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거노인과 부부동거노인의 인지기능 저하 위험요인 비교

        박현아,송현종,Park, Hyuna,Song, Hyunjong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 2021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Vol.22 No.3

        Background & objectives: Cognitive function decline is a main factor influencing the overall life of the elderly and places a burden of society. The aim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of cognitive function decline of elderly living alone and living with a spouse. Methods: This study used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from 2014 to 2018. 243 older adults who lived alone and 1,155 lived with a spouse with the 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scores in normal range at the time of 2014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of risk factors affecting cognitive function decline between in elderly living alone and elderly living with a spouse. Results: Cognitive function decline incidence rate of elderly living alone was 30.5% and the elderly living with a spouse showed 23.0%. According to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isk factors of cognitive function decline in the elderly living alone was age and residential area, while in the elderly living with a spouse were age, education level, social networks, and depression. Conclusion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ognitive function declin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elderly living with a spouse were different. Accordingly, other measures to prevent cognitive decline are necessary.

      • KCI등재

        유비쿼터스 환경에 나타난 미래도시 모빌리티 주거공간 리좀화 특성 연구

        박현아 ( Park Hyuna ),윤재은 ( Yoon Jaee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모빌리티 주거 공간과 유비쿼터스 이론을 고찰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들뢰즈의 리좀 철학으로 공간 특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동주거의 영향으로 인간의 삶의 영역이 기존영역과 달리 확장 되었고, 현재에서도 확장 되어 지고 있다. 미래사회에서는 영역의 구분이 없이 모호한 공간이 될 것이다. 특히 현대사회는 교통과 과학의 발달로 인하여 장소간의 경계는 약화되고, 유비쿼터스 환경으로 인해 공간의 경계는 무의미화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의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나타난 미래도시의 모빌리티 주거공간 특성을 리좀화 개념으로 그 상관성을 밝히며, 공간 특성을 연구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범위와 방법은 유비쿼터스 환경에 대한 분석을 과학적 특성, 기술적 특성 기준으로 분석하려한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IT 공간의 다양한 관점에서 모빌리티 공간의 선행 연구가 진행 되어 졌다. 필자는 기존의 연구된 문헌조사와 사례분석을 통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나타는 모빌리티 주거공간의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결과)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나타나는 미래도시 모빌리티 주거공간 리좀화 특성으로 장소의 리좀화, 시간의 리좀화, 형태의 리좀화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결합성, 이동성, 유연성, 확장성, 접속성으로 도출하였으며, 결합성은 디지털 공간과 현실공간의 중첩으로 나타났으며, 이동성은 공간 개념 변화로 인한 유동성으로 나타났다. 유연성은 공간의 변화에 따른 시공간의 초월성으로 나타나며, 확장성은 영역의 개념을 상실한 무한공간으로 나타나며, 마지막으로 접속성은 공간의 네트워크로 인한 공간성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특성은 미래도시의 모빌리티 주거공간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유비쿼터스 기술 발전으로 인해 기능과 공간이 접목된 네크워크 공간으로 발전되어질 것이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나타난 미래도시의 모빌리티 주거공간 리좀화 특성으로 유비쿼터스와 모빌리티 주거공간의 이론을 분석하여 리좀화 특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미래도시의 모빌리티 주거 환경 특성 뿐만 아니라 미래에 나타나는 주거공간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 주려 했다. 차후 미래도시에 나타나는 여러 공간의 실질적인 특성 분석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s the theory of mobility residence space and ubiquitous characteristics, and based on this, explor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with rhizome philosophy of Deleuze. Due to the influence of mobile housing, the realm of human life has been expanded differently from the existing ones, and is still expanding today. In the future society, it is likely that we will acknowledge the space as an ambiguous one without division of areas. Modern society is witnessing the weakening of the boundaries between places due to advancement of transportation and science, eventually depriving the meaning of the boundaries of spaces due to ubiquitous environment. Thus, this study explains the rhizomal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mobility residential space present in modern ubiquitous environment, and explor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mobility residence space. (Method)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ubiquitous environment with its scientific and technical characteristics. Preceding studies of mobility spaces applied various view points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space. We apply literature survey and case analys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ity residential space. (Result) In this study, the rhizomal characteristics of future urban mobility residential spaces in a ubiquitous environment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a rhizome of a place, a rhizome of a time, and a rhizome of a shape. The results were derived as coherence, mobility, flexibility, expandability, and connectivity, and coherence was shown as the overlapping of digital space and real space, and mobility was shown as fluidity due to the change in space concept. Flexibility appears as transcendence in time and space due to changes in space, expandability appears as infinite space without concept of domain, and finally, connectivity appears as spatiality due to the network of space. Future urban residence space may be characterized as above, and due to the development of ubiquitous technology, it will evolve into a network space that combines function and space. (Conclus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rhizomal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mobility residential space with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by analyzing the theory of ubiquitousness and the theory of mobility residential space. We attampted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future urban mobility residential space environment, and also to present a new standard of the future residence space. We anticipate analyses of diverse future urban space ubiquitous residence space and smart space based on this study.

