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방기 시의 건설 담론과 수사적 특징

        이경수(Lee, Kyung-Soo) 한국시학회 2016 한국시학연구 Vol.- No.45

        이 논문에서는 해방기에 출간된 네 권의 공동 시집인『해방기념시집』,『해방기념 시집 횃불』,『삼일기념시집』,『전위시인집』을 대상으로 해방기 시에 지배적으로 형성된 건설의 담론과 그것이 형성된 수사적 맥락을 짚어보았다. 특히 해방기 시에 집중적으로 드러난 새나라 건설의 담론이 마음과 감정 계열의 시어들과의 관련 속에서 펼쳐지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이 논문에서 새롭게 밝혀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방 직후인 1945~1946년에 출간된 공동 시집에서는 공통적으로 새나라 건설의 열망이 집중적으로 드러났는데, 이는 대체로 해방 이전과 이후를 속박과 해방, 낡음과 새로움 등의 시적 표상의 대립을 통해 표출했다. 더 나아가 이분법적 대립을 넘어서 변증법적 극복을 통해 새 시대로 나아가고자 하는 시들도 눈에 띄었다. 둘째, 해방기 시의 건설 담론은 마음 은유를 통해 표현되는 경우가 많았다. 해방기 공동시집에서 마음 은유는 무게와 깊이를 지닌 공간화되고 신체화된 마음으로 구체화된다. 또한 어린이, 청년, 어머니라는 주체와 마음이 결합한 경우도 자주 눈에 띄는데 이를 통해 미래 역사의 주역으로서의 정당성과 겨레의 마음으로 확산될 수 있는 가능성을 획득하고자 했다. 셋째, 해방기 시에서는 감정어가 높은 빈도로 쓰였는데, 특히 흘러넘치고 분출하고 쏟아지는 범람의 상상력과 나부끼는 깃발의 이미지를 통해 탈경계의 상상력이 폭발적으로 쓰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표현상의 특징들은 해방기 시에 출간된 네 권의 공동 시집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었다. 특히 해방기 시의 대표적인 주제라고도 할 수 있는 새 나라 건설의 담론이 마음 은유와 감정어의 사용, 탈경계의 상상력과 결합됨으로써 해방기 시 특유의 파토스의 분출에 이를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정제된 언어와는 거리가 먼 거친 언어의 사용, 격정적 분위기, 거리의 시 등으로 요약될 수 있는 해방기 시의 특징은 이 논문에서 살펴본 표현상의 특징과 긴밀히 관련된 것으로서, 해방기는 한국 현대 시사에서 가장 뜨겁게 시적 에너지가 분출되었던 시기라는 독보적인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construction discourse dominantly form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its rhetoric contexts with a focus on four collected poems of collaboration published during the period, Collection of Poems in Commemoration of Liberation, Torches, the Collection of Poems in Commemoration of Liberation, Collection of Poems in Commemoration of March 1, and Collection of Works of Avant-Garde Poets. The study especially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discourse of new nation building, which was intensively reveal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developed in its relations with the poetic words of mind and emotion lines. The study led to the new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re was an intensive description of desire for new nation building among the collected poems of collaboration published in 1945~1946 right after Liberation. It was expressed through a confrontation between different poetic representations before and after Liberation such as restriction and liberation and old and new. Furthermore, beyond the dichotomous opposition poems to moving into a new era through a dialectical overcoming also stood out. Secondly, the construction discourse in the poem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as expressed through the metaphor of mind in many cases. In the collected poems of collaboration of the Liberation Period, metaphor of mind is materialized as the mind that it was spatialized and embodied with the weight and depth. Also, it stands out cases that combined the subject as children, youth, and mother with the mind. Through this, they wanted to acquire the legitimacy as the protagonists of the future history and the possibility which can be spread to the minds of compatriots. Finally, emotion words were used in high frequency in the poem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ith the explosive usage of trans-boundary imagination through the overflowing imagination that ran off, erupted, and poured down and the images of fluttering flags. Those expressive characteristics were found in all of the four collected poems of collaboration publish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s the discourse of new nation building, which was the representative topic of poems during the period, was combined with the metaphor of mind, emotion words, and overflowing imagination, it amounted to the eruption of pathos unique to the poetry of Liberation period. Summarized in the usage of rough language distant from refined language, passionate atmosphere, and poems of the streets, the characteristics of poem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ere closely related to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examined in the present study. The poems of Liberation period got to hold a suggestive place 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Korean poetry as the period when the poetic energy erupted in the hottest fashion.

