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만 배후부지 경쟁력 평가에 관한 연구

        김율성(Yulseong Kim),김상열(Sangyoul Kim) 한국항만경제학회 2011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7 No.4

        기업들의 국제 분업화와 SCM(supply chain management) 체계 확산을 계기로 SCM과 물류가 통합되었으며, 이러한 패러다임 변화에 의해 항만과 공항의 배후단지가 공급, 제조, 유통 등의 중심지가 되고 있다. 또한, 글로벌 SCM 체계의 확산 과정에서 글로벌 기업들은 항만 및 항만 배후부지의 경쟁력을 평가하는데 있어 입지여건을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하였고, 기존의 물동량 창출과 함께 배후부지에서의 부가가치물류(value added logistics)의 중요성이 강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만 배후부지의 경쟁력 평가 모형을 수립하고,7개 국내외 항만 배후부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AHP 분석을 통해 항만 배후부지 경쟁력 평가요인들의 중요도 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물류요인이 62.3%의 중요도를 보이며, 다음으로 배후경제요인(27.3%), 도시 및 정책요인(10.4%)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항만 배후부지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높은 물류 요소에 대한 활성화방안 마련이 가장 필수적임을 의미한다. 특히, 항만의 서비스노선과 항공 네트워크망 구축이 필요하며, 이를 지원하기 위한 인프라 확충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 국내외 7대 항만 배후부지 경쟁력에 대한 부산항의 평가 결과는 싱가포르, 홍콩, 상해에 이어 4위로 평가되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항만 배후부지 경쟁력 평가모형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평가하여 차별화된 인센티브 제공 등에 대한 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Global companies regard the conditions of a location as one of the most crucial factors to assess the competitiveness of ports and the port hinterland, as well as emphasize creation of throughput and the importance of value added logistics in the hinterland under diffusing Supply Chain ManagementCSCM). This study deals with the evaluation of competitiveness in 7 hinterlands and the establishment of assessment model in hinterland. This study analyzes the importance of factors for the port hinterland competitiveness using AHP method. As a result, logistics factor, accounting for 62.3%, is shown as the relative more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hinterland"s economy factorsC27.3%) and city/policy factorClO.4%). The result implicates that measures to activate logistics factors with relatively high importance are essentially needed in order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hinterland of Busan New Port. Especially, it is needed to establish service routes of the port and air networks and to expand infrastructure for support. This study also assesses the competitiveness of hinterlands for the seven domestic and foreign ports based on importance of assessment factors for the hinterland competitiveness using AHP analysis. BusanC3.903) is ranked fourth behind SingaporeC4.570), Hong KongC4.357) and ShanghaiC4.042) in assessment.

      • KCI등재

        광양항의 경쟁력 평가요인과 강화전략

        정봉현(Bonghyun Jeong) 한국항만경제학회 2014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0 No.1

        연구의 목적은 광양항을 사례로 항만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평가하고, 세부 평가요소의 우선순위에 따른 광양항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항만정책방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논문에서는 의사결정기법인 AHP기법을 이용하여 항만입지, 항만운영관리, 항만비용, 항만시설, 배후지여건 등 5가지 주요 평가요인과 14가지 세부평가 요소에 대한 중요도를 파악하였다. 광양항의 항만경쟁력 평가를 위한 주요 평가요인의 중요도는 항만입지, 항만시설, 항만비용, 항만운영관리, 배후지여건 순으로 계산되었다. 세부 평가요소별 복합가중치를 이용한 종합중요도는 배후지역과 연결성, 국제항만과 접근성, 인센티브제도, 터미널의 시설용량. 항만운영인력의 전문성ㆍ숙련도, 등의 순서로 확인되었다. 광양항은 배후지와 연결성 및 국제항만과의 접근성을 강화하여 항만의 중심성과 중계성을 제고시겨 항만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 항만물동량을 창출하기 위해서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과 항만비용을 절감시켜 국제거점항만으로서의 경쟁력을 증진해야 한다. 초대형 컨테이너선이 원활하게 하역작업을 수행하도록 하역시스템의 첨단화 및 효율화방안이 강구되며, 항만운영인력의 전문성과 작업도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해야 한다. 연구의 결과는 관련 학계, 항만당국 및 항만공사 등에 광양항 발전전략에 대한 학술적이며 정책적인 시사점과 지식을 제공하고 있다. 대형항만의 경쟁력 평가에 필요한 이론의 형성, 간단한 분석방법의 틀을 제시하는 데도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competitiveness of Gwangyang port, and to suggest strategies for the enhancement of its competitiveness by priority. This study inquires both 5 key rating factors: port location, port operations management, port costs, port facilities, and hinterland conditions and the priority of 14 detailed assessments through AHP method. First, the importances of main evaluation items for port competitiveness are analysed in the following orders: port location, port facilities, port costs, port operations, hinterland conditions. Second, the comprehensive importances based on the detailed evaluation properties complex weighting are identified in the following orders: connectivity with hinterland, accessibility of international harbor, incentives, the area of terminal, expertise and skills of port operations personnel, container throughput, and scale berths. Third, the strategies referring to the port location like centrality, transit, and merit on use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for the promotions of Gwangyang port’s competitiveness, according to its international port competitiveness analysis. This study will provide both academic and policy implications with its related scholars, government, and research institutions. In addition, this will be contributed to formulating a basic theory for port competitiveness evaluation and providing a basic framework of evaluation analysis.

