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집단활동프로그램이 방과후 공부방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경욱,이은희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2005 아동중심실천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방과후 아동의 환경을 이해하고 그들의 바람직한 성장을 위하여 P 시의 영구임대아파트 단지 내에 있는 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초등학교 1, 2, 3 학년 방과후 공부방 아동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집단활동프로그램이 아동들의 사회적 능력을 향상시키고 행동성향을 파악하여 성격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를 실시하기 전에 사회적 능력 검사와 아동행동경향 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성검사를 한 후 20명의 아동을 실험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으로 나누었고 2개월간 주 2회의 집단활동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집단활동프로그램은 기존의 집단활동프로그램과 놀이프로그램을 아동들의 특성에 맞게 본 연구자가 재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의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여 SPSS for 11.0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집단활동프로그램의 실시 후 사회적 능력과 아동행동경향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활동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사회적 능력이 통제집단보다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주었다. 둘째, 집단활동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아동행동경향의 공격성과 주장성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났다. 그러나 순종성에서는 실험집단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아동들이 성격이 활발해지고 자신의 주장을 하나씩 이야기할 수 있고 자신들 나름대로 사고의 폭이 조금씩 넓어지는 시기여서 이런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회적 능력과 행동특성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은 집단활동프로그램이 효과적이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체계적이고 의도적인 프로그램의 개입은 아동 개인의 내적 자원들의 역동을 이끌어내고 개인과 외적 자원간의 상호작용의 부조화를 통제할 수 있게 한다고 본다. 앞으로 방과후 공부방 아동에 대한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좀 더 다양한 프로그램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며 장기적인 효과와 그 효과가 외적 행동으로 얼마나 표면화되는지 등에 관한 문제가 후속 연구를 통해 탐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기대효과별 원예치료프로그램 설계와 효과에 관한 연구

        백현진 ( Hyun Jin Baik ),엄진배 ( Jin Bae Eom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5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3 No.-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효과를 중점으로 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세분화하여 설계, 실행하고, 그 효과를 규명하여 대상자에게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원예치료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적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작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S보호센터에 등록된 대상자중 지적장애인 11명(남9명, 여2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4년 1월15일부터 10월21일까지 매주 1회 한 시간씩 총 33회에 걸쳐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 후 대상자는 운동지각능력, 대인관계 및 언어소통력, 인지 및 문제해결능력, 숙련도와 직업적능력, 참여도와 관심 및 조력성이 좋아질 것이라는 가설을 가지고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참여성0.013*, 언어소통 능력 0.004**, 자아개념 및 주체성은 0.033*, 인지 및 문제해결 능력 0.047*, 숙련도와 직업적 능력0.010*, 다섯가지 항목에서 사전보다 사후에서 유의한 결과가 도출 되었다. 또한 관찰 기록지 분석 결과도 원예평가표의 내용과 대부분 일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세분화된 원예치료활동이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측면에서 지적 장애인들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는 결과이며, 이는 세분화된 프로그램 설계와 적용의 필요성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수가 적고 프로그램의 적용회기가 짧다는 제한점이 있지만 향후 본 연구를 토대로 대상자에게 보다 적합한 프로그램을 선별히여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기초적 자료를 마련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make progress by segmentation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to set importance on effects of physical, cognitive and affective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focused on tracing the effects of basic data preparing development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to apply effectively to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s study involved 11 people(9men, 2women) who were registered on Sarang Short-term care center, Seorae, Seocho-gu, from 15th Jan, 2014 to 21st Oct, weekly one hour, carried out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total 33times and think of hypotheses then do the program do own. After carrying out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hypothesized that some of ability such as perceptual abilities, relationship, language skill, cognition, problem-solving ability, skill-level, occupational ability, participation, attention, and support may be effective to participants. This study found that participation 0.013*, Language Skill 0.004**, Self-conception and identity 0.033*, cogni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0.047*, skill-level and occupational ability 0.010*, as a result, above 5 articles clearly better than before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lso, the result of observation record sheet is consistent with the horticulture evaluation sheet in most. As a whole, the results for segmentation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substantiated positive effects on physical, cognitive and affective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which is necessity for the application and design of the program. However, this study has its limitations that there were few participants and number to apply the program. The opportunity of this study can come up with solutions that is more effectively selected the suitable program to apply participants and considered as this study to implement of preparing basic data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 KCI등재

