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 생애목표 관련 요인 및 생애목표의 영향에 관한 연구

        공계순,서인해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6 복지상담교육연구 Vol.5 No.2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high school students' life goal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life goals on life satisfaction, delinquent behaviors, community feeling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2015 was analyzed for the study. The respondents for this study were 2052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s. The statistical analyses are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for categorizing contents of life goal, regression analysis for examining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pendent variables and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life goal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re composed of the following 4 contents; relationship, social contribution, self growth and achievement goal, and the mean score of relationship goal is the highest. Second, factors influencing goal orientation and goal content are sex, peer relation, relation with teacher, activity involvement, neglect, family's economic status, and mother's education. Third, life goal orientation affects all dependents variables, and each goal contents affect dependent variables in a different way. Major findings were discussed and implication of the study was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생애목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생애목표가 삶의 만족도, 비행, 공동체의식 및 다문화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중1패널의 5차년도 자료로서, 조사당시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205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통계방법으로는 기술 통계분석, 생애목표의 내용을 범주화하기위해 요인분석, 독립변인과 종속변인들 간의 인과관계 파악을 위해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생애목표는 관계목표, 사회기여목표, 자기성장목표, 성취목표로 구분되었으며, 관계목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생애목표지향정도 및 목표내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성별, 또래관계, 교사관계, 체험활동, 부모의 방임, 가정경제수준, 모의 학력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애목표지향정도는 모든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며, 관계목표는 삶의 만족도와 다문화수용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사회기여목표는 비행에는 부적으로, 공동체의식 및 다문화수용에는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자기성장목표는 삶 만족도, 공동체의식, 다문화수용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성취목표는 삶 만족도 및 다문화수용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에 대해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함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가정방문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서설적 연구

        공계순 한국사회복지연구회(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0 사회복지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to examine 1) the importance of home-visiting in an efforts to prevent child abuse and neglect, 2) alternatives of the major components of home-visiting program, 3) issues regarding each alternative of the program, and 4) major areas and tasks which need to be considered in detail in developing specific program. Major components of the program included in the study are client, service and staff. Client system is examined in terms of target population according to prevention categories;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preventi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evention strategy are presented, and difficulties in selecting certain target population are discussed. Diversity in orientation and scope of home visitation program are reviewed in terms of service orientation models and service intensity.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paraprofessional visitor and professional visitor are compared, and expected roles of home visitor are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 information which might be useful in developing home-visiting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and neglect through the examination of home visiting programs implemented in Western countries. Also, this study is intended to delineate areas and tasks which need to be examined in developing specific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in child welfare agency.

      • KCI등재
      • KCI등재

        어머니의 문제성 음주가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아동양육의 매개역할에 대한 연구 Focus on Parenting as Mediator

