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공주도형 청년층 경력개발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연구: Caffarella의 상호작용모형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노경란 ( Kyung Ran Roh ),변정현 ( Chong Hyun Pyun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0 HRD연구 Vol.12 No.1

        이 연구는 Caffarella의 상호작용모형을 공공 주도형 청년층 경력개발역량 강화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적용해 봄으로써 개발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도출하고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전국적 단위 공적 고용서비스 일환으로 제공될 청년층 경력개발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 상호작용모형을 적용해 본 결과 첫째, 상호작용모형의 비선형적 성격이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국가의 정책적 결정 변화에 따라 예기치 않게 발생할 수 있는 상황 및 요구 변화에 대응하는데 적합함이 드러났다. 둘째, ‘지원기반구축’이라는 개발 요소가 정책수립기관과 정책실행기관 간의 파트너십을 공고히 하여 교육프로그램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사전 여건 조성에 기여하였다. 셋째, 상호작용모형의 구성 요소 중 ‘결과 자문 청취 및 의사결정’은 공적 책무성이 요구되는 공공부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필수적인 요소로 나타났다. 한편 첫째, 프로그램 실행 후 사후관리의 요소가 누락되어 평가 결과를 반영하거나 프로그램 실행 상에서 도출된 새로운 요구를 흡수할 여지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둘째, ‘상황파악’의 요소가 포괄적으로 접근하도록 되어 있어 다양한 지역 환경에서 운영될 표준 프로그램 개발에 한계가 있음이 드러났다. 셋째, 상호작용모형이 획득된 다양한 요구를 어떻게 조정할 것인가에 대한 기술적 적용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① 급변하는 정책 환경에 공공부문 교육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행 평가 결과의 환류 및 사후관리를 위한 요소의 추가, ② 상황파악 요소의 실행에서 포괄적인 수행보다는 범위와 대상 수준에 따른 상황파악 체계의 단계화, ③ 많은 양의 요구 선택 의사결정을 위한 요구 우선순위 채택 방법의 구체화, ④ 공공부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모형의 적용 시도 노력의 필요성 및 민간부문으로의 확대 등을 후속 과제로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which were found as Caffarella`s Interactive Model was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the government driven education program. From conducting this research, first of all, it is shown that non-linear attribute of Interactive Model is very responsive to unexpected needs and changes in view of the political circumstances. Second, one of development components, ``Building a solid base of support`` contributes to building partnerships between policy decision-makers and policy implement side. Third, another component of this model, ``Making recommendations and communicating results`` is essential in terms of public responsibility. On the other hand, some limitations of this model were viewed as follows: First, this model neglects ``Maintaining programs continuously after completion and implementation``, although it is necessary in developing government driven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accept new political needs. Second, ``Discerning the context``, one of components, should be modified friendly to understand community based needs. Finally, it is hard to make a decision when program developer has to prioritize a lot of needs or deal with controversial interest.

