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동경험이 있는 학업중단청소년의 학업복귀 경험 -근거이론에 의한 접근-

        이선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4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1 No.2

        This study was to analyze school dropouts’ labor experiences after stopping study and their experiences of returning to academic course. Participants were 11 adolescents who experienced dropouts more than 1 year and then constantly study more than 3 months. They were interviewed deeply and analyzed using the study methods of grounded theory. As a result of the analyzed data, the central phenomenon from labor experiences to returning to school for dropouts was changing for learning from the adolescent work. The casual condition was ‘being away from school fence’, ‘nomad life losing home’, ‘wandering continuedly as nomad out of school’. Contextual condition about the central phenomenon was ‘changing for adolescent worker from nomad’, ‘struggling for being stable in the adolescent workplace’, ‘being stable in the adolescent workplace as a settler’. The intervening condition was ‘warm hands for the help’ for returning to their studies and the action/ interaction strategies to control the phenomenon were ‘the hope gesture for returning to learning’, ‘obstacle blocking for returning to learning’. The results of central phenomenon appeared to be ‘sweet after bitter in life from returning to learning’. The core category was ‘a speed regulate of changing for learing from the adolescent work’. The types of labor experience toward returning to study were ‘the type of professional labor experience’, ‘the type of living labor experience’, ‘impulsive labor experience’. Based on this analyzed result, this thesis suggested the ways to provide services to help school dropouts who try to return to academic course from their labor experiences. 본 연구는 학업중단청소년들이 학업을 중단한 후 경험하는 노동경험에서 학업복귀 과정에 대한 청소년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학업 현장으로부터 1년 이상 벗어난 후 3개월 이상 학업을 지속하고 있는 청소년 11명을 심층면접한 후,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중심현상은 ‘청소년노동에서 학업복귀로 방향키 돌리기’로 나타났다. 인과적 조건은 ‘학교담장밖 세상에 내몰리기’, ‘정착할 곳을 잃은 떠돌이의 삶’, ‘학교밖 떠돌이로 끊임없는 방황’이었고, 중심현상에 대한 맥락적 조건은 ‘떠돌이에서 청소년노동자로 방향전환’, ‘청소년노동현장에 정착하려는 몸부림치기’, ‘청소년노동현장에 정착민의 터전일구기’이었다. 중재적 조건은 ‘도움의 따뜻한 손길’이었고, 현상을 조절하기 위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학업복귀를 향한 희망의 몸짓’, ‘학업복귀를 가로막는 장애물’이었다. 중심현상의 결과는 ‘학업복귀 경험이 심어준 인생의 고진감래’로 나타났다. 선택코딩으로 핵심범주는 ‘청소년노동에서 학업복귀로 방향키의 속도조절’이였으며, 학업복귀로 향한 노동경험형은 ‘전문직 노동경험형’, ‘생계형 노동경험형’, ‘충동적 노동경험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학업중단청소년의 노동경험에서 학업복귀 과정에 필요한 개입 서비스를 위한 방안과 연구를 위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공교육 학업중단경험 청소년의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업복귀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학교 담장 밖의 아이들, 또 다른 학교에 문을 두드리다-

