메커니즘에 대한 엄격한 고민 없이 그것을 다시 재사용하면서 자신의 해체작업을 수행하려는 오류일 것이다 이러한 오류는 해체되는 대상의 표적을 해체작업을 통해 깔끔하게 노려낼 수 있다는 오해로 이어진다 그러나 이론적 실천으로서의 해체는 현실적 실천으로서의 해체만큼이나 어렵고 복잡하게 전개되기에 이러한 전면적 전복과 해체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우리가 데리다의 텍스트로부터 배우는 것은 바로 전통적 형이상학의 해체작업이라는 것이 결코 명분과 의지만을 앞세운 슬로건만으로는 실천되지 않는다는 점일 것이다 이글은 주로 데리다의 텍스트가 제안하는 엄격하면서도 통찰 깊은 몇몇 해체적 전략과 개념들을 이해하려 노력할 것이다 그러나 이 몇 개의 해체적 이론의 성찰은 단순한 부분의 고찰이 아닌 탈형이상학적 사유의 진행과 전개의 본질적인 속성을 드러내주는 작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탈형이상학적 사유를 실험하고 실천한 철학적 텍스트들 중 데리다의 텍스트와 관점과 교차하고 조우하는 니체와 하이데거의 이론적 실천도 함께 이해하게 될 것이다 데리다는 세계와 사물을 규정하는 형이상학적 관념에는 안과 밖, 선과 악, 현상과 본질등의 이분법적 사유가 매우 깊게 작동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분법적 메커니즘이 쉽게 전면적으로 극복되는 것이 아니기에, 그는 전통적인 형이상학이 행사하고 규정해왔던 오랜 관념적 전통의 모습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떻게 이러한 구조가 작동할 수 있었는지를 밝히는 작업을 수행한다 텍스트의 해체는 그 텍스트의 바깥에서, 그 바깥에만 존재하는 고유의 개념과 사유로 무장하여 해체하려는 텍스트의 안으로 밀고 들어가는 방식으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미 형이상학적 규정에 의해 만들어진 안과 밖의 경계를 새롭게 바라보고 그것에 균열을 주는 작업 자체가 중요한 것이다 텍스트 내부에서는 균열이 바로 해체적 전략의 엄격하고도 효과적인 전략이며 이를 위해서는 텍스트 내부로 일종의 ‘마스크’을 쓰고 진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텍스트 안에서 텍스트를 반복하고 이 과정에서 드러나는 차이와 모순과 균열을 파악하는 지점이 바로 안으로서의 바깥, 혹은 바깥으로서의 안을 다시 새롭게 조망하는 탈형이상학적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그의 해체적 작업의 전략을 따르게 되면 언제나 근원과 표피, 본질과 현상이라는 근원주의적 형이상학의 메커니즘 역시 흔들리게 되는데, 이 지점에서 데리다가 말하는 근원의 보충이라는 논리가 작동된다 근원이라고 말하여지는 중심, 본질이라는 개념과 형상은 언제나 독보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이미 외부로부터의 개입과 침입을 받아들이는 보충의 사태를 언제나 경함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근원의 보충을 인정하려 하지 않을때, 순수 현전과 순수 근원을 향하는 형이상학적 욕망은 쉽게 사라지지 않음이 추적되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전통적 형이상학이 이러한 근원적 형이상학의 욕망을 간직한 채 로고스 중심주의와 신학적 새계관과 공고히 결속된 관념과 구조를 강제하고 있음을 파악한다 특히 절대적 진리/선의 발견과 구현이라는 사태는 실존적인 관계로 구조화되기전에 형이상학적 메커니즘을 통해 현존재자에게 떠맡겨지는 형이상학적 빚의 경제 구조로 전환된다 나쁘고 저속한 것으로 강탈되어 존재자들에게 드러나는 진리는 우리 존재자들에게 고스란히 채무로 남게 된다 탕감되지 못하는 빚은 언제나 존재자의 어깨에 눌려 있는데, 이 빚은 신학적 세계관에 의해 탕감되어지는 기만적 전환의 순간을 맞는다 니체의 작업은 바로 이러한 존재자의 채무관계의 생성과 소멸의 메커니즘과 결합하는 신학적 세계관의 은밀한 침투와 결속에 주목하고 실존적 차원에서 그 지점에 대한 비판과 해체를 실헌하는 것이다 이러한 형이상학적 빛의 청산은 이상주의적 전통적 형이상학에게 드러나는 진리 개념, 그리고 신학적 세계관과 일상적으로 부딪히는 실존적 차원에서 매순간 해체되고 재구조화되어야하는 과제로서 남는다 그것이 푸코와 들뢰즈가 각기 다른 길에서 실천한 탈형이상학적 노력들이라 할 수 있을 것며 그것은 언제나 현실의 실존적 공간에서 매순간 수행되는 사유의 모험을 요구한다

