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로운 신 과학에 올라탄 제국과 식민의 동상이몽 -퀴리부인 전기의 소설화를 중심으로-

        김성연 ( Sung Yeun K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1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4

        이 논문은 현재 대한민국 대중이 여전히 공유하는 특정 인물의 생애에 관한 서사가 수용·생산된 기원을 찾아가는 사적 접근을 통해 이에 투영되어 있는 작가와 독자의 욕망을 파악하고자 했다. 1930년대 후반 퀴리부인의 전기가 식민지 조선에 수용된 양상을 살펴보면 근대화와 식민화가 동시에 진행되던 당대의 열망을 극명하게 드러난다. 퀴리부인의 전기는 프랑스에서 발간되어 일본을 거쳐 일제하 조선에서까지 흘러들어와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러시아 식민지였던 폴란드 출신 프랑스 이민자, 즉 Franco-Polish인 여성 과학자 퀴리부인은 인류의 공헌자로 미화되었으나 현실적으로 프랑스에서는 이민자로서의 정체성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퀴리부인이 일본을 거치면서 직분에 충실하여 조국에 봉헌한 인물로 틀지워졌고 식민지 조선에 이르러서는 식민지인으로서의 성격을 강력하게 부여받았다. 퀴리부인 전기의 수용 과정에서 보이는 국가별 초점 차이는 근본적으로 하나일 수 없는 ``개인-민족-국가(모국/체류국)-인류`` 사이의 균열로 인한 것이었다. 퀴리부인 전기는 노자영에 의해 조선어 번역본도 나왔으나 식민지 조선 독자들에게는 일본어번역본으로 주로 읽혔으며 주요 일간지의 소설로 연재되기도 했다. 이들을 읽은 독자 반응과 텍스트 분석을 통해 식민지 조선인 작가와 독자들이 타국의 ``가난한 식민지 여성``의 성공 수기를 조선적 현실에 접목시키며 ``과학``을 통해 민족적, 계급적, 젠더적 한계 초월을 꿈 꾸었음을 밝힐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수용자들의 욕망은 퀴리부인의 ``전기``를 ``소설``로 장르 변경하는 과정에서 대폭 첨가된다. 농민작가 이무영에 의해 소설화된 퀴리부인은 첫사랑으로 의인화되고 농촌의 흙으로 물질화된 모국 폴란드를 강조하여 프랑스를 선택한 그녀가 배신자인지 여부를 논하는데 서사의 일부를 할애하게 된다. 작가는 허구의 장르로 전환시키면서 조선의 현실을 첨가했으면서도 표면적으로는 폴란드를 고증 한 여성 과학자 전기임을 강조했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검열을 피해갈 수 있는 전략이 되었다. 이렇게 제국과 식민은 각각의 필요에 따라 인생역전, 민족·국가 부흥, 근대 초월의 욕망에 과학자 전기를 활용함으로써 ``과학`` 이라는 신화를 차용하고 있었다. The life story of Madame Curie has itself potential cracks among ``individual, ethnic, nation and world``. Especially the Colonial Koreans read the story as a real example of overcoming ``gender, ethnic and class`` distinction by the tool of modern science. In this article, I traced the origin and the history of Madame Curie`s Biography in the Colonial Korea. Throughout the empirical study, I could determine exactly what text the readers read and how they impressed. They read a Japanese translated biography or a novelized Korean version, and they sympathized her status, colonies people. From a cultural historical and comparative literature approach, I could distinguish the different focus among their narratives. Although generally Madame Curie was known as a contributor to world civilization, in France, the first publishing place, she was called Franco-Polish who had immigrated from Poland ruled by Russia to France. However, when Japanese wrote and read about her, she was a woman who was faithful to her duty and her nation. At last, the Colonial Korean accepted the story via Japanese version, and they focused on her national identity of a colonized people. Though the serialized novel about her life announced itself a Polish real story, actually it did edit the reality of the Colonial Korea. At that time, Japan encouraged their people self-help stories like Madame Curie`s biography. So strategically, although the story of Madame Curie which advocated Korean nationalism in the colonial period, it could go through Japanese censorship.

