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 부진 학생의 학습 주체 형성을 위한 교수 방안 탐색

        김도남(Kim, Do 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3

        학생의 학습 부진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발생한다. 학습 부진 학생이 학습 부진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원인이 되는 문제를 해결해 주어야 한다. 학생들의 학습 부진의 원인 중 한 가지는 학생이 학습 주체를 형성하지 못해서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심리적 도움이 필요하다. 학습 주체 형성의 측면에서 볼 때, 학습 부진은 학생의 학습 심리와 교사의 교수 심리 문제에서 비롯된다. 학생의 학습 심리 문제의 요소로는 인지적 학습의 결여, 학습 만족감 부족, 주도적 학습 부족, 인지 내용 교환의 자신감 부족, 학습 욕망의 작용 부족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교사의 교수 심리 문제로는 학생의 학습에 대한 낮은 기대, 동일시 상대 역할 부재, 타자의 역할 부재, 주체적 관계 확립 소홀, 제3자의 거리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학습 주체 형의 관점에서 학생의 학습 부진은 학생의 학습 심리와 교사의 교수 심리가 상보적으로 작용하지 않아서 발생한다. 라캉의 욕망 이론 관점에서 학생의 학습 부진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학생에게 학습 주체를 형성해 주어야 한다. 라캉의 논의를 참조할 때 학습 주체를 형성하려면 교사는 학생에게 학습 만족감을 갖게 만든 후, 학습 만족감에 결여가 생기게 하여 학습 욕망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학생이 학습 욕망을 갖게 되면 학습 만족감을 회복하기 위하여 주체적으로 학습함으로써 학습 부진에서 벗어날 수 있다. 교사가 학습 부진 학생이 학습 주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습 주체 형성을 돕는 역할과 학습 주체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해야 한다. 학생의 학습 주체 형성을 돕는 활동으로는 ‘학습 만족감 갖게 하기, 학습 만족감 결여 만들기, 학습 만족감 회복 방법 찾게 하기, 학습 만족감 회복 돕기’ 등이 있다. 그리고 학생의 학습 주체 강화 활동으로는 ‘학습 활동 점검하기와 더 큰 만족감 갖게 하기’가 있다. 학습 부진 학생이 교사의 도움으로 학습 주체를 형성하게 되면 학습 욕망에 의한 학습 주체가 주도적 학습을 함으로써 학습 부진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 방법을 구체화기 위해서는 실제 부진 학생 지도에 적용하여 결과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instruction method on becoming the learner s subject for low achiever student. For this aims, I investigated the problems of learning-teaching in low achiever student instruction on the basis of Lacan s desire theory. And I explained the process of becoming the learner s subject, which consist of experience to acquisition and to deficiency of learning satisfaction that occurring as a necessary consequence of interaction of student and teacher. And then I suggested to instruction method of the becoming the learner s subject for the teacher whom teaches the low achiever students. If teacher use this method then help the low achiever student for becoming the learner s subject. So, The low achiever student is able to self-directed learning, and may overcome of the learning ability deficiency.

