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에서의 한국 민속춤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김해성;김미숙 한국무용연구회 2007 한국무용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현행 제6차 유치원교육과정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유아의 감성계발 교육과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기 위한 교육으로서 적합한 한국 민속춤을 교육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육현장에서 한국 민속춤을 지도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국 민속춤에 대한 인식을 조사 하였고. 그에 따른 합리적인 지도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심층면담의 방법으로 연구를 전행 하였다. 문헌연구로는 현재 유치원 교육에 있어서 한국 민속춤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고,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한국 민속춤 교육과 연관된 내용들을 분석하여 우리문화와 현실에 적합한 유아를 위한 한국 민속춤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 타당성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심층면담을 통하여 유치원 교사들의 한국 민속춤 지도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한국 민속춤을 지도함에 있어 내용은 어떤 방향이 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교사의 요구사항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일선 교사들의 유치원 교육에서 필요한 한국 민속춤 내용에 대한 요구를 종합하고 실제 수업에 활용될 수 있는 한국 민속춤의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해 본 결과 첫째, 기본 움직임 활동으로서 한국 민속춤의 내용과 둘째. 신체표현활동으로서의 한국 민속 춤의 내용 그리고 리듬활동으로서의 한국 민속춤에 관한 지도 내용0| 도출되었다. 이상에서 논의된 결과 한국 민속춤을 유치원 교육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지도하기 위해 서는 교사가 자신 있게 유아들을 지도할 수 있는 쉽고 재미있으며 유치원 교육과정에 부합하는 내용으로서 한국 민속춤이 개발되고 지도되어져야 할 것이다. This dissertation seeks to settle Korean folk dance into the educational field systematically and qualitatively through searching for its application plan to the educational field of children. As a research method, this dissertation conducts the qualitative interview, nominating 4 kindergarten teachers, 4 physical fitness teachers of children, and 3 teachers who instruct students in the cultural center and the dance class of children as the purposeful sampling. As a result of the demand survey of teachers for Korean folk dance, Korean folk dance which is desirable to be included in university curriculum is creative gestures as ‘teachers’ opinion about Korean folk dance. The main reason why Korean folk dance isn’t practiced smoothly in the educational fields is the consciousness lack of teachers. The biggest percentage of teachers indicate that the reeducation through the study and training of leaders and teachers is essential for the smooth Korean folk dance education, and most of the teachers demand that the class should be practiced with completely charged and charged teachers as well. As an expected effect of ,Korean folk dance the most frequent response is that children acquire basic motions suitable for the activity development of childhood, and the formation of confidence is the most expected virtue. The research problem which is raised in this dissertation, that is what is the plan which can be applied to the educational field of children? can be concluded as the followings. The content application direction is composed of the application in accordance with living subjects, the application based on children’s development, the application followed by traditional cultural development, the application accompanied with emotion enlightenment, and the united application. The application dir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shows Korean folk dance by the activities of basic motions, physical expression, and rhythmic activities. As we can see above, Korean folk dance is the best education which cultivates the artistic possibility of children who have been brought up from the education of sensitivity enlightenment, and develops the aesthetic beauty of life, emotion cultivation, and creativity. Accordingly, Korean folk dance is essential for children’s education today and can be very useful as united education closely connected with other courses because children themselves feel interested by means of internalizing the learning process.