      • KCI등재

        이승만·장제스 정부의 군사적 위기, 협력모색, 그리고 좌절(1949-1950)

        정형아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9 군사 Vol.- No.112

        6·25전쟁 발발 이전 대한민국과 중화민국은 친미를 표방하며 미국의 원조에 의존하여 당면한 문제를 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미국은 양국이 바라는 군사적 지원에 대해 방관적이고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양국정부는 미국의 이러한 태도를 당시 양국의 군사적 위기로 간주하였다. 특히 고조되어가는 양국의 위기의식을 최절정에 이르게 한 사건은 ‘주한미군철수’와 ‘중미관계백서’발표였다. 냉전체제에서 미국은 자유진영의 리더적인 위치에 있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자국의 이익을 무시하고 자유진영 국가를 지지하고 지원할 수는 없었다. 동아시아에서 한국과 대만이 미국의 이익에 얼마나 절대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인가라는 물음에 미국은 긍정적인 답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게다가 미국정부는 대체로 이들에 대한 군사적 지원이 동아시아에서 이념대립을 고조시킬 수 있다며 우려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처음 북대서양조약과 같은 반공동맹을 주장했던 퀴리노가 미국의 회유에 의해 생각을 철회하고 반공동맹을 경제, 문화적 관계로 변질시켰던 것이다. 당시 이승만과 장제스는 미국을 설득하여 계속적인 군사지원을 획득하려 하였다. 그 첫 번째 방법으로 태평양동맹에 관한 논의를 지속하기 위해 진해회담을 추진하였다. 한중양국의 결연한 의지가 미국을 압박할 수 있을 것이라고 계산한 것이다. 그러나 미국의 태도변화가 그다지 낙관적인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다른 한편 한중양국은 차선책을 염두에 두어야 했다. 그것은 바로 양국 상호간의 군사협력이었다. 한국은 미국에게서 얻은 경제원조로 미국의 무기를 구입하려는 시도를 꾀하였지만, 그것이 여러 차례 난관에 부딪치자 대만에서 군수물자를 구매할 구상을 하였고 구체적인 구매내역을 보냈다. 한편 대만은 제주도를 대륙에 반격할 수 있는 군사기지로 구상하였다. 그러나 장제스의 이러한 구상에 대해 한국정부는 근본적인 논의조차도 없었던 것으로 부정하였다. 이승만과 장제스의 상호 군사협력 모색은 미국의 원조가 막혀 있을 때 그 차선책으로 모색된 것이었다. 그러나, 이승만과 장제스가 생각하는 상호협력은 다른 것이었다. 이후 이승만은 미국에게서 무기원조를 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장제스의 부담스러운 제의를 거절할 수 있었다. 게다가 이승만은 퀴리노의 반공동맹이 변질되어 경제, 문화적 관계로 국한된다 하더라도 따를 것이라고 천명하였다. 그는 미국과의 친밀도에서 퀴리노의 역할이 장제스보다 더 확고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심지어 이승만은 동맹에서 장제스의 중국국민당을 제외시키자는 주장도 수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들이 표방한 반공동맹은 냉전시기에 표출된 가장 일반적인 형식이었다. 동맹을 맺는데 있어 기반되어야 할 것은 각각의 정권이 기반을 갖추고 영속될 수 있도록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전통질서 속에서 중국과 한국은 순망치한의 관계로 서로 의지해야 할 상대였다. 그러나 6·25전쟁을 전후로 장제스정부는 풍전등화와 같은 나약한 정권이었다. 또한 한중양국 모두가 의지해야 할 최우선의 배경은 바로 미국이었고, 미국에 의해 그들의 관계도 변화할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의 태도에 따라 한중양국은 우방이었으나 불가분의 우방은 아닐 수 있었다. 미국도 자신의 이익과 안정보장을 염두에 둔 국제관계를 전개해야 하는 상황에서 적어도 6·25전쟁이 발발... Before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Republic of China claimed to be pro-American and tried to address pending issues, counting on aid from the United States. The U.S., however, assumed an indifferent and passive attitude toward military assistance that the two countries wanted to receive. The two governments regarded the similar attitude of the U.S. government as a military crisis in both countries. In particular, at the peak of the sense of crisis in the two countries were the announcements of the “withdrawal of the U.S. troops in Korea” and the “White Paper on the republic of China(Taiwan)-US Relations.” In the Cold War, the U.S. played a role as a leader of the free world, but that did not mean the nation could unconditionally support and assist others in the free world, ignoring its own national interests. The U.S. was not able to give a positive answer to