        이선희 ( Sean Hue Lee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5 청소년복지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학업중단 후 학업복귀에 성공한 5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연구자가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이들이 학업중단 이후 삶의 경험은 무엇이며, 그들이 선택한 ‘대안교육 특성화 고등학교’ 학업복귀는 무엇이며, 이들의 삶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가 부족하고 학업복귀 경험 및 적응과정을 탐색하는 심층연구이기 때문에 사례연구조사를 선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자료로 기술하고 분석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확인된 주요 영역은 첫째는 ‘학업과의 절연(絶緣)’으로 ‘학업중단으로 몰아세웠던 삶의 장벽’과‘학업과 갈라진 틈사이로 시린 바람을 맞으며’로 볼 수 있다. 둘째는 ‘학업과의 해후(邂逅)’로 ‘다시 학업으로 방향키를 돌리고’와 ‘학업으로 향한 길목에 지도를 놓고’로 볼 수 있다. 셋째, ‘학업과의 인연(因緣)’으로 ‘대안학교라는 새로운 배움의 문고리를 부여잡고’, ‘학교적응의 문턱에서 실타래를 풀어놓고’, ‘인연(因緣)이 맞닿는 학업과 이어지는 연줄’로 밝혀졌다. 이런 내용을 기초로 학업중단경험 청소년들의 학업복귀를 위해 ‘대안학교 학업복귀를 위한 조력자 양성’, ‘검정고시 행정시스템 변경’, ‘대안학교 지역교육전문가 인력배치’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deeply interviewed 5 participants who returned to the school successfully after disruption of their study by researc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were their life experience after stopping learning?’, ‘what was the returning to studies to the specialized high school in alternative education which they choose?’ and ‘what does it mean to their life experience?’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a case study research because preceding research was too insufficient and this research was in-depth study which explore the experience of returning to academical courses and adaptation process as well. The principal areas which was able to find out while the study depicts, analyzes and interprets the data from participants’ experience are as follows: The first one is ‘Interruption of Studies’ which includes ‘the wall of harshly berated life for stopping scholastic classes’ and ‘getting caught in icy wind through the lack between school and society.’ The second one is ‘Reunion with Studies’ which comprises ‘turning rudder to academical courses again’ and ‘laying the map on the road to scholastic courses.’ The third one is ‘Relation with Studies’ which involves ‘seizing the doorknob of new learning which was an alternative school’, ‘untangling complicated knitting balls in front of the school adjustment’ and ‘connection with academical classes of encountered relationship.’ Based on this result, I suggested ‘Training of helper for turning back to alternative schools’, ‘Revision of qualification exam system’ and ‘Arrangement of regional specialist in alternative schools.’

      • KCI등재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송윤숙(Yoon Suk Song),박지연(Ji Yeon Park) 교육종합연구원 2023 교육종합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대학교육의 질 제고와 성과관리를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 학업성과 간의 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비교과 프로그램의 참여 여부에 따라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 학업성과의 차이가 있는지, 둘째,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성별,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셋째,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이 학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 학업성과의 평균은 전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학생의 성별과 학년을 비교한 결과 성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학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학년이 높을수록 교우와 학습, 학업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합적으로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은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이 학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업성과를 높이기 위한 제안으로 학년에 따른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및 선후배 학생 간의 활발한 교류 등을 제안하며, 적극적인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이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 relationship between tacademic challenges, learning with peers, experience with professors, and academic outcome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extracurricular programs to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and managing performance. The following were examined for this purpose: The first was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academic challenge, learning with peers, experience with professor, and academic outcome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The second was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year of th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The third was whether the academic challenges, the learning with peers, and the experience with professors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had a effect on the academic outcome. As a result of the stud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verages of academic challenge, learning with peers, experience with professor, and academic outcome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programs. In a comparison by the gender and grade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while some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grade. It is found that as the grades got higher, the level of learning with peers and academic outcome got higher. It is comprehensively found that academic challenge, learning with peers, and experience with professor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academic outcomes in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 Therefore,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extracurricular programs according to grade and enhancement of active exchanges between seniors and juniors are proposed to their enhance academic outcomes, and the need for active extracurricular program operation is emphasized with th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 KCI등재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능동적 학업참여를 위한 홀리스틱 교육방안