      • KCI등재

        不然 李箕永의 韓國佛敎史 硏究

        김상현(Kim, Sang Hyun) 한국불교연구원 2011 불교연구 Vol.35 No.-

        이 글은 不然李箕永(1922~1996)의 한국불교사 연구 성과를 정리한 것이다. 불연은 우리 역사를 전공하기 위해 경성제국대학 예과에 입학했고, 예과를 수료한 뒤에는 같은 대학 법문학부 사학과에서 동양사학을 전공했다. 벨기에의 루벵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할 때도 불교에 중점을 둔 새로운 종교사 연구를 시도하겠다는 생각을 한 바 있었고, 귀국 이후 불교학 내지는 원효사상(Won-Hyo’s Thought) 연구에 집중하여 남다른 성과를 이룩했지만, 그의 관심은 한국불교사, 특히 신라불교사를 떠나지 않았다. 불연은 역사를 불교의 술어로 緣起(Paṭiccasamuppāda)라는 개념으로 해석했다. 따라서 불연이 이해하는 역사는 단순히 발전하는 것도 기계적으로 순환하는 것도 아니다. 역사란 신이 조종하는 것도 운명도 아니기에 발전할 수도 퇴보할 수도 있는 가변적인 것이 된다. 불교적 입장에서 역사를 이해하고 있던 불연은 유물사관에 대해서 매우 비판적이었다. 불연에 의하면, 유물론은 인간을 경제의 노예로 전락시키고 모든 정신문화의 가치를 가소평가 하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고, 인간의 역사를 계급적 갈등 관계로만 이해하는 유물사관의 획일주의적 결정론에도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불연의 주장에 의하면, 불교의 이해 없이는 해명될 수 없는 것이 한국의 역사시대라고 한다. 이 때문에 불교와 사회와의 관계를 추구하는 입장에서 한국사 연구가 진행되어야 함은 불가결의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불교와 사회의 관계는 서로 유리된 관계가 아니라, 사회는 불교에 의해서 이끌려 왔고, 불교는 사회 속에서 변용되면서 사회 자체를 이루어 온 것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그는 한국불교의 특수성을 알기 위해서는 중국불교나 일본불교 등과 비교 평가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불연은 신라불교의 특징을 밝히려는 여러 노력을 했다. 불연은 『삼국유사』는 물론이고 신라 승려들의 여러 저서를 검토했다. 신라의 고승으로는 원효를 비롯한 원광, 의상, 명효 등에 관심을 보였고, 신라의 불교전적에 대해서는 원효의 여러 저서를 비롯하여 의상의 『화엄일승법계도』, 명효의 『해인삼매론』, 『석마하연론』 등을 연구했다. 신라불교에서 보살계의 정신이 강조되었다거나 신라인의 세계관이 철학적 통찰에 의해 형성된 것이라는 그의 견해는 신라 학승들의 여러 저서를 검토한 뒤에 얻은 결론이었다. 불연은 1974년에 한국불교연구원을 개원한 뒤에 5명의 연구원과 함께 『불국사』 등 한국의 사찰 18책을 간행했다. 해당 사찰의 역사와 사상, 그리고 유물 등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서술함으로써 한국문화의 고향으로서의 사찰을 탐구한 한국의 사찰은 이 방면 연구의 선구적인 업적이었다. 불연은 1970년대에 「불교사상의 수용과 변모」와 「고려후기의 불교사상」, 그리고 「조선왕조 말기의 불교」와 「한국현대 불교사상」 등 한국불교사의 전개 과정과 관련된 글을 발표했고, 이를 다시 정리한 『한국의 불교』를 세종대왕기념사업회의 교양국사 총서 중의 한 책으로 간행하기도 했다. This essay aims to elucidate Bulyeon Rhi Ki-Young (1922~1996)’s academic achievement of Buddhist history. He entered a preparatory course in Keijo Imperial University to study Korean history. After completing the preparatory course, he studied Asian history at the history branch in the faculty of law. When he was studying philosophy at Louvain University in Belgium, he tried to conduct a new religious history research concerning Buddhism. Even though he made a distinctive academic achievement on Buddhism and Won-Hyo’s thought since he had returned to Korea, his greatest concern was Korean Buddhism and Buddhism of the Silla Kingdom. Bulyeon explains history with Buddhist concept of Paṭiccasamuppāda(緣起). Therefore, for him, history is not something simply progresses nor mechanically circulates. Since history is not masterminded by God or fate, history for him is something variable so that it can progress or retrogress. His perception of Buddhist history made him critical of the materialistic conception of history. According to him, historical materialism makes human kind a slave of economy and underestimates the value of spiritual culture. And its standardized determinism, which explains history only as a struggle of classes, also has a serious problem. Bulyeon asserted that Korean history can not be properly understood unless there is a deep understanding on Buddhism. Therefore, to conduct Korean history research, one most necessarily needs to concern relations between Buddhism and the world. According to him, Buddhism and the world are not isolated from each other. The world has been led by Buddhism and the world has changed Buddhism into the world itself. He also insisted that to understand unique feature of Korean Buddhism, one should understand Chinese and Japanese Buddhism. Bulyeon made a various effort to elucidate distinct feature of Buddhism of the Silla Kingdom. He examined Samgukyusa and other Buddhist writings from Silla period. He studied Buddhist dignitaries like Wong-wang, Ui-sang, Myeong-hyo as well as Won-hyo, and examined various Buddhist books like Hwaeomilseungbeopgyedo, Myeong-hyo’s Haeinsamaeron, Seokmahayeonron, and Won-hyo’s writings. After the extensive research, he came to a conclusion that Silla people created the perception of the world based on Buddhist philosophical insight and the spirit of bodhisattva-sīla (菩薩戒) was emphasized in Silla Buddhism. Bulyeon established the Institute of Korean Buddhism in 1974, and published, with 5 researchers, 18 books of Korean Buddhist Temple Series including Bulkusa Temple. These books were a pioneering achievement of Korean Buddhism since it was a comprehensive account of history, relics, and thoughts of Korean Buddhist temples. By this achievement, Korean Buddhist temples were re-discovered as the origin of Korean culture. In 1970s, Bulyeon presented essays concerning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like The Acceptance and Transition of Buddhist Thoughts, Buddhist Thoughts in the Late Koryeo Dynasty,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Korean Modern Buddhism. And he compiled these essays into a book titled Korean Buddhism which was published as one of the Korean History Book series of the King Sejong Memorial Foundation.

      • KCI등재

        북방사, 50여 년 연구 여정의 또 다른 농축(김정배, 2018, 『한국과 중국의 북방사 인식』, 세창출판사)

