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교육 역량 도출

        엄지,이건남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4 實科敎育硏究 Vol.2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진로교육 강화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에게 요구되는 진로교육 역량을 델파이 연구를 통하여 도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진로교육과 관련된 역량에 대한 선행연구를 비교·분석·종합하여 진로교육 역량 초안을 작성하고 이를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교육 역량을 도출한 후, 도출된 역량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12명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수정·보완을 거쳐 최종적으로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교육 역량을 확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인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교육 역량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교육 역량은 최종적으로 6개의 역량군과 17개의 역량으로 확정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역량을 도출함에 있어서 이론적인 측면과 현장의 의견을 반영하였다. 대부분의 역량에 대하여 교수 및 연구원 집단과 초등학교 교사 집단이 갖는 인식이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다만, 교수 및 연구원 집단은 이론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는 반면 초등학교 교사 집단은 실제 현장에서 발휘할 수 있는 기능적인 측면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반영되었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역량에 대하여 전문가 패널들로부터 타당성을 확보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 개발된 역량의 체계는 향후 관련 연구나 후속 연구에서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도출된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교육 역량이 초등학교 진로진학상담교사와 관련한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raw career educational capabilities required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the delphi study so as to strengthen career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o achieve the purpose, this researcher explore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s career education, compared ·analyzed·generalized precedent researches for capabilities related to career education, wrote a draft of career education capabilities, drew career education cap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the expert conference, conducted two times of delphi study for 12 expert panels so as to verify validity of drawn capabilities and confirm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pabilities of career education finally through the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pabilities of career education have the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pabilities of career education were finally confirmed by 6 capability group and 17 capabilities. Second, in developing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pabilities of career education, theoretical aspects and the opinion of the school field were reflected. Third, Arrangement of career counselling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is actively discussed. So,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reer education capabilities drawn in this research should be applied as basic data for studies related to elementary school's career counselling teachers.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 도입에 따른 초등 진로교육의 방향성 탐색

        정진철,김재호,방재현,남중수,정지은,이현민,임소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도입에 따른 초등 진로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에 따라, 첫째, 초등학교 진로교육 특성 및 현황 분석, 둘째,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 직무 및 역할 도출, 셋째,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 직무 및 역할에 따른 초등학교 진로교육 변화 방향 도출이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를 종합하고 분석하였으며 전문가 검토를 거쳐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는 선행연구의 종합 및 분석을 통해 크게 기획, 운영, 평가로 구분하여 총 11개의 직무를 제시하였으며 직무에 따른 초등학교 진로교육 운영의 방향 또한 기획, 운영, 평가로 구분하고 11개의 직무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직무에서 진로전담교사와 학교관리자, 담임교사의 역할과 협력방안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direction of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placement and role of elementary career teachers. Specific contents of this study was to accomplish the research goal as follows: firs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second, to derive the duty and role of the career teacher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third, to derive the change direction of career development in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e duty and role of the career teache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ynthesized related literatures and previous researches and analyzed, then we obtain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rough expert re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uggesting 11 tasks of career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second, dividing a total of 11 tasks into planning, operation, and evaluation, third, proposing the roles and cooperation plans of career teachers, homeroom teachers, and principles in each job.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우수 교사 특성에 대한 개념도 연구

        고재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1 No.3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우수 교사의 특성이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우수 교사 특성들의 개념적 구조와 중요도는 어떠한가 이다. 이를 위해 2개 시⋅도 교육청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22명을 대상으로 개념도 연구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들 연구대상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46개의 최종진술문들을 추출하고 이것들을 범주화하여 평정한 뒤 다차원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개념도를 작성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우수 교사의 특성을 개인-조직 차원과 교사-학생 차원의 두 가지 차원에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우수 교사의 특성요인은 5개 군집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생활지도를 잘하는 교사, 교수⋅학습지도를 잘하는 교사, 업무처리를 잘하는 교사, 자기관리를 잘하는 교사, 대인관계를 잘하는 교사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우수 교사의 특성들은 생활지도와 교수⋅학습지도와 관련된 특성들이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초등학교 교사들이 중요하다고 판단한 우수 교사의 특성들은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가르친다, 학급관리에 능숙하다, 학생들과 의사소통을 잘 한다,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잘 유발시킨다, 학생중심으로 수업을 충실히 한다, 교육에 대한 사명감과 뚜렷한 교육관을 가지고 있다 등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5가지 우수 교사의 특성요인은 바로 교수⋅학습지도, 생활지도, 사무처리, 자기관리, 대인관계와 같은 초등학교 교사의 일반적인 자질 및 역할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우수 교사의 특성 요인들 중에서 생활지도 및 교수⋅학습지도와 관련된 특성 요인들을 더 중요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우수한 초등학교 교사의 특성에 대한 개념적 구조를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초등 무용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무용 지도 능력 향상 방안