      • KCI등재후보

        프로그램 개발의 창의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인해,공계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03 사회복지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된 일련의 특성들을 살펴 보고 일련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기관의 개발실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연구내용으로는 첫째, 프로그램의 개발여부, 개발횟수, 프로그램 개발의 창의성 유형, 기존 프로그램의 수정내용과 정도 등을 중심으로 기술통계분석을 통하여 개발실태를 파악하였다. 둘째, 개발의 실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응답자 개인 및 기관의 인구학적 변수, 개인의 특성 및 개발관련 교육변수, 그리고 기관의 업무특성과 프로그램 개발과정관련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판별분석 및 회귀분석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방법으로는 전국의 335개 종합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응답자는 청소년복지률 담당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로 하였다. 회수율은 57%이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로는 사회복지관에서 프로그램의 개발활동은 비교적 활발하여 전체기관의 72.5%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고, 기존 프로그램을 일부 수정하는 형태가 가장 많은 55%이며, 창의적인 개발이 42%, 기존 프로그램을 그대로 채택하는 경우는 3%이다. 프로그램 개발은 주로 20대의 3년 이하 근무기간을 가진 사회복지사들에 의해서 1개월 미만의 짧은 기간에 이루어지고 있다. 프로그램의 개발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발담당자의 근무기간, 개발관련 지식, 전문성에 대한 정체감, 학력이었으며, 개발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개발 동기, 개발관련 교육에 관한 자신감, 개발지식이다. 창의적인 개발과 수정한 개발형태를 결정짓는 데는 오직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사람의 수만이 영향을 미쳤다. 기존 프로그램을 수정한 경우에 수정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관내 프로그램관련 의사결정 참여정도, 개발관련 교육정도, 개발지식,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이다. 본 연구의 결과들이 사회복지실천 및 학술적인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논의되었다. 기존문헌과 비교하여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는 면도 있으나 상반된 결과도 나타났다. 실천적인 측면에서 개발담당자를 배치할 때 고려할 점,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공식적인 교육의 증대 및 교육할 때 고려할 점 등이 제시되었다. It has been ignored of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in program development process although recent social work studies has emphasized the possibility of creativity to social work practice. The researchers think that the complicated phenomena in the program development has been caused from lack of understanding the creativity in the program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how the creativity was embedded into program development in the social welfare centers in Korea. A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with three parts, including 16 major variables, 201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335 agencies during two months. As the result of the descriptive analyses, the four noticeable features were found; (1) the activity of program development are shown as creativity and adaptation; (2) the pattern of ‘borrowing’ in the program development was rarely observed in the field; (3) the staff in his/her twenties are in charge of program development; (4)the respondents get knowledge from individual studies rather than from academic institutes. Discriminant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s were applied to analyze the sequential feature of program development in the social welfare centers. The results of the discriminant analysis show that four variables have influence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gencies experiencing the program development and the agencies not experiencing the program development, and only one variable has influence on the difference between ‘creating’ and ‘borrowing’ in the program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show that three variables influence the number of program development experience, and four variables make influence on the degree of modifying the program design in the process of program development. Major findings were discussed and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research and improvement of the program development in social welfare centers.

      • KCI등재후보

        대학교수의 교수개발 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 검증 연구

        손충기 한국교원교육학회 200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수들의 수업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개발(teaching improvement)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했을 때 어떤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해 봄으로써 교수들의 수업운영 능력 개발의 가능성을 탐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수이론가들의 견해와 선행연구들을 종합 검토하고, 효과적인 수업행동 요소 추출과정을 거쳐 교수개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8개 주제(요소)는 (1) 수업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 (2) 수업준비 (3) 수업과정의 명료성 (4) 수업내용의 구조화 (5) 과제지향성 (6) 수업참여 유도와 동기유발 (7) 열의와 역동성 (8) 적극적인 교수-학생 상호작용 등이다.이 프로그램을 대학 교수 13명을 대상으로 4개월 간 격주로 실시한 후, 프로그램 참여교수(N=13)와 비참여교수(N=16) 간 프로그램 실시 전후 강의평가 결과 비교, 수업계획서 내용분석, 교수의 수업운영 방법 및 교수 자신과 학생들의 강의평가 결과 등을 분석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프로그램 참여교수와 비참여교수 집단 내에서 개인차가 일관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며 호오손 효과가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어 교수개발 프로그램의 효과인지, 교수의 특성에 의한 차이인지는 향후 더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교수개발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교수들의 인식 및 요구조사 : S대학교를 중심으로

        민혜리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원들의 실정에 맞는 교수개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대학교 교수 190명을 대상으로 교수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요구, 교수개발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의견, 교수개발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교수들은 교수개발 프로그램의 필요성에는 다소간 동의했으나, 실제 프로그램에 참여한 비율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들은 학생과의 상호작용 및 학생참여를 증진시키는 교수방법 및 학문·학과 특성을 반영한 교수개발 프로그램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개발 프로그램에 잘 참여하지 않는 이유로 프로그램 시간이 개인 일정과 맞지 않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많았고, 프로그램 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교육프로그램의 다양화 및 질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수업개선을 위해서 대학 차원에서는 강의개발을 위한 TA를 지원해 달라는 응답이 많았고, 센터 차원에서는 동료교수들과의 아이디어를 교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달라는 응답이 많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교원의 강의영역이나 재직연수에 따라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을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교수학습센터가 비교적 일정 조정이 용이한 개인이나 소규모 인원 대상의 교육개발 프로그램을 시행할 필요가 있으며, 강의영역이나 재직연수와 같은 교원 특성을 고려하여 교수개발 프로그램 및 관련 제반 여건을 계획할 필요가 있으며, 교수들 간 교수법 학습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데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 직업능력개발센터 재활프로그램 운영방안

