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석봉(石峯) 천자문(千字文) 서체의 서예적 위상 검증(檢證) 연구

        박정숙 ( Park Jung Sook ) 한국동양예술학회 2020 동양예술 Vol.46 No.-

        이 논문은 조선시대 4대 명필가운데 한사람으로 일컬어지는 석봉 한호(石峯韓濩, 1543-1605)가 선조의 명을 받아 해서체로 쓴 석봉천자문(石峰千字文)의 서체가 지닌 특성과 초학교재로서의 위상을 점검하기위하여 집필 되었다. 주지하듯이 천자문은 중국 남북조 시대의 학자인 주흥사(470-521)가 지은 4언 250구의 시구로 이루어진 문헌이다. 이 책은 조선시대 학동들의 한자, 한문 학습용 교재로 활용되었기 때문에 여러 종류의 판본과 사본이 남아있는데 그 가운데 가장 널리 쓰인 본이 바로 석봉천자문이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석봉천자문의 서체는 조선후기의 서예상(書藝象) 형성에 중대한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필자가 확인한 바로는 서예 미학적 측면에서 석봉천자문의 특성과 가치를 점검한 본격적인 연구 업적은 전혀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고에서는 먼저 천자문의 자료적 가치를 검토하기 위하여 字音의 수, 부수 및 점획사용의 다양성과 균형성 등을 분석하였다. 이어서 석봉천자문의 서체가 지닌 심미적 위상을 검정하기 위하여 이 분야 전문가 5인에게 서체가 다른 명필 혹은 이름난 비첩의 특정 문자를 석봉천자문의 해당 문자와 함께 제시하여 설문을 통해 인상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석봉천자문 문자의 필획 형태, 결구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그 조형미를 천명(闡明) 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하여 수많은 조선시대 천자문 중 가장 활용도가 높았던 『석봉천자문 』의 조형미를 검증하였고, 다양한 자음(字音), 필획 등이 활용되었음을 밝힘으로써 『석봉천자문』의 한자, 한문 및 서예교재로서의 가치를 점검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석봉천자문은 해서의 기본이 되는 永자 8법의 획(橫. 縱, 點, 捺, 挑, 拘, 折)이 모범적인 형태로 고르게 포함되어 있어 이를 바탕으로 학문적, 예술적, 교육적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서체로 개발하고, 그것을 DB화하여 현대문자 생활에 널리 활용할 수 있음을 밝혔다. 즉 초 중등 미술과 디자인교육과 서예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출판업계 디자인학계나 사회교육기관에서 교육 및 참고자료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This paper was intend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ript and the stature of calligraphic materials for beginner of Seokbong’s thousand- character classic, written by Seokbong Han Ho (1543-1605), one of the four great calligraphers of the Joseon Dynasty. Thousand-character classic is a literature composed of 250 phrases of four letters written by Zhou XingSi (470-521), a scholar in the period of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of China. Since this book was used as a textbook for children to learn classical Chinese and practice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in Joseon Dynasty, there remained many kinds of block-printed editions and manuscripts, and among them, Seokbong’s edition was the most widely used. Regarding this, the script of Seokbong’s thousand- character classic would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calligraphic image in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I have confirmed that there was no full-fledged research that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Seokbong’s thousand-character classic in terms of calligraphy aesthetics. In this paper, to examine the literary value of Seokbong’s thousand-character classic, I first analyzed the number of letters and the diversity and balance of the use of radicals, dots and strokes. Subsequently, to verify the aesthetic status of the script of Seokbong’s thousand-character classic, I conducted an impressive evaluation to five experts in this field through a questionnaire that presented the specific letters of other scripts or other calligraphers compared with the letters of Seokbong’s thousand-character classic. In addition, I clarified the formative beauty by analyzing the strokes and structure of the letters in Seokbong’s thousand-character classic in a comprehensive manner. Through the analysis above, I verified the formative beauty of Seokbong’s thousand-character classic, which was the most widely used among various editions in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I could examine the value of Seokbong’s thousand-character classic as the learning materials of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classical Chinese and calligraphy by clarifying that various letters and strokes were utilized. Moreover, I clarified that the script of Seokbong’s thousand-character classic could be developed as a font used academically, artistically and educationally and utilized in modern life by making it into database because the script of Seokbong’s thousand-character classic contained the eight types of strokes (橫, 縱, 點, 捺, 挑, 拘, 折), which were the basis of the regular script. It could be utilized as materials for arts subject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design education and calligraphy education, and it could be reference materials in the publishing industry, design academy or social education institution.

