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조산업의 공간적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허재완 ( Jae Wan Hur ),나종익 ( Jong Ik Rha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地方行政硏究 Vol.26 No.4

        본 연구에서는 창조산업에 관한 이론 고찰을 통하여 창조산업에 관한 범위를 재설정하고, 소비자가 얻는 서비스에 따라 기술 서비스형 창조산업, 정보 서비스형 창조산업, 위락 서비스형 창조산업으로 재분류하였다. 이러한 분류를 토대로 전국 모든 지방자치단체의 창조산업 입지계수를 도출하여 창조산업의 공간적 분포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실들이 관찰되었다. 첫째, 창조산업이 국토공간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지 않고 주로 대도시 및 주변지역에서 집중적으로 특화되어 있다. 둘째, 2000년에 비하여 2009년에 창조산업의 수도권집중화 현상이 더욱 뚜렸하게 나타나고 있다. 셋째, 수도권내부에서는 창조산업이 중심지역(서울)에서 주변지역(경기도)으로 확산되는 이른바 창조산업의 교외화 현상으로 해석될 수 있는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넷째, 기술서비스형 창조산업과 정보서비스형 창조산업이 경기도에 밀집되어 있는데 비해 위락서비스형 창조산업은 거의 대부분 서울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2000년에 비하여 2009년에 서울집중화 현상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창조산업의 이러한 입지적 특성은 창조산업을 육성하려는 지자체에 주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즉 창조산업의 육성을 위해서는 지역별 특화전략이 요구되기 때문에 대도시지역은 위락서비스형 창조산업에, 그리고 주변지역들은 기술서비스형이나 정보서비스형 창조산업에 집중하는 공간적 분산전략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The paper has attempted to redefine the scope of creative industry and to reclassify it into three categories based on the type of service available to consumers ; technical service creative industry, information service creative industry and amusement service creative industry. Furthermore the paper, based on the above definition, has aimed at investigating its locational characteristics empirically. Some interesting results are found as follows: First, creative industry tends to specialize in the large cities rather tha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Second, creative industry has spatially concentrated into the Capital Regions during 2000-2009. Third, within the Capital Regions creative industry has spreaded out from the central place, Seoul, to its suburbs. Fourth, technology-oriented creative industry and information-oriented creative industry mainly specialized in Kyunggi area while leisure-oriented creative industry heavily clustered inside Seoul. This finding gives an important policy implication to the local government which has a plan to boost creative industry. That is, regional specialization strategy is needed to promote creative industry. Large cities are asked to focus on amusement service creative industry while suburban area on technical service or information service creative industry.

      • KCI등재후보

        기능적 창조도시에서 창조적 학습도시로 : 창조도시논의에 대한 교육학적 접근의 유용성

        이병준,박지연,박응희 한국문화교육학회 201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5 No.3

        After the discussion for cultural city and learning city, the discussion for creative city is spreaded recently. It shows that the discussion for city is spreaded to all over the society & science and emerged as the studying subject among the school systems. But if examining the discussion for recent creative city, several studies lead that discussion so the possibility of studying among the school systems for the creative city is still narrowed. The viewpoint of Charles Landry, quoted by a lot of researchers is reduced in the discussion process. This study discusses which usefulness educational discussion has in the discussion for creative city. It say that the discussion for creative city under the educational viewpoint can be unfolded by connecting city culture, city space, creative competency, creativ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creative organizational culture, practical community, etc. variously. Especially, education focuses on human and social subjects which form the creative city. Extensive set-up for subject can make the discussion for creative city more affluent under the educational viewpoint. 문화도시와 학습도시 담론에 이어 최근에는 창조도시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이는 도시에 대한 담론이 이제 사회과학전반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학제간 연구주제로 떠오르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의 창조도시 논의를 살펴보면 몇 개의 학문들이 담론을 주도하고 있어 여전히 창조도시에 대한 학제간연구의 가능성을 좁히고 있다. 많은 연구자들이 인용하고 있는 찰스 랜드리의 입장 또한 논의과정 속에 축소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학적 담론이 창조도시 논의에서 어떠한 유용성을 가지는지가 이야기된다. 교육학적 관점에서의 창조도시논의는 도시 문화와 도시 공간, 창조역량과 창조적 인력개발, 창조적 조직문화와 실천공동체 등 다양하게 연계되어 전개될 수 있음을 밝힌다. 특히 교육학은 창조도시를 형성해가는 인간과 사회적 주체에 초점을 둔다. 이러한 교육학적 측면에서의 광범위한 주제설정은 창조도시 논의를 좀 더 풍요롭게 만들 수 있다.