      • KCI등재

        분별해체 현장조사에 의한 건설폐기물 발생량 및 공정 분석

        이종찬,송태협,Lee, Jong-Chan,Song, Tae-Hyeob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09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Vol.4 No.1

        This CW(Construction wastes) are increasing as construction industry is growing, so many countries make efforts to recycle CW. Korea also made a stipulation for recycling CW. But the main content of this stipulation is for using recycled aggregates. Advanced countries try to increase reuse rate of not only recycled aggregate but also other kinds of wastes. So they are adopting SDM(separating dismantlement) method and we are also planning to make the system for SDM. This study is about SDM analysis through construction field investigation and difference analysis between SDM and UDM comparing predictive amount by UDM with real generated amount by SDM. First, the generated amount of construction wastes by SDM is more than estimated amount by UDM, and mixed waste was specially reduced more than UDM. The warehouse is easier than the office building to applicate SDM. But still there is no manual for SDM in the site, so establishment of SDM is demanded. 건설폐기물은 건설산업이 증가할수록 그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많은 국가에서는 건설폐기물 발생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하여 건설폐기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재활용에 노력하고 있으나, 이 규정에서는 순환골재의 재활용이 주가 되고 있다. 선진국가에서는 순환골재 이외의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하여 건축물 해체시 분별해체공사를 적용함으로써 재활용율을 높이고 있다. 국내에서도 분별해체에 대한 적용을 제도화하려는 과정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건축물 분별해체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는 차원에서 분별해체공사 건축물의 현장조사를 통하여 분별해체공정을 분석하고,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에 있어서 일반해체시 발생예측량과 실제 분별해체시 발생량을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먼저 건설폐기물 발생량은 일반해체방법에 의한 발생예측량과 실제 분별해체에 따른 발생량을 조사 비교하였을 때 분별해체 발생량이 더 많게 나타났으며, 특히 혼합건설폐기물량이 일반해체방법에 의한 발생예측량보다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분별해체공정은 창고시설이 사무소빌딩보다 분별해체가 용이하였으나 아직 공법 정립의 미비로 현장의 임기응변식 해체공사가 이루어지고 있어 분별해체 공법의 정립이 요구되었다.

