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자 인권실태조사에 대한 학교 업무 담당 교사의 경험 및 인식

        이미숙 한국특수아동학회 202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5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자 인권실태조사 담당교사가 생각하고 있는 특수교육대상자 인권실태조사에 대한 의견과 담화를 통해, 특수교육대상자 인권 실태는 어떠한지에 대해 살펴보고, 보다 바람직한 인권실태조사 시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특수학급의 특수교사 5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들 중 특수학교 소속 교사는 각 학교에서 장애학생에 대한 인권 업무를 담당하는 교사들이었고, 특수학급 소속 교사는 인권실태조사에 참여해 본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참여자는 인권실태조사에 대한 업무 담당자로서 다양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특수교육대상학생이 인권실태조사에 참여하는 응답 주체이기는 하지만 스스로 조사 참여에 어려움이 있다 보니, 학생 참여와 관련한 여러 가지 어려움과 문제들이 발생된다고 하였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인권실태조사의 조사표 문항 적합성에 대해 다양한 고민과 인권실태조사가 가지는 가장 중요한 제한점 중의 하나로 낮은 참여율을 언급하였다. 결론: 보다 안착화되고 의미있는 특수교육대상자 인권실태조사 시행을 위해 인권실태조사의 개선사항에 대해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uman rights situation of special education subjects through opinions and discourse on the human rights survey of special education subjec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more desirable human rights survey. Method: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five special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nd general school special classes, and among them, teachers belonging to special schools were teachers in charge of human rights affair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each school, and teachers belonging to special classes were teachers with experience participating in the human rights survey. Results: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 was experiencing various difficulties as a person in charge of the human rights survey. Second, although the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who participate in the human rights survey are the respondents, participants have difficulty participating in the survey on their own. As a result, it was said that various difficulties and problems related to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survey occurred. Third, the participants had various concerns about the suitability of the survey table questions of the human rights survey and the low participation rate. Conclusion: In order for the survey on the human rights of special education subjects to become more settled and meaningful, changes in the survey system and survey table were discussed.

      • KCI등재

        특수교육 종단조사에 대한 학부모, 특수교사, 특수교육 전공 교수의 인식

        권현수 ( Kwon Hyunsoo ),김경화 ( Kim Kyeong-hwa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1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대상자의 학부모, 특수교사, 그리고 특수교육 전공 교수들의 특수교육종단조사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안에 대한 제안을 하는 것이다. [방법] 경기도 지역의 특수교육대상자 학부모 252명과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 53명, 그리고 특수교육 전공 교수 67명을 대상으로 특수교육 종단조사의 필요성, 조사대상, 실시 목적, 특수교육의 교육성과, 조사결과의 활용 방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응답 결과를 빈도분석과 t검정, 분산분석 방법을 사용해 분석 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응답자들은 특수교육 종단조사에 대해 잘 알지 못하지만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사대상은 무상교육 대상인 영유아부터 전공과까지를 포함해야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수교육 종단조사의 실시 목적은 특수교육대상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있어야 한다는 응답을 하였고 특수교육의 교육성과는 일반교육과 차별화하여 학업 성취 이외의 부분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답하였다. 또한, 종단조사 결과는 법, 정책, 제도 개선을 위해 활용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결론] 특수교육 종단조사가 앞으로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특수교육 발전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특수교육의 특성을 고려해 조사 목적과 조사 내용을 수정할 필요가 있고, 종단조사 결과를 다양하게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professors about the Specia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SELS) in order to know the general understandings of stakeholder on SELS and suggest a better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it. [Method] A questionnaire obtained from 252 parents, 53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67 special education professors was analyzed to compare the perceptions of these participants. [Results]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 SELS was necessary even though they were rarely aware of it, the SELS subject should include all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under free education by the legislation(from infants to transition program students), and the purpose of the SELS as well as the outcomes of special education sh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 of special education oriented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lso, they insisted that the results of the SELS should be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make a better policy for special educ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SELS sh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and it was necessary to find the ways to reflect the results of SELS.

      • KCI등재

        일본 외무성의 경제재건구상과 조선연고자의 교차

        박경민(朴敬珉) 한일관계사학회 2015 한일관계사연구 Vol.50 No.-

        본고에서는 첫째, 일본의 경제재건구상을 외무성조사국 특별조사위원회의 조사 연구에 따른 보고서를 비교하는데 주목해서 일본경제의 ‘특수성’이 도출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특별조사위원회의 조사 연구에서는 초기 단계부터 ‘배상문제’가 중심에 놓이고 ‘외지상실’로 인한 경제적 영향을 분석하는 요인이 일본경제의 ‘특수성’의 주축이 된다. 둘째, 외무성조사국 제3과경제반의 경제적 관점에 따른 식민통치의 조사 연구에 주목해서 일본경제의 ‘특수성’이 조선연고자를 매개로 식민통치의 ‘특수성’으로 변용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일본경제의 ‘특수성’을 답습하는 제3과경제반은 장래 조선과의 외교관계를 염두에 놓고 경제적 관점에서 본 식민통치의 성격을 검토한다. 조사 연구의 첫 번째 의뢰자인 사사오 노부오의 보고서 제출을 기점으로 조선통치 평가에 대해 제국주의의 ‘일반성’ 혹은 ‘특수성’인지 대립양상을 보인다. 제국일본 식민통치의 ‘특수성’을 고집하는 외무성조사국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 것이 경성제국대학 교수를 역임했던 조선연고자, 스즈키 다케오였다. 결국, 특별조사위원회에서 도출된 일본경제의 ‘특수성’은 스즈키 다케오의 식민지권력에 힘입어 식민통치의 ‘특수성’이라는 개념으로 변용된다.