      • KCI등재

        창조에 나타난 구원신앙-시편 8편과 욥기 38-41장의 비교연구-

        안근조(Keun Jo Ahn)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21 Canon&Culture Vol.15 No.2

        본 논문의 목적은 구약성서에 나타난 창조와 구원의 관계성을 규명하려는데 있다. 기존의 “구속사”(Heilsgeschichte) 중심의 종속적 창조론의 신학적 한계를 극복하고 인간 구원 경험의 창조사적 의미를 탐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창조세계에서 구원을 경험하는 대표적인 두 본문인 시편 8편과 욥기 38-41장을 비교연구하면서 창조와 구원의 의미가 각 본문에서 어떻게 상호수렴되고 있는가를 밝힌다. 먼저, 두 본문의 구조는 땅과 하늘의 교차적 반복구조를 통해서 하늘과 땅이 만나는 지점에 집중되어 있다. 그곳에서 인간에 대한 구원경험과 창조경험이 만나고 있다. 둘째, “인간이 무엇인가”(מהיאנוש)의 물음에 대한 깨달음이 지혜전승의 관점에서 묘사된다. 본문 내용뿐만 문학형식에 있어서도 창조세계의 구조와 동물들에 대한 백과사전적 지식, 감탄문과 수사학적 의문문을 통한 문학적 모티프들의 사용은 지혜자들의 손길을 드러낸다. 자연스레 인간에 대한 이해는 두 본문 공히 ‘하나님-인간’의 구속사에서 ‘하나님-인간-세계’의 창조사적 지평으로 확대된다. 셋째, 시편 8편과 욥기 38-41장이 전하는 구원경험의 내용은 창조질서의 회복경험이다. 고통과 무질서의 땅에서 창조질서의 하늘을 만나는 경험이다. 그 경험의 핵심에 하나님의 형상 따라 지음 받은 인간 존재의 발견과 창조사명의 깨달음이 있다. 궁극적으로, 두 본문을 통하여 구약성서의 인간이해는 더이상 수동적 구원론에 머물지 않고 적극적 창조론으로 고양된다. 더 나아가 구약성서신학의 창조와 구원의 관계성은 구원의 서론으로서의 종속적 창조론이 아니라 구원의 근간으로서의 통합적 창조론으로 수정되기에 이른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고대 이스라엘의 창조신앙이 외래적이거나 보조적인 것이 아니라 고유한 고백이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교리적 또는 율법적인 차원에 머물던 구원신앙의 장을 실제적이고 경험적인 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 and salvation in the Old Testament theology. Raising some limitations of the redemption-history (Heilsgeschichte), this study attempts to discover the integral meaning of salvation in the perspective of creation-history(Schöpfungsgeschichte). Psalm 8 and Job 38-41 are comparatively studied in order to investigate how the concepts of creation and salvation are interrelated in each text. The results are as follow. Most of all, the two texts betray characteristic structures in which repetitive crossing elements of earth and heavens eventually focus on a converging point. It is the point that salvation and creation encounter in human experience. Second, the sapiential interest in “what is human being” is pursued in the context of wisdom tradition. Not only the contents but also the literary types of each text reflect the wisdom influence: encyclopedic scientific description of heavens and celestial body, enumeration of animals, expression of wonders, rhetorical questions. Accordingly,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does not remain in doctrinal dimension of ‘God-human’ relationship but extends to empirical dimension of ‘God-human- world’ relationship. Third, human redemption in Psalm 8 and Job 38-41 signifies a restoration of creation order. Human beings experience their salvation when they find the order of heavens in the midst of sufferings on the earth. The core experience of redemption is to find the image of God in every human being and to realize their mission as a caretaker of the creation order. In conclusion, the two texts reveal that human beings enhance their experience of salvation from receiving divine grace to participating in divine order of creation. This finding opens to a new dire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 and salvation. Creation is not only an introduction or a subsidiary to redemption history but the most fundamental center in the fulfillment of divine salvation. This paper contributes to recovering the concept of creation as essential in Israelite faith by liberating the concept of salvation from doctrinal-legalistic understanding to real-incarnate experience of divine order.