      • KCI등재

        해방기 출판시장에서 이광수의 위상

        김종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0 民族文化硏究 Vol.52 No.-

        해방기 이광수는 문단에서 외면받았으나 대중독자에게는 사랑받은 작가였다. 해방 후 친일파의 처리가 법적인 차원에서 완결되지 못한 것과 출판시장에서 이광수 서적에 대한 대중독자의 열렬한 구독행위는 이광수가 사회적 위치를 유지하는데 결정적 요소였다. 해방 후부터 한국전쟁 전까지 이광수의 저서는 총 28권이 출판·유통되었다. 이중 해방 전 신문에 연재하였으나 단행본으로 간행되지 않은 것이 5권('가'군)이고, 해방 후 새로 집필하여 출간한 것이 7권('나'군), 식민지 시대 간행했던 것을 재출간한 경우가 16권('다'군)이었다. '가'군의 출판물은 해방 후 활기를 되찾은 출판시장에서 상업적 이득을 꾀하려는 출판업자의 요구가 반영된 것이 많았으며, '나'군에 포함되는 저서는 이광수의 자전적 이야기를 토대로 한 것으로 해방 후 참회에의 기대를 요구한 대중 심리에 부응한 출판물들이었다. 한편 '다'군에 해당하는 서적은 해방 전 대중독자에게 인기를 끌었던 작품들로 이광수가 반민특위의 불기소처분을 받은 후 법률적으로 친일의 면죄부를 받게 되자 출판, 유통되었다. 해방기 이광수의 저서는 모두 대중독자의 기대에 부응한 면모를 갖고 있었다. 이광수의 저서는 위안과 통속의 세계를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이념을 강조하고 대중 선동을 목적으로 하던 좌익서적과 팜플렛 류의 유행에 뒤이어 작가의 '자전적 이야기'를 바탕으로 대중독자의 독서욕을 충족시켰다. 그리고 해방기 교육제도의 정비과정에서 교재로 활용될 목적으로 출판되기도 하였다. 해방기 출판시장에서 이광수가 공고한 입지를 형성할 수 있었던 이유는 다음과 같다. 반민특위의 불기소처분이 이광수의 사회적 활동에 대한 면죄부를 주었고, 해방기 이광수의 친일행적을 비난하던 좌파 문인조직이 정치투쟁의 와중에 대거 월북, 와해되어 이광수의 출판활동에 대한 조직적인 대응이 불가능했기 때문이었다. 또한 해방 후 대중적 세력의 결집을 꾀하였던 흥사단의 도움이 이광수에게 작가적 자신감을 회복시켜주었으며, 이광수 소설이 지니고 있는 대중적 흥미요소가 출판시장에서 이광수 서적의 판매호조에 기여했기에 해방기 출판시장에서 춘원의 위상은 공고할 수 있었다. 해방기의 정치적 격변과 경제적 불황의 상황에서도 이광수의 서적은 독자와 출판업자의 이해요구에 부합하는 문화상품이었기 때문에 대거 출판 유통됨으로써 이광수의 출판문화적 입지는 더욱 확고하게 되었다. 해방기 출판 시장에서 당시 대중독자가 이광수 서적에게 보여준 관심은 해방기 이광수의 존재기반을 마련해주었으며, 한국전쟁이후 한국문학의 서적시장에서 이광수의 저서는 광범위하고 다양한 출판형태로 대중독자들에게 소개된다. 해방기 출판문화에서 차지했던 이광수의 위상이 현재까지의 출판시장에서 이광수를 한국문학의 대표적인 문인으로 자리매김하는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 For Yi Gwang-su's books was agreed with readers and publishers' wish, he had stable status of a publication market after the liberation to Korean War when were sudden changes of domestic political situation and economic depressions. As massive readers chose his books many at that period, he could get the social-warrantable basis on which he got out of the pro-Japanese. And then his books widespreadly and diversely released to public after Korean War until now. The important position and status of Yi Gwang-su was followed in publication markets by readers from the liberation to Korean War, which it takes Yi Gwang-su be a representative writer in Korean literary history until now also.