        박진우,홍현미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0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한국에 재학 중인 재한외국인유학생의 학업경험에 대한 구체적인 탐색을 통해 그들이 직면한 학업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재한 외국인 유학생과 면담을 토대로 그들이 직면하는 학업 경험을 탐색하였고,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심리사회적 특성의 이해를 돕기 위한 기 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고. 자료 분석은 Colazzi(1978)의 자료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중국 유학생 2인, 몽골 유학생 2인, 베 트남 유학생 2인이고 남성 대학생 1인, 여성 대학생 5인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를 위한 질문은 “재한 외국인유학생의 학업경험은 어떠한가?”였다. 연구결과 6개의 주제, 15개의 범주, 38개의 하위범주가 나타났다. 드러난 주제는 ‘기대감을 갖고 한국대학을 선택함’,‘ 한국학생은 우리를 좋아하지 않음’, ‘타의에 의해 정해진 학업계획’,‘학업의 어려움을 경험함’, ‘학업에 적극적으로 나아감’, ‘학업이 지속 됨’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업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도출하였으며 재한외국인 유 학생의 능동적인 참여를 위한 방안으로 홀리스틱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tter understand the essence and meaning of the academic experience of foreign students living in Korea. Based on interviews with foreign students in Korea, they explored the academic experiences the students faced, and attempted to present basic data to help them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The research used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o attain this goal. Data analysis method of Colazzi (1978) was also applied.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two Chinese students, two Mongolian students, and two Vietnamese students, a total of one male and five female students. The question for the study was, What is the academic experience of foreign students living in Korea? The study showed 6 themes, 15 categories, and 38 subcategories. The 6 themes found were (1) 'Choose a Korean University with Expectation', (2) 'Korean Students Don't Like Us', (3) 'Academic Plan Determined by Others', (4) 'Experience Difficulty', (5) 'Progressively Academic', and (6) 'Academic persist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essence and meaning of the academic experience were derived, and a holistic education strategies for active engagement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중단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학업중단 이전, 당시, 이후 경험을 중심으로

        김현주,박재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3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awareness and what adolescents outside school experience through academic interruption by qualitatively analyzing the school dropout experience of adolescents, and moreover, to investigate the type of support that school dropout adolescents need in depth. To this end, this study interviewed 10 adolescents who visited the youth counseling welfare center and analyzed the content through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21 areas as the period when they first considered about giving up their studies, the reason, previous experience, plan at the time, help they need, life after school dropout, and what they need were derived. This study presented results by classifying 21 areas into before school dropout, at the time of school dropout, and after school dropout.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ange in social recognition that sees possibility of adolescents outside school positively who challenge themselves to find their dream outside school after giving up their studies is required. Secondly, academic interruption of adolescents is surrounded by negative events as school, family, and family problems, and academic interruption worked as one of the outcome for solving a problem in accumulated conflicts instead of deciding to give up their studies temporarily. Therefore, construction and support of cooperation systems of local community and related organization are needed. Thirdly, school dropout adolescents need the provision of customized services according to various demands, not standardized academic sup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empirical data for counseling and educating adolescents outside school, and moreover, they will provide implications of the role of parents, teachers, and counselors of adolescents outside school and work as a basic data that suggests direction for community intervention in the future.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중단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해 학업 중단을 통해 겪는 경험과 인식, 나아가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지원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에 내방한 청소년 10명을 면접하고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처음 학업중단을 고민한 시기, 생각한 이유, 이전 경험, 당시 계획, 받고 싶은 도움, 이후 생활 및 필요한 것 등 21개의 영역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21개의 영역을 학업중단 이전, 학업중단 당시, 학업중단 이후의 경험으로 분류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중단 후 학교 밖에서 자신의 꿈을 찾아 도전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에 대해 긍정적이고 가능성을 바라봐주는 사회적 인식의 전환이 요구된다. 둘째, 청소년의 학업중단은 학교, 가정, 친구문제 등 부정적인 사건들이 혼재되어 있으며, 일시적으로 학업중단을 결정하기 보다는 누적되어 온 갈등 속에서 학업중단이 문제해결을 위한 하나의 결과물로 작용하였다. 이에 지역사회와 관련기관의 협조체제 구축 및 지원이 요구된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에게 일괄적인 학업지원이 아닌, 다양한 요구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는 학교 밖 청소년을 상담하고 교육하는 데 경험적 자료를 제시하고, 나아가 학교 밖 청소년을 둘러싼 부모, 교사, 상담자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과 지역사회의 향후 개입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청소년의 학업성적이 흡연경험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광현,맹성준 한국중독재활복지학회 2017 중독과 복지 Vol.1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성적이 흡연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더 나아가 청소년의 학업성적이 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흡연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교육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제 12차(2016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에 참여한 중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까지 총 65,212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Baron & Kenny(1986)의 전통적인 매개효과분석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추가로 매개효과의 유의미성을 검증하기위해 Sobel Test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의 학업성적이 낮을수록 흡연경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의 학업성적이 낮을수록 스트레스는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스트레스는 다시 흡연경험을 높게 하는 것으로 나타나 스트레스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청소년의 학업성적, 스트레스, 흡연경험이라는 변수를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했다는 점과, 특히 샘플사이즈가 큰 자료를 활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학업성적과 스트레스, 흡연에 대한 동시적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청소년의 흡연을 예방하고 감소시킬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academic performance influences smoking experience during adolescence, and by extension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It utilized the 12th annual (2016) online survey on adolescents’ health behaviour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hich analyzed a total of 65,212 adolescents from middle school freshmen to high school seniors. As analysis methods, traditional parameter-effects analysis method by Baron&Kenny (1986) was employed and additionally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mediator. The result of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lower academic performance an adolescent gets, the more susceptible to smoking experience. In addition, in that a lower academic performance caused a higher level of stress and this stress level affects a smoking experience, the stress functioned as a part paramet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unlike prior studies, it used academic performance, stress, and smoking experience during adolescence as variable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nd especially it utilized the material with large sample sizes. Based on this result, it emphasized the necessity of simultaneous approaches to school performance, stress, and smoking experience during adolescence and political and practical measures to prevent and reduce adolescents’ smoking experiences in the future.