the question about whether the influence of Korea and Taiwan in East Asia on the U.S. interests could be undeniable or not. Moreover, the U.S. government was concerned about a possibility that its military assistance to the two countries could heighten ideological conflicts in East Asia. For this reason, Elpidio Quirino who insisted on forming an anticommunist alliance like the North Atlantic Treaty withdrew his stance by the conciliation of the U.S., and changed into the anticommunist alliance into economic and cultural relations. Back then, Syng-man Rhee and Kai-shek Chiang tried to persuade the U.S. to continue to provide military assistance for the two nations. One of their attempts was the Jinhae Meeting held to carry on discussions on the Pacific Alliance. The two leaders seemed to think that their determined attitude would press Washington. However, as the U.S. did not show a positive change in its stance, the two countries had to have an alternative plan in mind, which was military cooperation between the two nations. Korea attempted to purchase arms from the U.S. with the economic aid that Korea received from Washington, but reached a deadlock several times. Korea planned to purchase war supplies from Taiwan and sent a detailed list to Taiwan. Meanwhile, Taiwan planned to set up a military base in Jeju Island to launch counterattack mainland China. However, the Korean government denied its involvement in Chiang’s plan, saying there was no discussion about it at all between the two nations. Syng-man Rhee and Kai-shek Chiang’s attempt to seek military cooperation was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plan in case aid from the U.S. would be seized, but the bilateral cooperation that the two leaders envisioned was different. Later, Rhee was able to receive arms aid from the U.S., and thus to reject Chiang’s burdensome proposal. Moreover, Rhee made clear that he would follow Quirino’s anticommunist alliance even if the alliance was degenerated and was limited to economic and cultural relations. He came to think that the role of Quirino in its relation with the United States was stronger than that of Chiang. Rhee even said that he could accept the suggestion to exclude Chiang’s Kuomintang of China from the alliance. The anticommunist alliance that they claimed to support was the most commonly observed form during the Cold War. What mattered in forming an alliance was whether each government had a solid and lasting foundation. The relation between the republic of China and Korea in the traditional order was intimately interdependent, and they had to count on each other. Around the time of the Korean War, however, Chiang’s government was weak like a candle flickering in the wind. In addition, the background that both Korea and the republic of China had to prioritize was the U.S., and the two nations’ relation could be affected by the U.S.. For this reason, Korea and the republic of China were allied due to the attitude of the U.S., but the alliance was not inseparabl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S. that had to mai...