        정운용(서평자) 고려사학회 2019 한국사학보 Vol.- No.75

        김정배 선생의 『한국과 중국의 북방사 인식』은 2015년 4월 한국연구재단 주관의 ‘석학과 함께하는 인문강좌’에서 “북방사를 둘러싼 중국과 한국의 역사인식”이라는 주제로 이루어진 강연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1967년 삼한 문제에 대한 연구로 석사학위 논문을 학계에 제출한 저자는 2005년 고려대 한국사학과 교수로 정년 퇴직하였다. 저자는 5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주로 고조선・삼한 등의 역사·문화 및 우리나라 청동기·철기시대의 사회상에 대한 연구를 정력적으로 진행하여 왔다. 문헌 사학에 고고학적 지식의 접목 및 인류학 이론의 적용 등은 한국고대사연구에서 저자의 독보적인 성과로 평가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100여 편이 넘는 연구 논문과 다양한 형태의 연구서를 간행하였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런데 1년 전 간행한 이 저서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저자의 직접적인 연구 성과라기보다는, 연구 진행 과정에서 얻은 또는 대응한 저자의 현실적 경험을 담고 있다. 즉, 중국과 러시아, 북한 연구자들의 한국사 인식에 대한 태도 및 그에 대한 저자의 대응 과정이 바로 이 책에 녹아 있다. 그러면서도 서술 내용은, 저자의 주 연구 대상이었던 고조선·삼한을 벗어나, 발해·고구려에 대한 애착으로 점철되어 있다. 이는 아마도 1980년대부터 고조선 지역에 대한 중국 현지 답사를 비롯하여 저자의 연구 대상이 ‘북방’이었다는 것과, 21세기 초입에 야기된 중국과의 ‘역사 전쟁’에서 비롯한 것이라 여겨진다. 이 서평에서 설정한 4개의 章은 저자가 자신의 저서에서 구성한 4개의 장과 동일하게 하였다. 이는 저자의 서술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면서 이 글을 전개하고자 함에서 그리한 것이다. Professor Kim Jung-bae(金貞培)"s Recognition of Korea and China"s Northern History(한국과 중국의 북방사 인식) was held in April 2015 under the theme ‘Historic Recognition of Chinese and Korean over Northern History’ at the ‘Humanities Course with the Great Scholar’ led by Korea Research Foundation. He is a former senior historian who retired in 2005 as a professor of the Dept. of Korean History at Korea University. For more than 50 years, he has been energetically conducting research on the history and culture of Old Joseon(古朝鮮) and Sam Han(三韓) and on the social image of the Korean bronze and iron era. The fusion of archeological knowledge of literature history and the application of theories of anthropology are regarded as his unique achievements in the study of ancient Korean history. It is a well-known fact that in the process, more than 100 research articles and various forms of research books have been published. However, this book, published a year ago, contains his realistic experience gained or matched in the course of his research, rather than his direct study of historical facts. In other words, the attitudes of Chinese, Russian, and North Korean researchers towards the recognition of Korean history, and his process of responding to it, are well illustrated in this book. He has visited China, Russia and North Korea in the process of researching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and has long been in contact with researchers in that country. The process and the result appeared in a concentrated form in this book. Also, as expressed in his representation Northern history related, contact with them has become “my minimum obligation and responsibility to record". His book consists of four chapters: Korea History and Northern History, Recognition of Balhae(渤海) History and Balhai Archaeologic Investigation, China"s ‘Northeastern Process’ and the Goguryeo(高句麗) History Controversy, Three Kingdoms Unification Theory and the Age of North-South Nation Theory. In each chapter, the true stories he experienced in the research and support of Ancient Korean History are accurately described based on the records. In his research activities and administrative responsibilities of each institution, he clearly shows his effort to promote research in our academia. It can be known that human relations with researchers from many northern countries such as North Korea, China, Russia, etc. have given a lot of help to carry out his task. I think that his relationship with foreign scholars must not only be his wealth, but also the wealth of our academia. It is from this point of view that the author himself felt the “minimum obligation and responsibility" recorded in the book. 김정배 선생의 『한국과 중국의 북방사 인식』은 2015년 4월 한국연구재단 주관의 ‘석학과 함께하는 인문강좌’에서 “북방사를 둘러싼 중국과 한국의 역사인식”이라는 주제로 이루어진 강연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1967년 삼한 문제에 대한 연구로 석사학위 논문을 학계에 제출한 저자는 2005년 고려대 한국사학과 교수로 정년 퇴직하였다. 저자는 5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주로 고조선・삼한 등의 역사·문화 및 우리나라 청동기·철기시대의 사회상에 대한 연구를 정력적으로 진행하여 왔다. 문헌 사학에 고고학적 지식의 접목 및 인류학 이론의 적용 등은 한국고대사연구에서 저자의 독보적인 성과로 평가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100여 편이 넘는 연구 논문과 다양한 형태의 연구서를 간행하였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런데 1년 전 간행한 이 저서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저자의 직접적인 연구 성과라기보다는, 연구 진행 과정에서 얻은 또는 대응한 저자의 현실적 경험을 담고 있다. 즉, 중국과 러시아, 북한 연구자들의 한국사 인식에 대한 태도 및 그에 대한 저자의 대응 과정이 바로 이 책에 녹아 있다. 그러면서도 서술 내용은, 저자의 주 연구 대상이었던 고조선·삼한을 벗어나, 발해·고구려에 대한 애착으로 점철되어 있다. 이는 아마도 1980년대부터 고조선 지역에 대한 중국 현지 답사를 비롯하여 저자의 연구 대상이 ‘북방’이었다는 것과, 21세기 초입에 야기된 중국과의 ‘역사 전쟁’에서 비롯한 것이라 여겨진다. 이 서평에서 설정한 4개의 章은 저자가 자신의 저서에서 구성한 4개의 장과 동일하게 하였다. 이는 저자의 서술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면서 이 글을 전개하고자 함에서 그리한 것이다. Professor Kim Jung-bae(金貞培)"s Recognition of Korea and China"s Northern History(한국과 중국의 북방사 인식) was held in April 2015 under the theme ‘Historic Recognition of Chinese and Korean over Northern History’ at the ‘Humanities Course with the Great Scholar’ led by Korea Research Foundation. He is a former senior historian who retired in 2005 as a professor of the Dept. of Korean History at Korea University. For more than 50 years, he has been energetically conducting research on the history and culture of Old Joseon(古朝鮮) and Sam Han(三韓) and on the social image of the Korean bronze and iron era. The fusion of archeological knowledge of literature history and the application of theories of anthropology are regarded as his unique achievements in the study of ancient Korean history. It is a well-known fact that in the process, more than 100 research articles and various forms of research books have been published. However, this book, published a year ago, contains his realistic experience gained or matched in the course of his research, rather than his direct study of historical facts. In other words, the attitudes of Chinese, Russian, and North Korean researchers towards the recognition of Korean history, and his process of responding to it, are well illustrated in this book. He has visited China, Russia and North Korea in the process of researching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and has long been in contact with researchers in that country. The process and the result appeared in a concentrated form in this book. Also, as expressed in his representation Northern history related, contact with them has become “my minimum obligation and responsibility to record". His book consists of four chapters: Korea History and Northern History, Recognition of Balhae(渤海) History and Balhai Archaeologic Investigation, China"s ‘Northeastern Process’ and the Goguryeo(高句麗) History Controversy, Three Kingdoms Unification Theory and the Age of North-South Nation Theory. In each chapter, the true stories he experienced in the research and support of Ancient Korean History are accurately described based on the records. In his research activities and administrative responsibilities of each institution, he clearly shows his effort to promote research in our academia. It can be known that human relations with researchers from many northern countries such as North Korea, China, Russia, etc. have given a lot of help to carry out his task. I think that his relationship with foreign scholars must not only be his wealth, but also the wealth of our academia. It is from this point of view that the author himself felt the “minimum obligation and responsibility" recorded in the book.

      • KCI등재

        특별기고 : 주일학교운동과 조선주일학교연합회 활동 1884-2015

        박용규 ( Yong Kyu Park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22 역사신학 논총 Vol.40 No.-