      • KCI등재

        『천자문』 한자음의 통시적 음운 변화 고찰

        김서영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4 인문학연구 Vol.36 No.-

        본고는 한국에서 간행된 각 판본의 천자문 중 대표적이라고 볼 수 있는 광주천자문 , 석봉천자문 , 칠장사천자문 , 주해천자문 의 자례를 중심으로 해당되는 한자음의 음운 변화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또한 천자문과 같은 성격을 지닌 한자 학습서인 훈몽자회 (1527)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간행된 체계적인 자전류 문헌인 전운옥편 (1796?)의 한자음과의 비교 고찰을 통해 각 판본의 천자문에 수록된 한자음의 주음에서 나타나는 음운 현상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천자문에서 /i/, /y/ 모음 탈락 현상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둘째, 천자문에서 구개음화 현상도 나타나는데 이중 절반 이상의 글자에서 이미 구개음화가 완성되었다. 셋째, 천자문의 한자음 어두 자리에서 상대적으로 활발한 성격을 지닌 ‘ㄴ’, ‘ㄹ’이 쉽게 탈락·혼용·첨가되어 주음되었다. 넷째, 원순모음화의 실현 조건은 일반적으로 ‘ㅂ’, ‘ㅍ’, ‘ㅁ’에서 나타나는데 천자문의 한자음에서는 자음 ‘ㅇ’, ‘ㄹ’에서도 나타났다. 다섯째, 반치음 ‘ㅿ’은 표기상의 문제로 천자문에서도 아직 그대로 주음되었다. 여섯째, 아래아 ‘·’ 역시 표기상의 문제로 천자문의 한자음에서 일부는 ‘ㅏ’로 변화되었지만, 대부분은 그대로 아래아 ‘·’로 주음되었다. 일곱째, 천자문의 한자음에서 나타나는 우음 현상을 통해 당시 차용한 한자음은 현재 우리가 인식하고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발음이 아닌 것으로 추정하였다. 여덟째, 천자문의 일부 한자음의 주음은 이중모음이 단모음화되거나, 양성모음이 음성모음으로 변화된 양상을 보였다. 아홉째, 천자문에서 ‘ㄴ’과 ‘ㅇ’ 받침을 혼용하여 주음하는 현상을 통해 중국 한어에서 남방지역의 전비음과 후비음이 제대로 구분되지 않아 당시 한국에서도 청취적으로 주음에서 혼용되어 나타났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veil the phonetic changes in the corresponding Chinese characters, focusing on the examples of Gwangju Cheonjamun , Seokbong Cheonjamun , Chiljangsa Cheonjamun , and Annotated Cheonjamun , which can be considered representative among the thousand-character scripts in each edition published in Korea. Additionally, a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Chinese character sounds of Hunmongjahoe (1527), a Chinese character study book shar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Thousand Character Text, and Jeonunokpyeon (1796?), the first systematic Chinese character history document published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Chinese character sounds included in the Thousand Character Text of each edition.

      • KCI등재

        동아시아에서의 "千字文" 類 및 "蒙求" 類 流行과 漢字漢文 基礎敎育

        심경호 ( Kyung Ho Si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5 漢字 漢文敎育 Vol.36 No.-