      • KCI등재

        해체주의 건축에서 나타난 기하학적 공간 특성 연구-구성적 해체주의 건축전(Deconstructivism)에 선정된 5인의 건축가를 중심으로-

        박현아 ( Park Hyuna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4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해체주의 건축에서 나타난 조형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기하학과 해체주의 건축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해체주의 건축에서 나타난 기하학적 조형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건축에 있어 해체주의는 뉴욕 현대 미술관(MOMA)에서 열린 구성적 해체주의 건축(Deconstructivism)이라는 전시회부터 시작되었다. 그 후 해체주의에 관한 다양한 이론이 발표되어 현재까지 이르렀다. 또한, 해체주의 건축은 구성주의의 역동적 기하학 형태를 차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건축의 형태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해체주의 건축과 기하학의 이론적 배경에 의해 도출된 조형 특성을 해체주의 건축가 5인의 건축물로 분석하여 기하학적 조형 특성의 성격을 규명하는 것을 궁극적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진행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바탕으로 연구의 타당성과 그 의의를 제시하고, 제 2장에서는 해체주의 건축과 기하학의 일반적 이론과 개념을 제시하고, 제 3장에서는 해체주의 건축과 기하학적 공간으로 도출된 탈정형적 구조, 다시점적 구조, 유기적 구조로 분석하여 맥락성을 추출하고, 제 4장에서는 해체주의 건축에서 나타나는 기하학적 공간 특성을 해체주의 건축가 건축물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도출하고, 제 5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종합하여 연구의 결론을 도출한다. (결과) 탈정형적 건축 특성에서 바라본 해체주의 건축의 특성 분석은 공간을 바라보는 불규칙화 의미이다. 다시점적 건축 특성으로 바라본 해체주의 건축 특성 분석은 공간을 바라보는 탈경계화 의미이다. 유기적 건축 특성으로 바라본 해체주의 건축 특성 분석은 공간을 바라보는 연결적 의미이다. (결론) 해체주의 건축에서 나타난 기하학적 공간은 탈정형적 공간, 다시점적 공간, 유기적 공간이며 비대칭, 불균형, 부조화, 이동, 회전, 신축, 치환, 굴절, 연속을 통하여 구성된다. 탈정형적 공간은 정형적 건축에서 나타나는 균형적 구조를 탈피하고, 형태의 무작위성으로 불규칙한 질서로 나타나 공간이 가지는 본질에 대한 개념의 형태 전환을 나타낸다. 다시점적 공간은 건축을 바라보는 투시의 시점을 공간으로 확장할 수 있었으며, 질서와 규칙을 강조하는 정형적, 절대적인 공간의 유한시점과 다른 공간 투시의 확장으로 인한 무한시점은 공간이 무의미해지고 경계의 영역은 모호해지는 탈경계, 탈영역 공간으로 나타난다. 유기적 공간은 관찰자의 동선으로 나타나는 공간의 변환이다. 이러한 특성은 연속성과 반복성으로 나타나고 관찰자의 동선은 유기적 흐름을 통해 건축물은 형상화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vism, and analyzes the geometrical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vism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geometry and Deconstructionism in architecture began with an exhibition called Constructivist Architecture held at the New York Museum of Modern Art (MOMA). After that, various theories on deconstructivism were published and reached the present day. In addition, Deconstructivism borrows the dynamic geometric form of constructivism, and this characteristic appears in the form of archite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Deconstructivism and geometry as the architecture of five Deconstructivism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geometrical formative characteristics. The progr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Method) The progr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1 presents the validity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based on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Chapter 2 presents the general theory and concept of Deconstructivism and geometry, and Chapter 3 presents the Deconstructivism and geometric space. The contextuality is extracted by analyzing the post-formal structure, multi-viewpoint structure, and organic structure derived from the method. In this study,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drawn by synthesizing the contents of this study. (Result)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vism from post-formal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is the meaning of irregularities looking at space.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vism, viewed as a multi-point architectural characteristic, is the meaning of de-boundary view of space.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vism viewed as an organic architectural characteristic is a connected meaning of looking at space. (Conclusion) The geometric space that appears in deconstructivism is a post-formal space, a multi-point space, and an organic space, and forms are formed through asymmetry, imbalance, disharmony, movement, rotation, new construction, substitution, refraction, and continuity. The post-formal space escapes from the balanced structure that appears in the formal architecture, and appears in an irregular order due to the randomness of the form, representing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cept of the essence of the space. The multi-view space was able to expand the perspective of the perspective of architecture into space, and the finite perspective of a formal and absolute space emphasizing order and rules and the infinite perspective due to the expansion of other spatial perspectives became meaningless and bounded. The realm appears as an obscuring de-boundary, de-terminated space. Organic space is a transformation of space that appears as an observer's movement. These characteristics appear as continuity and repeatability, and the observer's movements are formed through organic flows.