      • KCI등재

        유형별 창조계층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생활환경요인 비교분석

        서원석,주미진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17 GRI 연구논총 Vol.19 No.1

        This paper analyzed major living environment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including job opportunities,locations, relationships, and health and leisure among different creative class groups by using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 (KLOPS), and it aime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cities and industries based on the creative class. In order to compare groups with each other concerning factors that affect life satisfaction, the creative class was classified by three different groups: art creative group, super-creative core, and creative professional. Empirical results suggested that the social relationship variable has an import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for every type of the creative class, but the living environment variable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differ for each type of the creative class. In particula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variabl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for the art creative group, while the leisure activity variable is significant to life satisfaction for the super-creative core. For the creative professional group, various living environment variables including jobs, health, and residentialenvironment and leisure activities are important to life satisfaction. The conclusion we can draw from the analysis is that various factors affect life satisfaction among different creative class groups. 본 연구는 노동패널 조사자료를 이용해 유형별 창조계층의 생활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생활환경 요인을 일자리, 장소, 친분, 건강 및 여가 측면에서 파악하고, 이를 통해 창조계층을 기반으로 하는 도시 및 산업에 대한 정책적시사점 고찰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창조계층을 예술창조, 핵심창조, 일반창조 등 세 개의 유형으로 구분한 뒤각 계층에 대한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을 비교·검토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창조계층은 직업의 창조성 유형에 관계없이사회적 친분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창조계층 유형에 따라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환경은 차별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예술창조계층은 주거환경을, 핵심창조계층은 여가활동을 생활만족도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반창조계층의 경우 주거환경 및 여가활동을 포함해 일자리, 건강상태까지 다양한 생활환경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창조계층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요인들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중국의 도시화와 창조산업클러스터의 특징에 관한 고찰