        예능 프로그램 시청자들이 형성하는 관계성이 프로그램 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윤정,정금희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2

        프로그램에 대한 호감도는 반드시 프로그램과 관련된 영상, 이모티콘, 웹툰, 물품 등의 제작, 콘서트, 팬미팅 참여 등의 프로그램에 대한 행동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따라서 프로그램 호감도와 관련 행동 사이에 매개하는 변인이 존재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매개변인으로 관계성을 제시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호감도가 높을 경우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프로그램, 시청 유도성, 출연자, 출연자 그룹, 함께 시청하는 시청자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 할 수 있고, 이러한 관계성이 프로그램에 대한 직접적인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에 대한 호감도가 형성되면 프로그램, 시청 유도성, 등장인물, 다른 시청자들과 긍정적이고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이러한 관계성은 프로그램 관련 온라인 및 오프라인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프로그램 호감도가 높을 경우 출연자 집단과의 관계성을 형성하지만, 이 집단 관계성은 프로그램 관련 행동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프로그램 출연자들끼리 사이가 좋고 연합이 잘 되는 경우 오히려 시청자들이 소외감을 느낀 결과 일 수도 있다.

      • KCI등재

        한성대학교 글쓰기센터 소규모 글쓰기 비교과프로그램 <글방> 운영의 실제 연구

        박선옥(Park, Sun Ok)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1 교양학연구 Vol.- No.15

        이 연구는 한성대학교 글쓰기센터의 소규모 그룹 글쓰기 비교과프로그램인 <글방> 프로그램의 운영 사례에 대하여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글방>은 5명 내외의 소규모 그룹을 한 반으로 하여 하나의 교육주제에 대하여 이틀에 걸쳐 6시간 교육을 하는 방학 단기 글쓰기 집중 프로그램이다.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운영을 위하여 <글방>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기획, 준비, 실행, 평가’ 단계를 거치며 환류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2017년 여름방학 1회를 시작으로 2020년 겨울방학에 운영된 8회까지 총 23개 프로그램에 30개 반이 개설되었다. 글쓰기와 관련된 전반적인 사항을 두루 다루고 있으며 글쓰기 및 말하기 대회 비교과프로그램과 연계된 활동, 취업을 위한 실용적 목적의 글쓰기 등이 그 내용이다. <글방> 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한 개선 방안으로 첫째, 학습자 참여 독려를 위한 성과 확산이 필요하다. 둘째, 대면과 비대면의 방식을 병행한다. 셋째, 말하기와 관련된 프로그램 확대가 필요하다. 넷째, 학습자 만족도 조사 내용을 보완해야 한다. 이 연구는 대학의 글쓰기 관련 비교과프로그램의 다양성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나아가 본 연구의 내용을 각 대학의 상황에 알맞게 활용한다면 조금 더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글쓰기 비교과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peration cases of the non-subject <Gulbang> program of Hansung University Writing Center,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Geulbang> is a program in which a small group of about 5 people is enrolled in a class for 6 hours over two days on a topic of education. This is a short-term writing intensive program during the vacation. For systematic and stable operation, the <Gulbang> program is equipped with a ‘program opportunity, preparation, execution, evaluation’ system. A total of 23 programs(30 classes) were opened from the first summer vacation in 2017 to the eight winter vacation in 2020. The contents of the program cover all aspects related to writing. In addition, the contents include activities related to the non-subject program of the writing and speaking contest, and writing for practical purposes for employment.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Geulbang>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pread outcomes to encourage learner participation. Second,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methods are used in parallel.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programs related to speaking. Fourth, the contents of the student satisfaction survey should be supplement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information for the diversity of non-subject programs related to writing in universities.