      • KCI등재

        해체주의 건축에서 나타난 기하학적 공간 특성 연구-구성적 해체주의 건축전(Deconstructivism)에 선정된 5인의 건축가를 중심으로-

        박현아 ( Park Hyuna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4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해체주의 건축에서 나타난 조형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기하학과 해체주의 건축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해체주의 건축에서 나타난 기하학적 조형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건축에 있어 해체주의는 뉴욕 현대 미술관(MOMA)에서 열린 구성적 해체주의 건축(Deconstructivism)이라는 전시회부터 시작되었다. 그 후 해체주의에 관한 다양한 이론이 발표되어 현재까지 이르렀다. 또한, 해체주의 건축은 구성주의의 역동적 기하학 형태를 차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건축의 형태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해체주의 건축과 기하학의 이론적 배경에 의해 도출된 조형 특성을 해체주의 건축가 5인의 건축물로 분석하여 기하학적 조형 특성의 성격을 규명하는 것을 궁극적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진행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바탕으로 연구의 타당성과 그 의의를 제시하고, 제 2장에서는 해체주의 건축과 기하학의 일반적 이론과 개념을 제시하고, 제 3장에서는 해체주의 건축과 기하학적 공간으로 도출된 탈정형적 구조, 다시점적 구조, 유기적 구조로 분석하여 맥락성을 추출하고, 제 4장에서는 해체주의 건축에서 나타나는 기하학적 공간 특성을 해체주의 건축가 건축물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도출하고, 제 5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종합하여 연구의 결론을 도출한다. (결과) 탈정형적 건축 특성에서 바라본 해체주의 건축의 특성 분석은 공간을 바라보는 불규칙화 의미이다. 다시점적 건축 특성으로 바라본 해체주의 건축 특성 분석은 공간을 바라보는 탈경계화 의미이다. 유기적 건축 특성으로 바라본 해체주의 건축 특성 분석은 공간을 바라보는 연결적 의미이다. (결론) 해체주의 건축에서 나타난 기하학적 공간은 탈정형적 공간, 다시점적 공간, 유기적 공간이며 비대칭, 불균형, 부조화, 이동, 회전, 신축, 치환, 굴절, 연속을 통하여 구성된다. 탈정형적 공간은 정형적 건축에서 나타나는 균형적 구조를 탈피하고, 형태의 무작위성으로 불규칙한 질서로 나타나 공간이 가지는 본질에 대한 개념의 형태 전환을 나타낸다. 다시점적 공간은 건축을 바라보는 투시의 시점을 공간으로 확장할 수 있었으며, 질서와 규칙을 강조하는 정형적, 절대적인 공간의 유한시점과 다른 공간 투시의 확장으로 인한 무한시점은 공간이 무의미해지고 경계의 영역은 모호해지는 탈경계, 탈영역 공간으로 나타난다. 유기적 공간은 관찰자의 동선으로 나타나는 공간의 변환이다. 이러한 특성은 연속성과 반복성으로 나타나고 관찰자의 동선은 유기적 흐름을 통해 건축물은 형상화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vism, and analyzes the geometrical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vism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geometry and Deconstructionism in architecture began with an exhibition called Constructivist Architecture held at the New York Museum of Modern Art (MOMA). After that, various theories on deconstructivism were published and reached the present day. In addition, Deconstructivism borrows the dynamic geometric form of constructivism, and this characteristic appears in the form of archite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Deconstructivism and geometry as the architecture of five Deconstructivism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geometrical formative characteristics. The progr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Method) The progr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1 presents the validity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based on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Chapter 2 presents the general theory and concept of Deconstructivism and geometry, and Chapter 3 presents the Deconstructivism and geometric space. The contextuality is extracted by analyzing the post-formal structure, multi-viewpoint structure, and organic structure derived from the method. In this study,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drawn by synthesizing the contents of this study. (Result)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vism from post-formal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is the meaning of irregularities looking at space.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vism, viewed as a multi-point architectural characteristic, is the meaning of de-boundary view of space.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vism viewed as an organic architectural characteristic is a connected meaning of looking at space. (Conclusion) The geometric space that appears in deconstructivism is a post-formal space, a multi-point space, and an organic space, and forms are formed through asymmetry, imbalance, disharmony, movement, rotation, new construction, substitution, refraction, and continuity. The post-formal space escapes from the balanced structure that appears in the formal architecture, and appears in an irregular order due to the randomness of the form, representing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cept of the essence of the space. The multi-view space was able to expand the perspective of the perspective of architecture into space, and the finite perspective of a formal and absolute space emphasizing order and rules and the infinite perspective due to the expansion of other spatial perspectives became meaningless and bounded. The realm appears as an obscuring de-boundary, de-terminated space. Organic space is a transformation of space that appears as an observer's movement. These characteristics appear as continuity and repeatability, and the observer's movements are formed through organic flows.