        본고는 한자한문 기초교육의 교재로 중시되었던 『千字文』과 『蒙求』가 한중일삼국에서 유행한 양상을 개괄하고, 각 지역의 교양 형성 방식의 차이에 따라 각각 상이한 속찬본이 편찬된 사실을 논하였다. 『千字文』은 형식면에서는 4언 고시 형식을 취하면서, 對仗, 押韻, 連綿字를 활용하여 한자한문 공부에 유용하였을 뿐만아니라, 서체의 교본으로도 이용되었다. 당나라 李澣의 『蒙求』도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의 교양 형성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고려와 조선초에 智永『千字文』과 조맹부의 『千字文』이 많이 보급된 이후 『천자문』은 평측 공부의 자료로서도 활용하기 위해 판각 때 성조를 표시하되, 한국한자음의 특성에 근거하여 평성과 입성을 제외한 상성과 거성만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발전하였다. 『千字文』은 일상생활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되어 『千字文』의 1천글자를 序數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또한 金時習의 『千字儷句』를 시작으로 『千字文』의 본뜬 千字文류가 등장하여 해방 이후까지 다양한 변용의 양상이 나타났고, 丁若鏞의 『兒學編』과 같이 『千字文』의 형식을 비판한 새로운 체제의 속찬본도 나왔다. 『蒙求』는 인물고사집으로 널리 활용되었지만, 조선시대에 주자학이 발달하면서 주자학적 성향을 지닌 속찬본이 요구되었다. 그 요구에 부응한 것이 柳希春의 『續蒙求』이다. 다만 柳希春은 주자학 관련 인물의 일화를 초촬하고 내용 위주로 전체의 구조를 조정하여, 이한의 『蒙求』와 같이 압운에 있어서 정연한 체제를 갖추지는 못하였다. 일본도 중국의 『千字文』과 『蒙求』를 받아들이되, 각각 『世話千字文』과 『本朝蒙求』와 같은 특이한 속찬본을 산출하였다. 17세기 이후 일본 지식인층은 대체로 압운의 구조를 문자활동에서 능숙하게 활용하지는 못하였으나 일부 지식인은 압운을 치밀하게 연찬하였다. 게다가 자국의 역사와 생활을 매우 중시하여, 菅亨의 『本朝蒙求』(1686)을 비롯한 독자적인 『蒙求』의 속찬서가 출현하게 하였다. 『本朝蒙求』는 압운의 구조도 매우 중시하였다. 앞으로 동아시아의 한자한문교육은 한자문화권의 基底와 그 위에 형성된 인간정체성의 개념에 관심을 두면서도 각 지역의 역사적 맥락을 중시하여야 할 것이다. 이때 한국이나 일본에서 중국의 텍스트를 활용하되 각각의 역사와 문화를 배경으로 그 텍스트를 자국화한 양상도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surveys the aspect of publication of Cheonjamun, Monggu and their companion volumes in East Asia, especially in Korea and Japan. Cheonjamun and Monggu were widely accepted as Chinese character textbooks in East Asia. Cheonjamun which adopted the form of couplets and rhymes of old poetry was helpful for learning not only Chinese character itself but also its various writing styles. Lihan(李翰)’s Monggu also had not a few influence in East Asia. It is remarkable that Joseon edition Cheonjamun indicated Chinese character tones with dots(not all tones but Shangsheng(上聲) and qusheng(去聲) as Rusheng(入聲) was intelligible to Koreans naturally). In Joseon, Cheonjamun was also utilized in various ways in daily life; to use its characters as an ordinal number is a good example. Not a few companion volumes of Cheonjamun were edited and published even after Korean Independence Day, and editions with new system also appeared. Monggu had been widely read as an anthology of historical events, but the demands for the new edition with neo-Confucianism tendency was raised continually as neo-Confucianism developed in Joseon. Ryu Heechun (柳希春) responded to the request with his Sok-Monggu(續蒙求), but he couldn``t adopt the whole phonological structure of Monggu as it intended to retain the philosophy of Hu Bingwen(胡炳文)’s Sunjeong-Monggu(純正蒙求). In Japan, Cheonjamun and Monggu were also accepted from early period. Japanese intellectuals in 17th century, in most cases, couldn``t compose hanwen(漢文) with rhymes, but there were some who investigated rhymes very closely. Japanese intellectuals who emphasized their own history, also edited its companion volumes based on their own history and daily life. Sewa-senjimon(世話千字文) and Honcho-mogyu(本朝蒙求) are good example.

      • KCI등재

        천자문사설(千字文辭說)을 통해 본 한(韓),중전통연희(中傳統演戱)의 관련성

        안상복 중국어문학회 2014 中國語文學誌 Vol.47 No.-

        For this paper, I studied the comic Qianziwen(千字文) in Korea and China and the relationship of the comic Qianziwen(千字文) between the two countries. After Zhouxingsi(周興嗣) wrote Qianziwen(千字文), it became a very famous textbook for children. On the other hand, many people began to write the comic Qianziwen(千字文) which is approximately from the time of the Tang(唐) dynasty. Many perfomers began to use the comic Qianziwen(千字文) for the Liao(遼), the Song(宋), and the Jin(金) dynasties. As a result, this left 7 titles of Qianziwenyuanben(千字文院 本). Since then, the tradition of using the comic Qianziwen(千字文), in perfoming arts lasted for hundreds of years. Now, we can find out a great deal of evidence about the comic Qianziwen(千字文), in traditional dramas, novels and the art of Shuochang(說唱). According to this evidence, all Chinese comic Qianziwen(千字文) borrowed lots of phrases which are comprised out of four words from the original Qianziwen(千字文). On the contrary, the tradition of the comic Qianziwen(千字文), in Korea just began in the 18th century. And each sentence of the comic Qianziwen(千字文) was set to the meaning of each word that came from the original Qianziwen(千字文). Although in appearance it seemed that there is not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comic Qianziwen(千字文) in Korea and those in China, but I think there is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two. It was Baekjeong(白丁) who performed the comic Qianziwen(千字文) for the Chosun(朝鮮) dynasty. According to the study, the origin of Baekjeong(白丁) is in the Jaein(才人) or Yangsuchoek(楊水尺) of the Goryeo(高麗) dynasty. And many historians think that Jaein(才人) or Yangsuchoek(楊水尺) came from Kitan(契丹). After the mass immigration to Korea during the Goryeo(高麗) dynasty, lots of Jaein(才人) had still been engaged in performing arts. We understand this through the Banin(泮人) who lived in the later part of the Chosun(朝鮮) dynasty. On the other hand, many Kitan(契丹) Jaein(才人) was used to play Zaju(雜劇) or Yuanben(院本) for the Liao(遼) and the Jin(金) dynasties. This Zaju(雜劇) has also been in fashion since the Goryeo(高麗) dynasty. People of Kitan(契丹) and Korea had very similar language habits. In conclusion, I think the tradition of comic Qianziwen(千字文) in Korea probably came from Zaju(雜劇) or Yuanben(院本) of the Liao(遼) or Jin(金) dynasties through the Kitan-Jaein(契丹才人).

