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재해 및 재난 구호시 요구되는 정신보건사회사업서비스에 관한 연구

        신선인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0 No.-

        본 연구는 현재 우리 나라 공적 재해구호대책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재해정신보건사업의 필요성을 강조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재해정신보건사업이 활성화되어 있는 미국에서 실시한 관련 전문가들에 대한 면접조사와 문헌조사를 통하여 재해정신보건체계에서 사회복지사가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한국과 미국에서 각각 실시한 주민면접조사에서는 한국 주민의 재해시 정신보건서비스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가 미국 주민 못지 않게 높았으며 이를 위한 주요담당전문가로서 사회복지사를 선택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서 재해정신보건사업에 관한 사회복지적 대응이 매우 필요함이 파악되었다. 이러한 조사결과에 근거하여 우리 나라 재해구호체계에서의 정신보건사업의 활성화 방안과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attention to a disaster mental health system which has yet to be established in Korea, and to emphasize the role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in this setting. The study was based on an overview of disaster mental health systems in the United State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with disaster mental health workers and passers-by. Interviews were also done in Korea with locals of a disaster area and workers of the disaster relief system.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establishing a disaster mental health service program in the public disaster relief system in Korea. It is suggested that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broaden their point of view on their role from limited psychiatric social workers for the chronically mentally disabled to disaster mental health workers, which enable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evention service system of community mental health.

      • KCI등재

        구성주의와 정신보건 사회사업 실천의 접목에 관한 연구

        고미영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0 No.-

        정신보건 분야에서의 구성주의적 사회복지 실천은 아직 생소한 주제로 간주된다. 그것은 전통적으로 정신보건 분야가 다른 분야에 비해 의학과 심리학의 영향을 많이 받은 까닭으로 보인다. 이 논문은 전통적인 사회복지 이론에 대한 구성주의의 입장을 밝히고 정신보건 실천 분야와 관련된 구성주의적 실천의 원칙과 함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고는 모든 이론은 가치와 이념의 영향을 받고있으며 이는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임을 밝히고 이러한 과정을 실천에 반영하는 자아성찰적인 실천을 한 대안으로 제안하였다. 특히 내담자와 실천가의 협동작업으로 현실에 대한 인식과 정의의 폭을 넓히고 새로운 의미와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이야기의 생성을 변화의 내용과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21세기를 맞이하여 전 학문 분야에서 일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확산과 영향력은 막을 수 없는 거대한 흐름을 이루어 인문 사회과학에도 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회사업 실천에서도 이러한 사회적, 학문적 영향에 힘입어 조심스럽게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의 논쟁이 시작되고 있으나 아직 정신보건과 관련된 사회사업 실천에서는 그러한 논의가 매우 미미하다. 그것은 정신보건 분야가 사회사업 실천에서 가장 의학적이며 심리학적인 전통에 입각한 실천을 해왔고 그 학문들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는 점과 정신보건 분야의 뿌리가 과학적이며 객관적이라고 인정받는 경험론적 패러다임에서 출발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미 포스트모더니즘과 구성주의적 논쟁은 모든 경험론적 패러다임에 기초한 학문 분야에 강한 도전을 주었고 실용성과 유용성을 문제 삼아 비판의 수위를 높여가고 있는 이때에 정신보건 사회사업도 그 예외가 될 수 없다는 것은 명확하다. 구성주의의 도전은 이전의 전통과 이론들을 모두 말살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이전에 아무도 제기하지 않았던 인식과 지식에 대한 의미를 고찰해봄으로써 실천에 주는 함의를 새로운 각도에서 도출하는 것이다. 이것은 외부로부터 주어진 객관적 지식에 대한 맹목적인 수용에 대하여 회의를 가져보고 앎이란 무엇이며 그것을 실천한다는 것의 한계는 무엇인지를 고민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특히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은 무분별한 서구 이론의 수용으로 한국적 상황에 적절한 실천 방법이 아직 없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우리가 간과해버리기 쉽고 비판 없이 받아들인 많은 실천 개념과 방법들에 대한 반성을 요구하는 시점에서 구성주의적 논의는 적절하다고 보여진다. 또한 구성주의적 시각이 제시하는 실천적 함의가 어떻게 정신보건 사회산업과 연관되어 적절하며 대안적인 실천 방법을 제시하는 지 알아보는데 본 논문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정신보건 사회사업 실천에 관하여 구성주의가 어떤 점을 시사하며 현재 사용되는 이론에 대하여 어떤 입장을 가지고 있는 지를 먼저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새로운 시대와 내담자들의 욕구에 부응하는 실천의 가치와 방향을 구성주의적 실천 원리에 입각하여 모색해 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ideological nature of theory and the ways ideology becomes infused into social work theory and practice. Social work has been a value-laden practice through out its history. However, the narrowness of our conceptual frameworks does not allow the recognition of the value and ideology behind the so-called scientifically based theory and knowledge. The constructivist approach in mental health suggests to move away from the narrow application of the diagnostic labeling and the upholding of normality. Instead, the reflecting practice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get involved in the client's experience and to create a meaningful narrative that provides a broader choice for the client's life.