      • KCI등재

        해체공사비 비교분석을 통한 발파해체 공법의 전망

        조태완,Cho Tae-Wan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5 No.4

        고층건물의 해체공사는 멀지 않은 장래에 급속도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들의 일반적인 해체방법은 기계식해체공법과 발파해체공법으로 대별할 수 있다. 해체공법의 결정은 해당건물이 가지는 지리적, 환경적 요인에 따라 많은 변동요인들이 있지만 일상적인 경우라면 경제성 판단이 공법선정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른 해체공법 선정요인들 보다는 객관적인 비교가 가능한 도심지 고층건물의 해체비용을 기계식공법과 발파공법으로 구분하여 산출하였으며, 이것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발파해체공법의 향후 활성화 시점을 전망하였다. The demolition works of high building in korea are expecting to increase rapidly in the near future, and its general demolition methods can be divided into mechanical demolition method and explosive demolition method. The selection of the right demolition method relies on many variable elements according to environmental and geographical elements. But, generally,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those is a economical profit. Accordingly, This study estimates each demolition cost dividing into mechanical demolition method and explosive demolition method of high building in city. And the estimating of the demolition cost makes it possible to do comparative analysis for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each method more objectively than any other selective elements. Also, the analysis for the economical efficiency helps to forecast the activated time of the explosive demolition method in domestic.

      • KCI등재

        해체주의 건축, 패션, 메이크업의 작품을 응용한 헤어디자인 연구

        김유정(Yoo Jung Kim),함수정(Su Jung Ham),진용미(Yong Mi J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1

        급격한 현대사회의 발달로 인해 미에 대한 현대인들의 본능은 욕구로 바뀌었고, 기존의 틀을 벗어나 항상 새로운 것을 추구하려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해체주의 경향은 건축, 패션, 메이크업과 함께 헤어디자인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해체주의의 조형적 특성은 디자인을 할 때 많이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랑크게리의 해체적 건축의 조형성, Chanel 2014/15 F/W의 해체적 패션의 조형성, 2012∼2015 Fantasy Make-Up Collection의 해체적 메이크업의 조형성을 분석하여 2012∼2014 에스테티카 코리아(Estetica Korea) 헤어잡지에 나타난 컬렉션과 표지,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헤어디자인에 적용하여 해체적 헤어디자인 조형성의 특성이 어떤 작품으로 나타나는지 체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향후 헤어 디자인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와 창조적이고 예술적인 아이디어 발상에 도움을 주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건축에 나타난 해체주의 작품의 특성인 탈중력성, 형태의 유희, 반복성, 탈구성, 중첩성, 비정형성, 스케일 변화, 패션에 나타난 해체주의 작품의 특성인 탈중력성, 중첩성, 비정형성, 메이크업에 나타난 해체주의 작품의 특성인 불확정성, 상호텍스트성, 퇴폐성, 탈구성, 유희적의의, 차연을 헤어디자인에도 적용하여 해체주의적 특성을 표현하였다. 이와 같이 해체주의적 특성들은 헤어디자인에 여러 가지 측면으로 응용되어 표현되어지고 있으며 기존의 틀을 해체시켜 자유롭고 열린 사고의 헤어스타일을 창조해 가고 있다. 또한 헤어디자인의 해체주의 특성은 건축과 패션, 메이크업과는 다르게 제한점이 없으므로 시.공간을 뛰어넘어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므로 더욱 많은 연구를 토대로 미용인들에게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Due to rapid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contemporary people’s instinct for beauty turned into desire, and as the phenomenon to escape from existing frames in pursuit for something new arose, the tendency of deconstruction is influencing hair design greatly along with architecture, fashion and makeup. Furthermor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is widely used in design. Therefore this study will analyze formativeness of Frank Gehry’s deconstruction architecture, formativeness of Chanel 2014/15 F/W’s deconstruction fashion, formativeness of 2012∼2015 Fantasy Make-Up Collection’s deconstruction makeup. Together with collection, cover and preliminary studies that appeared in 2012 ~2014 Estetica Korea hair magazine as basis, they were analyzed systematically to find out the kind of pieces that deconstruction hair design formativeness ends up with. The study also aims to help creative and artistic inspiration, and basic data to help future hair design development.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hair design expressed deconstruction characteristic by utilizing architecture’s: degravity, amusement of shape, repetitiveness, dislocation, duality, atropia, change of scale, fashion’s: degravity, duality, atropia, makeup’s: uncertainty, mutual text, decadence, dislocation, indirect meaning, and difference. As such, deconstruction characteristics are applied and created on hair design in various ways, and are also creating the hair style of free and open-minded by dismantling existing frames. Furthermore, hair design’s deconstruction nature has no limit unlike that of architecture, fashion and makeup, which presents possibility of further development over time and space. Therefore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providing fundamental data to people of beauty art business with much researches as foundation.