        이국주,박자경,장우종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7 연구개발 Vol.- No.20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직업능력개발을 통해 노동시장에서 요구하는 기술과 경쟁력을 갖추는 것은 장애인의 취업을 위한 가장 근본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장애인의 경우 장애정도, 학습능력 등이 매우 다양하여 기존의 기능훈련 중심의 획일화된 방식으로는 직업능력개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으며, 여러 부분의 서비스들이 다양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공단 직업능력개발센터는 장애인, 특히 중증장애인의 취업을 위해서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기존 기능훈련 중심의 '직업전문학교'에서 '직업능력개발센터'로의 개편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하여 지역협력기반을 조성하고 공공·민간 직업훈련기관 간 상호 서비스 연계를 강화하는 한편 직업탐색, 신체능력향상 등 중증장애인의 직업능력개발을 지원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공단 센터에서 실시되고 있는 재활프로그램은 그 종류와 내용이 매우 제한적이며 운영 방식 역시 효과적이지 못해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공단 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재활프로그램의 운영현황을 살펴보고, 수요자인 훈련생과 교직원의 재활프로그램에 대한 욕구조사, 심층면접을 토대로 센터 재활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II. 연구문제 및 범위 본 연구는 공단 직업능력개발센터에서 운영되는 재활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센터에서 운영 중인 재활프로그램에 대한 수요자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둘째, 직업능력개발과 취업을 위해 필요한 재활프로그램은 무엇이며 어떤 내용, 어떤 형태로 운영되어야 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였다. 현재 공단 센터에서는 직업능력개발훈련을 받고 있는 내부대상자와 훈련을 받고 있지 않는 외부대상자에게 모두 재활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재활프로그램은 센터에서 훈련을 받고 있는 내부대상자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으로 그 범위를 한정하였다. 이는 센터가 센터에서 훈련을 받고 있는 내부대상자 뿐 아니라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장애인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는 하지만 훈련을 받고 있는 장애인들의 직업능력개발과 취업에 필요한 재활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보다 시급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III. 연구방법 본 연구는 효과적인 재활프로그램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센터 재활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센터 훈련생 및 교직원을 대상으로 욕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재활프로그램 운영자를 중심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센터 훈련생 및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 및 욕구 조사는 5개 센터훈련생 867명, 교직원 13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자가 개발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재활프로그램 운영자 면접은 5개 센터 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만족도 및 욕구 분석을 위하여 기술통계치를 산출하였고 질적조사는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IV. 연구결과 재활프로그램 욕구 조사와 포커스그룹 면접 조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센터에서 내부대상자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재활프로그램은 이직예방프로그램과 신체능력향상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의 도움정도를 분석한 결과, 이직예방프로그램에 비해 신체능력향상프로그램의 도움 정도를 더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이 도움이 되지않는 사유로는 이직예방프로그램의 경우 '내용' 부족, 신체능력향상프로그램은 '시간' 부족이 중요하게 지적되었다. 