      • KCI등재

        애착이론과 임상사회사업

        이삼연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9 No.-

        유아와 아동의 연구에서 발달되었지만 오늘날 애착이론은 아동 뿐 아니라 사춘기 청소년 및 성인의 적응영역에까지 확장되어 임상사회사업계의 주요 관심분야에서 연구를 촉진하고, 그 연구결과가 임상사회사업 개입과정에 적용되면서 연구와 실천을 위한 통합적 이론 틀로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사회사업가들은 애착이론에 대해 그다지 친숙하지 않고, 현재 애착이론이 임상사회사업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애착이론을 소개하고, 임상사회사업분야에서 조사와 실천을 위한 통합적인 틀로서 애착이론의 유용성을 점검 해 볼 뿐 아니라, 애착이론의 활용을 통해 임상사회사업개입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해 보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애착이론의 발달, 주요 개념 및 가정 등을 살펴보고, 세 개의 주요 사회사업실천 이론(심리사회적 접근법, 자아이론, 인지적 접근법)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애착이론의 사회사업실천이론으로서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전통적으로 그리고 근래 임상사회사업계의 주요 관심분야인 아동복지, 사춘기청소년자살, 섭식장애, 가족갈등 등의 분야에서 애착이론의 활용상황을 점검해 보았다. 끝으로 애착이론의 효과적인 사회사업실천이론으로서의 성공 가능성과 개선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lthough originating form the study of infant and child developemnt, attachment theory has recently been extended into domains of adolescent and adult adjustment, and this emergent literature unders ores the theory's promise as an integrative framework for research and practice in clinical social work. It is noteworthy however, that attachment theoryt has not historically held a prominent position in clinical social work theory, or practice. Quite likely, because of its orignis in the stuudy of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many clinical social workers have not been exposed to the conceptual and empirical foundations supporting this theory and may not be aware of how contemporary theoretical extensions and applications now speak to important concerns and problems within clinical social work disciplin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ttachment theory, expolore the place of attachment theory in current social work practice and to propose ways in which it may further enhance clinical social work. The initial section of this article briefly reviews the theory's conceptual foundations and key assumptions and constructs And then its characteristics as a clinical practice model is esamined. Three appraches (psychosocial, self-psychology, and cognitive approach) to clinical social work are discussed in comparision to attachment theory. Then how attachment theory is utilized as a integrative feramework for research and practce in clinical social work is explored. In particular, applications of attachment theory to selected themes in child welfare particular, applications of attachment theory to selected themes in child welfare as well as adolescent and adult adjustment that have been both traditional and comtemporary concerns of clinical social workers are explored. Finally, in conclusion, attachment theory's promise, and the way in which it my be further enhanced as clinical social work model are discussed.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관에서의 정신장애인 재활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

        유수현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1 No.-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이 기존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일부 시설과 전문인력의 재배치와 보강을 통하여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지역사회복지관의 프로그램 가운데 정신보건관련 프로그램의 수행현황을 제시하여 적용가능성을 알아보았고, 정신보건법상에서 요구하고 있는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를 위한 재활프로그램의 설치 기준을 검토하여, 기존의 지역사회복지관이 그들의 조직과 인적ㆍ물적 자원체계를 최소한으로 보강함으로써 설치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지역사회복지관 가운데 시설규모와 인력규모에 있어서 이 프로그램의 적용가능성이 높은 기관에서 정신질환자의 사회복귀프로그램을 설치ㆍ운영한다면 복합적인 사회적응 문제로 고통받고 있는 정신장애인과 그 가족들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for the purpose of clarifying necessity to development of rehabilit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at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by utilizing their physical resources and relocation of professional social workers in this new programs. The initial section of this article briefly reviews current programs for helping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at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then bring up a legal standards and official requirements for the inauguration of a mental rehabilitation center. After discussion and exploration of possibility to apply this program, finally,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was recommended that mental rehabilitation program should be done as soon as possible since it has the requirements of mental rehabilitation center.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를 위한 정신보건정책적 현황과 실행과제