        1922년에 설립된 조선주일학교연합회가 올해 100주년을 맞았다. 지난 100년은 물론 1884년 한국선교 시작부터 주일학교는 한국교회 발전과 성장에 지대한 공헌을 이룩하였다. 한국에 파송된 선교사들은 교회 설립과 주일학교 착수를 병행하였고, 주일학교를 처음부터 한국선교의 중요한 수단으로 여기고 집중적인 노력과 투자를 기울여 왔다. 지난 한국교회사에서 주일학교운동은 크게 네 시기로 나뉘어 대별할 수 있다. 첫째, 준비 기간으로 1884년 한국선교 시작부터 1922년 조선주일학교연합회가 창설될 때까지, 둘째, 발전기로 1922년 조선주일학교연합회가 창설되고부터 1938년 조선주일학교연합회가 강제해산되고 1945년 해방 이전까지, 셋째, 재건기로 1945년 해방부터 한국교회가 WCC 에큐메니칼운동 문제로 친 WCC와 반 WCC로 나뉘어진 1960년까지, 그리고 변천과 쇠퇴기로 1960년부터 현재까지로 크게 대별할 수 있다. 1884년부터 1922년까지 한국주일학교운동 준비 기간 중에 1905년 한국장로교와 감리교는 한국주일학교 발전을 위한 귀중한 토대를 구축했다. 1922년부터 1938년까지 발전기는 조선주일학교연합회를 중심 축으로 전국의 주일학교가 긴밀한 유대관계를 가지며 만국통일공과, 부별계단공과, 세계주일학교대회 참여, 전국주일학교대회 개최, 하기아동성경학교 등 활발한 활동을 통해 한국주일학교운동은 황금기를 맞았다. 하지만 엡윗청년회, 조선면려청년회, 조선기독교청년연합회(YMCA)에 이어 1938년 6월 21일 조선주일학교연합회가 일제에 의해 강제 해산되면서 한국주일학교운동은 구심점을 잃고 급격하게 쇠퇴하고 말았다. 1945년부터 1960년까지 한국주일학교운동의 재건기에는 조선주일학교연합회가 다시 조직되고 명칭도 대한기독교교육협회로 개칭되었다. 이 기간 대한기독교교육협회는 KNCC 가입, 세계기독교교육협회와 유대관계 증진, 방송을 통한 기독교교육의 저변확대, 주일학교를 넘어 기독교학교에로 사역확대를 추진했다. 1960년대 이후 현재까지는 성장과 변천과 쇠퇴기를 동시에 경험한 기간으로 한국주일학교운동이 너무도 많은 변화를 겪는 시기였다. 가장 큰 변화는 대한기독교교육협회가 처음부터 한국교회 전 교단이 참여하는 연합기관이었으나 1960년 이후에는 협회가 친 KNCC와 WCC 쪽으로 급격하게 기울면서 복음주의 노선의 교단들이 참여하지 않는 반쪽만의 연합기구가 되고 말았다. 게다가 신학노선도 WCC의 흐름을 따라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방향으로 흐르면서 대한기독교교육협회는 급격하게 영향력을 상실하고, 급기야 2015년 재정압박으로 문을 닫았다. 그 결과 한국주일학교운동은 말 그대로 위기에 직면했다. This year, the Korea Sunday School Association, which was founded in 1922, commemorated its 100th birthday. From the beginning of Korean missions in 1884 as well as over the past 100 years, Sunday School has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Korean church. The missionaries who were dispatched to Korea simultaneously founded churches and Sunday schools, and from the start they saw Sunday schools as a crucial tool for their work in Korea. In Korean church history, the Sunday School movement can be roughly divided into four periods. First, as a preparation period, from the beginning of Korean missionary work in 1884 to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 Sunday School Associati on in 1922, second, as a development period,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 Sunday School Association in 1922, it was forcibly disbanded in 1938 and liberated in 1945. The third, reconstruction period, from liberation in 1945 to 1960, when the Korean church was divided into the pro- WCC and anti-WCC over the WCC ecumenical movement, and the final period from 1960 to the present, is a period of change and decline for Korean Sunday Schools. During the preparation period for the Korean Sunday School Movement from 1884 to 1922,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and the Methodist Church laid a valuabl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Sunday school. From 1922 to 1938, Korean Sunday School reached a golden age through active activities such as Summer Vacational School, World Sunday School Lessons, Lessons by Grading, World Sunday School Convention, National Sunday School Conference, and Summer Vocational School, while maintaining close ties with Sunday Schools across the country, centered on the Korea Sunday School Association (KSSA). However, once the Japanese forcibly dissolved the Korea Sunday School Association on June 21, 1938, the Korean Sunday school movement lost its direction and rapidly declined. During the reconstruction period of the Korean Sunday School Movement from 1945 to 1960, the Korean Sunday School Association was reorganized and the name was changed to the Korea Council of Christian Education (KCCE). The KCCE joined the KNCC and began to take a deep interest in Christian schools beyond Sunday school, by promotingties with the World Council of Christian Education(WCCE), expanding the base of Christian education through broadcasting. From the 1960s to the present, it was a period of growth, change, and decline, and the Korean Sunday School movement was a period of too many changes. The biggest change was that the KCCE was an allied organization in which all denominations of the Korean church participated from the beginning, but since 1960, as the KCCE rapidly shifted toward KNCC and WCC ecumenical lines, it became a half-coaled organization in which evangelical denominations did not participate. In addition, as the theological line shifted to the WCC's “Missio Dei,” the KCCE rapidly lost its influence, and finally closed due to financial pressure in 2015. As a result, the Korean Sunday school movement literally faced a crisis.

      • KCI등재

        대한민국과 미국-냉전의 맥락에서 본 문화적 재기와 아시아 재단의 역할-

        데이비드스타인버그 ( David I. Steinber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0 No.47