      • 學習不進의 要因에 對한 考察

        李泰駿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1978 公州敎大論叢 Vol.14 No.2

        學習不進兒에 對한 指導對策이 그 어느때 보다도 切實히 要請되고 있는 오늘날,不進兒를 위한 좀 더 改 善될 指導方案을 摸索하기 위해서 지금까지 學者들에 의해서 밝혀진 學彗不進의 要因을 分析的으로 究明해 본 것이다. 그 內容을 간단히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本 硏究에서는 學習不進兒에 對한 槪念을 學習成就의 可能性의 立場에서 보았고 4라서 知能이 劣等하여 생기는 絕對的인 不進兒와 區別하여 知能은 正常水準인데도 어떤 要因으로 能力만큼의 學習아 成就되지 못- 하고 있는 兒童으로 보고 있다. 學習不進兒를 判定하는 基準이나 方法은 多樣하다. 一般的으로 使用되고 있는 네가지 方法을 提示하여 보 았으나 各各 長短이 있고 그 信賴性이나 妥當性에 問題가 많다. 따라서 觀察이나 指導要錄의 分析 自己報吿- 等을 곁들여 _合的으로 判定하는 것이 合當하다고 본다. 學習不進의 發生要因으로 ① 知能의 構造的 要因,® 性格的 • 情緖的 缺陷 ③ 基礎的 學力의 缺如, ④ 學 習方法的 要因, ⑤ 環境的 障碍等 다섯가지,分野에 걸쳐,主로 先行된 硏究資料에서 찾아 보았다. 첫째로, 知能의 構造的 要因面에서 學習不進兒의 知能構造가 學習成就兒와 相反되는 現象을 보여 준다. 그들은 思考因子가 記憶因子보다 劣勢하고 言語因子는 非言語因子보다 劣等하다는 것이 實證的으로 밝혀지” 고 있다. 따라서 知能構造 要因中, 思考및 言語因子의 相對的인 劣性이 學習不進의 要因이 될 수 있다는 것 을 알수 있다. 둘째로. 學習者의 어떤 性格的, '情緖的 缺陷이 學習不進에 關與하고 있다는 證據가 硏究를 通해서 밝혀자 고 있다. 特히 그 中에서 情緖的 不安定과 不適應 狀態이다. 一般的으로는 不安傾向,劣等感,注意散慢,意 志薄弱等의 消極的인 性格이 學習不進과 關係가 된다는 것이 指摘되고 있다. 그러나 어떤 性格과 學習不進- 과의 相關的인 硏究로 學習下進의 因果的인 解釋을 할수 있느냐의 問題點이 있다. 셋째로, 基礎的 學力의 缺如로 因하여 생기는 學習不進이,다. 特히 系統性, 組織性을 重視하는 敎科에서 이러한 現象은 더 많이 나타난다. 基礎的 學力의 缺如는 學年이 올라 갈수록 加重되어 學習不進의 程度는- 더욱 甚하여 간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可及的 早期에 缺如된 基礎學力을 찾아‘ 補充指導에 힘써야: 할 必要가 있다. 네째로,學習法의 良否는 直接 學習能率에 影響을 주어 學習不進의 原因이 된다. 學習法이 란 學習의 技術' 的인 方法과 學習의 習慣 • 態度를 包含하는 말로써 이 學習法과 學力은 相關이 있다는 事實이 여 러 實證的' 인 硏究에서 밝혀지고 있다. 學習不進兒들은 學習하는 態度와 習慣이 몸에 배어있지 못하고 未熟하다. 또한 學習하는 要領이나 方法이 서투러서 無用한 時間과 努力만을 浪費한다. 따라서 効果的인 學習法의 體得으로- 學習不進을 免할 수 있다. , 다섯째로,兒童의 學習活動은 家庭이나 學校의 環境的條件에 크게 影響을 받는다'. 學習不進의 要因이 되 는 環境的 障碍로서 家庭의 社會 經濟的地位와 父母의 敎育水準이 낮다는 것을 指摘하고 있다. 그러나 더 重 要한 것은 環境의 心理的 條件으로 兒童의 學校나 家庭에 對한 態度나 認知傾向임을 强調하고 있타. 따라서、 父母나 敎師 또는 兄弟,級友들에 對한 否定的 感情이 學習不進의 要因이 된다고 보고 있다. 1. This study purposes to find out the causes for the underachievement of primary- school children on the basis of practical data in order to Work out an improved met- hod of instruction for underachieving children. 2. The concept of underachieving children was defined as the children whose achieve- ments are below normal though their I.Q.s are normal. 3. The causes for the underachievement of primary school children found out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 relative inferiority of the thinking and verbal factors for intelligence is a cause for the underachievement; 2) Emotional instability, inferiority feeling, neurotic tendency, weak will, and lack of self-control are causes for the underachievement; 3) A defect in the preceding studies is a cause for the underachievement,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subjects which accentuate the sequential organization of contents, and aggravates the problem of underachievement as children go up in grade: 4) Wrong habit and attitude in study and poor method of study are important causes for the underachievement; 5) Defects in home environments are important causes for the underachievement-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low socio-economic class, and children's wrong attit- ude toward, and conception of their homes are important causes for the underachi- evement.

