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글로컬 문화의 개념과 한류

        장원호(Jang, Wonho),송정은(Song, Jung Eun)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6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8

        본 연구는 글로컬 문화의 개념을 바탕으로 한류의 발전과정과 방향성을 논의한다. 글로컬 문화는 세계적 그리고 지역적 콘텍스트의 상호작용에서 생성된 결과이자 초국적으로 소비된다. 한류와 글로컬 문화의 관계를 고려하면서, 본 연구는 한류에 나타나는 한국사회 내에 세계화의 영향력, 한국의 사회문화적 특성, 혼종적 결과물, 그리고 한류의 초국적 소비를 설명할 것이다. 한류를 소비하는 해외 수용국가들은 한류를 소비하는데 그치지 않고, 현지의 정서에 맞게 재해석하면서 새로운 형식과 스타일의 문화상품을 생산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한류 팬들로 구성된 문화적 공동체들의 활동을 소개한다. 한류의 글로컬 문화화는 한류 수용국가에서 새로운 팝문화 상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나타난다. 다양한 문화 속의 한류 팬들의 문화적 보편성, 정체성, 그리고 취향을 공유하는 것은 초국적 문화적 공동체를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하며 나아가 상호적 이해와 협력을 이끄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This paper regards the Korean Wave as an exemplary glocal culture and discusses the concept of glocal culture. Glocal culture contains a mixture of global and local contexts and is in turn transnationally consumed. By considering the Korean Wave as an exemplary glocal culture, the paper shows global impacts, local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hybrid features, and transnational consumption of the Korean Wave. The local countries consuming the Korean Wave respond to globalization by creating new forms and styles of glocal cultures through local re-interpretations of the Korean Wave. In addition, the paper introduces the activities of the local K-pop fans as evidences of cultural communities. The glocalizing dynamics of the Korean Wave can be seen in the process of consumption and the creation of new pop culture in the countries that consume the Korean Wave. With the cases of glocalization of the Korean Wave, this study intends to consider the Korean Wave as a way to build cultural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the Korean Wave receivers. It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creation of transnational cultural communities where people among different countries share cultural universals, identities and tastes based on the Korean Wave, and further develop two-way communication, mutu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 KCI등재후보

        마카오(Macau)의 폐허, 스펙터클, 일상생활

        김소라(Kim SoRa)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7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9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는 시립대학교 아시아팝컬처팀과 협력하여 2015년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SSK) 중형과제에 선정되어 ‘글로컬(glocal) 문화와 지역발전’이란 연구 과제를 진행 중에 있다. 이에, 2017년 2월 중국 남부지역의 대학방문 및 답사를 진행하였다. 현 시대의 국가경쟁력은 단순했던 세계화(globalization)와는 달리, 다양한 지역과 도시의 문화가 혼종화를 이루고, 초국가적 문화소비와 커뮤니케이션이 나타나고 있다. 국가적 단위뿐만 아니라, 지역단위의 발전도 국가경쟁력은 물론 공동체문화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협의의 ‘지역’이 아닌 중층적이면서 광의적인 글로컬 단위의 지역발전에 대한 담론을 필요로 한다. 한 국가 내 지역의 헤리티지(heritage)는 글로벌 네트워크(global network)를 형성하는 문화자산이면서, 지역의 정체성(identity)과 차이(difference)를 생산한다. 이에, 국가 경쟁력 제고와 문화공동체의 발전을 위해서는 시대적 변화와 함께 글로컬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글로컬 헤리티지(Glocal Heritage) 연구가 필요하다. 이번 대학방문과 답사는 마카오, 홍콩, 광저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세 지역은 현재 중국 남부 해안에 위치하며, 일찍이 개항을 통해 서양과 교류가 있어왔다. 특히, 마카오는 포르투칼, 홍콩은 영국에 의해 지배를 받았다. 두 지역은 동양의 문화권에 있으면서도 서양의 문화가 혼합되어, 독특한 경관과 문화를 만들어 냈다. 본 글에서는 마카오 답사를 중점적으로 기술하였다. 3일간의 짧은 마카오 탐방이었으나, 마카오(Macau)는 헤리티지를 간직한 마카오 반도, 현대적 건물과 문화소비 중심지인 코타이(Cotai) 그리고 원주민의 문화를 간직한 타이파(Taipa)와 콜로안(Coloane) 지역에서 서로 다른 경관과 혼종화된 문화를 느낄 수 있었다.