      • KCI등재

        학업중단 경험이 있는 청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의 병렬다중매개효과 검증

        김경민(Kim, Kyungmin),최정원(Choi, Jungwon) 한국인간발달학회 2021 人間發達硏究 Vol.28 No.3

        본 연구는 학업중단 경험이 있는 청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이 매개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학업중단청소년패널조사 5차년도 데이터 중 학업중단 경험이 있는 청년 318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낙인감,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우울 및 삶의 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PROCESS macro의 Model 4를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중단 경험이 있는 청년의 사회적 낙인감 수준이 낮을수록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및 우울 수준이 높으며 삶의 만족도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은 낮으며 삶의 만족도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중단 경험이 있는 청년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은 사회적 낙인감과 우울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중단 경험이 있는 청년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은 사회적 낙인감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으며, 그 중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사회적 낙인감으로 인해 우울을 경험하고 삶의 만족 수준이 낮은 학업중단 경험이 있는 청년에게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을 증진시켜준다면 우울감 감소와 삶의 만족도 향상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in the links from social stigma 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school dropout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5th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 Youth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Social stigma, self-esteem, self-resilience,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scales were used for 318 school dropou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Model 4 of PROCESS macro.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ss social stigma was related to higher self-esteem, self-resilience, and depression but lower life satisfaction. Also, higher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was related to lower depression but higher life satisfaction. Second,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depression. Third,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 magnitude of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was larger.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tasks are discussed.