        냉전 시대 한국에서 주요한 민간 원조 기구였던 아시아 재단은 한국 사람들의 복지를 증진시키고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우호적 한미관계를 설립하는 데 기여하기 위해 다양한 기획들을 추진해왔다. 해외 기관들이 한국에 프로그램을 세울 당시, 한국은 일본 식민지 지배의 파장과 미국의 한반도 주둔 등과 같은 복잡한 맥락에 놓여 있었다. 특히, 미국과의 관계에서 한국은 의존할 필요와 더불어 분노와 불안감을 느끼고 있었다. 본 논문은 미국에 대한 의존과 독립적인 민족주의가 혼합되어 취약함과 자존심을 동시에 느끼지 않을 수 없었던 당시의 복잡한 상황을 되돌아보며, 어떻게 아시아 재단이 다른 재단과는 다른 특별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는가를 조명한다. 나는 1960년대와 1990년대 두 차례에 걸쳐 아시아 재단의 한국 지사 대표를 역임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1960년대 아시아 재단의 계획과 목표, 재단만의 독특한 태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아시아 재단의 자원은 다른 재단의 원조와 비교해 작은 규모였지만, 한국의 요구와 상호협력에 기반한 프로그램들을 수행함으로써, 매우 독특하고 영향력있는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프로그램 문서 등에 공개적으로 명시되진 않았지만 당시 주요하게 설정되었던 7가지 목표와 활동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1] 권위적이고 억압적인 정부 아래에서도 지식인 공동체가 가능한 최대로 살아있고 활기차도록 지원하는 것. [2] 일본이 의도적이고 공공연하게 훼손했고, 한국전쟁 이후 미국의 문화적, 정치적 영향력으로 피해를 받게 된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회복시킬 것. [3] 학계뿐만이 아니라 언론, 비정부 기관, 그리고 적합한 정부 기관을 통해서 정치적, 지적 다양성을 추구하는 것. [4] 한국인들이 세계의 지적이고 전문적인 공동체에 다른 국가들과 동등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5] 사회적 평등과 성평등을 지원함으로써 전통적으로 위계질서가 정착된 한국이 조금 더 평등한 사회가 되도록 도와주는 것. [6] 서울이 아무리 중요하다고 해도 지금까지 동등하게 성장할 기회를 거부당해온 지방 관료들과 조직들을 고려하고 서울 이외의 지역으로 확장해 지원하는 것. [7] 사회경제적 이동이 이루어지고 미래 사회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청년들에게 도구를 마련해주는 것. 아시아 재단은 한국에서 활동하는 미국조직들 중에서도 특별한 것이었다. 재단은 따라야 하는 어느 특별한 이념이 없었다. 즉, 미국의 전통적인 냉전 수사학과 프로그램에서 벗어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보조금 지원 방식을 고수하지도 않았다. 대신에, 재단은 프로그램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고 한국 내에서의 지속과 헌신 자체가 군사 및 경제 관계 이상으로 중요하게 한미 관계에 큰 역할을 한다는 점을 알고 있었다. 그렇게 여러 프로그램에 변화가 있었지만 재단은 지속될 수 있었던 것이다. The Asia Foundation, one of the most significant international aid organizations in Korea during the Cold War era, carried forward various programs designed to contribute both to the increased wellbeing of the Korean people and of long-term positive U.S.-Korean relations. It was the time of historical and political conflicts, including the impact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United States official presence, that foreign organizations programmed in the Republic of Korea. Especially, as a product of Korean insecurity in the U.S. relationship, Korean society experienced ambivalent feelings of dependence, enmity, and anxiety toward the U.S. Tracing back this complex mix of dependency and nationalism-of vulnerability and pride-at that particular time, this paper examines how the Asia Foundation took an idiosyncratic role in Korea, compared to any other Foundations. Based on the experience of being the Asia Foundation’s representative in Korea in the 1960s and later in 1990s, I will discuss the Foundation’s plans and goals, and its special attitude. In spite of the relatively moderate scale of its financial assistance compared to other organizations, the Asia Foundation was enable to establish a strong network with local intellectuals and leaders in Korea through the programs based on Korean demands and cooperative interaction. Especially, the paper addresses its seven goals and activities, albeit officially never stated in the program documents. They were: [1] Keeping the intellectual community alive and as vibrant as possible in the context of authoritarian and repressive regimes. [2] Helping Koreans re-establish their own cultural identity that had been intentionally and overtly subverted by the Japanese, and later inadvertently overshadowed by the preponderance of U.S. cultural and political influence following the war. [3] Pursuing political and intellectual pluralism not only through academic channels, but also through the media,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even within appropriate governmental contexts. [4] Assisting Koreans to place themselves in the world’s intellectual and professional community as peers with their colleagues in other states. [5] Assisting the growth of a more egalitarian society that traditionally had been markedly hierarchical by supporting social and gender equality. [6] Broadening support beyond Seoul, which however important it was in every field, denied to provincial governments and institutions the opportunity for growth with equity. [7] Providing youth with some of the tools necessary for socio-economic mobility and their future contribution to the society. The Asia Foundation was singular among U.S. organizations working in Korea. It had no official “script” or ideology it had to follow since it could deviate from traditional U.S. Cold War rhetoric and programs as well as traditional grant-giving methodology. But, it recognized the need for program changes and it also understood that the very continuity and commitment were reassuring elements in the U.S.-Korean relationship that were important beyond military and economic ties. And so, program emphases shifted, but program presence remained.

      • KCI등재

        글로벌 유통기업의 한국시장 진입 전략: IKEA의 한국시장 진출

        김소형,김주태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6 국제경영리뷰 Vol.20 No.1

        본 논문은 글로벌유통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시, 중요한 결정요소와 새로운 시장 진입에 있어 기존전략과의 차별점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대표적인 거대 다국적기업인 IEKA의 한국시장 진출 과정을 분석하였다. IKEA는 저렴한 가격, 세련되고 모던한 북유럽 디자인 등으로 전 세계 가구 시장에 선풍적인 인기를 끄는 세계 최대의 가구 다국적 기업으로 2014년 12월에 한국시장에 진입하였다. 이에 관련하여 IKEA의 핵심역량을 분석해 보고 한국시장 진입 전후의 시장진출 전략 변화와 IKEA 진입 이후의 국내 가구산업의 변화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IKEA 의 한국시장 진출에 따른 국내 기업들의 대응과 소비자 들의 공간, 문화에 대한 인식변화를 살펴보고 한국 가구산업을 위주로 IKEA로 인한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IKEA가 맞이하고 있는 한국시장의 환경에 따른 현지화 전략의 균형점을 찾아보기로 한다. 본 논문을 통하여 IKEA의 한국가구시장의 진입에 따른 한국 가구 산업의 나아갈 방향과 국내 가구기업들의 방어 전략에 대해 논의하고 한국 가구업체들에게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IKEA is the world’s largest furniture retailer, which is gaining sensational popularity in the global furniture markets on the strength of a reasonable price, DIY furniture, and sophisticated and modern north European design, among others. Such IKEA finally opened the first IKEA’s in Kwangmyung city in Korea in December 18, 2014. In this regard, small and medium-sized furniture businesses in Korea expressed concerns about the after effect of IKEA’s entry into the Korean furniture markets prior to its entry and thought over their survivability until they were forced to look for new ways how to stay competitive. However, despite concerns of Korean furniture businesses, their profit which companies pronounced have increased with a IKEA’s success. IKEA has implemented a shift in strategy from the existing standardization strategy to a localization strategy in Korea markets. This study aims to analyze IKEA’s localization strategies, which IKEA, the world’s largest furniture retailer, considered when they decided to enter the Korean furniture markets. In addition, with the presence of IKEA in the Korean furniture markets, the study will investigate the future direction of domestic furniture businesses as well as their defense strategies, which will be also suggested for domestic furniture businesses. So far, IKEA’s entry strategies are judged to be a great success; it will be interesting to see whether it is sustainable.