      • KCI등재

        피에르 퀴리의 노벨상 강연의 수사 비평

        구자현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人文硏究 Vol.- No.91

        This paper analyzes by means of the classical rhetoric and dramatism the Nobel Lecture of Pierre Curie who won the Nobel Prize in Physics in 1903. The classical rhetoric reveals that the speaker focuses on the discovery of radioactivity and its consequences in a variety of fields, and that he enhances the logos by the logical explanation of the test of competing hypotheses on the energy source of radioactivity, mobilizes the ethos by showing the speaker’s contribution on the discovery of radioactive radium and the clarification of its features, and utilizes the pathos by provoking hope and fear through expecting the benefits and dangers of radioactivity. It also reveals that Curie pursues the exactness of the delivery of information through contrast and enumeration, and that he enhances the effectiveness of delivery and the audience’s interest by the demonstration experiments. The dramatistic analysis reveals that the rhetor takes note of the colleague scientists as ‘agents’ in the ‘acts’ of experimental researches on radioactivity, that he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investigations were possible by the ‘agency’ of radioactive materials, emphasizing the consequences of radioactivity in the ‘scenes’ of various fields, and that he pursues the public welfare by presenting the ‘purpose’ in relating the agents’ passion of investigating the nature to human benefits. 이 논문은 190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피에르 퀴리의 노벨 상 강연을 고전 수사학과 드라마티즘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고전적 수사학에 따르면 강연자는 방사능의 발견 과정과 그것이 갖는 다방면에서의 귀결에 초점을 맞추면서 방사능의 에너지원에 대한 대립하는 가설 중 하나가 선택되는 과정에 대한 논리적 해명을 통해 ‘로고스’를 고양하고, 방사능 발견과 그 성질의 규명에서 강연자가 기여한 점을 드러냄으로써 ‘에토스’를 확보하고, 방사능의 유익과 위험성에 대한 예고를 통하여 희망과 두려움을 유발하여 ‘파토스’로 활용한다. 강연자는 대조와 나열을 통하여 정보 전달의 정확성을 추구하고 시범 실험을 동원하여 주제 전달력과 청중의 흥미를 드높인다. 드라마티즘의 분석에서는 강연자가 동료 연구자들이라는 ‘행위자’의 방사능에 대한 실험 연구 ‘행위’는 방사능 물질이라는 ‘수단’으로 가능했음에 주목하고, 다양한 분야라는 ‘배경’에서 방사능의 귀결들을 강조한다. 또한 강연자는 자연 탐구의 열정을 인류의 유익에 연결시켜 연구의 ‘목적’을 제시함으로써 과학 탐구가 공공선을 추구한다는 점을 드러낸다.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지안 로렌조 베르니니의 건축공간의 해석에 관한 연구 : 건축에 적용된 조각의 도상해석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Focused on the Iconological Analysis of Sculptures added to Architecture

        남경훈,이강업,진경돈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19 No.2

        This study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Gian Lorenzo Bernini's inclusive architecture by means of the icon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architecture and sculpture.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f Bernini's sculpture and architecture apart, and it is the fact that especially studies of his architecture have remained at stylistic one. However it is not so much difficult to find the ensemble made by symbolic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sculpture in Bernini's works.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d Erwin Panofsky's Iconology methodologically to analyze his architectural works and to show that they could be interpreted from sculpture added to architecture. According to iconological analyses about Bernini's Sant' Andre al Quirinale and Scala Regia, followings were investigated. Firstly, The sculptures added to each architectural space are not simple baroque decorations but project symbolic meanings such as the religious symbolism, the historicity of site, and the needs of the time. Secondly, each architecture and sculpture organize spatial characteristics in harmony by means of the projected symbolic meaning. Thirdly, the motive which make him add many sculptures to architectural space are neo-platonism, city planning of Baroque, and political reasons which reinforce the papacy.

      • KCI등재

        ‘틀림’을 넘고 ‘다름’과 함께 ‘일치’를 향해 가는 개혁의 방법을 찾아서

        최현순(Choi, Hyeon Soo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8 神學展望 Vol.- No.202