      • KCI등재

        학습부진학생 지원 체제에 대한 경기 지역 초등교사들의 의견

        이대식,임건순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pinions on an appropriate support system for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questions on how to support low achieving students, how to assign and train designated supporting teachers, and opinions on the proposed law for guaranteeing minimum academic achievement were sent to 789 Gyeonggi provin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ings. First, teachers preferred to designating and assigning supporting teachers to each school to help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during regular class, after school, and on a weekend. Second, as candidates for designated supporting teachers, in-service teachers were preferred to other personals. However, the teachers themselves did not want that position because of the amount and severity of workload. Third, the teachers hopped at least one designated support teacher per school. Fourth, the teachers wanted a training method composed of providing lectures, applying what they were taught, and receiving feedbacks on what the have done during the previous week. Fifth, the teachers preferred to changing the current term of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with students who need academic learning supports. They also wanted to change the selection criterion of low achievement. Sixth, many teachers opposed to the proposed law for guaranteeing minimum academic achievement because of the possible increasement of workload. In addition, majority of the participated teachers agreed to excluding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from the target group of the proposed law. Based on these results, some suggestions were provided.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학습부진학생들을 어떻게 지원하는 것이 가장 적절할지에 관해 경기도 지역 초등교사들의 의견을 수집하여 분석하고 이에 기반하여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학교 현장에 적합한 학습부진 지원 방안, 학습부진 지원 담당 교사 배치 방안, 학습부진 관련 용어, 기초학력보장제도 도입의 적절성 등에 대해 경기도 지역 초등교사 789명의 의견을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학습부진 지원 형태로는 방과 후, 주말, 혹은 정규 수업 이외의 시간에 학부모 동의를 받아 보조교사 혹은 학습부진 지원 전담교사가 보충 지도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였다. 둘째, 학습부진 지원 전담교사로는 현직 교사 배치를 가장 선호하였지만 정작 전담교사를 지원하려는 의사는 업무의 양과 강도를 이유로 높지 않다. 셋째, 적정 전담교사 수는 학습부진학생 수를 고려하여 결정해야 하지만, 학년당 1명을 많이 선호하였다. 넷째, 학습부진 지도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로는 집합 연수 후 현장 적용과 그에 대한 피드백을 묶은 형태를 가장 선호하였고, 희망 연수 영역으로는 학습자의 정서.행동 특성 이해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다. 다섯째, 학습부진 용어로는 학습지원 대상자를 가장 선호하였고, 학습부진 선별 기준으로는 각 학년별로 정한 읽기, 쓰기, 셈하기 최소 기준이 가장 많이 선호되었다. 여섯째, 기초학력 보장 제도에 대해서는 충분한 지원을 조건으로 찬성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지만, 그냥 찬성한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20% 정도로 낮은 편이었다. 또한, 기초학력 보장제도 대상자에서 학습장애학생은 제외해야 한다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학교 현장에서 학습부진 학생 지도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영어 학습부진 학생 현황과 부진학생 지도를 위한 교사 준비도 및 요구 조사 : 대구·경북 지역 초·중학교를 대상으로

        김신혜(Kim, Shinhye),구경연(Ku, Keong Y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9

        초·중등 교육과정에서 영어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됨에도 불구하고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영어 학습부진 학생들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최근 온라인 수업이 진행되면서 영어 학습부진 학생들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의 일반 학습부진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된 반면 영어 교과 학습부진에 대한 정의, 진단 기준, 지도방안은 제시되지 않고 있기에 영어 학습부진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가 부족한 상황이다. 영어 학습부진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영어 학습부진에 대한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사의 인식, 영어 학습부진 학생 지도에 대한 교사 준비도와 교사 요구조사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대구·경북 지역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근무 중인 여덟 명의 영어 교사와 인터뷰를 실시하고, 178명의 영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영어에 대한 관심 부족이 영어 학습부진 학생들의 가장 큰 특징이었으며 영어 학습 동기 부여와 영어 학습부진에 대한 진단 및 학습 성취에 대한 평가 방법이 영어 학습부진 연수에 필요한 내용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는 또한 영어 학습부진 학생 지도를 위해서는 교사들이 영어 학습부진의 개념을 이해하고,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역량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어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정책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Despite th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English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the number of English underachievers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has increased. Considering the scarcity of research on English-specific underachievement,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English teachers notion of English-specific underachievement, their preparedness and needs in teaching underachieving student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English teachers and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78 English teachers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in Daegu and Geongbuk reg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s tended to identify English underachievers through their personal observation rather than standardized diagnostic tests. They perceived that the lack of interests in English was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 of English underachievers and that how to motivate English underachievers, diagnose, and measure their achievement should be an important element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The results suggested that a clearer understanding of English-specific underachievement and reconstructing the curriculum to meet individual students levels and needs should be more emphasized to help teachers deal with English underachievers.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research and institutional guidelines for English underachievers.