      • KCI등재

        일반논문 : 해방기 북한연극의 공연미학

        김정수 ( Jeong Soo Kim ) 한국공연문화학회 (구,한국고전희곡학회) 2010 공연문화연구 Vol.0 No.20

        본고는 해방기 북한의 연극을 공연적 관점에서 주목하여, 이 시기 북한 연극의 공연미학을 발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작했다. 1950년 한국전쟁부터 전쟁 60주년을 맞는 2010년 현재까지 남북한의 연극은 `다름`의 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본고가 해방기에 주목한 이유는 해방기는 그 `다름`이 태동하는 기간이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해방기 북한연극에 대한 비평은 같은 시기 남한 연극인들의 비평이 기본틀을 제공했다. 일례로 이해랑의 `연극이 아닌 잡스러운 정치가 큰 얼굴을 했다`는 글은 이 시기 북한 연극에 대한 남한 연극인의 관점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해방기는 좌우익 연극인들이 각자 자신의 체제 옹호와 타자의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기에 이 같은 남한 연극인의 시각은 객관성이 결여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해방기 북한 연극의 객관적 의미발견을 위해 북한문헌을 기본으로 공연작품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공연적 관점에서 분석해보았다. 연구과정에서 주의를 기울인 것은 연극론보다는 공연의 실제적 측면을 주목하는 것이었다. 연출, 연기, 대사 등을 중심으로 공연의 구체적 모습을 면밀히 탐색하면서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북한 연극은 기본적으로 당 정책, 김일성 교시의 반영을 우선시 하며, 1956년 종파사건 이후에는 `김일성 찬양`이 주제였던 작품은 공연당시보다도 한층 우수한 작품으로 평가 받기도 한다. 그러나 주목할 것은 북한 내에서 우수작품의 반열에 들었던 작품은 내용에서 `김일성 찬양`을 다룬 작품뿐 아니라 공연의 측면에서 완성도 높은 작품이었다는 사실이다. <성장>은 인물에 적합한 대사가 구현됨으로써, <나란히 선 두집>은 연출자와 연기자들이 극중 인물의 미묘한 심리를 예민하게 포착함으로써, <리순신 장군>은 사실적 연기와 무대로서, <로씨야 사람들>은 인간들의 내면생활의 충실한 체험을 보여줌으로써 화제작에 올랐다는 점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해방기 북한은 연극작업에서 당시 남한 연극인들의 표현을 빌려 `잡스러운 정치를 선전하는` 연극이었을 수 있다. 공연을 통해 당이 주도하는 정책을 반영해야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 정책을 반영하는 것이 곧 공연 미학의 결여와 동의어가 되는 것은 아니다. 북한 내의 연극비평을 살펴보면, 당 정책을 반영했다고 해도 억지스러운 전개, 유형적 대사, 진실성이 결여된 연기는 항상 지적의 대상이 되었다. 이 시기 북한은 `생활의 진실 구현과 생활의 왜곡 견제`를 위해 사실주의를 지향했기 때문이다. 또한 일제 강점기에 영향을 받은 공연형식, 북한의 정의에 의하면 `신파적 연기양식`을 배제하는 것에 주력했다. 따라서 해방기 북한 연극은 `연극 자체의 미를 곁방에 몰아` 두었다기보다는 뚜렷한 관점에 의해 사실주의 연출법과 연기법을 실현하는 과정에 있었으며, 그것이 해방기 북한 연극의 미학적 의미라고 하겠다. This thesis proposes to explore the theatre aesthetics of North-Korea during after the Liberation. From now South-Korean theorists have provided the theatre aesthetics of North-Korea to South-Korea, so we can say that it lacks of an equity. For example, South-theorists have said that North-Korean theatre only emphasized politics and propaganda, they have had not any aesthetics in performance. So this study focused on North-Korean critics and records for fairness and as a result something new is founded. The best theatres in North-Korea were some works which contains natural and proper lines to character, well-expressed inner desires of characters, realistic acting and stage design, and realistic life of working class. Of course they should reflect communist ideology and policy, but more important is that it did not mean everything in North-Korea. So we can say that it is fact that North-Korea should reflect their policy, which does not mean lack of aesthetics of performance. North-Korea had an obvious point of view for theatre, and they made an effort to realistic lines, movements and stage. During right after the Liberation, North Korea sought to find an answer for `realization of true life`, and sought to eliminate Japanese acting style in theatre. Concluded theatre aesthetics of North-Korea during right after the Liberation is realistic acting and directing style.

      • KCI등재

        해방기 대구,경북 지역의 연극,영화 운동에 관한 사례 연구: "10월영화공장" 을 중심으로

        양정혜 ( Jung Hye Yang ),박창원 ( Chang Won Park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12 언론과학연구 Vol.12 No.2

        이 논문은 부분적이나마 해방기(1945-1948) 진보적 민족주의자들이 전개한 대구·경북지방 영화·연극운동의 실재를 발굴하고 그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45년 10월 1일 창립되어 해방기 국가 건설기에 민족·국가·민중·향토의 정체성을 심는 한편 정치·경제·문화 담론을 전파한 매체로서 주목할 만한 활동을 전개한 10월영화공장의 궤적을 추적하였다. 10월영화공장은 10월영화뉴스, 문화영화, 계몽영화 제작 등 영화를 미디어로 삼아 조직적으로 문화운동을 전개하였으며 이같은 영화·연극 운동은 지방 도시로서는 대구가 유일무이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처럼 해방기 대구지방의 연극·영화운동이 활발했던 것은 진보적·민족적 연극·영화인들의 연극·영화가 해방기의 역사성을 이해하고 민족적 메시지를 담아내 민중들의 큰 호응을 받음으로써 가능하였다. 해방기 대구·경북 영화·연극운동 주도세력의 맥은 대구 ``무대협회``, 대구 ``가두극장``, ``코레아영화제작소``, ``10월영화공장`` 등으로 이어졌다. 해방기 대구의 문화운동 주도세력은 일제강점기 일제에 수탈·억압당하는 농민과 노동자, 학생을 비롯한 식민지 민중의 삶을 표현한 비흥행적 영화·연극을 개척하였다. 이들이 일제의 혹독한 탄압을 받으며 활동한 경험은 해방기 미군정의 탄압에 합리적·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었다. 대구·경북의 해방기 영화·연극운동 주도세력들은 이론투쟁보다는 현장에서 민주적 민족국가·민족문화수립 건설운동이라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역사적 자료 발굴 등을 통해 지금까지 공백으로 남아있던 해방기 대구·경북 진보세력이 펼친 영화·연극 운동의 실체를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define and describe the nature of the liberal nationalist ``Cinema and Theatre Movement`` in Daegu and the Gyungbuk area during the period of national emancipation(1945-1948) in Korea. There exists virtually no research that traces the trajectory of local ``Cinema and Theater Movement`` in Korea, especially in regard to the efforts made by liberal political blocs which attempted to achieve independent nation building without outside intervention. The primary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cover and bring light to historical documents including newspaper articles and photos that remain unnoticed in the turmoil of political change in post-war Korean society. To achieve this, rare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in Daegu and Gyungbuk were collected. Through content analysis of newspapers, this research reveals ideological orientations, important actors, and specific activities of liberal political blocs. Local residents who either witnessed or engaged in the Cinema and Theater Movement were also interviewed. Historical documents and interviews revealed the existence of the ``October Cinema Factory`` which was founded on October 1945 in Daegu·Gyungbuk region. This organization actively engaged in imbuing the identity of the new nation and both national and local values/traditions/cultural practices to the Korea public through street performances and local cinema productions. The ``October Cinema Factory`` also produced a variety of cinemas for the education and emancipation of the local people. The ``October Cinema Factory`` was the only local cultural organization that pursued the empowerment of the public as well as the encouragement of political participation by utilizing popular cultural products as its means. The primary contribution of the present study is that it brings to light and confirms the existence of liberal bloc activities for political empowerment of Daegu and Gyungbuk residents, which have not been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The study also describes, with considerable historical evidence, the emergence, development, and decline of this movement in rich detail.