        배진경 한국스포츠리서치 2008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9 No.2

        현재 초등학교 무용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은 현장 교사들의 전문성 부족 및 이에 따른 자신감의 결여로 무용 수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데 있다. 이 연구는 현재까지 보고 된 무용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점들을 문헌 연구를 통해 보다 심층적이고 통합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초등 무용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무용 지도 능력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무용 지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사교육자들은 예비교사들 스스로가 자신을 ‘비 무용인’이 아니라 ‘초보 무용수’라는 인식을 갖도록 지도해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무용 지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사교육자들은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이 무용 교육의 필요성 및 그 교육적 효과, 무용과 체육활동의 차이점 등에 대해 잘 알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셋째,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무용 지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사교육자들은 교육대학생들의 실기 능력 배양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자신의 실기 능력 배양을 위해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은 움직임의 구조와 원리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이를 다양한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 창의적으로 구성하여 표현해 낼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무용 지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사교육자들은 초등학교 무용 수업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한 수업 지식 예를 들면, 다양한 수업 모형이나 지도 방법 등에 대해 정통(精通)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초보 무용수로서의 입문, 무용에 대한 올바른 이해, 움직임의 구조와 원리에 입각한 실기 능력의 배양, 실습을 통한 효과적인 무용 수업 지식의 획득 등에 주안점을 둔 초등교사 양성기관의 무용 강의는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무용 수업에 대한 자신의 철학, 이론, 실기, 수업 지식 등을 견고히 함으로써 초등 무용교육의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융합인재(STEAM)교육의 특수교육현장 적용을 위한 초등학교 교사와 특수학교 초등교사의 인식비교

        권미영 ( Mi Young Kwon ),변찬석 ( Chan Suk Byu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4

        본 연구는 현재 일반 초등학교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융합인재(STEAM)교육의 확대 실시를 위한 기초조사로서 초등학교 교사와 특수학교 초등교사의 인식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D시의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269명과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초등교사 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 술통계의 빈도분석, 교차분석과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통해 두 집단 간의 인식을 비 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융합인재교육과 관련된 정보의 인식과 연수경험에 있어서 초등학교 교사들이 특수학교 초등교사들보다 훨씬 더 많은 정보와 연수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융합인재교육의 필요성과 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초등학교와 특수학교 초등교사들 모두 공감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융합인재교육과 관련된 연수에 두 집단의 교사들 모두 높은 참여의사를 표명하였으며, 연수의 교육내용에 관해서는 이론보다는 융합인재교육의 수업유형 및 사례와 교육자료 개발의 방향 및 실제를 훨씬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 교사와 특수학교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융합인재교육의 교육적 경험과 요구 조사연구를 실시하여 특수학교에서 융합인재교육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이와 관련해 현장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질적인 연수실시와 강화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elementary school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school teachers`` perceptions toward STEAM education as the basic survey for the expansion of the STEAM education.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argeting 269 general teachers and 73 special teachers working at the elementary and special schools in D city and using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the frequency analysis, the cross-analysis of the ratio,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the difference of perceptions between two groups about the information of STEAM education, the experience of actual application to class of STEAM education, and the training opportunities in STEAM education and the career working at research school. The teachers at the elementary schools had more information and experience than the teachers at the special schools. Second, two groups of teachers agreed to the need and the expected effects of STEAM education, and the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y thought the STEAM education provide a new way of learning opportunities, and increase learning skills and learning interest. Finally, the two groups of teachers expressed the active participation in the training related to STEAM education. And with regard to the educational content of training they thought the class types and cases and the development of training materials much more important than a educational theory. As a result, we propose the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 of STEAM education in the special schools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training in STEAM education through the research on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special teachers.