        이동훈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0 No.1

        21세기 중국의 도시화는 가속단계에 진입했다. 미래 중국의 경제성장을 위한 중요한 원천으로, 투자의 증가를 만들어내며, 도시산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통해 경제구조를 개선하고, 3차 산업의 발전과 내수시장의 촉진제로서 도시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경우 개발지상주의적 사고가 중심이 되어 근시안적인 안목으로 급조된 도시들이 많기에, 개발·발전 위주의 사고 중심을 인간중심적, 문화예술적, 창조적, 생태적 발전 중심으로 전환하고, 이에 맞는 도시화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즉 창조도시 건설은 중국 도시화 전략의 궁극적인 목표가 될 수 있다. 창조산업은 창조도시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중국 역시 창조산업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방법으로 창조산업 클러스터 형식을 차용하여 도시를 재정비 해나가고 있으며, 창조산업이 창조경제로 전환해나가는 핵심 산업임을 인식하고 있다. 중국의 창조산업클러스터는 21세기 들어 본격적인 정책지원을 통해 발전하기 시작했으며, 주로 경제와 문화가 발달한 베이징 상하이, 심천, 광조우, 천진 등과 같은 동부 연안의 대도시를 중심으로 성장하였다. 창조산업클러스터의 양적인 성장이 질적 성장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현재 드러난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는 보다 세밀한 정책 수립이 요구된다. 중국의 창조산업은 비옥한 문화자원의 토양위에서 정책적인 지원과 시민의 참여를 통하여 혁신을 이루어내고, 국제적인 협력과 글로벌 문화마케팅 전략을 통해 중국만의 고유한 창조적 콘텐츠를 개발하여 세계 시장에 나가야 한다. China’s urbanization in the 21st century has accelerated. It has been in its process, taking an important part for economic growth of future China, inducing increases in investment, improving the economic system through restructuring urban industry, and promoting the progress of tertiary industry and domestic market. However, because there are many cities that have been conducted in haste by shortsighted, development-oriented plans, it becomes necessary to convert those development-oriented ideas into creative and human-, culture-, and nature-oriented ones, and to establish strategies for the urbaniz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version. Thus, establishing creative cities can become the ultimate purpose of strategies for the urbanization. Creative industry is the main element that composes creative cities. China realigns its cities through the cluster of creative industry in order to lay a foundation for the industry, perceiving that it is the key to creative economy. China’s cluster of creative industry has been developing in major cities of developed economy and advanced culture on the eastern coast such as Beijing, Shanghai, Shenzhen, Guangzhou, and Tianjin, through support policies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For the cluster of creative industry to grow in quality, rather than in quantity, it is required to establish detailed policies that can improve problems already found. China’s creative industry is expected to bring about an innovation through support policies and participation from citizens, to develop creative contents that represent China’s characteristics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cultural marketing strategies, and finally to advance into the global market.

      • KCI등재

        창조경제시대 창조적 환경과 지역발전의 의미

        이병민(Lee, Byung Min)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3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3

        창조경제시대 지역발전과 관련된 최근의 연구경향은 창조적 활동이 촉진되기 위한 ‘창조적 환경(creative milieu)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경제의 패러다임이 지식(knowledge) 중심의 사회에서 창조성(creativity) 중심의 사회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람이 중심이 되는 창조도시는 산업과 예술적인 생태성, 창조적 계급과 자원의 유동성 뿐 아니라, 문화가 기반이 되는 전통의 복원과 공동체성 창출, 미학성의 추구 등의 다양한 요소들이 환경적으로 조화를 이루어야 유의한 지역발전을 담보할 수 있다. 특히, 창조도시에서 언급되는 창조적 계급과 사회적 자본, 맥락의 특성을 어떻게 환경적인 측면에서 이해하고, 조화를 이루게 하느냐가 성공적인 지역발전의 주요 요인이 된다. 예를 들어 산타페라는 미국의 도시를 살펴보면, 공예가들이라는 창조인력들이 밀집함으로서, 하나의 발전 기반이 마련되고, 이러한 조건들이 창조적 환경으로 발전해나가면서, 다양한 주체들의 선순환이 이루어지는 창조도시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창조경제시대 창조적 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구성인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과 다양한 자원들, 특히 인적자원의 확충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개별적인 발전전략에서 생태계를 기본으로 하는 역할분담과 협력의 키워드가 훨씬 더 중요해질 것이라 여겨진다. Recent studies related regional development in creative economy era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reative milieu’ promoting the creative activities of specific regions which represent the changes of paradigm from knowledge-based society to creative-based society. Human-centered creative city & regional development is encouraged by the combination of several components; artistic ecology, creative class, liquidity of the creative class & resources, community-based restoration of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and pursuit of aesthetics. In particular, the creation of the city’s creative class, social capital,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in terms of understanding how the environment, is the key factor in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area. For example, case of Santa Fe, in the United States, tell the story about creative city. By the concentration of artisans, the foundation for regional development is formulated and these conditions have been developed into a creative environment and eventually made a virtuous cycle for creative city. Finally, communication among composition agents and amplification of resources, especially human resource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creating creative milieu in creative economy era and strategies of individual roles in the ecosystem, and cooperation on the basis of a keyword is much more important.