      • KCI등재

        해방기 북한연극의 공연미학

        김정수 한국공연문화학회 2010 공연문화연구 Vol.0 No.20

        This thesis proposes to explore the theatre aesthetics of North-Korea during after the Liberation. From now South-Korean theorists have provided the theatre aesthetics of North-Korea to South-Korea, so we can say that it lacks of an equity. For example, South-theorists have said that North-Korean theatre only emphasized politics and propaganda, they have had not any aesthetics in performance. So this study focused on North-Korean critics and records for fairness and as a result something new is founded. The best theatres in North-Korea were some works which contains natural and proper lines to character, well-expressed inner desires of characters, realistic acting and stage design, and realistic life of working class. Of course they should reflect communist ideology and policy, but more important is that it did not mean everything in North-Korea. So we can say that it is fact that North-Korea should reflect their policy, which does not mean lack of aesthetics of performance. North-Korea had an obvious point of view for theatre, and they made an effort to realistic lines, movements and stage. During right after the Liberation, North Korea sought to find an answer for ‘realization of true life’, and sought to eliminate Japanese acting style in theatre. Concluded theatre aesthetics of North-Korea during right after the Liberation is realistic acting and directing style. 본고는 해방기 북한의 연극을 공연적 관점에서 주목하여, 이 시기 북한 연극의 공연미학을 발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작했다. 1950년 한국전쟁부터 전쟁 60주년을 맞는 2010년 현재까지 남북한의 연극은 ‘다름’의 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본고가 해방기에 주목한 이유는 해방기는 그 ‘다름’이 태동하는 기간이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해방기 북한연극에 대한 비평은 같은 시기 남한 연극인들의 비평이 기본틀을 제공했다. 일례로 이해랑의 ‘연극이 아닌 잡스러운 정치가 큰 얼굴을 했다’는 글은 이 시기 북한 연극에 대한 남한 연극인의 관점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해방기는 좌우익 연극인들이 각자 자신의 체제 옹호와 타자의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기에 이 같은 남한 연극인의 시각은 객관성이 결여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해방기 북한 연극의 객관적 의미발견을 위해 북한문헌을 기본으로 공연작품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공연적 관점에서 분석해보았다. 연구과정에서 주의를 기울인 것은 연극론보다는 공연의 실제적 측면을 주목하는 것이었다. 연출, 연기, 대사 등을 중심으로 공연의 구체적 모습을 면밀히 탐색하면서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북한 연극은 기본적으로 당 정책, 김일성 교시의 반영을 우선시 하며, 1956년 종파사건 이후에는 ‘김일성 찬양’이 주제였던 작품은 공연당시보다도 한층 우수한 작품으로 평가 받기도 한다. 그러나 주목할 것은 북한 내에서 우수작품의 반열에 들었던 작품은 내용에서 ‘김일성 찬양’을 다룬 작품뿐 아니라 공연의 측면에서 완성도 높은 작품이었다는 사실이다. <성장>은 인물에 적합한 대사가 구현됨으로써, <나란히 선 두집>은 연출자와 연기자들이 극중 인물의 미묘한 심리를 예민하게 포착함으로써, <리순신 장군>은 사실적 연기와 무대로서, <로씨야 사람들>은 인간들의 내면생활의 충실한 체험을 보여줌으로써 화제작에 올랐다는 점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해방기 북한은 연극작업에서 당시 남한 연극인들의 표현을 빌려 ‘잡스러운 정치를 선전하는’ 연극이었을 수 있다. 공연을 통해 당이 주도하는 정책을 반영해야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 정책을 반영하는 것이 곧 공연 미학의 결여와 동의어가 되는 것은 아니다. 북한 내의 연극비평을 살펴보면, 당 정책을 반영했다고 해도 억지스러운 전개, 유형적 대사, 진실성이 결여된 연기는 항상 지적의 대상이 되었다. 이 시기 북한은 ‘생활의 진실 구현과 생활의 왜곡 견제’를 위해 사실주의를 지향했기 때문이다. 또한 일제 강점기에 영향을 받은 공연형식, 북한의 정의에 의하면 ‘신파적 연기양식’을 배제하는 것에 주력했다. 따라서 해방기 북한 연극은 ‘연극 자체의 미를 곁방에 몰아’ 두었다기보다는 뚜렷한 관점에 의해 사실주의 연출법과 연기법을 실현하는 과정에 있었으며, 그것이 해방기 북한 연극의 미학적 의미라고 하겠다.