      • KCI등재

        항만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이형욱 한국정부학회 2012 한국행정논집 Vol.24 No.1

        본 연구는 세계경제의 글로벌화와 항만환경이 급속하게 변화됨에 따라 항만정책의 성공요인 분석을 토대로 한국 항만이 발전적으로 나아가야 할 향후 정책방향 설정과 항만경쟁력 제고를 위한 함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항만경쟁력 영향요인에 항만시설, 항만비용, 항만서비스, 항만입지, 항만마케팅을 매개요인으로 물동량을, 최종변수로 항만경쟁력을 선정하고 요인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 항만마케팅과 항만서비스가 항만경쟁력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항만경쟁이 치열한 상황하에서 항만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적극적인 항만마케팅 활동과 차별화된 항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항만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항만에 대한 재이용의사가 높아야 하며 활발한 신규물류 창출과 항만의 중심성과 중계성이 강화되고 글로벌 네트워크가 효과적으로 구축되어 생산성과 효율성이 높은 허브항만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이와 함께 항만경쟁력 영향요인과 물동량에 대한 상호 관계에 보다 많은 관심과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며, 이들 영역의 지속적인 개선노력을 통하여 항만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변이할당기법과 DEA를 활용한 동북아시아 항만간 경쟁력 비교 분석

        이충배,권아림 한국항만경제학회 2014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0 No.4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globalization and supply chain management, growth of international trade has led to increasing cargo volume around the world. Since maritime logistics environments have changed, increased container ship size, improvement of harbor equipment, global port operation and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have had an significant effects on shipping and port industry, which is contributing to competitiveness of port. Since a larger volume of port throughputs are generally regarded as an indicator of the more competitive port, inefficient port operation could reduce its competitiveness. On the other hand, high efficient ports could increase their competitive power while increasing cargo volume. This study aims at comparing competitiveness of the ports in the Northeast Asia by investigating changes of container throughputs and evaluating efficiency performance of ports. Shift-Share analysis and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have been conducted with 21 Northeast Asian ports and then separated them into 4 groups for comparative analysis toidentify competitive position of each 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cheon and Gwangyang port have been decreased container cargo volume, while volume of Busan port would increase by means of active marketing, various route development and incentive policy for the port. 최근 글로벌화와 SCM의 발전으로 인한 국제무역량의 증가는 물동량의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해운 항만 물류환경의 변화로 컨테이너선의 대형화, 하역장비의 고성능화 항만운영의 글로벌화 및 급격한 기술의 변화가 해운항만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경쟁력의 우위를 확보하는 것은 이제 항만의 생존문제가 되고 있다. 항만 물동량이 많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우세한 경쟁력을 지닌 항만이라고 할 수 있으나 다른 항만에 비해 효율적으로 운영되지 않으면 곧 경쟁력을 잃을 것이다. 반면에 특정시점에서 경쟁력이 낮은 항만일 지라도 효율성이 높은 항만은 경쟁력의 제고로 이어져 미래에는 우세한 항만이 될 수 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북아시아 항만간 물동량변화 추이 및 효율성 분석으로 항만경쟁력을 평가하여 국내항만의 경쟁력 제고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실증분석에서는 항만물동량 성장추이와 경쟁우위를 파악할 수 있는 Shift-share기법과 DEA로 항만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동북아시아 항만 총 21개로 하였으며, 두 기법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대상항만을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동북아시아 항만 간 경쟁력 위치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항만이 부산항은 여전히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반면 인천항과 광양항은 성장추세가 둔화되고 있기 때문에 마케팅의 활성화와 항로의 다변화, 인센티브 제도 적극실시 등을 통해 물동량 확보에 보다 집중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국제항만 운영에서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 확보방안