      • KCI등재

        초등사회과 학습부진아들의 사회과에 대한 인식전환의 유형적 특성 -5학년 1학기 공간영역을 사례로-

        이동민 ( Dong Min Le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0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사회과 교과학습부진아들의 사회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긍정적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심층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는 초등사회과 5학년 1학기 공간영역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해당 학년에서 사회과 학습부진아들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질적연구의 한 방법인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학습부진 관련 요인과 과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학습부진아들은 자료해석 및 조작, 공간구조 분석과 같이 사회과 공간학습을 하는데 요구되는 학습기능에 익숙치 못했으며, 단순암기와 같은 효과적이지 못한 학습방법에 의존하고 있었다. 둘째, 자료조작, 공간분석 등의 활동은 사회과 공간학습에 대한 인식 전환에 있어 결정적인 계기로 작용하였다. 부진아들은 자료조작을 통해 공간을 구조적으로 인식하고 접근할 수 있게 되었고, 공간구조의 분석에 토대한 효과적인 공간학습 방법에 눈뜨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가 지속되면서 그들은 점차적으로 학습부진을 극복해 나갈 수 있었다. 셋째, 사회과 학습에 대한 인식전환의 정도에는 개인차가 존재하였으며, 학습부진에 대한 문제의식이나 개선의지와 같은 맥락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사회과 학습부진은 사회과 교과 및 영역에 적합한 학습방법에 대한 이해 부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부진아들이 사회과적인 학습방법을 체득하고 실천하게 되면서 교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긍정적으로 전환하게 되었다. 따라서 사회과 학습부진아 지도에 있어서는 부진아들이 효과적인 사회과적인 학습방법을 바르게 이해하고 형성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theoretical frame that explains the process of perception change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underachiever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which is a methodology of qualitative research, and focused on geography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social studies underachivers were not expert in manipulating educational materials. Instead, they tended to study by means of meaningless memorizing. Such ineffective learning made them underachievers. Secondly, contextual and skillful manipula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was the deciding factor of the perception change. As assimilating such ability continually, they gradually overcame their problem of underachievement. Thirdly, the degree of strength of the will to overcome underachiement was different from one another. And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perception change on social studies. In conclusion, it is judged that social studies underachievement results from lack of understanding effective learning methods. And assimilating powerful methods to learn social studies are the key to underachievers` perception change. For these reasons, a teacher must regard that making them apprehend effective social studies learning methods is the key to teaching underachievers successfully.

      • KCI등재후보

        수행평가를 통한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수준 평가 전략 탐구

        김수동(Kim, Soo Dong)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09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3 No.2

        우리나라 초·중등학교의 학습부진아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선발, 진단 및 배치와 지도, 그리고 지도 후 학업성취수준에 대한 평가로 구성된다. 그러나 학습부진아 판별검사, 진단 및 배치검사와 지도, 지도 후 검사 등의 평가가 대체로 결과 중심 평가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중심 평가는 학습부진아들의 인지구조나 정보처리과정 등을 파악하기 힘들어 학습의 과정에 대한 평가가 어렵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평가 전략으로 수행평가의 도입 가능성을 연구하게 되었다. 즉 이 연구는 학습부진아의 결과 중심 평가 방법을 과정 중심 평가 방법으로 개선할 수 있는 적절한 전략으로 수행평가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학습부진아 학업성취수준평가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둘째, 분석된 실태를 중심으로 학습부진아 학업성취수준 평가의 문제점을 정리하였다. 셋째, 수행평가가 가지는 특성을 학습부진아 학업성취수준 평가 전략 수립에 도입함으로써, 결과 중심 평가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하였다. 끝으로 학습부진아에 대한 개선된 학업성취수준 평가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문헌연구로 수행되었고 연구의 결과는 수행평가 방법을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수준 평가에 도입함으로써 단위 학교의 학습부진아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통한 학생의 발달 및 교수·학습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The problem of underachievers of elementary & secondary school who are short of minimal achievement level per subject or 3R’s become serious in educational field daily. Generally, evaluation for underachievers consists of selection, diagnosis, allocation, instruction, and after-instruction achievement level evaluation. When we think of underachievers’ evaluation which began actively from in nineteen nineties in Korea,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test instrument on selection, diagnosis, allocation and instruction are driven systematically. But evaluation which is related on the after-instruction achievement level of the underachievers are analyzed poor. Because probably the after-instruction achievement level evaluation of the underachievers is related to discrimination test partially. By the way, evaluation for underachievers includes many difficult problems in these days. These phenomena are seemed to be caused by the problem of the product centered evaluation method on underachievers mainly. Therefore, to improve this condition, we studied the possibility introduc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as an achievement level evaluation method of underachiever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followings: First, we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achievement level evaluation of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 secondary school. Second, we confirmed the problems of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 3R’s evaluation based on the analyzed actual condition. Third, we introduced performance assessmen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product centered evaluation method. Fourth, we present improved academic achievement level evaluation strategy on underachiev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o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in elementary & secondary school & the growth of underachievers by introducing performance assessment on the achievement level evaluation of underachievers.