한편 재활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은 도움 정도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업능력개발과 취업에 필요한 재활프로그램에서는 훈련생과 교직원 모두 공과체험, 전문화된 평가에 대해 필요성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훈련생의 경우 공과체험, 전문화된 평가, 신체능력향상프로그램 순으로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고, 교직원은 공과체험과 장애유형별 프로그램, 전문화된 평가, 기초학습능력 순으로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한편 교직원들은 신체능력향상프로그램보다 기초학습능력프로그램에 대해 필요성을 더 느끼고 있었으며 훈련생들은 기초학습능력프로그램보다 신체능력향상프로그램에 대해 더 필요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 포커스 그룹은 상담재활프로그램, 심성개발프로그램, 재활치료프로그램 등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재활프로그램을 이용하거나 운영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분석한 결과, 훈련생의 경우 다양한 재활프로그램의 부재, 수업진도에 대한 부담, 서비스 이용 시간의 부족, 전문가 부재를 중요한 문제로 지적하였다. 장애로 인한 불편사항으로는 신체적ㆍ체력적 어려움이 지적되었고, 그 외 개인적고민, 국어, 영어, 수학 등 기초학습능력 부족, 동료 학생들 간 대인관계로 인한 어려움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직원들은 취업실적과 연계한 프로그램의 운영, 학사관리시스템에 별도의 재활프로그램운영 시간 및 관리코드가 없어 체육 및 직업생활 등 교양시간과 함께 진행하는 것으로 인해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조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센터 재활프로그램 운영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직업능력개발훈련과정 훈련생을 대상으로 하는 재활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재활서비스 제공 방식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장애인 직업훈련대상자들은 교육경험, 연령, 개인경험, 환경, 인지능력 등에서 매우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각 훈련생들이 입학선정단계에서부터 자신에게 필요한 재활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제공 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단기적으로는 평가 결과에 따라 현재 개설된 재활프로그램 중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선택하고, 이 재활프로그램을 기능훈련과 병행하여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각 대상자별로 필요한 재활서비스를 기능훈련 이전 단계에 받도록 하고 그 이후 기능훈련에 진입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재활프로그램의 운영방식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선 현재 교양과목으로 편성되어있는 재활프로그램을 별도의 직업능력개발훈련 교과목으로 편성하고 그 비율을 점차 높여야 할 것이다. 또한 재활프로그램 운영자에 대한 전문교육을 실시하는 등 운영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방안들을 마련해야 한다. 그 외 재활프로그램을 설계·진행·관리할 수 있는 사례 관리자의 도입과 센터별 재활프로그램의 표준화가 필요하다. 그리고 센터별 재활프로그램 운영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본부 담당부서에 평가사등 전문인력을 배치하거나 전담인력을 배치하는 것 역시 필요하다. 셋째, 재활프로그램 내용 측면의 개선이 필요하다. 현재 전문화된 평가에 포함된 직업평가는 재활프로그램 범주에서 분리하고, 직업탐색프로그램, 작업시도프로그램으로 전문화된 평가를 운영하는 것이 적절하다. 장애인식개선과정은 재활프로그램의 영역에서 제외하고 별도의 사업으로 관리하며, 이직예방프로그램은 이직 예방보다 경력관리를 다루는 과정으로 변경하고 명칭 역시 경력관리 프로그램 등으로 변경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기존 프로그램 외 분야별 체험프로그램, 장애유형별 프로그램, 심리재활프로그램, 기초학습능력프로그램, 심성개발프로그램 등 훈련생과 교직원들의 욕구를 반영한 재활프로그램들을 개발해야 한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 센터 재활프로그램 담당자 별로 소위원회 등을 구성하여 자체 개발하는 방법과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는 방법을 병행할 수 있다. 또한 지역네트워크를 활용해서 타 기관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이용하거나 센터 실정에 맞게 수정하여 운영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VI. 연구의 의의 본 연구는 현재 센터에서 운영되는 재활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센터 재활프로그램은 운영 기간이 짧고 이에 대한 평가나 점검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까지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센터 재활프로그램에 대한 문제점과 욕구를 파악한 첫 번째 연구로서, 이 연구가 향후 재활프로그램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사회복지기관에서 프로그램 개발의 순환적인 활동에 대한 실증적 연구: 수용, 개발, 전파를 중심으로