        김시현(Sihyun Kim) 한국항만경제학회 2015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1 No.3

        경쟁력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이 요구되는 동북아 항만경쟁 구조에서 경제적·사회적·환경적 측면을 아우르는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 확보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경쟁력을 다루는 기존 연구들은 단기적인 관점에서 항만 자체의 경쟁능력을 구성하는 결정요인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항만의 지속가능성을 다루는 연구 역시 기후변화 또는 환경부화의 최소화와 같은 환경적 요인을 중점적으로 다루면서, 항만의 경쟁력과 지속가능성 간의 이론적 괴리가 발생하였다. 이 연구는 지속가능성을 구성하는 TBL(Triple bottom line)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을 재해석하였고, 다각적으로 관련 활동들을 분석/분류함으로써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 확보 방안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항만경쟁력 연구의 이론적 진보뿐만 아니라, 상업적 항만의 지속가능한 개발/운영 전략 수립 및 전략적 의사 결정에 중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Amid intense port competition in Northeast Asia, international ports require sustainable growth based on competitiveness that incorporates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perspectives. Despite the importance of sustainability issues in port competition, prior studies on port competitiveness have focused on ports’ own handling capacities. Moreover, sustainability concerns have focused on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environmental impact minimization and environmental index development. The prior literature makes distinctions between studies of port competitiveness and works relating to port sustainability.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redefine sustainable port competitiveness based on the “triple bottom line,” comprising sustainability, analysis of the relevant issues, and practices. The findings offer not only important steps in building knowledge about sustainable port competitiveness, but als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strategic agendas and guidance for future improvements in port operations.

      • KCI등재

        글로벌 공급사슬 형성과 인천항의 경쟁력

        진형인(Hyung-In Chin) 한국항만경제학회 2009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5 No.1

        현재 세계화의 급속한 물결은 다수의 글로벌 기업을 태동시키며 글로벌 공급사슬(Global Supply Chain, GSC)을 형성하고 있다. 글로벌 공급 사슬의 거점인 항만도 그 기능이 변화하여 글로벌 기업의 공급사슬관리를 위해 어떠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가가 중요해지고 있고, 이에 따라 항만의 경쟁력 기준도 변화하여 항만 자체간이 아닌 항만을 포함하는 글로벌 공급사슬 간의 경쟁이 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항만의 기능을 글로벌 공급사슬 (SC)기능과 연결하여 분석하고 이에 비추어 항만의 경쟁력을 평가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새로운 항만기능, 즉 항만의 공급사슬 기능과 이와 관련된 변화된 항만 경쟁력 개념에 대해 조사하고, 공급사슬 개념과 항만 경쟁력 의 상호 관련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한중간 SC 형성등 변화하는 항만 환경을 맞아 글로벌 기업의 효율적, 효과적 SC 관리 요구에 부응하여야 하는 인천항에 대하여 SC 기능과 경쟁력에 대해 평가하고, 앞으로의 발전 전략을 제시 하였다. Rapid progress of globalization around the world makes global supply chain management a very important competitive strategy for global corporation. And ports, where international trade cargoes are coming and going through on a large scale, are becoming global supply chain basis for global corporations. Accordingly, ports' capabilities to support global supply chain activities of global corporation become major tools for the measurement of ports' competitiveness. Recently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to find the variables related to port's supply chain function and port's competitiveness. In this study, an effort has been made to identify variables related to port supply chain function and competitiveness. Also, considering the increasing usefulness and rising importance of Incheon port, the supply chain function of Incheon port and it's relationship to Incheon port's competitiveness has been ascertained.

      • KCI등재

        글로벌 복합물류허브도시 경쟁력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노경준(KyoungJoon Roh),송상화(SangHwa Song ) 한국국제상학회 2016 國際商學 Vol.31 No.1

        본 연구는 항만과 공항이 인접한 도시로 항만도시나 공항도시로만 역할 하는 것이 아니 라, 항만물류와 공항물류가 복합적으로 일어나는 복합물류도시의 경쟁력 우선순위를 알아보기 위해 Fuzzy AHP를 이용하여 전문가와의 심층면접을 통해 가중치와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우선순위는 공항경쟁력, 도시경쟁력, 항만경쟁력순으로 나타났으며, 공항경쟁력 중 공항인프라가, 도시경쟁력 중에는 경제적 역량이, 항만경쟁력 중에는 항만인프라의 가중 치가 제일 높게 나타났다. 이는 그동안 전통적으로 항만경쟁력을 중요하게 여겨왔기 때문에 오늘날 항만경쟁력은 당연히 갖추어야 할 경쟁력으로 중요한 위치에 도달하였으나, 현실적인 글로벌 복합물류허브 도시가 되기 위한 조건으로 공항경쟁력과 도시경쟁력 또한 균형적인 발전이 이뤄져야 실질적인 글로벌 복합물류허브도시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mpetitiveness Priorities of Global Complex Logisitcs Park City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is paper excuted to investigate Competitiveness Priorities of Complex Logisitcs Park City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Indepth-Interview with experts making use of Fuzzy AHP Results : According to this study to be Global Complex Logisitcs Park City we should have airport competitiveness and urban competitiveness as well as port Competitiveness Conclusions : In conclusion, we should have airport competitiveness and urbancompetitiveness to be Global Complex Logisitcs Park City