      • KCI등재

        컴퓨터프로그램의 창작성 있는 표현에 관한 연구

        강기봉 한국저작권위원회 2019 계간 저작권 Vol.32 No.2

        프로그램에 관해, 프로그램 언어로 기술된 문언적 요소가 표현이라는 것은 정립되어 있지만, 포괄적 비문언적 요소, 즉 프로그램의 구조, 순서 및 조직(structure, sequence, and organization, 이하 “SSO”라 한다)을 표현으로 볼 수 있는지와 창작성이 있는 표현이 무엇인지에 대해 논란이 있어 왔다. 그래서 이 논문은 프로그램에 대한 저작권 침해판단과 관련하여 프로그램의 저작물성, 의거성과 실질적 유사성 판단에 관하여 프로그램의 표현과 관련한 문제에 대해 검토하고, 프로그램 문언 요소와 포괄적 비문언적 요소의 창작성 있는 표현이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저작권법은 아이디어와 표현의 이분법에 따라 창작성 있는 표현을 보호하는 것이 원칙이고, 이 원칙은 프로그램의 문언적 요소와 포괄적 비문언적 요소에 적용된다. 그러므로 포괄적 비문언적 요소도 창작성 있는 표현만 저작권 보호의 대상이다. 그리고 프로그램은 어문저작물이면서도 기능적 저작물이라는 특성도 함께 가지므로, 실질적 유사성 판단에서 프로그램에 대해 어 문저작물에 적용되는 이론들이 그대로 적용되기는 어렵다. 한편, 프로그램의 문언적 요소에서 저작권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표현을 판단하기 위해, 아이디어・표현 합체, 간단하고 짧은 표현, 필수장면, 공유 영역에서 취득한 표현 등에 관한 원칙들이 적용된다. 그렇지만 프로그램의 포괄적 비문언적 요소에 대해서는 추상화, 여과 및 비교의 3단계 테스트를 도입하였는데, 이 테스트는 프로그램의 SSO가 창작성 있는 표현으로 성립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테스트의 여과 과정에서는 아이디어에 해당하는 요소들을 포함하여 효율성에 의해 좌우되는 요소들, 외부 요인들에 의해 좌우되는 요소들 및 공유 영역에서 취득한 요소들과 같은 비보호 부분이 보호 대상에서 모두 제외되는데, 이 요소들에 대한 판단은 완전히 새로운 것이라기보다는 프로그램의 문언적 요소에 적용된 원칙들에 근거한다. 프로그램의 문언적 요소를 보호하는 것만으로는 그 보호가 충분하지 못하다는 인식이 있어도 프로그램의 SSO를 보호하는 구체적인 기준을 설정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문제이다. 그렇지만 학계뿐만 아니라 법원도 프로그램의 SSO에 관한 논의를 지속하면서 이에 대한 기준을 마련해 나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관에서의 정신장애인 재활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

        유수현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1 No.-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이 기존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일부 시설과 전문인력의 재배치와 보강을 통하여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지역사회복지관의 프로그램 가운데 정신보건관련 프로그램의 수행현황을 제시하여 적용가능성을 알아보았고, 정신보건법상에서 요구하고 있는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를 위한 재활프로그램의 설치 기준을 검토하여, 기존의 지역사회복지관이 그들의 조직과 인적ㆍ물적 자원체계를 최소한으로 보강함으로써 설치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지역사회복지관 가운데 시설규모와 인력규모에 있어서 이 프로그램의 적용가능성이 높은 기관에서 정신질환자의 사회복귀프로그램을 설치ㆍ운영한다면 복합적인 사회적응 문제로 고통받고 있는 정신장애인과 그 가족들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for the purpose of clarifying necessity to development of rehabilit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at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by utilizing their physical resources and relocation of professional social workers in this new programs. The initial section of this article briefly reviews current programs for helping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at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then bring up a legal standards and official requirements for the inauguration of a mental rehabilitation center. After discussion and exploration of possibility to apply this program, finally,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was recommended that mental rehabilitation program should be done as soon as possible since it has the requirements of mental rehabilitation center.