      • KCI등재

        2019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해외답사

        정예은(Yeaeun Jung)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9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5

        2019년 1월,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는 히로시마대학과의 학술교류 및 인근의 문화적 지역재생 사례 조사를 위한 현장답사에 나섰다. 답사 대상지는 마쓰야마 시, 오노미치 시, 히로시마 시였으며 답사기간은 1월 7일부터 11일까지 4박 5일로 계획되었다.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는 글로컬(glocal) 문화 시대에 지역재생과 문화적 경쟁력에 대해 연구해왔으며 이번 답사 역시 그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세 지역의 지역발전 전략은 각기 달랐다. 마쓰야마는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인 <도련님>의 배경지로 알려져 이와 연계된 관광콘텐츠를 개발하여 문학도시의 이미지를 구축했다. 빈집재생 프로젝트로 알려진 오노미치는 유휴공간을 적극 활용한 주민주도의 지역재생에 힘쓰고 있었다. 히로시마는 원폭피해지역을 추모공원으로 조성하여 다크투어리즘을 활용하였으며 전쟁의 아픔을 평화의 이미지로 변화시키는 전략을 취했다. 본 글에서는 오노미치 시를 중점적으로 기술하였다. 마쓰야마 시는 명성 높은 창작자들에게 사랑을 받은 덕분에 자연히 문화적 자원이 풍족하게 되었고 히로시마는 처음으로 원폭 피해를 입은 특수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반면 소도시인 오노미치는 산업구조의 변화 등으로 인구 유출과 지역 낙후 등을 경험한 것이 수도권 집중으로 소멸 위기에 놓인 한국의 여러 지역들의 실정과 비슷하다. 이러한 지역의 문제에 대해 시와 주민들이 힘을 합쳐 창조적 해결방법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국내에도 많은 시사점이 될 것이다. 오노미치 시의 지역출신 사업가들이 만든 회사인 ‘디스커버링크 세토우치(Discoverlink Setouchi)’는 영리 추구만이 아닌 지역관광 활성화와 지역의 일자리 창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디스커버링크의 경영이념은 회사명처럼 지역의 매력을 ‘발견(discover)’하여 ‘연결(link)’하는 것이다. 예로부터 교역의 요충지로 번성하여 바다를 통해 일본 각지와 세계의 사람들과 연결해 온 오노미치의 역사처럼 사람과 문화를 연결하는 것이 이들의 목표이다. 이러한 유래에서 착안하여 본 글은 ‘연결(link)를 키워드로 오노미치의 창조적 자생전략을 보고하였다. In January 2019, The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of Konkuk University went to field trips for academic exchanges with Hiroshima University and investigation of nearby cultural and community revitalization cases. Matsuyama City, Onomichi City and Hiroshima City were the places to be visited. The period of the visit was planned from January 7 to 11, 4 nights and 5 days. The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has been studying regional revitalization and cultural competitiveness in the glocal culture era, and this visit was also part of the study. The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of the three regions were different. Matsuyama City was known as Soseki Natsume"s novel, “Botchan” and developed tourism contents linked to it, thus building the image of the city of literature. Onomichi City, which became famous for its “Vacant House Recreation Project”, actively used the idle space to revitalize the area. Hiroshima utilized dark tourism and took a strategy to transform the pain of war into an image of peace. This report focuses on Onomichi City. Matsuyama City is naturally rich in cultural resources thanks to its renowned creators from the region, and Hiroshima City has a special history of being subjected to atomic bomb damage for the first time. Onomichi City, on the other hand, suffered from population outflows and regional underdevelopment due to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This is similar to the situation in many local regions in Korea, which are in danger of extinction due to the concentration of the metropolitan area. The fact that Onomichi City’s municipalities and residents have worked together to find creative solutions to these problems in the region can be a suggestion for Korean regions. Discoverlink Setouchi, a company created by businessmen from Onomichi City, aims to revitalize local tourism and create local jobs, not just for profit. Management philosophy of Discoverlink is to ‘discover’ and ‘link’ local attractiveness, like company names. It is their goal to connect people and culture as the history of Onomichi, which has flourished as a hub of trade since ancient times and has been connected with people from all over Japan and the world through the sea. Based on this, the article reports Onomichi City’s creative self-sustaining strategy through the keyword ‘Link’.