      • KCI등재

        20세기 초 프랑스 여행가에게 인식된 한국의 시와 노래 - 조르주 뒤크로(Georges Ducrocq)의 『가련하고 정다운 나라, 조선(Pauvre et douce Coree)』[1904]에서 논의된 한국시가의 면면 -

        김승우 ( Kim Seung-u ) 한국시가학회 2021 韓國 詩歌硏究 Vol.54 No.-

        본고에서는, 1901년에 한국을 방문하고 당시의 견문을 수년 후 『가련하고 정다운 나라, 조선(Pauvre et douce Coree)』이라는 제목의 여행기로 출간했던 프랑스 시인 조르주 뒤크로(Georges Ducrocq)의 한국시가에 대한 인식과 논평을 검토하였다. 뒤크로는 자신이 관찰한 사항만을 다루려는 지향과 상상력을 발휘하여 한국인의 삶을 구체적으로 재구하려는 지향을 동시에 지니고 있었다. 전자는 ‘관찰자’적 지향이라 칭할 수 있다. 한국을 분석이나 교화의 대상으로 삼지 않고 한 발치 물러선 위치에서 한국인의 일상 풍경을 글로 옮기려 하였기 때문이다. 후자의 지향은 ‘직관’에 해당한다. 뒤크로는 자신이 접할 수 없는 한국인의 삶의 심층에도 관심을 두고서 나름의 직관으로 그 내막을 채워 나갔던 것이다. 양자를 종합하면 뒤크로는 ‘직관적 관찰자’의 입장에서, 또는 ‘관찰자적 직관’을 발휘하여 자신의 한국 체험을 서술하였다고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한국의 시와 노래에 대한 뒤크로의 인식을 살필 때에도 깊이 있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한국시가에 대해 당시까지 가장 학술적인 접근을 시도했던 인물은 모리스 쿠랑(Maurice Courant)이다. 그러나 같은 프랑스인이지만, 쿠랑과 뒤크로가 한국시가를 다루는 방식과 목적에는 분명한 차이가 존재한다. 쿠랑은 최대한 객관적으로 한국시가의 존재 양상을 기술하려 한 반면, 뒤크로는 한국시가 자체의 존재상보다는 작품에 담긴 한국인의 정서와 일상 등 내용적 측면을 중시하였고 그 이면의 사정을 직관적으로 포착하는 데 유념하였다. 쿠랑과 뒤크로 사이의 이 같은 편차는 한국시가를 논의했던 영미권 인사들 가운데 제임스 게일(James Gale)과 호머 헐버트(Homer Hulbert)가 노정했던 편차와 도 유사하다. 뒤크로는 자세한 시적 상황을 번역시에 개재하였던 헐버트의 영역 작업에 공감하였다. 그러나 큰 틀에서는 헐버트의 의역 방식에 따르면서도 뒤크로는 작품 본연의 맥락을 가급적 되살리려는 중용을 택하기도 하였다. 원작에 비교적 충실한 게일의 영역을 취하되, 유사한 주제를 지닌 서너 편의 시조를 하나의 맥락으로 재편함으로써 원작의 의미를 보존하면서도 서구 독자들이 한국시가의 느낌을 한결 용이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배려하는 일종의 ‘엮음’ 방식을 도입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뒤크로는 일부 시구 또는 시행을 누락하거나 원작에는 없는 표현을 삽입하여 시상을 자연스럽게 연결 짓는가 하면, 시조가 지닌 세 단계의 전개 방식을 번역시에 어떻게든 드러내고자 조처하였다. 아울러 뒤크로는 한국의 속담에서 발견되는 응축적이고 생기발랄한 표현력이 한국문학의 저변을 이룬다고 서술하였는데, 이는 속담과 한국시가의 표현 양상이 매우 유사하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한편, 한국시가에는 고달픈 현실의 문제보다는 시간을 초월한 보편적 정서가 많이 나타난다는 뒤크로의 총평도 주목된다. 그의 언급은 질곡으로 점철된 한국인의 삶에 한국시가가 최적의 가치를 지닌다는 적극적인 평가와 잇닿아 있다. 어느 시대나 사회에서든 보편적으로 느낄 수 있는 정서를 환기함으로써 고난에서 한 발 비껴 설 수 있는 계기를 한국인들은 문학, 특히 시가를 통해 마련하였다는 것이다. 그가 한국시가 작품을 여러 편 번역하여 프랑스 독자들에게 선보였던 이유도 한국인의 삶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가를 살펴야만 한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뒤크로는 한국문학을 논하였던 이 시기의 다른 어떤 서구인에 비하더라도 매우 진지하고 본격적인 탐색을 수행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A French poet Georges Ducrocq visited Korea in 1901 and published a travelogue titled Pauvre et douse Coree(Poor and Douce Korea) several years later. This study examined his perception of Korean poetry found in this book. Ducrocq intended to describe only the things he observed and the intention to depict the lives of Koreans in detail by activating his imagination. The former can be called the orientation as an ‘observer’ because he did not consider Korea as an object of analysis or edification but tried to write down the daily lives of Koreans from a distance. The latter orientation corresponds to ‘intuition’. Ducrocq was interested in the vivid life of Koreans that he could not see and imagined it with his intuition. So, it can be summarized that Ducrocq described his experiences in Korea from the standpoint of an ‘intuitive observer’ or by demonstrating his ‘intuition as an observer’. This point should be considered in depth when examining his perception of Korean poetry. The person who attempted the most academic approach to Korean poetry up to that time was Maurice Courant. However, although they are both French, there is a clear difference in the way and purpose of discussing Korean poetry between Courant and Ducrocq. While Courant tried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oetry as objectively as possible, Ducrocq emphasized the contents of Korean poetry, such as Korean emotions and daily life, rather than its literary form, and he was careful to intuitively capture the situations behind the text. Such a difference between Courant and Ducrocq is similar to that of James Gale and Homer Hulbert, the Anglo-American missionaries who discussed Korean poetry. Ducrocq sympathized with Hulbert’s translation, which contained detailed poetic situations not found in the original text. However, while following Hulbert’s paraphrase method, Ducrocq chose the middle way to revive the work's original context as much as possible. He used Gale’s translation of sijo poems, which reflects the meaning and form of the original work relatively well, but reorganized three or four sijo poems with similar themes into one context. In this way, while utilizing the original work's meaning, Western readers were able to accept the feeling of Korean poetry more easily. Such a method can be called ‘weaving’.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he tried to smooth the poem's flow by omitting some phrases and lines or inserting expressions that were not in the original work and to reveal the three stages of development of sijo poetry in his translation. In addition, Ducrocq described that the condensed and lively expressions found in Korean proverbs form the basis of Korean literature, which means that the expression patterns of Korean proverbs and poetry are very similar. Meanwhile, attention is also paid to his general opinion that universal emotions that transcend time appear more frequently in Korean poetry than the problems of painful reality. His comments are linked to a positive evaluation that Korean poetry has the best value in the lives of struggling Koreans. It is said that Koreans provided an opportunity to step aside from hardship by evoking emotions that can be universally felt in any era or society through literature, especially poetry. Ducrocq translated several works of Korean poetry and presented them to French readers because he decided that to understand the life of Koreans, one had to know their poetry. In this regard, Ducrocq can be evaluated as having carried out a very advanced and full-scale search compared to any other Westerners of this period who discussed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한국찬술불교문헌의 확장성에 대한 일고찰 - 태현의 『보살계본종요』를 중심으로 -