      • KCI등재후보

        태조·세종시기 한양도성 천자문 각자성석에 관한 연구

        문인식(Moon, In Sik),송인호(Song, In Ho)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1 서울학연구 Vol.- No.83

        한양도성에는 600척씩 한 자 천자문 구간 97개의 천자문 각자성석 중 15개(89번째 천자문. 위자位字 제외) 천자문 각자성석이 현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수차례의 현장조사를 통해서 천자문 각자성석 44개를 추가로 발견하였다. 2020년 12월 현재 한양도성에는 97개의 천자문 각자성석 중 58개의 천자문 각자성석이 현존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현장조사를 통해 58개의 천자문 각자성석의 실체를 확인하였으며, 그 위치를 분석하여 나머지 39개 천자문 각자성석의 위치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천자문의 순서에 따라 97개로 구획된 600척의 축성구간은 암벽은 태조 시기 처음 조축당시 오도백성들이 5만8천200척을 분담하여 600척 천자문 97개 구간으로 나누어 조축하였다. 8개의 성문, 오간수문, 이간수문 등 천변과 만곡된 부분 등도 정확하게 적용되었다. 이때에는 암반구간은 천자문 600척 구간에서 제외하였다. 세종대 수축과 수리를 통하여 완성된 한양도성의 전체 길이는 5만 9천 500척이다. 600척씩 97개 구간으로 이 경우 길이는 5만 8천 200척으로 1천 300척의 차이가 있다. 이는 인왕구역의 암반뿐 아니라 백악구간의 암반 구간등도 천자문 600척 구간에서 태조시기에는 포함하지 아니하였으나 세종시기에는 암반구간도 천자문 600척 구간에 포함한 결과로 보인다. 둘째, 천자문 각자성석은 기본적으로 2가지 종류가 있다. 성자(成字), 세자(歲字) 등과 같이 천자문 한 자호만 있는 것과 일말육백척(日末六百尺), 진자육백척(辰字六百尺), 장자말육백척(藏字末六百尺), 강자육백척(崗字六百尺), 검자육백척(劍字六百尺), 영말측자육백척(盈末仄字六百尺), 거자종궐자육백척(巨字終闕字六百尺), 제말조자육백척(帝末鳥字六百尺)과 같이 앞뒤 천자문 두 개 또는 600척 또는 주자종칭자(珠字終稱字), 칭자종야자(稱字終夜字), 광자종과자(光字終果字), 진말숙자시(辰末宿字始), 인자말황자시(人字末皇字始), 장말한시(張末寒始), 한말/내자시(寒末/來字始), 여자말(呂字末), 야자종(夜字從), 열말(列末), 제말(制末)과 같이 시(始)·종(終)을 붙인 것으로 천자문 구간의 그 시작과 끝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천자문 자호 하나로 표기된 천자문 각자성석은 대부분 그 천자문의 600척 끝 구간에서 발견된다. 이를 다시 세분화 하면 천자문 자호(~字)에 처음(始)과 끝(終/末)을 붙여 그 시종(始終)을 붙여 알 수 있게 하는 것( 천자문 자호(~字)에 六百尺을 붙여 그 시종(始終)을 알 수 있게 하는 것과 여기에 ‘시종(始終) 또는 육백척(六百尺)’이 없이 천자문 자호만 있는 것(성자成字, 세자歲字, 위자位字, 의衣, 상裳)을 포함하면 크게 3가지 종류이다. 여기에 시종(말)始終(末)중 그 하나만 붙이거나 600척을 천자문 자호의 시작과 끝을 구분한다면 5가지로 세분화할 수 있다. 셋째, 현존하는 58개의 천자문 각자성석을 통해 한양도성의 8개의 성문은 물론 남소문지 등에 대하여도 천자문 각자성석의 위치를 추론하거나 추정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됨으로써 현존하는 6개의 성문은 물론 멸실되었거나 그 위치가 이동된 혜화문, 광희문, 남소문지, 소의문과 돈의문지에 대해서도 한양도성 조축 당시 천자문 각자성석의 위치를 추론할 수 있었다. 한양도성 축성당시 97개 천자문 자호 각자중 60%인 58개를 확보하고 그 위치를 비정하였다. 600년 층위를 통하여 어떻게 변화되고 관리되었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토대가 될 수 있도록 하되, 새롭게 찾은 천자문 자호 각자에 대하여는 향후 더 많은 연구가 수반되어 판독과 새로운 천자문 자호 각자의 심도 있는 연구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후보