        김규수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1998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6 No.-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의 병원중심의 치료형태에서 지역사회중심의 사회복귀시설과 프로그램개발을 목적으로 당면한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를 위한 정책적 쟁점과 지원을 논의한 연구이다. 먼저 우리나라의 정신질환자의 추정인원과 이들 중 정신의료기관과 정신요양시설의 전반을 점유하고 있는 만성정신 장애인으로서 그 문제점, 탈시설화를 주장하면서도 정신의료기관의 병상수의 증가와 이들 의료기관과 요양시설의 격리 수용비의 45%를 정부가 재정적 지원하는 점의 그 운영비의 비효율성을 지적하였으며, 중진료권에 약 281명이 재활치료가 요구되는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해서라도 지역사회 중심 및 그 이용시설 중심의 사회복귀시설, 지역사회에 정신보건센타 등의 확충에 정책적, 재원적 지원이 요구되고, 그리고 이들을 위한 정신사회적 재활을 위한 프로그램 즉 환자와 그 가족을 위한 정신 사회적 교육, 장애인의 기능회복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직업훈련과 취업알선 등의 과제를 제안한 연구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e extension of delivery system and finacial supports on the community mental health and rehabilitative programs in community based facilit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and issues of chronic mental patients and study on political tasks and supportive approachs of rehabilitation mental patients. The political task have to trend mental hospital treatment of chronic mental patients change from institution based care to community based one. With the movement of deinstitutionalization, the political supports were need, the extension, various kinds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chronic mental disorders or the discharged patient,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needs to the development programs of the effective psychosocial intervention, such as family psychosocial education, patients education, and social skill training for discharge patient and chronic mental disorders, and their relatives at community based center.

      • KCI등재

        호주의 정신보건전략에 관한 연구

        최현미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2 No.-

        본 연구에서는 호주의 정신보건전략을 소개하고 우리의 지역정신보건에 함의하는 바를 생각해 보았다. 호주는 1992년 연방정부가 수립한 정신보건전략을 시작으로 탈시설화를 전폭적으로 시행에 옮김으로써 지역정신보건사업을 확장하여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호주의 정신보건제도를 연구하기 위하여 2001년 7월과 8월에 호주 멜버른대학교의 정신보건연구소에 체재하면서 관련기관을 방문하여 시설을 관찰하고 정부 담당자와 정신보건서비스기관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국가정신보건전략 이후 빅토리이주는 주정부의 리더십으로 재정문제해결과 정신보건사업 활성화를 이룩한 것을 살펴보았고 다양한 지역사회서비스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호주의 지역정신보건의 전문화와 그 진행과정을 통해 우리가 주목할 점으로는, 우선 호주정부가 지역 정신보건에 대한 의지와 전략을 성실히 이행함으로써 재정적인 문제해결은 물론 정신장애인을 위한 지원을 확대한 점과 일정 인구비율에 따라 정신보건서비스가 지역적으로 균형이 잡혀 있고 비교적 접근가능성이 높은 점이다. 호주의 경험을 통해 우리의 정신보건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중심단어 : 정신보건전략, 탈시설화, 지역정신보건, 팀접근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 national mental health strategy in Australia and to discuss about what it means to our mental health system. Starting 1992 Australia planned a national mental health strategy and fully implemented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mentally ill.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ntal health system I visited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and had interviews with their mental health workers in the state of Victoria of Australia during my stay at the Mental Health Unit at the School of Social Work, University of Melbourne in the period of July and August, 2001. In the state of Victoria, the state government closed down all of the mental hospitals and incorporated into the general hospital and established the area-based mental health services except the acute inpatient units which have only 20 beds in the general hospital.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Australian community mental health, what we koreans can learn include the Government's will for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services and the balance and the accessibility of mental health services in each area. The ways of developing our mental health system have been suggested. Key Words : mental health strategy, deinstitutionalization, community mental health, team approach

      • KCI등재

        정신의료사회사업 교과내용에 관한 연구 : 정신의료사회사업 강의계획 시안

        오창순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1997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 No.-

        본 연구는 정신의사회사업 교과내용의 표준화 작업의 일환으로 정신의료사회사업 강의계획 시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먼저, 전체적인 사회복지교육의 목표와 사회복지육의 기본요소인 가치, 지식, 기술을 검토하고, 이 세 요소가 정신의료사회사업 교과목에서 어떤 기준으로 반영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세운 후, 정신의료사회사업의 교과내용으로 다루어야 할 구체적인 내용들을 강의계획서 형식으로 제시하였다. One of the problems currently facing the education on social work is that due to the lack of a standard model in specific goals and contents of education, there is an arbitrariness and a lack of consistency in the contents of education at each and every educational institution even in the same subject. At the same time, there has been even no official agreement on what quality and level the contents of education should have with regard to an educational goal of producing trained personnel in this field.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re exists a large degree of variance in such contents of education depending upon each university or college, and upon each professor or lecturer. This study tried to present a model of a lecture program on psychiatric social work in an effort to introduce a standad model in contents of education in relevant subjects on the basis of such problems enumerated herein. This study, first of all, reviewed goals and purpose of the education on social work on the whole; scrutinized basic elements of the education on social work, such as value, knowledge, and skill; analyzed syllabuses on psychiatric social work which are currently under implementation at a total of 14 universities; and, finally, presented ditailed contents of education which should be dealt with in the field of psychiatric work in this regard. As a main theme concerning the contents of education, this study tried to introduce contents of education which can serve as a guideline for a changing social situation and for an active reflec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social work value, while breaking away from the past practice of simply conveying diffuse knowledge in a disorderly fash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