      • KCI등재

        학습부진 학생에 대한 교육봉사활동 경험이 예비교원의 학습부진 학생 지도에 주는 의미

        이준,이윤옥 한국교원교육학회 201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are the difficulties and meanings that prospective teachers face during service learning activities for underachiever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22 preliminary professors who attended the H graduate school in Seoul and agreed to study.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pre-service teachers who taught low achieving secondary students. The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more than 60 hours of service learning activities individu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volunteer activities for underachievers have the following educational meanings - “efforts to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underachievers”, “initiation to the path of teachers”, “Instruction based on the disposition and situation of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and “the process of getting to know the lives of the students”.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grew in the beliefs and attitudes as teachers necessary for the guidance and understanding of underachiever students, and the practical skills and strategies necessary for them. Third, in teaching the underachievers, prospective teachers experienced "the slow pace of learning and the difficulty of interacting with teachers" and "the difficulty of carrying out teaching considering the instructional condition of the public school." 본 연구는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정규 교과목 중 하나인 교육봉사활동이 예비교원의 학습부진 학생 지도에 주는 교육적 의미는 무엇이고, 학습부진 학생에 대한 교육봉사활동 경험은 예비교원의 학습부진 학생지도 전문성 함양에는 어떠한 의미가 있으며, 교육봉사활동 시 겪게 되는 어려움은 무엇인지를 그들의 경험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서울 소재 H교육대학원에 교육봉사활동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예비교원 중 연구 취지에 동의한 22명이다. 연구자료는 예비교원들이 학습부진의 문제를 안고 있는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60시간 이상의 교육봉사활동에 참여하면서 작성한 봉사활동일지와 학습부진 학생 지도에 관한 성찰에세이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원들의 교육봉사활동 경험은 “학습부진 학생과의 관계 정립을 위한 노력”, “교사의 길로 입문하는 경험 ”, “학습부진 학생의 성향과 처한 상황을 고려한 안내”, “학습부진 학생의 생활을 마음으로 알아가는 과정”으로 학습부진 학생 지도의 교육적 의미를 가졌다. 둘째, 예비교원들은 학생지도에 필요한 전문성인 “학습부진 학생의 지도 및 이해에 필요한 교사로서의 신념과 태도가 정립”되었으며, “학습부진 학생 지도에 필요한 실제적 능력 및 전략” 관련 역량이 함양되었다. 셋째, 학습부진학생을 지도하는 과정에서 예비교원들은 “부진학생의 학습속도에 대한 이해 및 상호작용의 어려움”과 “학교현장에 대한 이해 및 실제성을 반영한 학습지도 수행의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 KCI등재