      • KCI등재

        해방기의 시조 담론과 시조문학교재의 양상

        박용찬(Park Yong-chan) 한국시조학회 2008 시조학논총 Vol.29 No.-

        이 논문은 민족문화의 수용과 보급이 시급하였던 해방기에 시조가 어떠한 처우를 받았으며, 그것이 어떻게 교육 정전 속으로 편입되고 있는가를 밝히는데 그 초점을 두고 있다. 그래서 지금까지 크게 주목을 받지 못하였던 시조문학 매체를 중심으로 해방기 시조의 정전화 과정을 점검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작업의 일환으로 먼저 해방기에 논의된 시조담론들을 검토하였다. 시조에 대한 논의는 해방기의 좌담회, 비평, 개인 시조집의 서문, 후기 동을 통해 다양하게 개진되었다. 이들은 ‘국민시’로서의 시조의 이상을 자리매김하는 동시에 시조의 내용과 형식의 문제를 통해 시조 장르의 속성을 드러내 보이고자 하였다. 이태준, 이호우, 김기림, 양주동 등이 그 대표적 논자들이었다. 이어서 본고는 시조담론과의 연계 하에 해방기 시조문학매체의 현황과 그것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여기서 주목한 것이 해방기에 많이 출판된 시조문학교재들이었다. 해방기에 출판된 시조 문학교재는 크게 두 종류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청구영언』이나 『해동가요』, 『가곡원류』처럼 고시조집을 재출간하거나 주해(註解)하는 책들이고, 다른 하나는 대중독자를 염두에 둔 시조보급형 교재류 책자들이다. 본고에서는 후자를 특히 주목하였는데 그 이유는 편찬자의 기준이나 시각에 맞게 시조가 정선되고 축약되는 과정에서 시조 정전이 탄생된다는 점 때문이었다. 본고에서는 특히 『애송시조집』, 『조선시조집』, 『시조작시법』 같은 시조보급형 교재나 『민족문화독본』이나 『한글문예독본』 같은 ‘독본’류 교재 등을 주로 살펴보았다. 이어 시조 텍스트가 『초등국어교본』, 『중등국어교본』, 『중등국어』 같은 국어교재에 수록되기 시작하면서 그것의 선정과 배치에 교과서 편찬 주체의 이데올로기가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문 인식이나 계몽의 기획 수준에서 차츰 국어, 국민, 국가 이데올로기를 주입시키기 적합한 시조 제재의 선택이 그것이라 할 수 있다. 시조보급형 교재와 달리 국어교재에 고시조 위주, 평시조 위주의 시조가 많이 실리게 되는 것도 그 때문이다. 되풀이 되는 시조보급형 교재들의 출판을 통해 대표적 시조들이 선별되고, 그러한 작품들은 이후 국어교재의 정전으로 구성될 매개적 통로로 자리 잡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Shijo(時調) is included in education-canon in Haebang Period that the acceptance and diffusion of national culture were needed. First, this study examined Shjjo discourses that were discussed in Haebang Period. The discussion on Shjjo was variously expressed throughout discussion meeting, criticism, prelude and epilogue of anthology. These often tried to express the property of Shjjo genre throughout the problem of the contents and forms in Shijo. Next,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Shijo literature media in Haebang Period, related with Shijo discourse. Shijo literature textbooks that were published in Haebang Period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kinds. One republished and annotated Old Shijo anthology like ChunguYoungun(靑丘永言), HaedongKayo(海東歌謠), and Gagokwonryu(歌曲源流). The other was textbooks for spreading Shijo, considering common readers. This study especially noticed the latter. Because Shijo canon was made in the course of collecting Shijo, conforming to criterion and perspective of editors. Next, when Shijo texts begun to be found in the Korean textbooks such as Secondary Korean Textbooks(中等國語敎本), Secondary Korean(中等國語), the ideology of textbooks editors was reflected on its selection and arrangement. This study chiefly examined the aspect of organizing Shijo and its acceptance course at Shijo literature textbooks and the Korean textbooks in Haebang Period. The contents of Shijo included in the Korean textbooks and its aspect of organizing canon after the Koran War will be the tasks of the next study.