        공계순 한국사회복지연구회(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1999 사회복지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parenting practice as potential mediator of the influence of maternal problem drinking on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Child outcomes were examined in terms of non-normative behaviors, depressive mood, and reading performance. Areas of parenting practice examined were maternal warmth, cognitive stimulation, child-parent joint activity, maternal supervision, emotional closeness between child and mother, child's participation in making rules, and conflict between parent and child over rules. Binge drinking, which is defined as alcohol consumption of 6 or more drinks at one time in the past month, was used as a criteria of problem drinking status. Severa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included as control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rawn from among a group of children 10-14 years of age and their mothers who responded to a survey conducted in 1994 as pert of the National Longitudinal Surveys on Youth in the USA. The result showed that maternal problem drinking was associated with children's increased non-normative behaviors and poor reading performance after controlli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ut maternal problem drinking was not associated with children's depressive mood. Maternal problem drinking was associated with less maternal warmth and less cognitive stimulation, but it was not associated with other dimensions of parenting practices. Maternal warmth and cognitive stimulation had mediating function in the impact of maternal problem drinking on children's non-normative behaviors and reading performance. Major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previous research findings. Several suggestion were made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future studies of children with parental problem drinking.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소진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공계순 ( Gye Soon Kong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0 한국가족복지학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지역아동센터에서 근무하는 시설장 및 생활복지사를 대상으로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 회수율은 88.5%이고, 최종 통계분석에는 346명의 응답내용이 포함되었다. 소진을 야기할 수 있는 변인군으로 종사자의 인구학적 특성, 근무환경 특성, 직무수행상의 고충요인이 포함되었다. 직무수행상의 고충요인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주요 업무 및 역할과 관련된 25개의 문항을 요인 분석하여 도출된 5개의 요인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통계분석방법으로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소진의 각 하위요인(정서적 탈진, 비인격화, 성취감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군들의 종속변수에 대한 설명력의 증가를 알아보았으며, 어느 변수가 소진의 각 하위요인에 영향력이 높은지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정서적 탈진에 대해서는 근무환경특성이 가장 설명력이 높았으며, 역할갈등, 나이, 센터근무기간, 보상, 아동지도상담 고충 순으로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미쳤다. 비인격화에 대해서는 근무환경특성이 가장 설명력이 높았으며, 아동지도상담고충, 역할갈등, 직원관계, 부모가정지원고충 순으로 비인격화에 영향을 미쳤다. 성취감감소에 대해서는 직무수행상의 고충요인이 가장 설명력이 높았으며, 아동지도상담고충, 부모가정지원고충, 관련기관협력고충, 직원관계, 맡은 업무수 순으로 성취감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의 종사자의 소진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burnout of community child care center workers in Korea. Questionnaires were sent via mail both to head executives and to front-line welfare workers, and 346 papers were included for final analysis. The independent variables considered in the study are work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x,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job position, years of service at the center), working conditions (number of children, work hours, number of jobs, role conflicts, autonomy, rewards,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and job-related difficulties in five areas (guiding and counseling children, support for parents,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other organizations, resource development and connectivity, and documenting administrative records and case records). Job-related difficulties were measured by conducting factor analysis for 25 item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Emotional exhaustion is influenced by role conflicts, age, years of service, rewards, and difficulties in guiding and counseling children. Depersonalization is influenced by difficulties in guiding and counseling children, role conflicts,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nd in supporting parents and families. Personal accomplishment is influenced by difficulties in guiding and counseling children, in supporting parents and families, in building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other organizations, in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nd number of jobs.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prevention of burnout among workers in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 KCI등재

        사회복지 프로그램 차원의 증거기반 활동에 대한 이해 : 증거확보, 증거인증, 증거전파의 통합적인 접근 중심으로

        공계순 ( Gye Soon Kong ),서인해 ( In Hae Seo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4 사회복지연구 Vol.45 No.4

        최근 사회복지에서 증거기반실천이 중요해지고 프로그램 차원의 증거기반 인증제의 도입이 시도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 프로그램 차원의 증거기반활동의 이론적인 특징과 접근 유형을 규명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국내외의 실태를 살펴보고, 한국에서의 프로그램 증거기반 활동의 방향성과 과제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연구자들은 먼저 프로그램 차원의 증거기반활동의 특징을 규명하고, 이러한 개념적인 특징에서 나타나는 증거활동의 3가지 차원, 즉 증거확보, 증거인증, 증거전파를 분석기준으로 설정하여, 관련 문헌에서 나타나는 증거기반활동의 경향을 분석한 결과, ‘평가활동 중심의 증거확보와 개별 전파활동’, ‘개발활동 중심의 증거확보와 협력적 전파활동’, ‘증거 인증을 통한 제도적인 전파활동’을 찾을 수가 있었다. 이러한 경향들에서 증거확보, 증거인증, 증거전파활동이 서로 밀접하게 상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된 3가지 증거활동 측면에서 국내의 사회복지프로그램 증거기반활동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외국과는 달리 우리나라의 프로그램 차원의 증거기반활동은 증거확보, 증거인증, 증거전파의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인증활동도 우리나라 프로그램 증거활동의 여건과 수준을 고려하여 진행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프로그램 차원의 증거기반활동과 관련된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an integrated approach of evidence based program 서인해activities in Korea, which is used as analytic framework for the accreditation of EBP programs recently initialized by Korean government in the area of the social work.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s criticised the current concepts of the evidence based practice(EBP) and evidence based programs(EBPs) in that it is not appropriate for the explanation of the EBPA in the social work programs. The researchers constructed a concept and its related key features for diverse and complicated evidence based activities appeared at the sequential development faces of the social work programs. On the basis of the new concepts, they analyzed the tendencies of the evidence based activities in the related literatures covering program evaluation, development, dissemination, and innovation etc. As the result, they found the three noticeable tendencies emerged as follows: an “evaluation focused evidence development activities”, development focused evidence development activities, and accreditation focused evidence dissemination activities. Furthermore, they examined the situations of the evidence activities in Korea. They suggested an integrated approach and tasks of the evidence activities in the social work program in Korea.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사례관리실천 방안에 관한 연구