      • KCI등재후보

        남·북한 문화재 법 제도 비교 분석 및 통일한국 시대에서의 문화콘텐츠 활용을 위한 발전방향 제시

        동범준(Dong, Beom Jun)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7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1

        본 연구는 향후 통일 한국 시기를 대비하여 남・북한의 문화재 법제도를 비교하고, 문화콘텐츠적 특성을 고려한 통일한국시대의 문화재 관련 법제도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남・북 각 문화재관련 법제도를 문화콘텐츠 특성을 중심으로 정리하는 시론적 성격의 연구이다. 남한과 북한 각국에 있는 다양한 문화재관련 법제도 중 문화재관련 기본법이자 각 국가의 문화재의 기본정의를 담은 남한의 「문화재보호법」, 북한의 「문화유물보호법」를 우선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각 국가가 인식하는 문화재의 개념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문화재의 관리 및 관리 주체기관 설치와 관련된 법률, 문화재 활용 및 활용주체기관의 설치 및 운영과 관련된 법률을 차례로 선정하여 일람함으로써 현재 남・북의 문화재 법제도의 근황을 살펴보도록 하였다. 남한에서 정의하는 문화재는 기본적으로 ‘국민의 문화적 수준 향상과 문화 향유’에 그 존재목적을 두고 있었으며, 북한의 문화재법에서는 ‘체제유지 및 교육을 통한 자부심과 긍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의 문화재 역할을 강조하고 있었다. 이러한 부분을 바탕으로 각각의 문화재 법제도에서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각 국가의 법제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한계점을 분석하였으며, 통일한국시대의 문화재법이 나아가야 할 기본 방향을 문화콘텐츠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이데올로기적 격차에 의해 나타나게 된 남・북의 문화재 활용의 격차는 남북학자들의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그 해결방안을 찾을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통일한국 시대의 문화콘텐츠제작관련 법제도가 확립되어야 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This study compares bo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s Cultural Heritage Law for preparing era of unified Korea and suggests a developmental direction for utilization of the cultural contents. This study summarizes the Cultural Heritage Law of South and North Korea based on characteristics of cultural contents. First of all, the study reviews the basic definition of cultural heritage through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ies Act」 by South Korea, and 「the law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on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y」 by North Korea. On the basis of this, the study examine the laws related to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 establish of management heritage an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for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e about cultural heritage law system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t the end of paper, we point out the problems of each country’s cultural heritage law system and suggest a developmental direction for utilization of the culture contents in the Unified Korea, based on inter-Korean exchanges.

      • KCI등재

        내생적 요인의 도시문화콘텐츠화에 관한 적용가능성 연구

        박민하(Park, Min Ha)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2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