      • KCI등재

        특수교육 종단조사의 발전방안에 대한 인식

        권현수(Kwon, Hyunsoo),김경화(Kim, Kyeong-Hwa)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0 특수교육 Vol.19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가의 의견을 토대로 특수교육 종단조사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특수교사 5명, 특수교육 전공 교수 5명, 교육평가 및 측정 전문가 4명과 각각 포커스집단면담(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면담 결과는 전사하여 현장 기록 노트, 녹음파일과 비교하며 개방 코딩한 후 범주합산방법에 의해 연속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면담 내용은 특수교육 종단조사의 조사내용과 조사 설계라는 2개의 대주제로 분류되었고 이는 다시 7개의 소주제 및 21개 세부내용으로 정리되었다. 결론: 전문가들은 특수교육 종단조사의 조사내용이 특수교육의 특성을 살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조사 설계에 대해서도 전반적인 검토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이를 토대로 특수교육 종단조사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종단조사 결과의 활용도를 높이고 연구 활성화를 위한 지원을 해야 한다고 제안하였고, 전담 책임자 지정의 필요성도 언급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future direction and investigate the path to improvement for the quality of the Specia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SELS) based on the perceptions of professionals. Method: Focus Group Interviews(FGI) were conducted with three groups: fi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ive special education professors, and four educational measurement professionals. All collected data were transcribed and compared with field note and recording files and analyzed by open coding and categorical aggregation method. Results: As a result, two main themes emerged, including the contents of the SELS and the design of the SELS; seven sub-themes and 21 units were deriv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t is insisted that the SELS sh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and the SELS design should be modified to be an effective longitudinal study. Further, several suggestions for the SELS, such as improvement plan for utilization, supporting research activities, and appointing executive managers for the SELS, were proposed.

      • KCI등재

        특수교육 종단조사에 따른 특수교육대상자 역량 변화 분석

        권현수,김경화 국립특수교육원 2021 특수교육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014년부터 2020년까지 진행된 세 차례의 특수교육 종단조사 결과를 통해 특수교육대상자의 역량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4년 층화비례표집에 의해 추출된 초등학교 3학년, 초등학교 6학년 패널들의 학생역량에 대한 2014년, 2017년, 2020년 담당교사의 응답 내용을 반복측정 분산분석 방법으로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다수의 항목에서 패널들의 역량이 향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특히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배치되어 특수교육 서비스를 제공받은 패널들의 역량이 긍정적으로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 종단조사 결과를 통해 특수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고 특수교육대상자의 역량이 향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토대로 향후 특수교육 종단조사가 특수교육대상자의 역량 변화 이외에 심도 있는 다양한 분석에 활용될 수 있기를 바라며 발전방안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사 양성을 위한 직무수행능력 기준 개발 및 인식 조사 연구

        정대영,하창완,김문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riteria of competencies for trai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prior research analysis, and the first and second Delphi surveys, we developed the criteria of competencies for the training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nalyzed the teachers' perception toward the criteria of competencies through surveys. Based on the basic framework of the analysis that is the initial preparation standards for the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 Preparation Standards provided by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CEC) on 2015, the data was derived from five areas and 26 major components through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analysis. Based on this, the criteria of competencies for the training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nsisting 5 areas and 25 components was developed through first and second Delphi surveys.Based on the developed criteria of competencies, the overall level of perception among present special education teachers by area and element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erception survey, the order of components of criteria for competencies was rearranged to develop the final criteria of competencies for the training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 양성을 위한 직무수행능력 기준을 개발하는데 있다. 문헌연구 및 선행연구 분석, 1,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특수교사 양성을 위한 직무수행능력 기준을 개발하고 설문지를 통해 직무수행능력 기준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2015년 미국특수아동학회(CEC)에서 제시한 특수교육 전문 자격 기준(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 Preparation Standards)의 초급 자격 기준(initial preparation standards)을 분석의 기본 틀로 하여 선행연구 및 문헌 분석을 통해 5개 영역, 26개 주요요소로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5개 영역, 25개의 특수교사 양성을 위한 직무수행능력 기준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직무수행능력 기준으로 영역별, 항목별 현직 특수교사들의 전반적인 인식 수준을 조사하였다. 인식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수행능력 기준의 구성요소 순서를 재배열하여 최종 특수교사 양성을 위한 직무수행능력 기준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제언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경기도 특수교육정책에 대한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및 만족도에 대한 연구