        공계순 ( Gye Soon Kong ),서인해 ( In Hae Seo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0 사회복지연구 Vol.41 No.3

        본 연구는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활동의 연속성을 전체적인 시각에서 이해하려고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사회복지기관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 개발활동의 기관내외부의 순환적인 흐름의 특징을 기술하고, 이러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틀은 복지관의 개발활동의 순환적 특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이론적 맥락과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구성되었다. 복지관의 개발활동의 순환적 활동과 관련된 3개의 종속변수(수용, 개발, 전파)와 개인, 조직 및 환경, 개발과정과 관련된 17개 의 독립변수들을 구성하였으며, 각 종속변수에 따라 독립변수들을 차별적으로 적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9년도 외부 지원단체의 공모사업에 선정된 복지관의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개발 및 수행을 담당한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2009년도 그들이 개발하고 수행한 프로그램 활동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최종분석에는 195부의 응답이 포함되었다. 통계분석을 위해 기술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기술분석의 결과, 복지관의 외부 프로그램 수용, 기관에서 프로그램 개발, 개발된 프로그램의 전파활동은 생각보다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다중회귀분석의 결과, 종속변수로 설정된 프로그램의 3개 개발활동들이서로 밀접하게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개 개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는 개발자의 모험 감수, 외부 환경의 격변성에 대한 인식, 기관의 혁신권장 분위기, 프로 그램 집행기간, 프로그램 관련문헌정보 수집정도, 동료관계, 기관장 및 상관의 참여 등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의 학술적 함의와 실천적 제언이 제시되었다. Despite the rapidly increased concern on the circularity of the program development activities in the social service agencies,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about the phenomena.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program development in the process of adopting, developing, and disseminating the social programs and to figure out the factors influencing differences in the 3 activities in social service agencies. The researchers constructed an explanative model including each 12-13 independent variables with 3 consecutive dependent variables on the basis of reviewing the related literature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predict the features of the program development using 195 questionaries responded from social workers in community service centers. As the result of the descriptive analysis, the two noticeable features are found; (1) the agencies have very actively adopted outside programs, developed appropriate programs for the agency, and disseminated the programs into other agencies in the community. (2) there are some positive aspects of the factors in related to the process of the program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the three dependent variables of the adoption,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are very closely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s, showing the evidence of the circularity in the agencies. In addition, the 5 independent variables at the value of p .01 are statistically related with the circularity of the three dependent activities. The implication of major findings were discussed in academic and practical perspectives in Korea, including future research works in the area.

      • KCI등재후보

        참여관찰 연구방법을 통한 프로그램개발 현상의 특성 분석

        고영화(Ko Young-Hwa),김진화(Kim Jin-Hwa) 한국평생교육학회 2007 평생교육학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참여관찰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평생교육 프로그램개발 과정에서 일어나는 복합적인 현상 속에 내재된 다양한 요소가 무엇이며, 이러한 요소들에 대한 특성이 무엇인지를 조명하는 것이었다.<BR>  연구결과로 프로그램개발의 현상은 목적론적, 내용적, 주체론적, 방법론적, 정치적, 설계론적 측면에서 다양한 현상과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첫째, 목적론적 현상은 프로그램개발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논리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에서 기관의 특성, 사회적 맥락, 프로그램 수혜자의 요구와 필요가 반영된 특성이 나타났다. 둘째, 내용적 현상은 프로그램개발의 결과물을 상세하게 구성하는 과정에서 프로그램 목적, 내용의 체계성, 내용의 구체성이 반영된 특성이 나타났다. 셋째, 주체론적 현상은 프로그램개발 과정에 참여하는 프로그램개발팀을 구성하고 역할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과정전문가, 내용전문가 혹은 현장전문가, 설계전문가에 따라 다양한 특성이 나타났다. 넷째, 방법론적 현상은 생산적인 프로그램개발 과정을 위해 적합한 방법과 기법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프로그램개발 단계와 절차에 따라 다양한 특성이 나타났다. 다섯째, 정치적 현상은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협력과정에서 나타나는 참여자들의 이해관계, 관심사 및 경험, 힘의 차이에 따라 다양한 특성이 나타났다. 여섯째, 설계론적 현상은 프로그램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구성하기 위해서 도구나 매체개발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특성이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elements inherent in the complex phenomena happening in the process of program development for lifelong education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BR>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explored as follows. First, the objective phenomena reflected the organization mission, the social context, and the beneficiaries" demand. Second, the phenomena of subject-matters reflected the goal of program, the system of contents, and the concreteness of contents. Third, the subjective phenomena reflected the selected some roles of planning management experts(PME), subject-matter experts(SME), instructional design experts(IDE) in the process of the managing program development team. Fourth, the methodological phenomena reflected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suitable methods and techniques for making progress productively the program development. Fifth, the political phenomena reflected the difference of participants" interest, concern, experience, and power revealed in the process of cooperation for program development. Sixth, the designing phenomena reflected the developing the materials and media in according with the organizing program contents of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the context.