      • KCI등재

        창조계층의 이동에 관한 연구

        주미진(Mijin Joo)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5

        창조계층은 전문 지식 및 기술을 가지고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업무에 종사하는 직업군을 뜻하며, 지역의 경제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많은 관심을 받아 왔다. 이에 지역정부에는 도시의 경제 성장을 위해 창조계층을 유입하기 위한 각종 정책 및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으나 실제 창조계층이 이동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17차 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창조계층의 이동특성과 이주동기를 분석하여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창조계층은 비창조계층에 비하여 이동성이 높았다. 둘째, 창조계층 이동자는 여성보다 남성이, 20대와 30대의 젊은층이, 미혼보다는 기혼자, 전세 등 자가가 아니며, 아파트에 거주하는 이동자가 많았다. 셋째, 창조계층과 비창조계층이 이주 동기에는 차이가 존재하였다. 창조계층의 이주 동기는 주거 요인과 직장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비창조계층에 비하여 직장 요인이 더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인간관계, 편의시설 등의 변수는 창조계층의 이동에 중요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The creative class is the class of workers whose job is to create meaningful new forms. Recently, much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role of the creative class in regional development. Many policy makers have invested to amenities to attract more creative class into their cities or regions for regional economic growth.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about the migration of the creative clas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n analysis of the movement of the creative class by using the 17th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According to empirical results, the creative class are more likely to move than the non-creative class. The characteristic of creative class who moved is related to married man aged 20s and 30s without own house. Also, there is the difference between determinants of migration of the creative class and the non-creative class. It was founded that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of migration of the creative class are housing related reasons such as home ownership and job reasons. Relationship, convenient facilities are not important factors when the creative class make a decision to move.