        본고에서는 16세기 가톨릭 카말돌리회 수도자들이 『교황 레오 10세에게 보낸 서한』과 루터의 독일 민족의 귀족에게 호소함 에 나타난 그리스도교 개혁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각각의 개혁안을 비교함으로써 분열이 아닌 일치가 가능한 개혁 방법을 모색하였다. 두 서한은 당시 신자들의 생활, 수도생활, 교황궁 상황에 대하여 공통된 문제의식을 가졌다. 그러나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에서 카말돌리회 수도자들은 하느님 말씀에 대한 무지를 그리스도교적 삶의 타락에 대한 주 원인으로 보고 이로부터 초래된 미신적 신앙생활, 우상 숭배, 분열 등의 문제에 주목한 반면, 루터는 교황궁의 부패, 특히 교황을 비롯하여 교계 제도에 속하는 사람들이 신앙생활을 돌보는 것보다 현세적 재화를 탐하는 상황에 더 집중하고 있다. 이로부터 교회 개혁의 공통된 필요성을 이야기하면서도 개혁 방법에 대해서는 차이를 보인다. 여기에는 교회론적 차이도 기여한다. 카말돌리회 수도자들은 교황이 주도권을 취하는 교황주도적 개혁을 제안하는 반면, 루터는 만인 사제직 개념에 근거, 평신도인 독일 귀족들에게 개혁을 주도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서한 모두 근본적으로 하느님 백성에 대한 사목적 관심에서 출발하고 있고, 그리스도교적 삶의 본질로 돌아가야 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보이고 있다. 특히 공의회의 중요성을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이는 공의회가 역사 안에서 함께 걸어가는 하느님 백성의 구성적 특징인 공동 합의성을 결정적으로 드러낸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다. 공의회를 통하여 그리고 실천적 차원의 개혁이 조속히 이루어졌다면 분열까지는 가지 않았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개혁을 지향하는 공동체가 구성원에 대한 사랑에 기초하고 공동체가 공통의 목표를 인식하고, 공통의 지향점을 가지고 있는 한,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는 가운데 대화와 소통을 통하여 분열이 아닌 일치를 지향하는 개혁은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to find a way of reformation of an community without damaging the unity, on the basis of a comparative study of Libellus to Leonem X by Camaldolese and the Open Letter to the Christian Nobility by Martin Luther. The authors of both documents commonly criticize the Christian situation at in that time: corruption of Christian life, religious life and Roman Curia. But their points of view are different: Camaldolese emphasize the aspect of the internal life of the church, and he considered consider ignorance about the faith and Word of God as the fundamental cause of Church corruption. Luther emphasized the corruption of the Roman Curia especially in the question of their living style 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Hierarchy of the Church is more interested in secular things than the questions of faith. Moreover their ecclesiologies are different: Camaldolese holds a typical ecclesiology of the Catholic Church in epoch, where as Luther holds an ecclesiology in which the concept of sacerdotium universale is an important axis. This is why the ways of reforming the church in two documents are different. Camaldolese propose a model in which the initiative and the leadership of reformation are attributed to Pope. But Luther attributes these to lay nobles. Nonetheless the authors of two documents have some important things in common: love for God’s people as a starting point for reformation, and hope of restoring the authentic life of Christianity. Specially both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 council for the Church reformation, which is significant because a council is excellent realization of “synodality”, the characteristic of the People of God in the History. Thus a reformation without division would had been possible if the practical reformation in Christian life have succeeded before the Church division, specially through Council. Therefore in a community that wishes to ameliorate its situation, it would be possible to reform without damaging the unity of the community, if a reformation is founded on love towards all members, the purpose of the community is commonly recognized by all members, and they can communicate to each other, accepting the differences of others.

      • KCI등재

        마리오 드라기 정부의 주요 정책과 이탈리아 정치변동

        김시홍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22 EU연구 Vol.- No.61

        마리오 드라기 정부는 2021년 초 주세페 콘테 내각이 붕괴하면서 위기관리내각으로 출범하였다. 이탈리아는 2010년 재정위기 이후 이민·난민위기를 거치면서 포퓰리즘 세력이 득세하여 유럽통합에 대한 여론이 악화된 바 있다. 이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정당들의 지지로 출범한 드라기 내각이 이탈리아 사회에 요구되는 개혁작업에 성공할 수 있는가를 규명할 것이다. 연구를 통해 마리오 드라기는 유럽중앙은행 총재직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국제적으로 신인도가 높은 인물이라는 점이 상당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는데, 이는 독일과 프랑스 중심의 통합 구도에서 이탈리아가 포함되는 삼각체제로 리더십이 구성되는 결과를 야기하였다. 팬데믹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유럽 차원에서 마련된 차세대기금의 규모와 국별 시행계획의 승인과정에서도 드라기 총리의 개인적 카리스마가 상당부분 작용하였다. 그러나 2022년 1월 대통령의 선거를 거치면서 드라기 정부를 지탱하는 정당들 간 그리고 개별 정당의 내부 사정이 불안한 면모를 보여주어 앞으로의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2023년 봄 예정된 총선을 염두에 둔 정쟁과 갈등이 재현될 경우 드라기 정부의 개혁드라이브도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정치변동의 차원에서 드라기 정부가 갖는 함의와 추세를 중장기적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