      • KCI등재

        業務上 創作한 컴퓨터프로그램의 著作者

        金東?(Kim Dong-Jin) 한국법학원 2001 저스티스 Vol.34 No.6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 제5조의 규정에 의하면 법인 등 사용자가 자신의 기획하에 피용자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한 경우에는 당해 프로그램을 실제로 창작한 피용자를 저작자로 보는 것이 아니라 법인 등 사용자를 저작자로 본다. 위 규정의 입법취지는 오늘날 프로그램 개발의 실정을 보면 법인 등 단체의 내부에서 여러 사람이 상호 협력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법인등 사용자에게 원시적으로 저작자의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 거래현실에 부합한다는 데 있다. 그런데, 본래 저작자라 함은 저작물을 실제로 창작한 사람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위 규정은 하나의 커다란 예외를 인정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사안에 대하여 위 규정을 적용할 때에는 무분별하게 확장해석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한편 법인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일방으로는 자신의 피용자를 통하여 업무상 창작하는 방법이 있다 하겠으나, 다른 일방으로는 용역업체 내지 개인에 대하여 프로그램 개발을 위탁하는 방법도 많이 행해지고 있는바, 위와 같은 위탁개발은 일종의 도급계약으로서 이로 인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의 저작자는 수탁자인 용역업체 내지 개인이 되는 것이고, 다만 법인은 특약을 체결하는 등의 방법으로 이에 관한 저작권을 자신에게 귀속시킬 수 있다. 법인이 특정 개인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한 경우에 그것이 업무상 창작에 해당되는지, 아니면 위탁개발에 해당되는지 여부에 관하여 간혹 분쟁이 발생하는데, 이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당해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기술적 숙련도, 작업시간과 작업장소의 종속성, 재료의 제공자, 계속적 거래관계, 댓가지급의 방법, 수당과 세금의 부담자 등의 여러 가지 판단기준(factor)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법인이 특정 개인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지휘ㆍ감독하는 사용관계를 갖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야 하고, 그와 같은 사용관계가 존재하는 경우에 한하여 업무상 창작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대법원 2000. 11. 10. 선고 98다60590 판결에 의하면, “업무상 창작한 프로그램의 저작자에 관한 구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 제7조의 규정은 프로그램 제작에 관한 도급계약에는 적용되지 않는 것이 원칙이나, 주문자가 전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기획을 하고, 자금을 투자하면서 개발업자의 인력만을 빌어 그에게 개발을 위탁하고 이를 위탁받은 개발업자는 당해 프로그램을 오로지 주문자만을 위해서 개발?납품하여 결국 주문자의 명의로 공표하는 것과 같은 예외적인 경우에는 법인 등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가 업무상 창작한 프로그램에 준하는 것으로 보아 같은 법 제7조를 준용하여 주문자를 프로그램저작자로 볼 수 있다”고 판시하고 있는바, 위 판례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획, 자금투자…’등의 판단요소들이 과연 사용관계의 존재여부를 가늠하는 데 대한 적절한 기준이 될 수 있는지 의문이고, 또한 위 규정이 실제 창작자의 원칙에 대한 예외규정이라는 점을 감안해 보면 이를 확장해석하는 것은 가급적 자제해야 하지 않을까 사료된다. 오히려, 위와 같은 사안에서 단순히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 제5조를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에만 집착할 것이 아니라, 위탁개발에 해당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저작권의 귀속에 관하여 특약 내지 묵시적 합의 등의 사실인정을 유연하게 함으로써 구체적인 타당성을 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기업체 근로자의 경력개발 프로그램 요구분석