      • KCI등재

        해방기 소설에 재현된 중립적 아나크로니즘 연구 ― 염상섭의 『효풍』과 이태준의 『해방전후』를 중심으로

        박인성 ( Park In-seo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91

        이 논문은 이태준과 염상섭의 해방기 소설들을 대상으로 하여 해방기 시공간의 아나크로니즘(Anachronism)의 성격에 대하여 구체화한다. 이태준의 「해방전후」와 염상섭의 『효풍』은 건국의 공백기로부터 차츰 이념적 공간으로 수렴해가는 해방기 시공간을 차별화된 문학적 방식으로 재현한다. 좌우로 이분화되는 사회 분위기 안에서 그와는 다른 목소리를 도입하거나 이질적인 시간성을 묘사함으로써 해방기에 대한 이해를 상대적으로 복잡하게 만드는 것이다. 또한 표면적으로는 두 텍스트 모두 정치적인 중립성이 강조되지만, 그러한 중립성을 경유함으로써 아나크로니즘의 복합성을 다양하게 재현하고 경험하는 능동적인 소설적 전략을 실행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아나크로니즘의 전략적 활용을 통해서 이태준의 경우는 섬세한 당파주의로 나아가는 방향성을 확보하는 것이며, 염상섭의 경우는 다소 추상적이라고 할지라도 해방기 현실의 잠재성을 계속해서 발굴하고자 미래의 시간성을 현재에 도입하고자 노력한다. 해방기라는 시대에 대한 합의나 그 소설적 재현이 결코 같은 출발점이라고 할 수는 없음에도 두 작가의 텍스트에서는 각자의 중도주의를 활용하여 선명하게 구별되는 방식의 응답을 도출해낸다. 따라서 그들이 공통적으로 관통해야 했던 해방기 아나크로니즘은 단순히 주어진 현실에 대한 수동적인 순응이 아니라, 공백으로 출현한 해방기 내부에서 구체화하고 새롭게 구성해야 하는 자기 정체성의 탐사 전략으로써 능동적 의미를 가진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specifies the characteristics of spatio-temporal anachronism form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argeting the liberation period novels of Lee Tae-jun and Yeom Sang-seop. Lee Tae-jun's 「Before and After Liberation」and Yeom Sang-seop's 『Hyo-pung』 both introduce disparate voices in a differentiated way to the time and space of the liberation period converging from the blank period of the founding of the country to the level of ideology. relatively complex reproduction. Also, although political neutrality is emphasized on the surface, under such neutrality, it is to implement an active novelistic strategy to reproduce and experience the complexities of Anachronism in various ways. As a result, through the strategic use of Anachronism, Lee Tae-Jun's case is to secure a direction toward delicate factionalism, and Yeom Sang-Seop's case is to introduce future temporality into the present in order to continue to discover the potential of the reality of the liberation period, even though it is somewhat abstract. The effort. Even though the agreement on the era of liberation or its fictional representation cannot be said to be the same starting point, the texts of the two writers use their respective centrists to derive responses in a clearly differentiated way. Therefore, the anacronism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hat they had to penetrate in common should be seen as having an active meaning as a strategy for exploring identity that must be materialized and reconstructed within the liberation period that emerged in a vacuum, not simply a passive adaptation to the given reality.