        중학교 단계에서의 학습부진 결정 요인 분석

        백병부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한국교육 Vol.37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underachievement in Korean middle schools with the data obtained from th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The fiv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s’ low level of education and poverty independently influence their children’s underachievement. In particular, poverty mediates the influences of ‘household income’ and ‘parentless family’ variables upon underachievement. Second, parental involvement has an influence on their children’s underachievement independently from the family’s SES variable. Parental involvement is also found to have an indirect impact on preventing children’s underachievement by increasing the hours for both self-study and private tutoring, as well as by developing subject-efficacy and the conception of the self as learner. Third, this study found out the ways in which study time influences students’ underachievement. The analysis shows that private tutoring hours prevent underachievement better than self-study time, but also that self-study time has a greater affect than private tutoring hours on subject-efficacy and the conception of the self as learner, both of which have independent influences on underachievement. Fourth, as alluded to earlier, subject-efficacy and the conception of the self as learner have an influence on underachievement. Furthermore, it is found that teacher instruction that stimulates students’ intellectual challenges and invites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learning activities can increase subject-efficacy and self-concept as learner, which will in turn prevent underachievement. Fifth, on the school level, schools’ average SES and degrees of pressure for learning achievemen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reventing underachievement. A school’s high SES is likely to lower the possibility of underachievement. These findings may present the policy implication that preventing underachievement requires diversifying student population, in particular based upon each school’s socio-economic background.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자료를 다층모형을 통해 분석하여 중학교 단계에서의 학습부진이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야기되는지를 구명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부모학력과 빈곤 여부가 학습부진 여부에 독립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특히 빈곤 여부는 학습부진에 대한 가구소득 및 결손가정 여부의 영향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의 학업적 지원은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 변수들과 독립적으로 학습부진 여부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지원은 자습 시간과 사교육 시간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교과목 효능감과 학업자아개념 등을 제고하는 데 영향을 끼침으로써 학습부진 여부에 간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학습시간이 학습부진 여부에 대해 끼치는 영향력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자습 시간보다는 사교육 시간이 학습부진이 될 개연성을 낮추는 데 더 큰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습부진 여부에 독립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교과목 효능감과 학업자아개념이 자습 시간보다는 사교육 시간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궁극적으로는 자습 시간도 사교육 시간 못지않게 학습부진을 예방하는 데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교과목 효능감이나 학업자아개념이 학습부진 여부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학생들에게 지적인 도전감을 자극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수업 활동을 제공하게 되면 해당 교과목에 대한 효능감과 학업자아개념이 높아지며, 이것이 결국은 학습부진의 예방으로 이어지게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학교 수준에서는 평균 SES와 성취압력이 학습부진 여부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이 중에서 평균 SES가 높은 학교에 재학 중일수록 학습부진에 해당할 개연성이 낮게 나타난다는 것은 소득 재분배 정책이나 재학생들의 인적 구성을 다양화하기 위한 노력 등과 같이 학교의 평균 SES를 제고하려는 노력이 병행되어야만 학습부진 예방 대책이 실효를 거둘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기초학습부진아 교육에 관한 사례연구

        안현정(Hyun-jung Ahn),홍창남(Chang-nam Hong)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12 지방교육경영 Vol.16 No.1

        본 연구는 기초학습부진아 교육의 운영 체제를 거시적인 관점에서 초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맞춤초등학교 기초학습부진아 교육의 참여자들의 면담을 중심으로 한 사례 연구를 통하여 기초학습부진아 지도를 지원하기 위한 기초학습부진아교육 운영 체제와 참여자들의 직무수행방식에 대하여 분석하여 보았다. 맞춤초등학교에서 기초학습부진아 교육은 교육과학기술부의 지도 지침이 반영된 교육청의 계획에 의거하여 방과후학교부서 아래에 ‘기초학력책임제’라는 이름으로 계획되어 운영되고 있었다. 한 해의 기초학습부진아 교육의 행정적 일정은 교육청 지침과 동일하였다.기초학습부진아교육에 관한 업무는 상부 교육청의 행정 일정에 따라 학습부진아 현황보고와 재평가 실시와 교육청에서 배부된 교재활용안내와 한 달 1회 지도 강사의 급여 지급등이다. 지도 강사들은 학습부진아들의 개인적 특성으로 인한 생활지도에 어려움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추후 수행될 연구를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기초학습부진아교육을 위한 운영체제를 실증적 관점에서 참여자들의 면담을 통하여 유형화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대상을 단위학교 참여자들 뿐만 아니라 상부기관인 교육청의 관계자들도 함께 면담을 실시한다면 현장의 학습부진아 해소를 위한 운영 체제를 개선하는 데 충분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리라 본다. 둘째, 학습부진격차 해소를 학교가 담당하여야 하는 교육의 본질적 목적을 찾고자 한다면 담임교사와 학습부진아 학부모와의 면담도 시도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solution in an educational operating system for slow-learners (called students who lack the basic academic abilities), in order to reduced the number of them in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slow-learning, the reasons why slow-learners exist, and the overview of current educational policy and its problems were examined, ultimately trying to provide the insight and self-examination about how to deal with slow-learners more effectively. Although many educational measures for slow-learners are taken on the national or education office level, they are not fully practiced or fundamentally applied to the very realistic class unit. Changes in approaches to them were analyzed on the basic of educational norms and validity, including the make-up of human resources, technical assistance, the recognition of slow-learners, communication channel, etc. The operating system changed superficially on the outside and conventional assistance without educational care can't address many current problems. As it is the case now, this study finds a way for the realistic and practical assistance for the benefit of slow-learners with no emphasis of administrative management and its ensuing merit system.