      • KCI등재

        해체산업 활성화를 위한 현행법규 및 제도 개선 연구

        하기주,신종학,이동렬,하재훈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8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0 No.1

        Generally speaking, the demolition is the subsequent construction activity which has been done after building life-span of twenty two years or so. However, we have not prepared suitable systems and laws and regulations as long-term solutions. To solve these problems, we have focused on two research methods as below: 1) We have surveyed and analyzed current laws and regulations on the demolition in Korea. 2) We have scrutinized Japanese advanced laws and regulations on the demolition for finding out effective applications to demolition industry in Korea. Based 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 are able to make a few concluding remarks and suggestions as below: 1) Laws and regulations, such as licence system, deliverly system, and construction waste policy etc, on the demolition in Korea should be upgraded to reflect advanced technologies and methods of construction and to improve the demolition industry. 2) Deregulation is strongly needed for suitable applications of developed technologies.

      • KCI등재

        테일러드 재킷의 패턴 해체를 통한 패션디자인 연구

        천미자,박주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8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최근 재확산되고 있는 해체주의 패션 현상을 고찰하고 이를 오랫동안 고정된 형태를 지닌 테일러드 재킷의 패턴에 적용하여 패션디자인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문헌연구를 통해 테일러드 재킷을 사적고찰하고 테일러드 재킷의 구성 요소를 고찰하였으며, 사례연구로서 최근 패션에 나타나고 있는 해체주의 표현 특성과 테일러드 재킷에 나타난 패턴 해체의 표현 특성을 탐구하였다. 최근 패션에 나타난 해체주의적 테일러드 재킷의 패턴 측면의 특성으로는 ‘복식구조 및 디자인원리의 해체’, ‘비확정적인 착장방식’, 그리고 ‘구멍내기’의 사례가 고찰되었으며, ‘복식구조 및 디자인 원리의 해체’ 방식에 따른 현대패션의 사례연구에서 테일러드 재킷의 구성요소 중 나타나지 않은 몸판과 소매, 그리고 디테일 패턴의 해체를 적용한 패션디자인 5점을 개발, 작품을 제작하였다. 디자인 개발은 해체주의 패션의 표현 특성 중 복식구조 및 디자인원리의 해체로 의복을 구조적으로 분리한 뒤 재구성하여 기존의 위치와 기능을 무시하는 전위 방식과 탈비율, 탈균형, 탈중심의 디자인 원리해체의 방식을 모두 반영하여 진행하였으며, 어도비 포토샵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패턴 조각의 자유로운 위치이동 및 확대와 왜곡을 통한 형태변화를 시도하였다. 각각의 디자인은 비율파괴, 위치이동, 균형파괴, 중심해체, 구성요소의 기능상실 등 해체주의적 표현방식 5가지와 패턴조각 8가지(앞 몸판, 앞 옆판, 뒷 몸판, 뒤 옆판, 바깥소매, 안소매, 칼라, 라펠)를 개별 혹은 중복으로 조합하여 개발되었다. 개발된 작품은 울 서지 소재의 원피스드레스 2점과 재킷 2점, 그리고 울나일론 멜톤 소재의 오버코트 1점이며, 모두 솔리드 블랙 색상으로 제작되었다. 본 연구는 테일러드 재킷을 구성하는 다양한 패턴조각의 해체주의적 조작 실험을 통해 해체주의 패션의 표현 특성을 디자인 요소로 활용하여 창의적이고 다양한 디자인 개발 방식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 deconstructive fashion phenomenon that is being expanded again and apply it to a tailored jacket and develop fashion design. It conducted the literature research to investigate pattern pieces of a tailored jacket maintaining a standardized form for a long time with the historical examination and the case study to explor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deconstruction shown from fashion recently and those of pattern deconstruction shown from a tailored jacket which are ‘the deconstruction of clothing structures and design principles’, ‘the indeterminate mode of wearing’, and ‘the perforating’. As a result of the case study on the contemporary fashion under the ‘deconstruction of clothing structures and design principles', 5 fashion design works applying the deconstruction of the bodice, sleeve and detail patterns of a tailored jacket were developed and manufactured. As for the design development, tailored jacket was separated and reorganized in a structural manner using the deconstruction of clothing structures and design principles, or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deconstructive fashion, reflecting the avant-garde neglecting the existing positions and functions and also de-proportioned, de-balanced and de-centered deconstruction of design principles. Besides, there was an attempt at the formative changes through free locational movement, extension and distortion of a pattern piece using Photoshop. Each design was developed by 5 expressive methods of the deconstruction including the destruction of proportion and balance, movement of location, deconstruction of center and the functional loss of elements and by individual or overlapped combination of 8 pattern pieces(front bodice, front side, rear bodice, rear side, outer sleeve, undersleeve, collar and lapels). The works developed contain 2 one-piece dresses and 2 jackets made of wool serge, 1 overcoat made of wool nylon melton in solid black.