        千字文類의 變容과 性格 考察

        송병렬 근역한문학회 2010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0 No.-

        Cheonjamun was made by Ju heungsa(周興嗣) in Yang country. It is called ‘Cheonjamun(千字文)’ because it is composed of a thousand of Chinese character. In Korea it is known as a teaching material of Chinese Character. But in explanation of 『Joo hae Cheonjamun(註解千字文)』, it is a long way from teaching material of Chinese Character. It summarizes contents of the people’s visions of the universe and nature in Middle ages and Chinese history, geography and so on. The summary was written about authentic precedents. It had been used a teaching material of Chinese Character after it was made by Ju heungsa(周興嗣). Many of Cheonjamun were used for teaching materials of pancraft of Cho-soe(草書)or Hae-soe(楷書).There are many kinds of Cheonjamun like Ju heungsa’s Cheonjamun. For example, there are Kyungseojipgu Cheonjamun(經書集句千字文) by Hong Seokmo and Byeol Cheonjamun(別千字文) by Hong Huijun and Daedong Cheonjamun(大同千字文) and so on. These kinds of Cheonjamun is same form as Cheonjamun, but has different contents. These have several characters. First, it has character of summaries of story. They have features that were summarized contents of history and Confucian classics(經書) on 4 phrases. Second, they are gatherings of authentic precedents. Most passages includes contents of history and Confucian classics, so they play roles as authentic precedents. Third, they have educational characters. They have educational effects as memorizing books, because they summarize contents about history and Confucian classics to memorize them. 『千字文』은 양나라의 주흥사가 만들었다. 일천 개의 한자이므로 ‘천자문’이라고 불린다. 4언 250구의 古詩로 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자 학습 교재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주해천자문』의 풀이를 보면, 한자 학습의 교재와는 거리가 멀다. 중세인들의 우주관, 자연관, 중국의 역사, 지리 등의 내용이 요약되어 있다. 그 요약은 전고(고사)로 작성된 것이다. 많은 천자문은 초서나 해서의 서법의 교재로 쓰였으며, 한자 학습의 교재로 활용된 것은 주흥사가 천자문을 만든 이후이다. 조선 후기에는 주흥사 천자문과 같은 천자문류가 간행된다. 홍희준의 『별천자문』, 홍석모의 『경서집구천자문』 등이 그것이며, 이후 일제강점기 이후의 『세창이천자문』, 『대동천자문』 등의 천자문류도 있다. 이들 천자문류는 『천자문』과 같은 형식이긴 하지만, 『천자문』과는 다른 내용이다. 『別千字文』은 중국의 역사와 문화, 『經書集句千字文』은 각종 경서의 구절, 『大東千字文』은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 속담 등의 내용을 담았다. 이들 천자문류의 성격은 여러 가지이다. 첫째, 요약집의 성격이다. 역사, 경서 등의 내용을 4구로 요약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둘째, 전고의 모음이다. 구절마다 대부분 경서와 역사의 내용들이 들어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어 전고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셋째, 교육적 성격이다. 역사나 경서에 대한 내용을 암기할 수 있도록 요약하였기 때문에 암기서로서 교육적 효과를 지녔다. 또한 자학의 학습과 서법의 학습을 할 수 있는 교육적 성격이 매우 강했다.