      • KCI등재

        과학 학습 부진아 지도로서의 중재반응모형(RTI)의 적용 효과

        주혜련,박종호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4

        This study attempted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Response to Intervention(RTI) as a teaching methodology for underachievers in science. The participants were fifth-grade students, and the intervention program involved the science textbook section 'The speed of an object'. In the first stage of the intervention, the subject matter was taught generally over a period of three weeks. The researcher conducted subgroup teaching using the direct method of teaching in the second stage of the intervention for eight weeks. This study consisted of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of the intervention involved selecting underachievers in science and determining their baseline(the bottom 15%), the second provided sixteen thirty-minute sessions, twice a week over eight weeks. In the first stage of the RTI program, the researcher selected eleven underachievers in a fifth-grade science class for an experimental group. In the second stage, interventions were provided to them based on the Direct Instruction(DI) method. During the interventions, three achievement tests and ten curriculum-based assessments were conducted. The major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ventions based on the DI approach had positive effects on the underachievers. The science underachievers showed a higher achievement level than the general students when a sincere attitude was indicated. Second, the RTI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some of the science underachievers; although three of the eleven participants in the second stage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Third, this study suggests that underachieving in mathematics and science is closely related; science underachievers in the second stage were all underachievers in mathematics, too. RTI has not been applied to mathematics classes; bu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TI in science classes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in the future; it could contribute to the relief and determination of science underachievers. 현대 과학교육은 ‘모든 이를 위한 과학’을 지향하고 있다. 과학적 인재를 양성하는데 주력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이에게 과학적 소양을 함양시킬 수 있는 과학교육에 집중하는 것이다. 초등교육은 더욱 그러하다. 이에 본 연구는 중재 반응(Response to Intervention, RTI)을 적용하여 과학 학습부진 아동을지도하여 구제하는 데 효과가 있는지 입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5학년 2학기 3단원 ‘물체의 속력’단원으로 중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중재 1단계에서는 3주에 걸쳐 과학 전담 교사가 일반 교수를 실시하였고, 중재 2단계는 8주간연구자가 직접 교수법을 활용한 소집단 교수를 실시하였다. 1단계에서 학업성취도 검사 2회, 교육과정 중심 평가는 4회를 실시하여 두 검사 점수의 합이 하위 15%를 나타내는 15명을 과학 학습부진 아동으로 선별하여 그중 본인의 동의를 얻은 11명을 2단계 연구를 실시하였고, 2단계에서는 총3회의 학업성취도 검사와 총 10회의 교육과정 중심 평가를 실시하여 중재 반응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2단계 중재로 과학 학습부진 아동으로 선별된 11명의 아동 중 8명이 일반 아동을 뛰어넘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따라서 과학 학습부진 아동이라 할지라도 중재 반응의 2단계소집단 교수에 성실히 임한 부진 아동은 일반 아동과 같은 학업성취도를 보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구제되지 못한 나머지 3명의 아동은 동일한 시간 동안 동일한 중재를 적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반응하지 않았으므로 과학 학습부진 아동이라고 판별할 수 있었다. 또한 2단계에서 반응을 보이지 않아 과학 학습부진 아동으로 판별된 아동이 모두 수학기초 학습 부진이었던 것으로 나타나 수학기초 학습 부진과 과학 학습 부진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제껏 수학에서만 다루어지던 틀을 깨고 앞으로는 과학에서도 중재 반응을 적용한 중재 프로그램을 통하여 과학 학습부진 아동의 구제와 판별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