        김천학 한국서지학회 2017 서지학연구 Vol.7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boundary of Korean studies by paying attention to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ommentaries on the Buddhist texts written by Koreans. This is because the study on the East Asian commentaries on Korean Buddhist literatures can broden the scope of Korean studies in that Korean Buddhism extends its scope through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ommentaries of Korean Buddhist literatures and its extended domain continues to spread through various speculation. This article introduces the commentaries of 11 Koreans (9 Silla, 1 Koryeo, 1 Chosun) surveyed to date, and in particular, focusing on Bosatsukaihonshuyousho(菩薩戒本宗要鈔), a commentary on Taehyun (太賢)’s Bosalgyebonjongyo(菩薩戒本宗要, hereafter Jongyo), I examined the expansion and significance of Korean studies. Jongyo is the document which became the standard of the practice together with Beommanggyeonggojeoggi (梵網經古迹記) in Japan which places emphasis on the bodhisattva precepts. This point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the Taehyun was regarded more important even though there were many characters before him such as Zhiyi(智顗), Fazang(法藏) in China and Wonhyo(元曉), Uijeog(義寂) in Silla dynasty. This shows that Taehyun’s interpretation of Beommanggyeong was important in the understandins of bodhisattva precepts in Japan. It is presumed that Jongyo was handed over to China soon after it was written and it was handed to Japan as well at the time of Beommanggyeonggojeoggi’s passing to Japan. In China, since Daofong (道峯)’s preface had been attached, the significance of Taehyun is highlighted and Jongyo with the preface was brought to Japan again. Thereafter more than nine kinds of annotations on Jongyo with Daofong’s preface were written in Japa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three kinds of commentaries on Jongyo without Daofong’s preface. In this way, Jongyo was spread widely in Japan and the fact that Taehyun was highly appreciated in China could be one reason for this situation. This is an example of expanding the scope of Korean Buddhism by the process in which Jongyo, a Korean Buddhist literature was appreciated in China and Japan, and many commentaries were written as well in China and Japan. 본고는 한국불교를 다양하게 연구하기 위해서 한국인이 찬술한 불교문헌에 대한 중국과 일본의 주석서에 주목하여 한국학의 외연을 넓히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그것은 한국불교가 주석서를 통해 외연이 확장되고 한국불교에 내포된 사유가 계속 전파된다는 일면을 포함하고 있다는 데서 한국학의 범위를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현재까지 조사된 한국인 11인(신라9명, 고려․조선 각 1명)의 주석서를 소개하고, 그 가운데 특히 태현의 『보살계본종요』의 주석서인 『보살계본종요초』에 주목하여 한국학의 확장성과 그 의의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보살계본종요』(이하 『종요』로 약칭)는 『범망경고적기』와 함께 보살계를 중시하는 일본에서 학습의 전형이 된 문헌이다. 태현 이전에 중국의 지의, 법장 등이 신라에서도 원효와 의적 등 지명도 높은 다수의 인물이 『범망경보살계』에 관한 주석서를 저술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에서는 『범망경보살계』에 한해서는 태현의 주석서가 더 중시되었다. 그만큼 태현의 『범망경』 해석이 일본의 보살계 해석에 중시되었다는 뜻이다. 『종요』는 저술된 이후 바로 일본으로 전해지며, 일본에도 『범망경고적기』가 전해지는 시기에 함께 전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중국에서는 도봉(道峯)의 서문이 쓰여지면서 태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이것이 다시 일본으로 전래된다. 일본에서는 도봉의 서문이 붙은 『종요』의 주석서가 9종 이상 저술된다. 한편, 도봉의 서문이 붙지 않은 주석서도 3종 이상에 이른다. 이렇게 『종요』는 일본에서 크게 영향을 미치는데, 여기에는 중국에서 태현을 높이 평가한 것도 한 원인이 될 것이다. 이렇게 해서 한국불교문헌인 태현의 『종요』가 당과 일본에서 중시되며, 특히, 일본에서는 주석서로 재탄생하면서 한국불교의 외연을 확장하였다. 한국불교의 확장성의 의미는 바로 여기에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즉, 한국불교의 문헌이 주석서를 통해 해석되고 재탄생하는 과정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한국불교문헌은 중국불교문헌에 못지않게 중국과 일본에서 연구되고 주석된다. 이것은 한국불교가 중국과 일본에서 그만큼 중시된 것을 의미한다. 한국불교가 중시되면서 전파되고 생성되고 재탄생되는 과정을 거쳐 새롭게 확장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한국불교의 확장성을 탐구하는 것은 한국학의 범주를 넓히는 것을 의미한다. 향후 우리는 이와 같은 주석서에 대한 면밀한 연구를 통해 한국불교 연구의 범위 내지는 한국학의 범위를 넓힐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국군의 초기 서독 군사유학 경험과 그 영향