      • KCI등재

        글로벌 항만컨테이너터미널 경쟁력 제고 방안

        송계의(Gyeeui Song) 한국항만경제학회 2014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0 No.1

        GTO의 경쟁력 제고 방안 요인 중 대분류 세 가지 요인에 대한 분석결과는 “주관적인 요인”이 4.21점, “경영환경적인 요인”이 3.94점, 그리고 “정부 정책적인 요인”이 3.90점이었다. 세 가지 요인 중 주관적인 요인의 평균평점이 월등히 높아 결국 GTO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GTO 스스로 물동량을 확보하고, 항만물류서비스를 제고하는 등의 노력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경영환경적인 요인과 정부 정책적인 요인의 평균평점은 거의 동일하여, 이 두 가지 요인은 GTO의 경쟁력 제고에 거의 동일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론이다. 즉, 주관적인 요인의 평균평점이 월등히 높다는 것은, GTO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항만 컨테이너터미널을 운영하는 GTO 스스로가 가장 우선적으로 ① 로컬 및 환적 컨테이너 물동량을 확보하고, ② 신속성·정시성·안정성 등 항만물류서비스를 제고하며, ③ 생산성을 높여 저렴한 요율을 적용하여야 하고, ④ 선사 유치 및 전략적 제휴 등을 통해 물동량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경영환경적인 요인(3.94점)이 정부 정책적인 요인(3.90) 보다 약간 높지만 거의 동일한 평균 평점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것은 경영환경적인 요인, 즉 세계경제의 발전 및 컨테이너 물동량의 증가, 컨테이너선사의 발전 및 Alliance, 항만의 인지도, 중추항만으로서의 기능 등도 GTO의 경쟁력을 제고 하는데 상당히 중요하며, 이와 더불어 선진적인 항만개발정책, 선전진적인 요율 정책, 환적물량 확보 등을 위한 인센티브 정책 등 정부 정책적인 요인도 GTO의 경쟁력을 제고 하는데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Recently, GTO s rate of return to investment is decreasing.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empirically on enhancement of competitiveness of global port container terminal. This study deals with the terms of three competitiveness enhancement factors which are a GTO s subjective factors, a management environment factors, and a government policy factors. According to analysis results of the three competitiveness enhancement factors, a GTO s subjective factors(4.21 score) are scored at the most ones of competitiveness enhancement factors of GTO, to be compared with a management environment factors(3.94 score). with a government policy factors(3.90 score). Therefore, first of all, it is important to enhance competitiveness of GTO through as follows, a GTO"s subjective factors : (1) to procure local and tranship cargo volume, (2) to promote port logistics service, (3) to retain resonable port rate by promoting terminal productivity, (4) to procure container ship firms and alliance. And, the next, we have to enhance GTO s competitiveness through considering a management environment factors, that is, fluctuation of container cargo volume, port awareness, whether function of hub port, etc., and a government policy factors, that is, smart policy of port development, smart policy of port rate, incentive policy for procuring tranship cargo, etc.

      • KCI등재

        포터의 다이아몬드모델을 활용한 항만경쟁력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HP기법의 적용