      • KCI등재

        염상섭 『효풍(曉風)』에 나타난 해방기 도덕지층 연구

        신샛별(Shin, Saet Byeol) 동악어문학회 2016 동악어문학 Vol.68 No.-

        인간의 삶의 기반이 되는 도덕의 지층(地層)은 시대적 지각 변동에 의해 일련의 지질학적 변화를 겪는다. 이와 같은 변화 속에서 사회가 구성원을 결속시키는 힘은 약화되고 그 시대는 전환기적 상태로 돌입한다. 고전적 사회학은 이 시기를 ‘아노미(anomie)’적 상황이라 지칭해 왔다. 이에 더하여 본고는 이 시기에 나타나는 특유의 가치관을 ‘전환기적 도덕’이라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한국사에서 ‘해방기’는 이와 같은 아노미적 세태와 전환기적 도덕의 양상을 잘 보여주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염상섭의 해방기 장편소설 『효풍(曉風)』은 그런 시대 특유의 인간유형을 다채롭게 보여주는 작품이다. 미국식 자본주의가 본격적으로 도입되고 달러가 지배하는 세상이 도래하면서 전통적인 도덕지층이 흔들리는 가운데, 각 등장인물들은 자신들의 기존 가치관이 새로운 시대의 시험대에 오르는 상황을 경험한다. 단적으로 말해 이 시대는 지사(志士)의 삶을 추구하던 소위 ‘선생님’들이 몰락하거나 또 변신하기를 요구받는 시대였는데, 이 시대의 본질을 특히 잘 보여주는 것은 여성 인물들의 삶이다.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의 갈림길에 봉착했던 『효풍』의 여성 인물들은 결국 ‘민족의 어머니’라는 형상으로 통합돼버린다. 새로운 세계의 가능성들이 가장 격렬하게 경쟁했던 시기인 해방기의 도덕이 봉건적이고 가부장적인 판본으로 귀결되고 만 아이러니를 이 소설은 냉정하게 직시한다. 주지하다시피 이와 같은 도덕관념은 산업화시기로 접어들면서 하나의 지층으로 굳어지는데, 『효풍』은 1960년대 이후 개발독재 시대의 한국사회를 지배한 가부장적 도덕지층이 해방기에 이미 배태된 것임을 입증하는 사례로 손꼽힐 수 있다. The strata of moral that provide the basis for human life undergo a series of geological changes due to the crustal movements of the period. In such changes, the power that binds the members of the society together weakens and the period falls into the state of transition. The classical sociology has referred to such a period as an anomic situation. In addition, this paper proposes naming the unique values shown in that period ‘transitional moral.’ In the history of Korea, the ‘Liberation Period’ is one that well shows conditions of such anomic situations and aspects of the transitional moral. Hyopung, a novel by Yeom, Sang seop in the Liberation Period, is a work that colorfully shows human types characteristic of such a period. With the traditional moral-strata shaken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American style capitalism and the advent of the world ruled by the dollar, each of the characters experiences situations in which their own existing values are put on a new test board. To put it simply, the period has witnessed the forced falling or transformation of so-called ‘teachers’ who have pursued the life of a man of noble ideals. And it is female characters who show the nature of the period specifically. The female characters who have encountered big choices in life in various ways are after all integrated into the figure of the ‘National Mother.’ In the Liberation Period, many possibilities of the new world competed most violently. But different types of ‘transitional morals’ in this novel are finally reduced to the feudal and patriarchal version. The novel Hyopung dispassionately observes that irony. As is well known, such a moral idea came to be firm as a stratum towards the period of industralization, and Hyopung can be said to be a case that demonstrates that the patriarchal moral-stratum that ruled the Korean society in the period of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after the 1960s had been already conceived in the Liberation Period.

      • KCI등재

        해방기 염상섭의 정치 · 경제의식과 서사의 비균질성

        김영경(Kim, Young-kyung) 우리말글학회 2015 우리말 글 Vol.67 No.-

        이 글은 염상섭의 해방기 첫 장편소설인 『효풍』을 해방기 정치 · 경제적 맥락과 서사적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효풍』은 전반부의 서사와 후반부의 서사가 이질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듯한 구성을 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서사의 비균질성은 작품의 완결성이 결여된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지만, 『효풍』에서는 동시대 역사적 현실에 대한 작가의식이 징후적으로 드러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작가가 해방기 혼란한 시대현실을 신문연재 소설로 서사화함으로써, 동시대 현실의 우발적 성격이 서사의 전개와 주요 인물들의 운명에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이다. 따라서 『효풍』서사의 비균질성은 해방기 특수한 현실을 동시대적으로 서사화함으로써 불가피하게 나타난 주요한 특성으로 간주할 수 있다. 작품의 전반부는 병직, 화순, 혜란의 삼각관계를 중심으로 서사가 전개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병직’이 실종되어 서사에서 사라지게 되고, 결말부에 갑작스럽게 재등장하여 끝을 맺게 된다. 이로 인해 전반부의 주요 인물관계인 병직, 화순, 혜란의 삼각관계는 와해되고 서사는 파행적으로 흘러가게 된다. 이는 5 · 10선거와 단정수립이라는 역사적 사건 및 염상섭의 신민일보 구류사건이 서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짐작된다. 『효풍』의 중반부에서 병직이 실종된 이후 그의 공백을 메우며 서사를 이끌어가는 것은 혜란과 ‘금전적 유대’를 맺는 인물들이다. 이들은 ‘영어’라는 새로운 권력의 언어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으며 해방 정국의 새로운 지배세력인 미국과의 ‘한미무역 문제’가 부각된다. 전반부의 서사가 남한과 북한 간의 정치적 이념의 대립 양상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면, 후반부의 서사에서는 남한과 미국 간의 무역을 중심으로 한 경제적 관계가 중요하게 나타난다. 『효풍』서사의 무게중심이 남북간의 문제에서 한미 문제로 전환된 것은 이 작품이 동시대의 현실을 그대로 반영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혜란과 ‘금전적 유대’로 맺어진 인물들은 인종적, 언어적, 이념적인 측면에서 혼종적인 성격을 지니며 한국과 미국 양 측에 모두 깊이 관여하고 있다. 특히 미국인 베커와 혜란의 관계는 미국과 조선의 관계를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염상섭의 『효풍』은 식민지 시기부터 염상섭의 작품세계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 ‘돈’과 ‘애정’이라는 두 축이 해방기에서도 유사하면서도 차별화되어 나타난다. 더 나아가 『효풍』의 후반기 서사는 해방기 새로운 지배세력으로 등장한 ‘미국’의 영향력과 그 변모 양상을 상세하게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염상섭의 해방기 작품에서 ‘무역’과 ‘적산’의 문제가 두루 등장하는 것도 미국에 대한 작가의 문제의식과 무관하지 않다. This paper examines Hyopoong, the first novel of sang-seob yeom’s post-liberation period, relevant to the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Hyopoong has taken heterogeneously combined structure in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of narratives. Generally, heterogeneity of narrative regarded as a negative indicator for its lack of literature work completion. However, it is a major characteristic in Hyopoong that shows author consciousness for its contemporary historical reality. As an author made narrative of a novel in a newspaper about chaotic reality of post-liberation period, contingency personality of contemporary reality had decided the fate of main characters in development of narrative. Therefore, Hyopoong’s heterogeneity of narrative can be treating it as an inevitable major characteristic in a distinctive reality of post-liberation period by making narrative contemporaneously. The first half of narrative centers on a love triangle between Byeongjik, Hwasun, and Hyeran, However, soon byeongjik disappeared from narrative as he went missing, but he abruptly reappeared in the last half of narrative and ends the narrative. Because of his missing, a love triangle between main characters Byeongjik, Hwasun, and Hyeran broke apart, and the narrative limply flowed. This may be due to a historical event of May 10th election, establishment of single election, and the influence of sang-seob yeom’s shinmin ilbo detention event. After byeongjik went missing in the middle of Hyopoong narrative, People who had a ‘cash nexus’ with hyeran lead narrative and pick up the slack of byeongjik. These people were connected by media of language called “English”, which represented new power at that time, and they highlight Korea-U.S. trade relation problem as the U.S was new ruling power of post-liberation politic situation. As the first half of narrative centers on confrontation aspect of political ideologi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last half of narrative centers on showing the importance of economic ties between Korea and U.S. in trade. The reason that the narrative of Hyopoong has shifted center from South and North Korea problem to Korea and U.S. problem is because this literacy work wanted to show contemporary reality as it is. Those who had a ‘cash nexus’ with hyeran had hybrid personalities from racial, linguistic, and ideological perspective, and they were deeply involved in both Korea and U.S side, especially relationship between American Becker and hyeran represents the U.S. and Korea relation at that time period. Sang-seob yeom’s Hyopoong shows two axes, ‘money’ and ‘love’ which were importantly dealt in sang-seob yeom’s work from colonial period. These two axes appeared fairly similar and differently in post-liberation period. Furthermore, the last half of narrative of Hyopoong is also noteworthy as it specifies the new ruling power of Korea, U.S on influence and difference aspect of them. It is not irrelevant to author’s critical mind as sang-seob yeom’s post-liberation period work widely shows the problem of ‘trade’ and ‘confiscation’.