      • KCI등재

        모더니즘 건축에서 나타난 기하학적 공간인식 특성 연구 - 국제회의(C.I.A.M)의 참여 건축가 4인(레이몬드후드, 미스 반 데르 로에, 르꼬르뷔제, 월터 그로피우스)의 건축물을 중심으로 -

        박현아 ( Park Hyuna ),이승일 ( Lee Seungil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4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기하학과 모더니즘 건축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기하학적 공간인식 관점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모더니즘 건축의 공간인식 특성을 분석한다. 기하학은 토지를 측량하기 위한 실용학문으로 고대 이집트 시대에서부터 시작되었으며, 현대에는 공간의 결합원리 관계를 규명하는 학문으로 발전되어왔다. 그러나, 기존의 선행 논문에서 기하학은 일반적인 형태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본 연구자는 모더니즘 건축에서 나타나는 기하학의 공간 인지적 특성을 가시적 특성과 비가시적 특성으로 분석하여 나타낸다. 그로 인해 공간에서 나타나는 기하학의 형태적 결합원리의 특성을 공간인식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상관성을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의 진행 방법 및 범위는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밝혀 연구의 타당성을 제시하고, 제2장에서는 기하학의 일반적인 이론과 모더니즘 건축의 기하학적 배경을 파악하고, 제3장에서는 기하학의 공간인식 관점에서 나타난 형태적 관점, 공간적 관점의 특성을 분석하고, 제4장에서는 기하학의 공간인식 관점에서 나타난 모더니즘 건축 사례분석을 도출하고, 제5장에서는 종합분석으로 본 연구의 내용을 종합하여 연구의 결론을 도출한다. (결과) 기하학의 공간인식의 관점에서 나타난 형태적 관점은 공간에서 나타나는 가시적 형태로부터 생성되며, 바탕으로부터 인식된 도형으로 나타난다. 분석기준으로 도출된 결합된 형태는 기하학의 도형과 도형이 서로 결합되어 재생성 되는 형태이며, 기하학의 분리된 형태는 기하학의 도형과 도형이 서로 다른 성질로 인해 분되는 형태이고, 기하학의 독립된 형태는 기하학의 도형이 홀로 존재되는 형태이다. 기하학의 공간적 관점은 비가시적 형태로부터 생성되며, 도형으로부터 인식된 바탕의 도형이다. (결론) 모더니즘 건축의 형태적 관점은 가시적인 형태로 인한 건축적 형태로 나타나며, 이러한 특성은 가시적 형태의 분류를 통해 나타난다. 기능적이고 규칙적인 형태의 가시적 형태로 인해 바탕이 되는 공간 또한 실체적 형태의 도형으로 인해 분류되어 나타난다. 형태적 관점은 도형의 실체가 되고, 공간의 관점은 실체의 공간(空間)이 바탕이 되어 나타난다. 본 연구는 건축의 형태생성 본질로 기하학의 공간인식 관점으로 분석하고, 그 특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건축적 형태 도출의 기하학적 공간인식 분석을 통하여 앞으로 변화하는 건축형태 분석의 새로운 방향의 틀로 발전하길 바란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derives a geometrical space perception perspective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geometry and modernist architecture, and through this, analyzes the spatial recognition characteristics of modernist architecture. Geometry, as a practical study for surveying land, started in the ancient Egyptian era, and has been developed as a stud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les of space and the present. However, in the previous papers, geometry is not too much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 forms, so this researcher analyzes the spatial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geometry in modernist architecture as visible and invisible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rphological coupling principle of geometry appearing in space from the point of view of spatial awareness and to reveal the correlation. (Method) The method and scop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Chapter 1,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are clarified to present the validity of the study, and in Chapter 2, the general theory of geometry and the geometric background of modernist architecture are grasped, and in Chapter 3, the morphological perspective that emerged from the spatial perception of geometry In addition, in Chapter 4,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perspective are analyzed, the case analysis of modernist architecture, which appears from the perspective of spatial perception of geometry, is derived, and in Chapter 5,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synthesized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and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drawn. (Result) The morphological point of view from the point of view of spatial recognition of geometry is generated from the visible form that appears in space and appears as a figure recognized from the ground. The combined form derived from the analysis standard is the form in which geometric figures and figure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regenerated, the separated form of geometry is the form in which geometric figures and figures are divided due to different properties, and the independent form of geometry is A geometric figure is a form that exists alone. The spatial point of view of geometry is generated from invisible forms and is the ground figure recognized from figures. (Conclusion) The morphological perspective of modernist architecture appears as an architectural form due to the visible form. The form of architecture appears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visible forms, and features of functional and regular form appear. Due to this visible form, the underlying space is also composed and appeared by the figure of a substantive form. The morphological perspective becomes the entity of the figure, and the perspective of space appears based on the space of the entity.