      • KCI등재

        『창조(創造)』의 실무자 김환(金煥)에 대한 고찰

        이사유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0 No.34

        『창조』 는 1919년 2월 1일 창간되며, 그 당시 일본 유학생이었던 김동인, 주요한, 전영택, 김환과 최승만이 함께 만든 최초의 순문예 동인지로 한국 근대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지금까지 『창조』는 주요한 멤버를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다. 김동인, 주요한, 전영택의 작가연구는 많은 성과를 이룩하였으나, 대표 작가가 아니지만 『창조』의 초창기 멤버이자 실무자로 끝까지 『창조』를 뒤받치는 김환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되지 못하고 있다. 근대문학과 문단의 형성 및 전개에 있어 문학작품 뿐만 아니라, 자본과 네트워크의 개입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기 때문에 『창조』를 한 매체로 보고 그의 생산 과정을 주목할 때 김환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인물이다. 필자는 김환의 생애와 동인지 활동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창조』를 둘러싼 동인들, 그들 사이의 관계와 『창조』의 발간을 유지하기 위한 협력과 갈등을 분석하고, 문학작품 바깥에 있는 사소하고 잡다한 사건의 조각들을 모아 보다 온전한 『창조』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기를 희망한다. 김환은 1893년 2월 26일 출생, 본적은 평안남도 진남포다. 그의 생애를 자세히 알 수 없으나 그가 일본유학 전에 오산학교의 교사로 평안북도 정주에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1918년 4월 쯤 그는 오산학교를 떠나고 바로 일본에 건너갔다. 일본 동경 어떤 사립미술학교에 학적을 둔 그는 사실상 아오야마학원 근처에 하숙집을 잡고 그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다. 김환은 그 주변의 조선인 학생, 특히 아오야마학원의 유학생들과 가까이 지내며, 많은 사람들과 교제하여 자신의 문화적 인맥을 형성하였다. 이 인맥은 3·1운동 이후 주요 동인들이 각지로 흩어진 상황에서 『창조』 발행 및 편집의 이중적 책임을 지게 된 김환에게 큰 도움이 되었다. 특히 이일을 통하여 광익서관과 인연을 맺었음은 『창조』의 발간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그는 한성도서주식회사와의 협력이나 주식회사창조사의 창립 등 여러 가지 경영 대책을 시도하였지만, 기대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오히려 『창조』 폐간의 죄인이 되고 말았다. 문단을 떠난 그는 흥사단에 참가하여 중국 북경에 가서 독립운동에 투신하였다. 김환을 어떻게 평가하든지 간에 그는 『창조』 완전한 모습을 파악하기에는 간과할 수 없는 인물이다. 『창조』는 결코 김동인·주요한·전영택의 작품만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실무자 김환이 없었다면, 그 시대 대다수의 동인지와 마찬가지로 단명의 운명을 면할 수 없었을 것이다. 김환의 노력으로 『창조』는 자족적, 폐쇄적 성격이 어느 정도 개선되기 때문에 다른 동인지보다 훨씬 더 길고 빛난 역사를 창조하였다. 『創造』于1919年2月1日創刊, 是由當時在日本留學的金東仁, 朱耀翰, 田榮澤, 金煥和崔承萬共同籌劃的純文學同人誌。『創造』的出現代表了韓國近代文學的成型, 在韓國近代文學史上具有非常重要的意義。一般關於『創造』的研究主要圍繞核心作家展開, 而忽略了對其他成員的考察。金煥雖然不是代表作家, 但他一直擔當同人誌的發行事務, 對『創造』的發展起到很大作用。本論文將以實證的方法盡量還原金煥的生平, 主要考察他在『創造』時期的活動, 以此來分析『創造』成員間的關係, 并詳細梳理『創造』的發展史。筆者希望通過對金煥的考察, 來發掘作品外不爲人知的人事和歷史, 由此可以更加全面的認識同人誌『創造』。 金煥于1893年2月26日出生, 原籍爲平安南道鎮南浦市。由於資料不足, 無法了解他成長的過程, 只能確認他曾經在平安北道定州的五山學校里任職。1918年4月他離開了五山學校去日本東京留學, 在東京某所私立美術學校學習美學。雖然不能確定學校的名稱和入學及畢業時間, 但是通過他寄宿的住處可以發現留學期間他主要在東京青山區附近活動。在那裡他和青山學院的朝鮮留學生們經常來往, 由此形成了他主要的人脈。正是這些人際關係在以後發行『創造』的過程中起到了關鍵性的作用。『創造』于1919年初創刊, 但緊接著爆發了三一運動, 在大部分成員都離開東京, 分散于各地的情況下, 金煥擔負起編輯和發行同人誌的重任。爲了堅持發行同人誌, 他充分利用自己的人脈, 通過李一的介紹獲得廣益書館的幫助, 後又與漢城圖書株式會社合作, 但因爲關係不和而決裂。他還組織策劃了株式會社創造社的籌辦。金煥不僅在經營同人誌上竭盡全力, 而且積極促進了新成員的加入, 有效緩解了原有成員發稿不足的問題。由於株式會社創造社最終無法成立, 『創造』成員的失落和對文學熱情的減弱導致了『創造』的停刊。在離開『創造』和朝鮮文壇之後, 金煥投身獨立運動, 在中國度過了下半生。 無論如何評價金煥, 都不應該忽視他在『創造』成員中的作用。如果沒有金煥的努力, 『創造』也許和當時其他的同人誌一樣, 早早就結束了自己的使命。那個時代的同人誌都具有自給自足的封閉性特征, 這也是導致同人誌曇花一現的根本原因。正是因爲金煥的存在, 『創造』才避免了這種封閉性, 才能夠在韓國近代文學史上留下更長的一段足跡。