      • KCI등재

        비교과프로그램이 대학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 K 대학교를 중심으로

        박창남,정원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non-subject educational programs affect core competencies based on survey of perceptions and needs on those programs of K University students, and to suggest directions of non-subject education. The non-subject educational programs of K University are classified into 3 domains, which are self-understanding, competency reinforcement, and experience, and experience domain affects the most on developing core competency of K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the correlation of which non-subject educational program affects on developing specific competency, and restructure existing programs in accordance with the necessity of developing competency of students actually, 2)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rograms related to related to experience domain which influences academic achievement significantly, 3) It is needed to design student customized programs in order to enhance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effectiveness of program implementation. Considering above result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shows how universities should establish a variety of student needs-based non-subject educational programs and give a direction how they can lead students to experience different types of such programs and achieve their educational goals. 본 연구는 k 대학의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의 인식조사를 통해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비교과 교육의 방향성을 제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k 대학의 비교과 프로그램은 자기이해, 역량, 체험 영역으로 구분되며, 실제 분석결과 k 대학 재학생의 핵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비교과 프로그램은 체험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와 그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첫째, 실제 설계된 비교과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어떠한 역량을 키워주는지 재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학생들의 역량개발에 필요한 프로그램 위주로 기존 프로그램을 재설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체험 영역과 관련된 비교과 프로그램이 역량성취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비교과 프로그램의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비교과 프로그램의 참여 및 효과를 제고하기 위하여 학생수요맞춤형 비교과 프로그램의 설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함의는 대학이 수요자 중심의 체계적인 비교과 교육과정 및 운영체계를 구축하고 학생들의 참여와 프로그램 운영 목적 달성에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라 하겠다.

      • 시치료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의 우울 감소에 미치는 영향

        박선아,이명우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16 임상사회사업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의 우울 감소를 위한 시치료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그 프로그램의 효 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최근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박인우의 체계적인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조사, 분석, 설계, 구안, 적용 후 효 과 검증의 단계를 거쳐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이에 중년기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주 요 요인으로 개인 심리적 변인 중에서 자아정체성을, 부부관련 변인 중에서 결혼만족도를 도 출하였다. 도출된 자아정체성과 결혼만족도를 프로그램의 하위요소로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시 안하였고, 전문가 3인의 검증을 거친 후 수정․보완을 통해 최종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구안 된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D시의 중년기 여성 중 우울을 보이는 16명을 추출하였다. 그 리고 실험집단 8명과 통제집단 8명을 무선 배치한 후, 실험집단에게 총 10회기의 프로그램을 주 2회 90분 동안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은 한국시치료학회 객원연구원이며 독서치료사 자격이 있는 본 연구자가 직접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사전․사후․추후에 동일하게 BDI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중년기 여성의 우울 감소를 위한 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전체 우울 점수가 유의하게 낮아졌다. 또 한 시치료 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의 전체 우울에 미치는 효과가 추후까지 유지되었다. 따라 서 중년기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도출된 자아정체성과 결혼만족도를 하 위요소로 구성한 프로그램은 중년기 여성의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The study aims to develop a program for decreasing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and to verify its effects. To accomplish the goal of the research, I developed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systematic counseling program model by Park, In-Woo, which is widely used. Main factors were self-identity in regard of individual psychological elements and marriage satisfaction in spouse-relevant elements. For the verification, 16 middle-aged women with depression in D cit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y consisted of 8 for the experiment group and 8 for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s were conducted 10 times with 90 minutes session and 2 times a week. Both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also equally given BDI in pretest, posttest and later on for verification of effect of the program. The result, the experiment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oetry therapy had remarkably lower depression point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effect of poetry therapy program for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kept later on. Accordingly, it indicates that the poetry therapy program has effects on decreasing depression of middle aged women.