      • KCI등재

        천자문 주석서를 통한 석봉천자문 훈의 검토

        오미영 구결학회 2015 구결연구 Vol.35 No.-

        본 연구는 <석봉천자문>에 나오는 각 한자의 훈이 해당 구의 내용을 잘 반영하고 있는가를 탐구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대표적인 천자문 주석서인 <주천자문>과 <천자문석의>의 내용을 비교하여 천자문 원문의 이해에 차이를 보이는 곳은 없는지 고찰하였다. 그리고 <천자문석의>의 내용에 입각하여 <석봉천자문>의 훈을 내용면에서 고찰한 것이다. 고찰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천자문 250句에 대해 주천자문과 천자문석의가 서로 다른 이해를 나타낸 곳은 25句이다. 둘째, 천자문에 등장하는 고유명사는 1字로 된 것이 46예, 2字로 된 것이 36예(한자 기준 72字)가 있다. 1字 고유명사 중 14예 정도는 석봉천자문 훈에서 고유명사로 인식했을 가능성이 있으나, 2字 고유명사는 고유명사로 인식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셋째, 한문에서 한자 2字가 하나의 단어처럼 기능하는 연면어는, 천자문 내에 35예(70字)가 확인된다. 이 중 21예는 연면어로서의 의미가 석봉천자문에 기재되어 있지 않다. 이는 고유명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석봉천자문이 천자문 4字 1句에서의 의미보다는 해당 한자가 지니는 대표적인 훈을 학습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넷째, 고유명사와 연면어를 제외한 812字에 대해 천자문석의에 입각한 한자의 의미와 석봉천자문에 제시된 훈을 비교한 결과, 118字(전체의 약 15%)는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천자문석의에 의거할 때 동사로 해석되는 용례 39字에 대해 살펴보는 과정에서 석봉천자문의 훈이 상용도가 높은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 KCI등재

        『성교요지』(聖敎要旨)의 원본 마틴 선교사의 『쌍천자문』(雙千字文) 연구

        황재범(Jae-Buhm Hwa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0 신학사상 Vol.0 No.190

        본 연구는 한국에서 이벽의 저술로 알려져있는 『성교요지』(聖敎要旨)가 사실상 재중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 마틴(W. A. P. Martin, 1827-1916)의 『쌍천자문』의 1897년 수정판을 그대로 베낀 것이라는 것을 확인하면서 본 책의 저술 목적, 구조, 내용 및 한국 천주교 학자들의 해석의 문제를 살펴본 것이다. 연구 결과는 네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성교요지』는 『쌍천자문』의 1863년 초판과 1897년 수정판 중에서 분명하게 수정판을 저본으로 했다. 이로써 『성교요지』는 그것의 한글 번역본 말미에 기록되어 있는 “임신년”을 근거로 추정해보면 1932(임신)년에 한국에서 한문에 능통한 어떤 선비가 마틴의 『쌍천자문』을 사기 판매 목적으로 베끼고 또한 한글로 번역하면서 제목은 『성교요지』로 저자는 이벽으로 조작하여 유통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마틴의 『쌍천자문』의 저술 목적은 그 원제가 The Analytical Reader: A Short Method For Learning To Read And Write Chinese (“常字雙千[상자쌍천=쌍천자문] 認字新法[인자신법]”)인 것처럼 전통적 “천자문” 형식으로 상용 중국어 2,000자를 쉽게 가르칠 수 있는 중국어 교본을 만드는 것이었다. 마틴은 서양 선교사 지망생 및 중국 미션 학교에서의 중국인 학생이 보다 쉽게 중국어를 배울 수 있게 사용 빈도수가 높은 상용 중국어 2,000자를 정하여 새로운 천자문으로서 『쌍천자문』을 만들었던 것이다. 셋째, 본 책은 전통적 ‘천자문’ 형식에 따라서 정해진 2,000자를 각각 단 한 번씩만 사용하여 사언 절구형식으로 작문을 했으므로 기독교 교리의 일부를 일반적으로 다루었을 뿐, 어떤 신학적 내용을 분명하고도 적극적으로 가르친 것은 아니다. 기독교적 내용이 있지만 이는 제1장과 제2장(전체적으로 삼분의 일을 조금 넘음)에 한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주요 교리들을 다루지 못했고, 부적절한 표현도 적지 않다. 그 나머지 제3장과 제4장은 세 절을 제외하면 본문에는 기독교적 내용이 거의 없고, 주석에 암시적으로 제시되어 있을 뿐이다. 넷째, 한국 천주교회 학자들은 『성교요지』가 한국 사상사 최고급의 사상을 담고 있다고까지 평가하지만 이는 무엇보다도 그것이 이벽의 저술이라는 전제하에서 이루어진 것이며, 본 책의 저술 목적과 방법 및 구조를 알지 못한 채 주석에 근거하여 본문을 과도하게 신학적으로 오역한 결과라고 보겠다. This study aims at, firstly, confirming that Seonggyo yoji (聖敎要旨: Essence of Sacred Doctrine), which in Korea has been believed to be written by Yi Byeok, the “holy founder”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is originally a copy of W. A. P. Martin’s Analytical Reader, which has been popularly called as Ssangcheonjamun (Two Thousand [Chinese] Words: 雙千字文); secondly, studying and analyzing the purpose, structure, and theological contents of this book; and thirdly, critically reviewing the Korean Catholic scholars’ exaggerated assessment of it. First of all, Seonggyo yoji’s original text is not the first edition in 1863, but the revised edition in 1897 of Martin’s Analytical Reader or Ssangcheonjamun. Seonggyo yoji’s Korean translation, which suggests ”it was written in Imsin nyeon,” belies that it was copied in 1932 (Imsin nyeon) by a Korean scholar, who presented the author as Yi Byeok, wanting to sell copies fraudulently. Secondly, as its English title, The Analytical Reader: A Short Method For Learning To Read And Write Chinese, indicates, this book’s purpose was to present a new Chinese lesson book, which was written according to the literal mode of the traditional A Thousand Words (千字文: Qian Zi Wen). The book was written for those Westerners who were preparing for mission works in China, and also for those Chinese students who were attending mission schools in China that they might easily learn Chinese characters. Thirdly, the book is made of four character verses, using two thousand (exactly 2,016) Chinese characters, each of which was used only once according the mode of the traditional A Thousand Words. This means that the book was not designed to present any meaningful theological thought. In fact, Chapters I and II in the book include some theological thoughts, which, nevertheless, are often insufficient or inadequate, while Chapters III and IV have almost no theological thought, although they have some theological allusions only in the commentary section. Fourthly and lastly, many Korean Catholic scholars’ highest assessments of the book are proved to be a result of a theologically oriented profound misinterpretation of it: they do not only presume its author as Yi Byeok, who was in fact a dubious person, but they also presuppose it as a theological book, when it is in fact a Chinese language book.