        전상융,하헌구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9 창조와 혁신 Vol.12 No.1

        This paper aims at establishing the port competitiveness evaluation criteria by measuring the importance of determinant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adopted the 4 major determinants of Michael Porter's diamond model as a basic, and selected objective evaluation factors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a questionnaire survey of the experts’ group was conducted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method. The results applying the AHP to Porter's diamond model showed in the order of Demand ConditionProduction ConditionRelated and Support IndustryIndustrial Strategy and Policy while the corresponding 8 sub-factors were identified in order of Port ThroughputsPort FacilitiesPort Operation StrategyPort LocationHinterland ConnectivityPolicy ConsistencyPort ServicesGrowth of Domestic Industr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port competitiveness can be evaluated highly as timely and appropriate in that Korea, which has grown as an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faces the proposition that a new huge consumer market should be found today. In addition, as the major hub of the global logistics market has been reorganized, it has been a practical study to propose a new standard of the port competitiveness evaluation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항만경쟁력 결정요인의 중요성을 측정하여 객관적인 평가기준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마이클 포터(Michael Porter)의 다이아몬드 모델이 채택한 4대 결정요인을 바탕으로 일반화된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하위요소의 계층화 구조를 수립하기 위하여 항만경쟁력 선행연구를 분석하였으며,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계층화분석(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기법을 활용한 중요도 차이와 순위를 도출하여 항만경쟁력을 평가하는 효과적인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마이클 포터의 다이아몬드 모델이 채택한 4대 결정요인을 바탕으로 수립한 항만경쟁력 결정요인을 AHP기법으로 산정한 중요도 결과는 수요조건생산조건관련 및 지원 산업산업전략 및 정책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4대 결정요인에 대응하는 8개 하위요소는 항만 물동량항만시설항만운영 전략항만입지배후연계시스템정책 일관성항만 서비스국내 산업성장의 순으로 중요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항만경쟁력 평가를 위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에서 파악한 시사점은 수출주도로 성장한 한국이 오늘날 새로운 거대 소비시장을 발굴해야할 명제와 당면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시기적인 적절성을 높게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세계 물류시장의 주요 허브가 재편되면서 글로벌 허브항만 선정의 최대 변인으로 작용하는 항만경쟁력 결정요인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을 수립한 것은 향후 항만경쟁력 평가를 위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 실용적인 연구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항만경쟁력 평가를 통한 북아프리카 마그레브 국가의 항만 선진화 ODA 사업 발굴방안 연구: 포터의 다이아몬드 모델 활용

        전상융(Sangyung Chon),하헌구(Hun-Koo Ha) 국제개발협력학회 2019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1 No.3

        Purpose: This paper aims to look at Korea s ODA implementation and approach by establishing a port competitiveness evaluation framework in North African Maghreb countries. Originality: Maghreb countries have entered into lower middle-income or upper middle-income economies based on the achievements of the MDGs. In order to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the activation of trade, the demand for advancement of ports is increasing. Methodology: Based on the four determinants adopted in the diamond model of Micheal Porter, a generalized diamond model was established for the evaluation of port competitiveness of Maghreb countries. Result: The determinants of the generalized diamond model were set up for Production Conditions, Demand Conditions, Related and Supporting Industries, Industrial Strategy and Policy. Based on the analysis methods presented in Potter s theory, 8 sub-factors were selected, including Port Facilities, Port Services, Port Throughputs, Domestic Industry Growth, Port Location, Hinterland Connectivity, Policy Consistency, to combine the evaluation factors specific to port competitiveness and the ODA implementation.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the determinants of port competitiveness in Maghreb countries is a timely study to address the development needs of Maghreb countries. This study was successful in establishing evaluation criteria for the implementation of Korea’s ODA in port advancement in developing countries, including Maghreb countries. 연구목적: 본 논문은 북아프리카 마그레브 국가의 항만경쟁력 평가체계를 수립하여 항만 선진화 분야의 한국 ODA 이행 및 접근 방안을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의 중요성: 마그레브 국가는 MDGs의 성과를 기반으로 중⋅저소득 또는 고⋅중소득 국가에 진입하였으며 교역의 활성화를 통한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항만의 선진화 개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연구방법론: 마이클 포터(Micheal Porter)의 다이아몬드 모델에서 채택한 4대 결정요인을 바탕으로 마그레브 국가의 항만경쟁력 평가를 위한 일반화된 다이 아몬드 모형을 구축하였다. 연구결과: 일반화된 다이아몬드 모형의 결정요인으로서 생산조건, 수요조건, 관련 및 지원 산업, 산업전략 및 정책을 설정하였다. 포터의 이론에서 제시한 분석 방법을 바탕으로 항만시설, 항만 서비스, 항만 물동량, 국내 산업성장, 항만 입지, 배후연계 시스템, 항만운영 전략, 정책 일관성 등 8개 하위요소를 선정하여 항만경쟁력 고유의 평가요소와 ODA 이행을 위한 평가요소를 결합하였다. 결론 및 시사점: 마그레브 국가의 항만경쟁력 결정요인의 중요도 분석은 마그 레브 국가의 항만 개발수요에 따른 시기적절한 연구이며, 마그레브를 비롯한 개발도상국 항만 선진화의 한국 ODA 이행을 위한 평가 기준을 수립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