      • KCI등재

        해방기 좌·우익 문학 논쟁 연구 - 김동석과 김동리를 중심으로 -

        이미나 ( Lee Mi-na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8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9

        해방 직후 결성된 여러 문학단체들은 당시의 정치 노선에 따른 것으로 좌익 문단이나 우익 문단 모두 정치적 현안에 따라 형성되었다. 해방기의 주된 과제는 식민지 잔재를 청산하고, 민족 경제의 발전과 새로운 민주주의 국가를 건설하는 일이었으며, 문학 운동 역시 이러한 정치참여의 일환으로 전개되었다. 해방기는 정치적 현안에 따라 문학과 문화 기구가 탄생되던 시기였으며, 문학 활동 역시 정치 노선에 따라 전개되었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해방기의 정치적 상황은 극심한 좌·우익 대립의 양상을 띠었고, 문학 단체의 이론적인 노선도 정치적인 노선과 맥을 같이 하고 있었기 때문에 해방기 비평을 살펴봄에 있어 좌·우익의 대립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일 것이다. 그러나 해방기 문학 비평에 대한 연구는 다소 소외되어 온 경향이 있으며, 좌·우익 문학 논쟁이 가장 치열했던 시기에 첨예하게 대립하였던 김동석과 김동리의 논쟁을 중심으로 한 본격적인 논의는 거의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해방기에 활발하게 활동했던 좌·우익의 대표적인 비평가인 김동석과 김동리의 문학론을 바탕으로 좌·우익의 대립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며, 해방기 문학 논쟁의 핵심인 순수문학 논쟁과 민족문학 논쟁의 전개 과정을 통해 해방기 비평사가 지닌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고는 좌·우익 측의 대표적인 비평가를 개별적으로 다루면서 해방기의 비평사를 전체적으로 조망하고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Literary organizations formed shortly after liberation were based on the political wings on that era, with both lest and the right literary worlds forming according to political issues. The main task of the liberation period was to eliminate the vestiges of Japanese colonialism, to develop the national economy, and to build a new democratic state. Likewise, literary movements were also developed as part of this political participation. The Liberation Period was a period when literature and cultural institutions were born according to political issues, and literary activities were also developed according to political ideologies.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liberation period was characterized by severe collisions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Because the roads taken by the literary groups coincided with the roads of political ideologies, it is quite natural to focus on the collisions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during this period to shed light on the critique on Liberation Period.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flicting aspects of left and right based on the literary theories of Dong Seok Kim and Dong-Ri Kim, the famous critics from the left and the right who actively participat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hrough examining the dispute between pure literature and national literature, this paper tries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he history of criticism on this period. It is meaningful that this paper deals with the criticism of the Liberation Period as a whole, while simultaneously introducing the representative critics from the left and r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