      • KCI등재

        ‘戊戌孟夏西內新刊’ 『千字文』 硏究

        孫熙河 한중인문학회 2011 한중인문학연구 Vol.34 No.-

        이 글은 19世紀末 새김 資料인 戊戌孟夏西內新刊本 千字文을 새로 發掘하여 紹介하 고, 書誌, 表記, 音韻 등 主要特徵을 考察한 것이다. 戊戌孟夏西內新刊 千字文은 1898년 陰曆 4月에 ‘西內’에서 刊行한 千字文이다. 漢文構成이 石峯千字文과 같은 ‘烈’字本 系統이며, 板本과 國語學的 特徵面에서 壬戌杏谷開刊本 千字文, 乙巳季冬完山新刊本 千字文과 같은 系統이다. 戊戌孟夏西內新刊本 千字文은 全羅方言을 反映한 文獻으로 近代國語末葉의 一般的 모습을 보이면서도 이와는 다른 모습을 지니고 있다. 音韻現象이나 語彙 중 어떤 것은 方言形으로 보인다. 어떤 것은 現在 全羅方言에서만 찾아 볼 수 있는 것인데, 全羅方言을 反映한 비슷한 간행 時期 문헌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音韻現象 중 어떤 것은 律讀에서 起因한 것으로 보인다. 19世紀末 全羅 方言史 資料로 價値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widely introduce Musul Seonae(戊戌 西內) version of the Cheonjamun(千字文), one of the Saegim(새김) materials of the recent Korean written language. Another purpose is to examine several features of the recent Korean appearing in this literature.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explores major features in this version such as bibliographical forms, writing system and phonological systems. This Musul Seonae(戊戌 西內) version of the Cheonjamun(千字文) was published in the 4th lunar month in 1898, the year of Musul(戊戌). Like Seokbong(石峰) Cheonjamun(千字文), Musul Seonae(戊戌 西內) version also belongs to the Yeol(烈) version family. And also Musul Seonae(戊戌 西內) version belongs to Imsul haenggok(壬戌杏谷) version family. This Musul Seonae (戊戌 西內) version of the Cheonjamun(千字文), on the one hand,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mirror of the Korean language by reflecting on common features at that time. On the other hand, it shows quite a different aspect by reflecting a dialect spoken at that time, maybe.