      • KCI등재

        창조도시 담론의 비판

        박규택(Kyu Taeg Park),이상봉(Sang Bong Lee) 한국지역지리학회 2013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9 No.1

        창조도시 담론이 서구 자본주의 국가를 중심으로 진행된 세계화 혹은 탈산업화 사회 속에서 도시 발전 혹은 재 생을 위한 정책수단으로 활용됨에 따라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현실적으로 세계의 많은 국가의 도시들이 창조 도시에 관한 충분한 검토를 결여한 채 도시 발전 혹은 재생 정책으로 채택하여 실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조도시, 특히 창조산업과 창조계급에 관한 문헌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뒤 새로운 틀로 생성의 로컬리티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 틀은 창조성 혹은 창조도시와 관련된 문화?예술, 창조 행위자, 장소에 토대를 두고 있으며, 기존의 창조도시 논의를 생성하는 로컬리티 측면에서 새롭게 해석하고 나아가 도시 및 지역이 직면한 현실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생성의 로컬리티로서 창조도시는 세 가지 요소가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관계 속에서 존재한다. 향후 제시 된 틀은 다양한 창조도시 이론의 비판적 검토와 사례 연구를 통해 보완되고 정교화될 필요성이 있다. The discourses of creative city have been developed as a development and rehabilitation policy or plan in the contexts of globalization or deindustrialization society mainly progressed by Western capitalist nations and there are a variety of effects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creative city in different national and local conditions. Many nations or cities have adapted and practiced the idea of creative city as a policy of development or rehabilitation without its critical exam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conceptual framework of newly interpreting creative city particularly focused on creative industry and class. The framework of creative city as a becoming locality consists of culture and art creative actor and place continuously interacting and it will take an active role to solve a variety of problems in the cities or regions due to globalization or deindustrialization. Creative city as a becoming locality should be developed in a close relation with the real situation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창조도시전략으로서 창조관광의 이해: 문화이벤트와 창조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이철호 ( Chul Ho Lee ),김기자 ( Gi Ja Kim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4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2 No.3

        창조경제의 도래와 함께 문화관광이 지역발전의 주요 기제로 자리 잡았지만 실제 대도시의 문화관광은 세계적으로 구조적 동질화 과정을 겪으면서 지속가능성의 담보라는 도전에 직면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글은 창조도시 발전전략의 일환으로서 창조관광이라는 관념에 천착한다. 창조관광은 방문객의 창의적 잠재력을 개발하고 방문지역이 제공하는 특유의 체험과 학습을 통해 관광을 확대재생산하는 진화된 형태의 문화관광이다. 이 점에서 창조관광은 오늘날 대도시 문화관광이 직면한 복제의 문제를 해결할수 있다는 전략적 함의를 지닌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문화관광의 발전과 그 연장선상에서 창조관광의 작동 양식을 분석하는 한편, 문화이벤트와 창조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창조관광의 진전된 양태를 고찰한다. 이를 통해 창조관광의 발전에는 관광지의 차별화된 정체성이 중요하며, 그 형성과정은 문화예술의 생산자와 공적 펀드의 역할에 더해 주민참여에 의한 진정성의 구현과 관광업계 내부로부터의 주도적 역할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얻는다. In the era of creative economy, cultural tourism constitutes a key mechanism for regional development. However cultural tourism faces a challenge of sustainable development owing to it``s world-wide structural homogenization along the global city-regions. This article deals creative tourism as a creative city development strategy. Creative tourism is an advanced cultural tourism which allows to develop tourist``s creativity and to reproduce tourism expansively through locality-based experience and learning. The strategic significance of creative tourism exists in its potential to solve the reproduction problem of the contents of cultural tourism. In this context this paper analyses the working mechanism of creative tourism and its developed features through cultural events and creative clusters. This article emphasizes,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tourism, the importance of a differentiated identity of the locality, which results from local citizens`` authentic participation and tourism industry``s endogenous initiatives as well as the role of cultural producers and public fu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