      • KCI등재

        학교 과학실험활동의 역할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김자현 ( Kim Ja-hyeun ),김효남 ( Kim Hyo-nam ),양일호 ( Yang Il-ho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교사교육연구 Vol.5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한 학교 과학실험활동의 역할에 대해 초등학교 교사가 가지고 있는 실제 인식을 분석하여 교사의 인식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면담지를 개발하고,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 자료를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면담은 부산광역시 소재 공립 초등학교에서 2018년도에 과학 교과를 지도하는 교사 9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과학실험활동의 역할 전반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보편적 인식을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은 주로 학교 과학실험활동의 역할 중 ‘과학에 대한 태도 증진,’ ‘과학적 탐구 방법 학습’ 역할을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이에 비해 ‘과학의 본성 이해’ 역할은 이해도가 낮아 중요하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실제 실험활동 사례에서의 과학실험활동의 역할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실천적 인식을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은 주로 실험활동에 따라 적절한 학교 과학실험활동의 역할을 선택해야 하며, 자신이 선택한 역할을 학생들에게 안내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사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특정 실험수업 상황에 따라 어떤 역할을 중점으로 두는 것이 의미가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인식하였다. 그리고 학교 과학실험활동의 역할을 잘 고려하여 지도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소양이 중요함을 인식하였다. 직전과 직후 교사교육을 할 때 과학실험활동의 역할과 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같은 새로운 연구결과를 반영하여야 한다. 시대가 변함에 따라 중점적으로 추구하여야 할 과학교육의 목표도 변하고, 이에 따라 교사교육내용과 방법도 달라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tual cogni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the rank of role of science practical work at school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For this purpose, an interview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teachers who taught science in 2018 at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Pusa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well aware of two roles, enhancing of attitude toward science and learning of scientific inquiry methods, but were not fully aware of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ually recognized that they had to choose the appropriate role of science practical work at school in accordance with science practical work, and that they need to guide students to know the chosen role. Specifically, they recognized which role is meaningful according to science practical work situations. In addition, they recognized that teacher's understanding the role of science practical work is important. Teacher education should consider teacher’s recognition about the role of science practical work. According to passing the time science education objectives are changed. Therefore the contents and the methods of teacher education should be refreshed and changed.

      • KCI등재후보

        초등 특수학교 교사와 초등 특수학급 교사의 발달장애학생의 과학교과 운영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이영철,신은희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1 특수교육 Vol.10 No.3

        이 연구는 초등 특수학교 교사와 초등 특수학급 교사의 발달장애학생의 과학교과 운영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전주시, 군산시, 익산시) 소재의 정신지체 및 정서장애 특수학교 5개교에 근무하는 초등 특수학교 교사 70명, 전라북도(전주시, 군산시, 익산시, 김제시, 완주군, 임실군) 소재의 초등 특수학급 교사 82명을 대상으로 발달장애학생의 과학교과 운영에 대한 인식을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발달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과학교과의 전반적인 운영체제에 대한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의 인식은 ‘개별화된 학생중심 과학교육’을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반면에,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제외한 모든 문항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대부분의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은 과학교과 운영을 위한 적절한 위치에 과학실험실이 설치되어 있어, 과학실험실을 활용하기에 편리하며, 과학실험실에는 실험실습용 교재·교구와 ICT 활용 수업을 위한 멀티미디어 시설이 충분히 구비되어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에, 초등 특수학교 교사들은 ICT 활용 수업을 위한 멀티미디어 시설은 충분하나 이 외에 과학교과 운영을 위한 과학실험실의 설치, 위치, 교재·교구들은 충분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은 학생의 특성에 맞는 평가모형을 활용하고 있지는 않지만, 전통식 수업방식보다 실험실습을 통한 탐구활동중심의 수업과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와 매체를 활용한 과학교육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초등 특수학교 교사들은 발달장애학생들을 위한 과학교육을 위해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보다 교과서와 교수-학습 자료 및 매체를 수업시간에 덜 활용하며, 학생의 장애특성에 맞는 평가모형을 만들어서 평가하는 것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많은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이 최신 특수교육 이론이나 교수법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거나 과학교과 활동에 대한 교재 연구에 충분한 시간을 투자하고 있지는 못하지만, 기회가 주어진다면 과학교육과 관련된 연수에 참여하길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초등 특수학교 교사들은 최신 특수교육 이론이나 교수법에 대한 불충분한 이해에도 불구하고,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보다 과학교육과 관련된 세미나나 연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길 원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과학교과 운영에 있어 초등 특수학교 교사와 초등 특수학급 교사간의 인식 차이를 좁히는 노력이 우선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elementary special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on the operation of the science subject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attain the goal,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on their recognition on the operation of the science subject with 70 elementary special educational teachers working in 5 special educational schools for the intellectually impaired in Jeonrabuk-do (Jeonju-si, Gunsan-si, Iksan-si) and 82 elementary special educational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 educational classes a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Jeonrabuk-do (Jeonju-si, Gunsan-si, Iksan-si, Gimje-si, Wanju-gun, Imsil-gu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first,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recognition on the general operation system of the science subject targeting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mostly positive in all the items except for ‘individualized student-centered science education’. Meanwhile,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recognize all the items except for ‘the national curriculum’ are not being properly conducted. Second, most of the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recognize that a science lab is located properly for the operation of the science subject, the science lab is convenient to be used, and the science lab is fully equipped with multimedia facilities for ICT-utilizing class as well as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for experiments and practice. On the other hand, elementary special school teachers recognize that multimedia facilities for ICT-utilizing class are sufficient but the installation and location of a science lab and teaching materials or tools are not appropriate to operate the science subject. Third, although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do not use an evaluation model right for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they conduct science education using various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media as well as class oriented to exploring activities through experiments and practice instead of taking conventional teaching methods.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elementary special school teachers use textbooks or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media for science education to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uring class hours less than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and they hardly conduct evaluation designing an evaluation model right for the students’ disability features. Fourth, it has been shown that although there are not many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who are fully aware of the latest special education theories or teaching methods or invest enough time to study teaching materials for science activities, they want to join in the training related with science education if they have any opportunity. Meanwhile, it has been also found that although elementary special school teachers do not fully understand the latest special education theories or teaching methods, they show less intention to join in the seminars or training related with science education than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These research results imply it needs to be urgently realized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recognition of elementary special school teachers and special class teachers on the operation of the science subject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인식 및 재구성 실태 조사