        정용권,김진모 한국산업교육학회 2009 산업교육연구 Vol.19 No.-

        이 연구의 목적은 기업체 경력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근로자의 요구를 조사하여, 경력개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자들이 인식하는 경력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현재 수준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특히 경력개발 프로그램이 실시되는 기업의 분위기․환경에 관한 현재 수준이 가장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근로자들이 인식하는 경력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바람직한 수준은 현재수준과 비교 하여 매우 높게 나타났다. 특히 경력개발 요소 중에서 기업의 분위기․환경에 관하여 요구 되는 바람직한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즉 경력개발을 위한 기업의 분위기․환경에 관 한 현재 수준과 바람직한 수준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셋째,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의 경력개발 프로그램 요구를 비교해 보았을 때, 대기업 근로자들은 직무수행과 관련된 정보반영에 관한 요구와 프로그램 설계 및 수정에 참여하고 자 하는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자기진단을 할 수 있는 방법과 경력개발 프로그램 관리자에게 적절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제도, 경력개발에 따른 적절 한 보상체계에 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근속 년수별 경력개발 프로그램 요구와 직위별 경력개발 프로그램 요구를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개인 잠재력에 관한 정보의 반영에 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이 요소를 제외한 경력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요구는 근로자의 근속 년수와 직위별로 각각 다르게 나타 났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에 기초하여 후속 연구로서 ① 요구분석을 토대로 경력개발 프로그 램에 반영시킬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는 연구, ② 기업체 근로자의 성별․산업분야․기업 의 유형 등에 따른 보다 다각적인 형태의 요구분석 연구, ③ 질적인 연구방법을 통한 근로 자의 경력개발 요구분석 연구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s for the career development program based on examining the needs of i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shows that the level of the Career Development Program that the employees recognized currently was lower than average. The work environmental factor was the lowest level. Second, the result shows that the desirable level of the Career Development Program was much higher than its current level that was lower than the average. The work environmental factor of the desirable level, which was the lowest currently, was the highest. Third, comparing the desiring needs of the Career Development Program between major companies and middle or small sized companies, the result shows that the employees at major companies want to participate to design and revise the Career Development Program more than employees at middle or small size companies. They also want more to reflect their information that is along with Career implementation. On the other hand, employees at middle or small sized companies want to find out their potential ability and they are likely to have a system that prompts managers of the Career Development Program. They also want a proper compensate system according to Career Development. Fourth,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different priority of needs of the career development program according to different position of the career and the working years.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there should be a continuing study about choosing and organizing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nd it should be based on needs analysis of career development program. A following study about many-sided needs analysis of the program is also need to be studied, according to employees sex and the various fields of industry.

      • KCI등재

        국가연구개발프로그램의 성과관리와 예산연계에 대한 연구

        한미경 한국정부회계학회 2005 정부회계연구 Vol.3 No.2

        우리나라의 예산․%회계제도를 개혁하기 위해 도입이 추진되고 있는 새로운 디지털예산․% 회계시스템은 예산, 회계, 성과관리 등의 기능을 통합한 통합재정시스템의 형태이다. 새로운 예산회계시스템의 핵심요소는 프로그램예산제도와 성과관리시스템이며 예산제도와 성과의 연계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국가의 미래를 좌우하는 과학기술분야에 초점을 맞추어 과학기술분야의 투자에 대한 성과관리와 예산연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논문은 정부부문의 성과를 예산시스템에 적절히 연계시키는 미국연방정부의 PART를 분석하고 이 같은 기법을 우리의 예산시스템에 적절히 도입할 때 고려하여야 할 점이 무엇인가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미국 연방정부 중 자원부의 두 가지 연구개발프로그램에 대한 PART평가의 내용을 소개하고 분석하여 그러한 논거를 뒷받침하였다. 이 논문에서 제시하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개발프로그램과 같은 과학기술분야의 경우 재무적 성과의 측정이 어려운 점이 있으나 예산과 연계되어야만 적절한 성과관리가 가능하다. 둘째, PART의 기본 논리는 연구개발프로그램의 평가에 적용될 수 있으나 재정사업과 동일한 방식을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연구개발의 특성을 더 잘 반영할 수 있는 지표 및 평가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모든 프로그램에 대해 평가자료의 신뢰성이 확보되고 전문가집단을 잘 활용하는 방법으로 평가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주관부서와 예산주관부서의 긴밀한 협조체제가 필요하며 특히 관련자들의 전문성제고에 노력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The government has recently been initiating a reform of the nation’s finance operations. The reform enables the government to have fully digitalized budget/accounting operations, and the new fiscal system integrates budget, accounting and performance management. This study focuses on performance management and budget allocation issues for national R&D programs. This study introduces the PART(Performance Assessment Rating Tool) invented and used by the US federal government and illustrates actual PART reports for two R&D programs of the Department of Energy, with an intention to analyze possible problems and issues that are expected when we adopt a modification of the PART into our budget system.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even if the financial performance for science and technology programs like R&Ds can not be easily measured, a proper management of their performance needs a link between budget and performance. Secondly, the logic of PART can be applied to an evaluation of R&D program as well as those programs with financial nature, however, necessary modifications are necessary. The modifications will include the adoption of performance indicators and evaluation methods that are suitable for R&D programs. Thirdly, the evaluation system will function properly with reliable data as the basis for evaluation and with the help of experts in the area of evaluation. Lastly, the success of the system will need a close cooperation between the program handling departments and the department assigning budget for the programs as well as efforts of enhancing expertise of the related personnel in relation to the evaluation system and the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