      • KCI등재

        부석사에 나타난 공간의 리좀화 경향과 비위계적 배치특성 연구

        박현아 ( Park Hyuna ),윤재은 ( Yoon Jaee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사찰인 부석사의 비위계적 배치특성을 리좀적 경향으로 그 상관성을 밝혀 그 특성을 도출한다. 부석사의 대표적인 공간인 일주문, 천왕문, 범종각, 안양루, 무량수전의 배치특성을 분석하고, 부석사의 리좀화 경향과 비위계적 배치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분석의 기본안을 마련한다. 이는 부석사 공간 배치와 리좀화의 비위계적 관계성을 파악 할 수 있다. 부석사의 역사적 공간특성과 구성요소를 고찰하며, 리좀 이론을 바탕으로 부석사 공간의 특성 및 배치 특성을 도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부석사의 대표적인 공간들을 비위계적 배치특성으로 구분하여 연구하려 한다. 부석사 공간의 배치를 형태적, 구조적, 의미적 관점의 분석으로 연구된 문헌조사와 현지답사를 토대로 부석사 공간에서 나타나는 리좀화 경향과 비위계적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배경과 목적을 밝혀 연구의 타당성과 의의를 제시한다. 둘째, 부석사의 공간의 배치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개념을 공간구성 요소를 통해 연구한다. 셋째, 비위계적인 이론적 개념인 리좀에 대해 이론적 개념과 비위계적 특성을 연구하여 분석의 맥락성을 도출한다. 넷째, 각 도출된 결과를 구조축의 비위계화, 공간의미의 비위계화, 단면공간의 비위계화를 통해 부석사의 공간특성으로 나타낸다. 다섯째, 본 연구의 내용을 종합하여 결론을 제시한다. (결과) 부석사를 기, 승, 전, 결 4단계로 수평적, 수직적으로 나누어 분석해 본 결과 구조축의 비위계화, 공간의미의 비위계화, 단면공간의 비위계화로 구분하여 나타난다. 구조축의 비위계화는 수평적 공간 배치 특성으로 나타나며, 기존 사찰건축에서 다른 비위계적 구조축을 가진다. 공간의미의 비위계화는 각각의 공간이 가지는 의미와는 다른 비위계적 공간의미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단면공간의 비위계화는 수직적 공간배치 특징으로 나타나며, 수직적 레벨차이와 다른 비위계적 공간배치를 가진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부석사의 건축 특성과 구성요소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리좀 철학을 배경으로 비위계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끝으로 한국 사찰건축 선행연구가 불교사상과 전통건축의 형태적 측면으로 많이 치중되어왔으나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사찰건축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앞으로도 한국 사찰 건축이 현대적 관점으로 연구되어 이 시대가 필요로 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제시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defines rhizomal tendency and correlation of non-hierarchical arrangement characteristics of Buseoksa Temlple, one of the main Buddhist temples in Korea. We analyze the arrangement characteristics of Iljumun, Cheonwangmun, Beomjonggak, Anyangru, and Muryangsujeon, the representative spaces of Buseoksa Temple, and devise a basic plan of analysis to study the rhizomization tendency and non-hierarchical arrangement characteristics of Buseoksa Temple. This will allow us to grasp the non-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space arrangement of Buseoksa Temple and its rhizomal tendency. The historical spatial characteristics and constituent elements of Buseoksa Temple were reviewed,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arrangement characteristics of Buseoksa Temple were derived and analyzed based on the rhizome theory. (Method)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representative spaces of Buseoksa by dividing them into non-hierarchical arrangement characteristics. We tried to clarify the rhizomization tendency and non-hierarchical characteristics of the Buseoksa space based on various literature surveys and field trip studies. The procedure is as follows: First, validity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proposed through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Second, general concepts of Buseoksa Temple’s space is studied with its spatial constituent elements. Third, we derive the context of the analysis by studying the theoretical concept and non-hierarchical characteristics of rhizome. Forth, each derived result is expressed a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Buseoksa Temple through de-hierarchicalization of structural axes, de-hierarchization of spatial meaning, and de-hierarchization of sectional space. Finally, conclusion is presented.