        박윤경 ( Yun Kyoung Park ),정종성 ( Jong Seong Jeong ),김병수 ( Byoung Soo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5 초등교육연구 Vol.28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인식 및 재구성 실태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전문성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전국 9개 지역 19개 초등학교의 교사 29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육과정의 성격을 학교 현장에 맞게 교사가 변형하거나 새롭게 생성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의 중요성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실제 활용 사이에는 괴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다수 교사들이 수업을 잘 하는데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잘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의 교육과정 활용도 및 이해도를 높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육과정의 여러 영역들 중에서 교육 목표나 내용보다는 교육 방법 및 평가 방법의 재구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주로 교육 방법을 중심으로 한 차시나 한 단원 수준에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많은 초등학교 교사들이 자신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을 높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대다수가 외부적 요인이 교육과정 재구성을 방해한다고 보고 있었다. 다섯째, 교사의 성별, 교직 경력, 교육과정 연수 경험에 따라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이해 및 활용 관련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수준 교육과정 문서의 현장 적합성 제고,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 제고 및 교육과정 연수와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curriculum and curriculum adaptation.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urvey with 297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 19 elementary schools across the countr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ved that teachers should modify and develop curriculum according to school situations. Secon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national curriculum did not correspond to their curriculum implementation. Most of teachers believed it was important to understand national curriculum in conducting lessons, but they did not think they fully used and understood curriculum. Third,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ved it was more critical to modify instructional methods and assessment than objective and content in curriculum adaptation. Curriculum adaptation was mostly performed in terms of instructional methods. Fourth, many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ved their capabilities of curriculum adaptation was low. They also thought external factors disturbed their curriculum adaptation. Fifth, perceptions of curriculum and curriculum adaptation varied on teachers`` gender, years of education, and experience of inservice education on curriculum.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to impro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pabilities to implement and develop curriculum as curriculum professionals.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교수활동의 자율성을 제약하는 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고재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5