        공계순 ( Gye Soon Kong ),서인해 ( In Hae Seo ) 한국가족복지학회 2009 한국가족복지학 Vol.14 No.4

        지역아동센터는 2004년 종합적인 아동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아동복지시설로 법제화되면서 양적으로 급속하게 성장해오고 있는 가운데 질적으로도 운영의 체계성과 전문성을 갖출 것이 요구되고 있다.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대부분은 저소득 가정 및 가족기능이 약화된 가정의 아동들로 복합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어서 포괄적인 서비스를 지역사회차원에서 발굴·연계해 주는 사례관리의 실천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에서의 효과적인 사례관리실천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의 사례관리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시하고, 사례관리의 주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각 구성요소별로 지역아동센터에서 가능한 여러 대안들을 살펴보며, 현재의 지역아동센터의 여건에 비추어 가능한 방법을 중심으로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사례관리의 운영방안과 보다 성공적인 사례관리를 위해서 앞으로 주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영역이나 과제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사례관리의 주요 방향으로는 아동 및 가족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 아동 및 가족의 욕구에 기초한 개별화, 아동의 성장과 발달을 위한 연속적인 보호, 아동 및 가족의 적극적인 참여, 강점관점 등이 제시되었다. 사례관리의 구성과 운영에 대해서는 사례관리의 주체기관, 사례관리의 대상자 선정, 지역사회자원동원, 사례관리 담당자 및 주요 역할을 중심으로 논의하고 있다. 결론에서는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체계적인 사례관리실천을 촉진하기 위해 필요한 노력에 대한 제언과 앞으로의 연구과제 등을 제시하고 있다. In spite of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community children`s centers since 2004, they have been continuously criticized for their administrative systems being poorly organized and the quality of services provided to the children being inadequate for the needs of the children and their families. Moreover, many children enrolled at community children`s centers are from impoverished families, single-parent families, and/or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ies. Therefore, they tend to have multiple needs and problems. These kinds of circumstances provoke the field of social work in Korea to consider case management practice as a pivotal duty for the center in providing comprehensive services to children and their famili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theoretical features of effective case management practice at the community children`s centers. The study presents the principles of case management for the centers: (1) integration of children and family, (2) individualized services, (3) comprehensive and successive services, (4) participation of children and parents, and (5) strength perspective.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s the possible alternatives in terms of the four major components of case management: (1) case management agency, (2) target client, (3) community resources, and (4) case manager. Finally, the study discusses the major tasks for developing effective case management at the centers and future research areas related to case management at the centers.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계순 ( Gye Soon Kong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0 한국가족복지학 Vol.15 No.4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이론적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나이, 직무환경적 특성(보상, 업무량, 역할갈등, 전문적 발전기회), 직무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구조를 살펴보았다. 강원도, 충청남도, 대전시에 소재한 192곳의 지역아동센터에 근무하는 생활복지사를 대상으로 우편설문조사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회신율은 100%였으며, 최종분석에는 208명의 응답이 포함되었다. 통계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나이는 이직의도에 직접 및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상과 발전기회는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통하여 이직의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량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둘 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갈등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도는 보상과 이직의도, 발전기회와 이직의도 사이의 영향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의도에 대한 총 효과는 직무만족도, 전문적 발전기회, 나이, 보상, 역할갈등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이직을 줄이기 위한 실천적 방안과 차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job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of front-line welfare workers in Community Child Centers in Korea. Exogenous variables included in the study are worker`s age, rewards, work load, professional developmental opportunities, role conflict. Job satisfaction is considered as mediating variabl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mail questionnaires sent to the front-line welfare workers, and 208 papers were included for final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Worker`s age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s turnover intention. Reward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al opportunities do not directly affect turnover intention, but affect indirectly through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Work load does not affec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Role conflict directly affects turnover intention. Job satisfaction plays full mediating variables in relationship between rewards and turnover intention, and between professional developmental opportunities and turnover intention.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for reducing front-line welfare workers` turnover intention and for future studies of turnover among workers in Community Child cen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