        본 논문은 외생적 발전의 대안으로 1980년대 등장한 내생적 발전론의 내부지향적인 특성이 다양한 변화를 수용하는데 있어서 한계점을 드러낸다는 것에 주목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문화적 다양성 및 개방성이 투영된 도시문화콘텐츠를 통해 재해석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내생적 요인의 도시문화콘텐츠화의 구성요소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콘텐츠웨어, 네트워크를 제시하고, 이에 따른 각각의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사례분석의 대상지인 홍대 지역에 대입하여 이곳의 문화와 직결되는 주체들을 인터뷰함으로써 실증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홍대 지역의 내생적 요인은 유통?산업?문화의 중심지(역사적 맥락), 홍익대학교(자원), 미술관련 문화생산 활동(활동), 전문 예술가(주체)에 해당하며, 유기적인 상호관련성이 높은 편이다. 이러한 내생적 요인들은 획일화를 거부하고, 개성을 지향하는 젊은이들의 특성과 부합되면서 생명력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점차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콘텐츠웨어, 네트워크의 형태로 확장되었으며, 이 때 전통적 중심인자에 해당하는 전문 예술가의 자발적인 활동에서 ‘다양한 주체의 창의적인 역량’으로 중심인자가 확대되었다. 이러한 과정이 신촌?이대 지역과 다른 홍대 지역의 차별성이다. 내생적 요인의 지속적인 도시문화콘텐츠화를 통해 문화적 트렌드를 이끌고 있다는 점은 홍대 지역의 가장 큰 가능성이지만 급격한 상업화의 진행은 분명한 한계점으로 작용한다. 홍대 지역의 핵심은 콘텐츠웨어이며, 특히 ‘다양한 주체의 창의적인 역량’이 중심인자라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전통적 중심인자이자 문화창조자에 가까운 예술가들이 빠져나가는 상황은 가장 현실적인 문제이다. 콘텐츠웨어의 해체는 소프트웨어의 해체와 동시에 하드웨어의 해체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생적 요인의 도시문화콘텐츠화에서 나타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콘텐츠웨어, 네트워크를 각각의 요소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네 가지 요소가 결합된 후에도 이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제도적인 보장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내생적 요인의 도시문화콘텐츠화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이를 지역 발전에 새로운 가치로 존중하는 인식의 전환이 요구되는 바이다.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caused by exogenous development, the alternative method, endogenous development started appearing in the 1980’s. However, endogenous development, labeled as the ideal regional development, has been discussed usually in the rural development, and its inner-directed characteristics showed the limitation to accept a variety of change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it should be reinterpreted through urban culture contents with cultural diversity and openness. Therefore, the study suggested hardware, software, contentware and network as the components of urban culture contents, drew each factor from them, and attempted to analyze the factors applied to the place of the case study, Hongik university area. The endogenous factors of Hongik university area include the center of distribution, industry and culture (historical context), Hongik university (resource) and activities of culture production related to arts (activity), and those are highly interrelated. These endogenous factors rejected the uniformity, and has been emerged by meeting young people’s characteristic to pursue their individuality. Those were to expanded to the form of hardware, software, contentware and network during this time. Self-activities of professional artists, the traditional center, were expanded to creative competences of a diversity of people, the new center. This is the difference of Hongik university area from the Shinchon and Ewah-Woman’s University areas. Although leading the cultural trend through the urban culture content, the endogenous factor is a strong potential, but a rapid commercialization is the limitation. The center of Hongik university area is contentware, especially when considering creative competences of a diversity of people, the situation in which the artists, cultural creators or the traditional center, get out the place is the most practical problem. This is because dissolution of contentware means dissolution of hardware as well as software. Therefore, in order for them to remain stable, after combining the four factors, an institutional system should be developed, not only considering hardware, software, contentware, network as each endogenous factor in urban culture contents. Especially, in order to spread urban culture contents, the endogenous factor, changed perception to acknowledge it as new worth for regional development is needed.

      • KCI등재

        독서문화 생태계 조성의 주요 거점으로서, 지역 서점 활성화 방안 연구

        오선경(Oh, Sun Kyung)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5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5