      • KCI우수등재

        부모교육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진(Lee, Jin),임선아(Lim, Sun Ah) 한국교육학회 2020 敎育學硏究 Vol.58 No.3

        본 연구는 수십 년간 축적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논문들을 통합하여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약 20년 동안 수행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실증 연구논문들을 메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1997년부터 2019년 8월까지 수행된 194개 연구물로부터 836개의 효과크기를 CM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랜덤효과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교육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중간 이상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와 자녀 각각에 부모교육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모교육프로그램은 부모들의 부모역할만족에, 자녀의 자존감에 가장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범주별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분석한 결과, 출판유형에서는 학술지의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고, 연구대상에서는 다문화 부모를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또한 프로그램 유형 중 PET에서 가장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16회기 이상일 때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는 부모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들의 효과성을 메타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분석하여‘부모교육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른 효과성, 즉, 교육 대상과 프로그램의 특성, 프로그램의 결과적 특성에 따른 효과성을 다각적이고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적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는 추후부모교육프로그램의 구안 및 운영에, 그리고 부모교육프로그램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order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by synthesizing research papers that have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accumulated over the decades, the research papers that reported the empirical results of domestic parent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for about 20 years were verified through meta-analysis. Specifically, 836 effect sizes from 194 studies conducted from 1997 to August 2019 were analyzed by applying a random effect model using the CMA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was more than medium. Second, after examining the effects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on each parent and child, it was found that the parent education programs had the greatest effect on parents satisfaction as well as their children s self-esteem.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size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by category, the effect size of academic journals was large in the type of publication, and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multi-cultural parents was the largest in the study. It also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in PET among the program types, and the effect size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was large when it was more than 16 sessions. This study is of discriminatory significance in that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for parents systematically analyzed their effectiveness through meta-analysis and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 i.e., the education particip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and the resulting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in various and specific way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in the future and for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TV 예능 프로그램의 글로컬리즘과 문화 번역 연구