      • KCI등재

        신-해체주의 패션의 미적 가치에 대한 연구 - 베트멍, 마르케스 알메이다, 자크뮈스를 중심으로 -

        김성은,하지수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6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는 다시 부각되고 있는 신-­해체주의 디자이너의 등장 배경과 표현 특성을 밝혀내고, 20세기말에 성행하였던 해체주의 패션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신-­해체주의만이 내포한 미적 가치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와 사례 분석을 통한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특히, 신­-해체주의 미적 가치를 분석함에 있어 신­-해체주의 디자이너 인터뷰 내용분석을 근거로 하였다. 신-­해체주의 패션의 등장 배경으로는 다르지 않은 평범함을 추구하는 놈코어 패션에 대한 회의감, 디지털 환경에서 자연스럽게 생성된 다양성에 대한 관용의 증가 그리고 사회·문화적 불안감을 흥미와 재미로 탈피하고자 하는 욕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해체주의와 신­-해체주의의 공통된 표현 특성을 바탕으로 신­-해체주의 미적 가치를 20세기 해체주의와 비교·분석한 결과 ‘시·공간의 재조합’의 미적 가치는 집단화된 코드를 바탕으로 익숙하지만 낯선 이미지를 제시했던 해체주의와 달리 신-­해체주의는 이질적인 코드를 바탕으로 디자인의 신선함을 드러내었으며, ‘성 경계의 해체’의 표현 특성을 통하여 양성의 경계의 해체를 넘어선 다양한 성의 수용을 표현하려고 하였다. ‘하위문화의 재조합’을 통해서는 저항을 위한 하위문화 이용이 아닌 소비자의 니즈에 대응하는 하위문화 스타일을 선보였으며, ‘비확정적인 착장 방식’을 통하여 완결된 형태의 거부가 아닌 소비자의 개별적 개성을 수용하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복식의 구조 및 디자인 원리 해체’의 표현 특성을 통해서 전통적 이상미를 거부하기보다는 재미와 유희의 미를 포용한 디자인을 제시하려고 하였다. 이처럼 신-­해체주의 디자인은 일상적인 아이템을 바탕으로, 대중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위트 있고 신선한 패션디자인이다. 이 연구는 국내의 패션 브랜드들에게 새로운 상품 기획 및 디자인 자료의 기초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신-­해체주의 패션을 통해 현 시대 가치를 읽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dvent backgrounds of Neo-Deconstructive designers and their expressive characteristics and also identify unique aesthetic values of Neo-Deconstructivism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Deconstructive fashion that prevailed at the end of the 20th century. As for research methodology,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together with case analysis. In particular, it was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on interview with Neo-Deconstructive designers to analyze aesthetic values of Neo-Deconstructivism. Backgrounds of the advent of the Neo-Deconstructive fashion may be identified as skepticism about normcore fashion, increase of tolerance for diversity caused naturally from a digital environment, and desire for escaping from social·cultural anxiety through interest and fun. As a result of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n aesthetic values of Neo-Deconstructivism with those of the Deconstructivism based on common expressive characteristics, as for the aesthetic value of ‘recombination of space-time’, Neo-Deconstructivism showed freshness of design based on heterogeneous codes unlike Deconstructivism showing a familiar but strange image based on collectivized codes, expressing acceptance of gender diversity through ‘deconstruction of gender boundary’. Through ‘recombination of subcultures’, it showed a style of subculture responding to needs of consumers rather than using it for resistance, pursuing to accept ‘individual personality’ of a consumer. Finally, it intended to suggest design embracing aesthetics of fun and play rather than rejecting the traditional ideal beauty through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 of ‘deconstruction of clothing structure and design principle’. As such, Neo-Deconstructive design is the witty and fresh fashion design satisfying needs of the public based on daily item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planning and designing new products with domestic fashion brands. Besides, it is regarded to give aid to reading values of the present age through the Neo-Deconstructive fashion as the cultural symbol expressing periodic ideas and cultures.