        매체 환경이 디지털로 전환해가면서 종이책 독서인구도 감소하고 있다. 더불어 오픈 마켓이나 대형 서점, 온라인 서점 등의 공격적 마케팅은 ‘보다 편리하고, 보다 빨리, 보다 싸게 ’라는 책 소비 패턴에 변화를 가져왔다. 이는 곧 규모나 자본 면에서 열세에 놓인 지역 서점의 위축을 초래했다. 2013년 말 현재, 국내서 점수는 2,331개이다. 2011년 대비 사라진 서점 중 전용면적 165m²미만의 소형 서점의 비율이 96.7%(246개->238개)에 달한다. 팬시 상품 판매 등을 겸업하거나 문화예술 행사를 주최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의 변신을 시도하는 등, 수익 창출을 위한 지역 서점의 다양한 자구책도 나타나고 있다. 보다 재미있고 이용이 편리한 방향으로 옮겨가는 고객의 문화소비욕구를 반영한 변화이다. 미래형 서점으로서, 지역 독서문화 생태계의 주축으로서, 지역 서점이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정부에서도 ‘독서진흥을 통한 국민행복 달성’이라는 문화융성 비전의 실천 전략으로, 지역서점 문화공간화 조성 등 다각도로 지원 방안을 내놓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지역 독서문화 생태계 형성의 주요 거점으로서 지역 서점이 갖는 가능성을 국내?국외의 성공 사례 중심으로 탐색한다. 이를 통해 미래형서점으로의 변화 방안을 모색해봄으로써 지역 서점 활성화를 촉진하고자 한다. As media environments have been switched to digital environments, paper book reading populations have been decreasing. In addition, the aggressive marketing of open markets, large bookstores, and online bookstores brought about changes in book consumption patterns into ‘more convenient, faster, and cheaper’ patterns. This led to the shrinkage of local bookstores that are inferior in terms of scales and capitals. As of the end of 2013, the number of bookstores in South Korea was 2,331. Of the bookstores that disappeared since 2011, the ratio of small bookstores of which the exclusive area was smaller than 165m² reaches 96.7%(246->238). Local bookstores have been also showing diverse measures for creation of profits to save themselves such as also selling fancy products or attempting changes into complex cultural spaces where cultural or artistic events are held. These are changes reflecting customers desires for cultural consumption that are moving toward more interesting and convenient targets. These changes can be interpreted as positive signals that as future type bookstores and as the pivots of local reading culture ecosystems, local bookstores will never disappear. As practice strategies for the vision of cultural prosperity ‘achievement of national happiness through reading promotion’, the government presents diverse support plans such as the formation of local bookstores into cultural spaces. In this respect, in the present paper, the potential of local bookstores as major strongholds for the formation of local reading culture ecosystems is explored centering on domestic/foreign success cases thereby seeking for ways for changes into future type bookstores in order to promote the activation of local bookstores.

      • KCI등재

        책문화생태계 관점에서의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 비교 연구

        정윤희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9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5