      • KCI등재

        日帝强占期 東千字類의 著述方向과 그 意義

        정우락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4 No.-

        The liquidation of tradition resulting from the collapse of the Joseon Dynasty brought lots of changes to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nd thus there arose a need to write new textbooks. Responding to the need, Dong-cheon-ja species, Korean style one thousand character texts which are totally different from 『the Thousand Character Classic(千字文)』 by Xingsi Zhou(周興嗣), were created. They were written in a way to reflect novel views and thoughts rather than to follow the entrenched framework of 『the Thousand Character Classic』.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comprehensively discussed the features of Dong-cheon-ja species as materials, background and direction for writing them, and the meanings of their publicatio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ong-cheon-ja species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The new style one thousand character texts borrowed the concept of ‘one thousand characters' from 『the Thousand Character Classic』, but the one thousand characters in the texts were organized differently from those in 『the Thousand Character Classic』. The classified one thousand character texts were produced after setting specific vocabulary categories based on the meanings of characters and then classifying and systemizing the characters. Besides, the ideology one thousand character texts were aimed to teach specific thoughts and ideologies including Confucianism to children. The history one thousand character texts told of the history of China and Korea. Background for writing Dong-cheon-ja spec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volved Japan's annexation of Korea more than anything else. Sometimes accepting and sometimes resisting the reality, people at the time wrote one thousand character texts. The vigorous publication of 『the Thousand Character Classic』 written by Xingsi Zhou resulting from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rivate schools called Seodang also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writing of Dong-cheon-ja species. As Seodang education was conducted vigorously, intellectuals living outside of the government bureaucracy became increasingly aware of the limitations of 『the Thousand Character Classic』, the text considered as the most trustworthy material for Chinese character education. Directions for writing Dong-cheon-ja spec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different depending on which category the one thousand character text belonged to. The new style one thousand character texts were written according to the interest of people at the time because they were usually published through specialized bookstores. The classified one thousand character texts focused on making students systematically understand basic Chinese characters. The history one thousand character texts contained the features of political parties, pro-Japanese attitudes or the willingness to regain independence from Japan, depending on various views on the circumstances at the tim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Dong-cheon-ja species show the comprehensive aspects of situations at the time. Dong-cheon-ja specie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opened the door the door to globalization for children by adding Chinese and Japanese words. In addition, they not only helped students to learn basic Chinese characters but also emphasized character education, instilled ethnic consciousness, reinforced the willingness to regain independence, and reflected various aspects on situations. Furthermore, the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were accepted by other literature genres like Gasa-literature(歌辭文學) or written in connection with them. 조선이 쇠망하면서 전통이 해체되고 한자 교육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난다. 이 과정에서 아동들을 가르치기 위한 새로운 교과서가 필요했고, 그것이 바로 주흥사 『천자문』과 전혀 다른 개념인 우리식 천자문인 동천자류의 출현이다. 이들은 『천자문』이라는 철저히 고착화된 규범적 틀을 깨고 시대적 변화에 따른 새로운 감각과 생각을 반영하고자 했다. 본고는 바로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동천자류의 자료적 성격과 일제강점기에 있어서의 저술배경 및 저술방향, 그리고 그 의의를 포괄적으로 다루고자 했다. 동천자류의 자료는 대체로 네 가지 계열로 나뉜다. 신편천자문은 『천자문』에서 ‘천자’는 빌려 오되 다른 측면에서 천자를 구성하는 경우이며, 분류천자문은 글자의 내용에 입각하여 일정한 어휘 범주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분류 내지 체계화한 천자문이다. 그리고 사상천자문은 유교 등 특정한 이념이나 사상을 아동들에게 가르치기 위한 것이며, 역사천자문은 중국이나 조선의 역사를 1천 자로 구성하여 엮은 것이다. 일제강점기 동천자류 저술의 배경으로는, 개항을 거친 후 한일합방이라는 당대의 역사적 환경을 먼저 들 수 있다. 때로는 현실을 수용하고 때로는 여기에 저항하면서 당대인들은 천자문을 만들었다. 서당이 많아지면서 주흥사 『천자문』이 활발하게 간행된 것도 중요한 배경이 된다. 이 책은 가장 믿을 만한 한자 교육서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주흥사 『천자문』에 대한 한계를 자각한 결과이기도 하다. 서당교육이 활발히 전개되면서 재야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이 같은 자각이 활발히 일어났다. 일제강점기 동천자류 저술의 방향은 각 계열마다 서로 달랐다. 신편천자문 계열은 대체로 전문 서포를 통해 출판되었기 때문에 당대인들의 현실적 관심도에 따라 저술되었으며, 분류천자문 계열은 기초한자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그리고 사상천자문 계열은 유가적 전통을 계승하는 것이 일차 목표였으며, 역사천자문 계열은 당대를 읽는 상이한 시각에 따라 黨色이 천자문에 나타나기도 하고, 친일적 경향이 나타나는가 하면 이를 비판하며 독립의지를 불태우기도 했다. 따라서 동천자류는 당대의 총체상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동천자류는 중국어나 일본어 등을 두루 부기하여 미래를 담보하는 아동들에게 세계화의 길을 열어주고 있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를 확보하고 있다. 그리고 아동들의 기초한자 숙지와 함께 인성교육을 강조하고 있는 점,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독립의지를 강화시키고 있는 점, 당대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을 천자문에 반영시키고 있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이밖에도 가사문학 등 여타의 문학 장르에 수용되거나 공조를 이루면서 저술되고 있는 점 역시 중요한 의의 가운데 하나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