      • KCI등재

        Implementation of an Architecture for the Dismantling Digital Mock-up System

        Hee-Seoung Park,Sung Kyun Kim,Kune-Woo Lee,Won Jin Oh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5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3 No.3

        방사능에 오염된 시설물의 해체 작업은 예측할 수 없는 방사능의 출현으로 항상 사고의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어 계획했던 해체 일정이 변경되어야 하고, 전체 공정의 재설계가 다시 수행되어야 하는 비경제적인 작업이 수없이 반복되고 있다. 해체 디지털 목업 시스템 설계에 필요한 구성인자들을 검토하였다. 조사된 단위 구성요소들은 해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연구로 시설과 제염 및 해체 장비 모델링 시스템, 방사능 오염 분포도를 제작하는 3차원 방사화 매핑, 그리고 해체 일정을 평가하는데 기초가 되는 단위 작업별 평가식과 가중치 값 등이 있다.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이들 구성 요인들을 통합된 시스템으로 만들기 위해 단위 시스템들에 대한 아키텍쳐 구현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해체 디지털 목업 시스템을 통합된 환경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를 시험 평가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연구로 시설의 제염 및 해체 활동을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가시화(visualization) 모듈과 해체 일정 및 해체 비용을 평가 및 분석하는 시뮬레이션(simulation) 모듈로 구분하여 소프트웨어 아키텍쳐를 구현하였다. It is necessary to forecast the various dismantling activities prior to dismantling nuclear facilities by using various software instead of a physical mock-up system because the dismantling in a contaminated with radioactivity cause the results of an unexpected situation. The component that needs to develop a dismantling mock-up system was examined. There are many component systems such as a decommissioning database system,3D dosimetric mapping that represents a distribution of a radionuclide contamination, a component of modeling for nuclear facility and devices include the decontamination and decommissioning. The research of software architecture about these components was carried out because these component systems that have been independently doesn't describe not only to visual an activities of Decontamination and Decommissioning(D&D) but also to evaluate it. The result was established an architecture that consist of an visualization module which could be visualized an D&D activities and a simulation module which can be evaluated a dismantling schedule and decommissioning co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