        김도민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20 군사 Vol.- No.115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the early Korean military officers who went to study in West Germany in the 1960s and the impact of their experiences on the Korean military. Under the agreement between Korea and Germany in 1964, from 1965, the 2 cadets of Korea military academy sent to West German Army Academy as a status of military cadet, and at the same time, officers attended the West German Command and Staff college. Looking at the related research papers, there is only research on the study of Korean military to the United States. In the situation where there was little literature on Korean military's study abroad in West Germany, this article revealed the specific types and experiences of military study in West Germany by analyzing the oral records related to the Korean military collected by the Contemporary Korean Oral History Research Group of the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yujanggak Korean Studies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the early days, 10 ROK military officers were dispatched to three locations, including a military academy, a commanding and staff college, and a general university in West Germany. Furthermore, this article revealed how ROK military West German students tried to apply the German military system within the Korean military since the 1980s, when military officers or officers at the level of military officers experienced military study abroad in West Germany and promoted up to become a Korean military general. For example, the German mission-based tactics were included as an FM(Field Manual) and the German decree on military service were not only translated and but applied to some ROKA units. Not only did some of the Korean military officers who had experienced studying in West Germany studied American military at the same time, they were also able to confirm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American military system and German one. It is expected that the concrete situation of West German military study by the Korean military will be restored through the voices of experienced peoples, as well as fill the gap of histor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Germany 본고는 1960년대 서독으로 군사유학을 갔던 초창기 한국군 장교의 경험과 그들의 경험이 한국군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1964년 한국과 독일 간 협정에 따라 1965년 한국군은 처음으로 서독에 육군사관학교 생도 2명을 파겼했으며, 이후 한국군의 위관급 및 영관급 장교들도 서독 지휘참모대학에서 수학했다. 그동안 한국군의 해외 군사유학에 관련한 연구는 미국 지역에만 한정되어 있었다. 본고는 처음으로 한국군의 초기 서독 군사유학의 양상과 실태를 밝히고자 했다. 특히 본고는 한국군의 서독 군사유학 관련한 문헌자료가 거의 존재하지 않은 상황에서,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현대한국구술사연구사업단이 수집한 한국군 관련 구술자료를 활용하여 구체적인 서독 군사유학의 유형 및 경험을 밝힐 수 있었다. 초창기 한국군 장교들의 서독 군사유학은 육군사관학교·지휘참모대학·일반대학 등 세 곳에 10명 남짓 파견되는 형태를 보였다. 특히 한국군의 사관생도이거나 위관급 수준의 장교들이 초기 서독 군사유학을 경험한 후, 1980년 전후부터 한국군 내에서 장성으로 성장했기 때문에 이들은 한국군 내에 독일식 군사 시스템을 적용하려고 했다. 특히 독일식 임무형 전술이 교범 내용으로 중요하게 포함되거나 독일군의 복무규율이 그대로 번역되어 한국군 일부 부대에서 적용되는 사례 등이 있었다. 흥미롭게도 독일 군사유학을 경험한 한국군 장교들 중 일부는 미국 군사유학도 동시에 했다. 따라서 미국과 서독의 군사유학을 모두 경험한 인물들은 미국식 시스템과 독일식 시스템의 비교 및 평가하는 구술을 남기기도 했다. 이처럼 본 연구는 기존에 전혀 밝혀지지 못했던 한국군의 초창기 독일 군사유학의 구체적인 실태를 실제 경험한 구술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복원했을 뿐 아니라, 군사적 차원의 한독관계사의 양상을 밝힘으로써 기존 한독관계사 연구의 공백도 채울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한류의 원산지효과와 중국 소비자의 자민족 중심주의가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백서윤,김충현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8 국제경영리뷰 Vol.22 No.3

        본 논문은 한류가 한국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구매의도를 형성한다는 기존의 한류 원산지효과 연구에서 다소 간과되었던 해외 소비자의 자민족 중심주의가 미치는 영향력을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한류를 통해 긍정적인 거시적 국가이미지가 형성됨으로써 한국 제품에 대한 원산지효과가 발생한다는 기존의 후광모형이 아닌, 특정한 한류제품인 한국화장품과 한국스마트폰이 한류를 통해 긍정적인 원산지효과가 발생하고 이것이 일반적인 한국제품에 대한 구매의도로까지 확장이 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중국 소비자들은 한류를 통하여 긍정적인 감정이 형성되어 한류호감도를 통해 한류제품(한국화장품, 한국스마트폰)에 대한 인식과 일반적인 한국제품의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류호감도가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한 국화장품에 대한 인식에 의해서만 부분적으로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화장품의 경우 중국 소비자들의 자민족 중심주의에 의한 부정적인 조절효과로 인하여 한류호감도가 일반적인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한국화장품의 긍정적인 영향력이 감소하였으나 한국스마트폰은 중국 소비자의 자민족 중심주의에 의한 부정적인 조절된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기존에 혼재되었던 한류의 원산지효과와 구매의도 관계에 대한 연구결과를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자민족 중심주의를 통해 설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원산지효과 연구에서 후광모형이 아닌, 한류제품과 같은 특정 제품에서 발생하 는 긍정적인 영향력이 미시적인 국가이미지를 형성하여 다른 전체적인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 로까지 확장되는지 살펴봄으로써 제품차원에서 국가차원으로 확장되는 원산지효과를 확인하였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role of Chinese consumers’ ethnocentrism that is relatively overlooked in researches that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try-of-origin effect by Korean Wave and purchase intent of Korean products. Specifically, by integrating the preference of Chinese consumers to Korean Wave and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s Korean cosmetic and smart phone brands, this study explores how the ethnocentrism of the Chinese is associated with intentions to purchase Korean products.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Chinese respondents and the results from the empirical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inese consumers’ preference to Korean cultural content has positive effect on product attitude towards Korean cosmetic and smart phone brands and the purchase intent of Korean products. Furthermore, Chinese consumers’ attitude towards Korean cosmetic and smart phone brands can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reference to Korean cultural content and the their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products. Second, Chinese consumers’ ethnocentrism can negative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attitude towards Korean cosmetic brands and the purchase intent of Korean products. However, such negative effect of Chinese consumers’ ethnocentrism is not signifi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attitude towards Korean smart phone and the purcase intent of Korean product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related researches by exploring the role of ethnocentrism of Chinese consumers; it helps remedy the inconsistent resul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Wave’s country-of-origin effect and the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product. This paper provides marketing implication to Korean firms that operate in countries, such as China, where strong consumer ethnocentric tendencies preva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