        김영성(Kim Youngs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9

        TV 예능 프로그램의 포맷의 성공적인 월경은 치밀한 문화 번역과 글로컬라이제이션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해외에서 수입, 수출한 포맷으로 제작된 프로그램과 그 원전을 비교, 분석하는 작업은 국내 TV 예능 프로그램의질적 발전과 함께 수출국 시장 확대를 위한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국을 포함하여 미국, 일본에 수출입 된 텍스트를 선정하였다. 또한 오디션 프로그램, 역사 리얼리티 쇼, 여행 리얼리티 쇼로 다양한 포맷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작품은 <렛츠고시간 탐험대(tvN)>, <LET S GO 咱们穿越吧(중국 사천 위성TV)>, <꽃보다 할배(tvN)>, <Better Late Than Never(미국 NBC)>, <보이스 오브 코리아(Mnet)>, <The voice(미국 NBC)>, <프로듀스 시리즈(Mnet), <AKB48 (후지TV)>이다. 개별 텍스트는 채트먼의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할 것이다. 이야기와 담론에 포함되는 요소인 등장인물, 등장인물을 통해 표현된 행위와 이미지 구현 기법이 각각의 텍스트에서 재현된 방법을 분석하는 것은 수출입 된 TV 예능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스토리텔링적 요소를 밝히는데 유용한 토대를 제공해준다. 성공적인 포맷 문화 번역을 이뤘다고 평가 받은 프로그램의 서사 전략은 콘텍스트의 현상과 의미까지 도출해내어 한국 TV 예능 프로그램의 경향성 및 글로벌 포맷으로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리라 본다. 문화번역에 성공한 포맷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렛츠고 시간 탐험대>는 철저한 고증을 바탕으로 주어지는 미션, 즉 사건이 중심이 되는 서사로 캐릭터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약한 편이다. <LET’S GO 咱们穿越吧>은 자국의 역사를 바탕으로 서사를 확장하며, 그에 따른 캐릭터의 정체성과 역할을 매회 다채롭게 창조하며 성공적으로현지화 시켰다. 여행지를 후경화한 <꽃보다 할배>와 달리 <Better Late Than Never> 배경을 전면에 재배치하여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아닌 시트콤에 가까울 정도로 극적 서사 전략을 취했다. 이는 한국형 리얼리티 프로그램에생소한 미국 시청자를 위한 적절한 현지화라 할 수 있다. <더 보이스 오브 코리아>의 가장 중요한 포맷은 참가자의 외모, 공연, 사적 서사를 일체 배제하고 노래 실력만으로 우승자를 선발하는 ‘블라인드 오디션’이다. 그러나 프로그램 초반에 블라인드 오디션이 끝남과 동시에 참가자들의 모험과 성장 서사가 막을 내렸고, 이는 시청자의 흥미를 떨어뜨리는 역효과를 가져왔다. 또한 프로그램의 우승자를 비롯한 출연자들은 화려한 퍼포먼스와 외모 등이 필수적인 K-POP 시장에서 외면당하고 말았다. 일본의 걸그룹 ‘AKB48’가 매년 실시하는 총선거 포맷을 수입한 <프로듀스 시리즈>는 시청자에게 국민 프로듀서라는 캐릭터로 호명하며 텍스트 내부로 끌어들였다. 시청자 투표 100%로 진행되는 만큼 객관성과 공정성이 무엇보다 중요했지만, 편향된 편집과 투표 조작으로 프로듀스 시리즈는 한국 방송 역사의 흑역사로 기록되었다. 수출 입 된 포맷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제작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수용자 중심의 문화번역이다. 독보적인캐릭터, 짜임새 있는 플롯, 개성 있는 전개 방식, 눈을 사로잡는 배경이라도 수용 국가의 방송 환경과 시청자를고려하지 않는 현지화는 실패로 귀결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국제적으로 교류된 TV 예능 프로그램을 원전 포맷과 비교, 분석하는 과정은 TV 예능 프로그램과 포맷의 학술적 가치를 재평가하는 계기가 되리라 확신한다. 또한본 연구는 국내 예능 프로그램의 상투성과 소재의 고갈, 자가 복제라는 한계를 극복하게 하여 국내 방송 콘텐츠수준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국가와 장르의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한 후속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at clarifying the meaning of the mechanism of localization through glocalism and cultural translation of TV entertainment program formats exchanged internationally. The following texts have been selected for the study: Let’s Go (Sichuan Satellite TV, China), Grandpas Over Flowers(tvN) and Better Late Than Never(NBC, USA), The Voice of Korea, The Voice, Produce Series(Mnet), AKB48(Huji TV), Let’s Go Explorers of Time(tvN). Let’s Go Explorers of Time is a reality program whose cast experience life of the past. The mission is given based on thorough historical research, which means the narration is focused on the event. Since China has a long and interesting history, they can make better use of the format than any other countries. Based on this their characters could be also expanded in variety, so Let’s Go made a great success in China. Better Late Than Never on NBC in the states is the program that imported the format of Grandpas Over Flowers on TV in Koera. Korean program brought the characters to the forefront, back-grounding the tourist attractions. On the other hand, Better Late Than Never took the opposite strategy. The program centers the extraordinary events and episodes the characters could experience only in the country they visited. Such staged events and backgrounds made the program close to a sitcom or a soap opera. This is the high degree strategy of localization for the American viewers unfamiliar to Korean reality program format. The Voice of Korea and Produce 48 failed in localization by overlooking the differences. The most significant format of The Voice of Korea is ‘the blind audition.’ The winners were selected solely by their singing ability completely excluding the contestants’ appearance, performance or private stories. Thus most viewers lost interest in the competent contestants who don’t need any improvement. Moreover, the winners were neglected in K-POP music market where beautiful appearances and spectacular performances are necessary. Produce Series imported the annual general election format from AKB48, Japanese girl band. The most important point of this format is that every winners were determined by 100% viewer voting. Produce Series attracted the viewers who are called the ‘National producers’ in the show. For this reason, the fairness and the objectivity is necessary for the success. But it has come to the worst program due to unfair editing and vote tampering. For the localism of successful formats and cultural translation, the ingredients of the storytelling should be processed and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importing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