        강은영 ( Kang Eun-young ),최나리 ( Choi Na-ri ),박찬우 ( Park Chan-woo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9 지적장애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경기도 특수교육정책에 대한 특수교육 서비스 제공자인 특수교사와 특수교육 서비스 수혜자로서 학부모의 인식 및 의견을 분석하여 향후 특수교육정책이 지향해야 하는 방향성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서 시행 중인 특수교육 정책 중 진단배치, 특수교육 교육과정, 개별화교육계획, 통합교육, 방과후학교, 진로·직업교육, 긍정적 행동지원 운영, 전문적학습공동체를 중심으로 총 365명의 특수교사와 총 233명의 학부모의 의견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우선 특수교육정책을 분석한 후, 주요 정책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 적절성 및 효과성 등을 묻는 문항을 개발하였고, 이를 온라인 설문 도구를 통해 설문 응답을 수합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육 현장의 주체인 교사와 학부모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특수교육정책 수립의 필요성을 제시하여 특수 교육대상학생을 위한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기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 regarding the special education polici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2017 Gyeonggi special education policy guidelines, such as educational appropriateness and necessity of perreferal intervention, improvement of the operation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operation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inclusion, after school, and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documents were reviewed. After analyzing the Gyeonggi special education policy guidelines, questionnaire about the perception, necessity, appropriateness, and effectiveness of major policies was developed. A total of 365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233 parents' responses through onlin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and synthesi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special education policy that reflects the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was founded and the policy implications for securing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the students who need special edu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자의 학생 역량, 사회적 통합, 행동문제에 대한 2014년과 2017년 종단조사 결과 비교

        권현수(Kwon, Hyunsoo),김경화(Kim, Kyeonghwa),오영석(Oh, Youngseok)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 Vol.17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자의 학생 역량, 사회적 통합, 행동문제 영역에 대한 특수교육의 교육적 성과를 확인하고자 2014년과 2017년 특수교육 종단조사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초, 중, 고등학교 특수교육대상자 중 학년과 배치형태 등을 고려하여 층화표집의 방법으로 선발된 패널을 대상으로 2014년과 2017년에 실시된 조사 결과를 빈도분석과 t검정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14년에 비해 2017년에 학생 역량이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특수학급에 배치된 학생들의 역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사회적 통합 수준도 향상되었고 학생의 행동문제도 개선되는 모습을 보여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그리고 일반학급에서 실시되는 특수교육이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특수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도 치밀한 연구 설계에 의한 종단조사를 통해 유용한 정보를 수집하고 특수교육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 제도적 지원과 노력이 지속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outcomes of special education via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Special Education Longitudinal Survey in 2014 and 2017. Method: Special education students were selected by stratified sampling method, and their teachers responded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student capability, social inclusion, and behavioral problems. The responses between 2014 and 2017 were compared. Results: The students’ capabilities were improved, their inclusion status was enhanced, and the behavior problems decreased during the 3 years. Especially,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were educated in special classrooms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outcomes in every aspect. Conclusion: Special education was effective and successful in improving the capabil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is the first longitudinal study to confirm the outcomes of special education and demonstrates effectiveness in improving the academic, social, and behavioral competenc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ceiving special education. However, continuous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special education as well as develop a better research methodology for a longitudinal study investigating special education needs.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경제교육 실행에 대한 교사 요구

        문경아 ( Moon Kyung-ah ),권미영 ( Kwon Mi-you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8 No.2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학생들에게 필요한 경제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기초조사연구로 K도와 D시에 재직 중인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요구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을 가르치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총 25문항의 설문지를 통하여 나온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경제교육에 대해 교사들은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특성에 맞는 경제교육이 필요하다고 요구하였으며,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경제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로 경제교육을 실시할 전문 인력의 부족과 경제교육 프로그램의 부재, 행정적 지원이 부족하다고 나타났다. 또한 경제교육을 실시할 경우 참여 의사가 높게 나타났고, 경제교육의 구체적인 방안으로 지역사회와 연계된 상호보완적인 방안의 구성과 전문 지도자의 프로그램 개설방안을 모색하도록 요구하였다. 둘째,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경제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교사들은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특성과 요구수준에 맞는 새로운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요구하였다. 교사들은 경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할 경우의 문제점에 대해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맞는 경제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새로운 경제활동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의 구성방안에 대해 창의융합프로그램의 개발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일반교육환경에 있는 특수교육대상학생들에게 보다 쉽게 이해하고,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경제교육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의 필요성을 논의하였으며, 이러한 요구수준을 반영한 다양한 연구들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of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K and D city as a basic investigation research to suggest various needs for the economic education through the survey on the needs for the implementation of economic education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150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teaching special education students, an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consisting of 25 question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quest investigation for the economics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showed that economic education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was needed. The reason why the economics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is not well done is the lack of specialists in economics education, the lack of administrative support, and the absence of economic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it showed that the training of economic education is needed at a very high level, and the need for constructing a complementary plan linked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the establishment of programs for professional leaders. Second, the demands of teachers for economic education program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shows that experience of economics related education and programs was very poor, based on these needs,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programs related to the economy was high. In addition, a new program of economic education that meets the need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is needed.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need of supports for economic education which the special education students in the general education environment can understand easily and train through various activities, and proposed a variety of studies that reflected this level of demand 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