        This study used concept mapping methods to explore factors that primary school teachers perceive to inhibit the autonomy of teaching activities in the primary school. 28 primary school teachers were interviewed and the collected ideas were reduced to 53 statements from July 2017 to April 2018.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a two-dimensional 6-cluster concept map was cre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that limit the autonomy of teaching activities recognized by primary school teachers were 6 clusters at both teacher-school level and class-environment level.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rder of importance among the factors limiting the autonomy of teaching activities. However, the order of the six clusters was 'rigid school management policy and culture', 'lack of autonomous teaching ability and will of teachers', 'infringement of autonomous class activities and non-cooperation of students and parents', 'inadequate environment and conditions for autonomous teaching support', 'the burden of teachers' autonomous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and 'formal and customary class execution climate'.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rimary school teachers are simultaneously considering constraints on autonomous teaching activities as the viewpoints of subjects and objects pursuing autonomy and the activities and scenes influenced by the autonomy of teacher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restrict the autonomy of teaching activities recognized by primary school teachers are the rigid school management policy and culture factor and lack of autonomous teaching ability and will of teachers. Third,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theoretical formulation of the autonomy of teaching activities and the development of related policies and programs by revealing the conceptual structure of the constraints of autonomous teaching activities recognized by primary school teachers.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교수활동의 자율성을 제약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개념도 방법을 사용하여 탐색하였다. 광주와 전남 지역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28명을 대상으로 2017년 7월부터 2018년 6월말까지 약 12개월에 걸쳐 면담과 질문지를 통해 53개의 최종진술문을 개발 및 평정을 한 후 다차원척도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개념도를 작성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교수활동의 자율성을 제약하는 요인은 교사-학교 차원과 수업-환경 차원의 두 개 차원에서 모두 6개 군집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교수활동의 자율성을 제약하는 요인들에 대한 중요성은 군집별로 큰 차이는 없었으나, ‘경직된 학교 경영 방침 및 문화’, ‘교사의 자율적인 수업 능력 및 의지 부족’, ‘자율적인 수업활동의 침해 및 학생과 학부모의 비협조’, ‘자율적인 수업지원 환경 및 여건의 미흡’, ‘교사의 자율적인 교수학습지도 및 평가에 대한 부담감’, ‘형식적이고 관행적인 수업 실행 풍토’의 순이었다. 이 연구의 결론은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수활동의 자율성을 제약하는 요인에 대하여 교사가 자율성을 추구하는 주체 및 객체의 관점과 그리고 교사의 자율성에 따라 영향을 주고받는 활동 및 장면의 관점을 동시에 고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지적하는 교수활동의 자율성을 제약하는 중요한 요인은 바로 경직된 학교 경영 방침 및 문화 요인과 교사의 자율적인 수업 능력 및 의지 부족 요인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교수활동의 자율성을 제약하는 요인들에 대한 개념적 구조를 밝혀 줌으로써 교수활동의 자율성에 대한 이론적 정립과 관련 정책이나 프로그램의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 과학교수법 성취도 및 과학수업 평가요소에 대한 연구

        김순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0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의 남・여 성별에 따 른 과학수업능력과 과학교수법 성취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와 과학교수법 성취도와 과학수업능력사이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초 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라서 과학 수업을 평 가할 때 적용하는 평가요소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 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소재 P교 육대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초등예비교사 88명에 대 하여 2019년 9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수행되었다. 연 구대상 88명의 학생들은 3개 학과에 재학 중이며, 남 학생 32명, 여학생 56으로 구성되어있다. 이 88명의 학 생들은 ‘초등과학교수법’을 수강한 학생들로 강의 초 기에 학생들에게 배포된 강의계획서에서 예고된 과학 수업실기 평가를 받았다. 과학 수업실기 평가는 동료 들에 의한 다면평가의 형식으로 수행되어 평가점수가 부여되었으며, 과학학업능력은 ‘초등과학교수법’의 정 기고사에서 학생들이 획득한 점수로 부여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을 분석한 결과 여자 초등예비교사들이 남자 초등예비교사들에 비하여 과 학수업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 다. 둘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초등과 학교수법 성취도를 분석한 결과 여자 초등예비교사들 이 남자 초등예비교사들에 비해서 ‘초등과학교수법’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과 초등 과학교수법 성취도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남・여 모두 과학수업능력과 과학교수법 성취도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이것은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수업능력을 결정하는 요인에는 초등과학교수법과 관련된 이론적 인 영역뿐만 아니라 초등예비교사들의 실천적 지식도 함께 작동한다는 사실을 시사해 주고 있기 때문에 추 후 이러한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 다고 생각된다. 넷째,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수업에 대한 평가준거로 활용된 요소를 분석한 결과 남・여 초 등예비교사 모두 수업자의 목소리 톤, 말투 등의 언어 적 요소가 가장 높은 빈도수를 차지하였다. 이것은 남・여 초등예비교사들의 수업평가에 있어서 수업자의 언어적 요소가 가장 중요한 평가 요소라는 사실을 말 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science class ability, science pedagogy achievement and class evaluation factors according to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gender.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science pedagogy achievement and science instructional ability was examined. Finally, the evaluation factors applied to the evaluation of science instruction according to male and female gender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ere examined.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9 to december 2019 for 88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ttending P University of Education in Pusan metropolitan city. Among these 88 students, 32 elementary pre-service students were male, 56 were femal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cience instructional ability according to gender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emal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science class ability compared to mal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hievement of elementary science pedagogy according to gender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emal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for elementary science pedagogy than that of mal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cience instructional ability and elementary science pedagogy achieveme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s result can be applied both side of male and female. Fourth, both male and female pre-service teachers had various instructional evaluation factors, among which the linguistic factors of the instruction were used most frequently as criteria for instructional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