        책문화란 책이 생산(출판)되고 축적(도서관)되며 소비되는(독서) 다양한 활동들이 경제적, 문화적, 사회적 가치에 영향을 주며, 결국 한 국가의 문화경쟁력을 높이는 일이다. 특히 책문화의 주체, 정책, 사회 분위기 등 다양한 환경적 요소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책문화가 성장하거나 정체하거나 소멸한다. 따라서 도서관정책, 독서정책, 출판정책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야 하며 건강한 책문화가 지속적으로 성장하도록 해야 한다. 책문화생태계를 건강하게 만드는 관점에서의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관련 정책환경으로 좁혀 책문화생태계 관점에서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의 기초 비교분석을 통하여 정책의 지속적인발전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은 모두 책문화를바탕으로 한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책이 생산되고(출판), 축적되며(도서관), 소비되는(독서) 점에서 정책이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밖에 없는 관계성을 가지고 있기때문 본 연구는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주제는 ‘책문화생태계 관점에서의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비교 연구’이다.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의 수립 기반이 된 법률 제정 시기와 특징, 각 정책의 장기정책인 5개년 계획의 내용과 특징, 각 정책 소관 부처의 내용과 특징을 살펴본다. 본 연구를 위하여 책문화생태계 관점에서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문헌연구를 통하여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을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우리나라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의 역사와 각 정책의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책문화생태계 관점에서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의 상생 방안 제언이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의 역사는 1990년 문화부가 신설된 이래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였으며, 법률 제정 시기와 5년마다 수립하는 장기정책의 수립 시점과 추진 일정도 달랐다. 또한 출판 ‧ 도서관 ‧ 독서정책을 통합 추진하는 조직 기능이 없기 때문에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의 유기적인 연결성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세 가지 방안을 제언한다. 첫째, 정책 수립 초기부터 책문화 정책협력시스템 구축해야 한다. 둘째, 정책추진 과정 시 장단기 상호보완평가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셋째, 장기적 관점에서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이 통합적으로 수립 ‧ 조율 ‧ 시행하는 책문화정책콘트롤 타워 조직이 필요하다. 넷째, 지방정부가 책문화를 주도하고 중앙정부는 어시스트하는 ‘지역주도 ‧ 중앙지원’ 방향의 정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책문화 정책들의 다양하고 깊이 있는 분석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책문화생태계가실현되기를 바란다. Book culture is the process by which books are produced (published), accumulated (library), consumed (reading), and various activities influence and enhance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values. Especiall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key stakeholders, policy, and social atmosphere of book culture influence each other and the book culture grows, stagnates or disappears. Therefore, library policy, reading policy, and publishing policy should be linked closely and a healthy book culture should continue to grow. In order to make the book culture ecosystem healthier, various researches are needed. However, this study narrows down to the related policy environment and suggests continuous development of policy by comparing basics of publishing, library and reading policies from the viewpoint of book culture ecosystem. There is a commonality that publishing, library, and reading policies are all based on book culture, and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there should be a relationship in the policies that the book is produced (published), accumulated (library), consumed (reading).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studying on publishing, library, reading policies analysis in book cultural ecosystem’.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five-year plan, the long-term plan of each policy, and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policy department are examin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heoretical review was made from the viewpoint of the book culture ecosystem, and publishing, library, and reading policies we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Study focuses were; First, what is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publishing, library, and reading policies?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book culture ecosystem, it is a suggestion for win-win system of publishing, library, and reading policies. As a result,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library, and reading policies began to be discussed in earnest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Ministry of Culture in 1990, and the timing related laws and the timing of establishing the long-term policy to be established every five years were also different. In addition, there is a limit to the organic connectivity of publishing, library, and reading policies because there is no organization function to review and integrate these three policies togeth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ree suggestions are formulated. First, we need to build a system to cooperate with book culture policies from the beginning of policy making. Second, it is necessary to build a system of mutually complementary evaluation for short and long term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Third, from the long-term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book culture policy control tower in which publishing, library, and reading policies are integrally established, coordinated, and implemented. Fourth, local governments should lead the book culture, and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make policies that support ‘regional leadership and central assistance’. From this study, we hope to realize a sustainable book culture ecosystem through diverse and in-depth analysis of book culture policies.

      • KCI등재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가치화를 위한 표준화 방안 연구

        오성환(Oh, Sung Hwan)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3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3

        문화콘텐츠 산업은 21세기에 가장 각광받는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문화콘텐츠와 문화 원형 콘텐츠의 원천이 되는 문화유산은 민족의 정체성과 역사를 보존한다는 사회문화적 의의뿐만 아니라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 측면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디지털화는 문화콘텐츠의 개념을 가능하게 만든 동인이며, 문화유산의 복원과정에서 활용 및 서비스의 측면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문화유산 데이터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디지털 콘텐츠로 제작되고 활용되기 위해서는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의 표준화가 반드시 이행되어야 한다. 미래의 사업에도 표준화지침이 필요하겠지만, 기존에 수행되었던 사업의 결과물을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로 활용하기 위해서도 표준화 지침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국가적 차원이나 국제적 차원의 기준 및 표준이 아직 마련되지 않고 있으며,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의 활용방안에도 관심이 기울여지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기록화 사업의 기획부터 데이터의 활용에 이르기까지 공유가능하며 활용가능한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를 도출해낼 수 있는 표준화 방안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문화유산의 디지털화가 각 기관별 혹은 대상 문화유산별로 진행되다보니 생성되는 정보의 차이, 기관 간의 정보 공유의 어려움, 일반인에 대한 활용도 미흡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는 표준화된 제작 지침이 없으며, 또한 유관기관 간에 지침이 공유되지 않기 때문에 일어난다. 따라서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제작과정에서 활용 서비스까지를 고려한 국가 주도적 표준화 방안의 마련이 시급하다. Cultural contents industry has emerged as the most promising industries in the 21st century. Cultural heritage, which is the source of the content of cultural content and cultural circles, as well as the social and cultural significance that preserving the national identity and history has attracted significant attention in terms of creating economic value. The digitized drivers, and made possible the concept of cultural content and, ranging widely used in the process of restora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terms of service. Standardization of digital cultural heritage content, digital cultural heritage data to create value-added content is produced in order to be utilized must be fulfilled. Standardized guidelines for future business, but also take advantage of the results of the project have been made to the existing cultural heritage digital content, it is time to standardized guidelines. The criteria and standards of the national or international level, and the point is not to raise th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digital content has not been interested in Lean.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standardized methods to derive a recording project from the planning to the use of data can be shared and take advantage of the cultural heritage digital content. However, problems such as the difficulty of sharing information between agencies, and the public about the lack of utilization of digitization of cultural heritage looked to be conducted by each agency, or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destina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formation that is generated. In addition, guidelines and standardized production, which takes place between the relevant agencies because they do not share the instructions. Therefore it is urgent to establish the standardized measures used in the cultural heritage digital content creation process, in consideration of the services to the state-led.