      • KCI등재

        학업중단청소년 중 비행과 일반청소년의 개인사회적요인과 중단후 경험에 대한 연구

        김선아(Sunah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0

        본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 중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들의 주요 개인, 사회요인들을 비교하고 학업중단후의 경험에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자료는 전국 209명의 남녀학업중단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이다. 분석결과, 개인요인은 성별, 연령, 지적장애, 노동여부, 친부모동거와 거주지역이 유의미한 차가 있었다. 사회요인에서는 소속기관, 복학경험, 검정고시합격이 유의미했다. 학업중단후의 경험에는 각 경로, 학업중단 시점, 학업중단 자기평가가 유의미한 차가 있었는데 비행집단이 더 후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집단의 직업교육욕구와 비행집단의 복학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중단비행집단과 일반중단집단에는 개인사회적 요인과 학업중단후의 경험에의 차이에 근거하여 대상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교육개입과 정책을 제공해야할 것이다. 연구의 제한점과 학업중단청소년 중 비행과 일방청소년에 대한 개입방안과 대응에 대한 시사점도 논의되었다.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delinquent school- dropout adolescents and general dropouts’ differences in individual, social factors and experiences after school dropout.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nationwide survey(N= 209) from dropout adolescents. Findings reveal that gender, age, disabilities, work experience parent cohabitation, and residential area were significant in the individual factor. Dropout time, social agency, school return experience, and GED exam pass were significant in the social factors. Groups showed differences in experiences after dropout, and self evaluation while the general group had needs for vocational education. Dropouts wanted to go back to school. Implications such as focusing on differences of each group and developing various education system and policies are needed.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학업중단 경험연구- H청소년대안센터 학업중단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은자,송정아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5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periences and the meaning of life before and after the school dropout of adolescents by utilizing a phenomenological analysis approach. This study investigated in depth the experiences of school dropout adolescents before and right after the dropout and its meaning to their life. A total of 8 school dropout adolescents participate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by Colaizzi’s phenomenological analysis approach. 123 compositional meanings, 40 themes and 17 theme clusters were derived. This study showed that participates were atrophied until school dropout because of sense of loss, alienation and low self-esteem results from violent, dissolved and neglected family environment with a lack of empathy. Hostility toward control and distorted aggressions were also shown among participants. Such personal narcissistic trauma of participants led to school maladjustment and relationship problems with teachers and with peers. Deviations and criminal behaviors usually followed and inevitably dropout happened. Harsh experiences after dropout forced worse delinquent behaviors or even suicidal attempts with helplessness or worthlessness. However, they experienced empathic reflection through connection with the support group, and showed changes in self-awareness, motivation for re-entering into the future, and willingness to change as a wounded healer.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discussion and suggestion for further study.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학업중단 전후의 삶의 경험과 그 의미를 탐구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중단 청소년들이 학업중단에 이르기까지의 경험과 학업중단 직후의 경험, 그리고 학업중단이 삶에 주는 의미에 대해 심층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대안센터에 출석 중인 청소년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한 후 수집된 자료를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123개의 구성의미, 40개의 주제와 17개의 주제군이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학업중단 청소년들은 학업중단에 이르기까지 공감이 결핍된 폭력, 해체, 방임 가정환경으로 인한 상실감, 소외감, 낮은 자존감으로 인해 위축을 나타냈고, 통제에 대한 적개심과 왜곡된 공격성을 폭력으로 표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참여자들의 이러한 자기애적 외상은 학교생활 부적응과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 문제를 유발하고, 일탈과 범죄행동으로 이어짐으로써 결국 학업중단에 이르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중단 직후 참여자들은 무기력감이나 무가치감으로 자살을 시도하거나 비행행동이 심화되는 등 더 악화된 삶을 경험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지지그룹과 연결을 통해 공감적 반영을 경험하면서 자기인식의 변화와 미래를 향한 재도전의 동기유발 및 상처 입은 치유자로서의 변화 의지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해서 논의와 후속 연구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학대경험에 대한 인식이 학업성취감에 미치는 영향

        서인균(Seo, In Kyun),이연실(Lee, Yon Sil)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6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4 No.3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학대경험에 대한 인식이 학업성취감에 미치는 영향과 스트레스를 매개하여 학업성취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의 대상은 충남 및 대전에 소재한 중 · 고등학교를 다니는 청소년 1,402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대경험에 대한 인식은 학업성취감에 부적(-)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대경험에 대한 인식은 스트레스에 정적(+)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트레스는 학업성취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대경험에 대한 인식은 스트레스를 매개로 학업성취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대경험에 대한 인식은 직접적으로 학업성취감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스트레스에도 부적인 영향을 미쳐 학업성취감을 낮아지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트레스는 학대경험에 대한 인식과 학업성취감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을 위한 학대예방 및 정신건강 증진과 학업성취감 증진을 위한 실천적 개입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Attempts are made in this article to find if abuse experience of adolescents may impact their academic achievements and mediate their stress. For this purpose, 1,402 adolescents enrolled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s in Chungnam Province and Daejeon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the data collected from them were put to analysis of structural model.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buse experience exercises direct, negative (-) impact upon academic achievements; second, abuse experience exercises direct, positive (+) impact upon stress; third, stress has negative (-) influence upon academic achievements; and fourth, abuse experience acts as mediator for stress by thus the academic achievements. In short, it may be said that abuse experience can not only exercise direct impact upon academic achievements but also exercise negative (-) influence upon stress, intensifying as a consequence academic achievements. Is has therefore become evident that stress exerts partial mediating effects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e experience and academic achievemen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from the study, it was discussed how to intervene in prevention of abuse of adolescents and help them academic achievements prac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