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Buseoksa by dividing it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nto four stages of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onclusion, it appears as a non-hierarchical structure axis, a non-hierarchical spatial meaning, and a non-hierarchical sectional space. The non-hierarchical structure axis appears as a characteristic of horizontal space arrangement, and has a different non-hierarchical structure axis in the existing temple architecture. The non-hierarchical meaning of space has a non-hierarchical spatial meaning different from the meaning of each space. Finally, the non-hierarchical arrangement of the cross-sectional space appears as a characteristic of vertical space arrangement, and has a non-hierarchical arrangement different from the vertical level difference. (Conclusions) We theoretically examine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constituent elements of Buseoksa Temple, and derived its non-hierarch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rhizome philosophy. Although prior research on Korean temple architecture mainly focused on morphology, we expect a novel study theme of Korean temple architecture study. We anticipate abundant study of Korean temple architecture via modern perspective that can present a novel spatial philosophy which modern society will learn from.

      • KCI등재

        수술 후 대장암 환자의 재원기간 운동중재 효과검증

        민지희(Min, Ji-hee),안기용(Ahn, Ki-yong),박현아(Park, Hyuna),조원희(Cho, wonhee),정혜정(Jung, Hye Jeong),김남규(Kim, Nam Kyu),전용관(Jeon, Justin Y) 대한종양간호학회 2017 Asian Oncology Nursing Vol.17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ost-operative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psychological factors, time to flatus and length of hospital stay in stage 1~3 colorectal cancer patients. Methods: A total of 35 post surgery patients were recruited and randomly assigned to the exercise or controlled group. Participants in the exercise group exercised twice a day while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followed the clinical pathways (CP). Results: A total of 25 participants completed the trial. Post-operative exercise resulted in a clinically meaningful, but statistically insignificant reduction in body weight (Exercise: -1.10±1.63 kg vs. CP: -0.63±1.16 kg; p=.111), fat mass (Exercise: -1.43±0.95 kg vs. CP: 0.64±4.29 kg; p=.100). When participants’ body composition were compared to their baseline values at the baseline, only the exercise group experienc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body weight, body mass index (BMI) and fat mass. In addition, post-operative exercise significantly improve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Exercise: 2.27±2.08 vs CP: -12.82±22.47; p=.008).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ime to flatus and the length of hospital stay between groups. Conclusion: The current pilot study suggests that the post-operative exercise program was safe and produced for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mprovements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