      • KCI등재

        중국 지방특색문화산업 발전이념에 관한 연구

        하진,유동환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9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5

        In 2014, the Chinese government distributed the “Directions for the Advancement of the Special Culture Industry.” The regional cultural industry means that it will become a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in the future. The text focused on analyzing the social landscape of China’s regional cultural industry. The concept of the local cultural industry is comprehensive and analyzed in the text in a macro way. The chemical industry is a green industry, and in the 21st century each country considers it a promising industry to promote social development. As China’s social and economic structure has changed, the Chinese cultural industry has become a pivotal economic development industry for the nation’s development. The local cultural industry is a detailed development under the Chinese cultural industry. The government has distributed many documents to promote this. Over the years, the construction of the local cultural industry by each class of society formed various development models. The main article, A power model deployed using resources, a model for developing cultural industries through succession to traditional and manual industries, and an integrated power model that values symbiosis by proj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have divided up into three categories.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ultural industry is fundamentally beneficial in protecting local cultural resources. The level of social economy and cultural development in western China is much lower than that of central and eastern China. The economic power gap between the eastern, the central and the western regions is very high. The regional cultural industry is expected to become a major business that reinforces the economy in the West. The ultimate goal of developing the local cultural industry is to raise the standard of living for local residents. However, due to unfair development, many problems arise. In the final section, China's local cultural industry analyzed what problems were being revealed compared to Korean cultural contents. Regional development is largely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 and may increase regional exchanges abroad. Eventually, peaceful exchanges between countries can be promoted through the cultural industry. 2014년에 중국정부는 <특색문화산업발전을 추진하는 지도의견>을 반포하였다. 지방특색문화산업은 국가적인 발전전략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문은 집중적으로 중국의 지방특색문화산업에 관한 전개 사회배경을 분석했다. 지방특색문화산업의 개념은 포괄적이고 본문에서 거시적인 면에서 담겨져 있는 의미를 분석했다. 문화산업은 녹색산업으로 21세기에 각 나라는 사회발전을 추진하기 위하여유망산업으로 여긴다. 중국사회경제구조 변화에 따라 중국문화산업이 국가발전에 있어 중추적 경제발전산업으로 자리를 잡았다. 지방특색문화산업은 중국문화산업 하에 세부적인 발전분야이다. 이를 추진하기 위하여 정부는 많은 문건을 반포하였다. 몇 년 동안에 지방특색문화산업에 대한 건설은 다양한 발전모델을 형성되었다. 본문은 주로 자원을 이용하여 전개되는 발전모델 ‘전통기예 ‧ 수공업을 계승하여 문화산업을 발전하는 모델’ 지역특색을 돌출하여 공생체를 중요시하는 집결형 발전모델 3가지로 나눠서 정리해보았다. 지방특색문화산업의 발전은 근본적으로 지방문화자원을 보호하는 것에 유익하다. 중국 서부지역의 사회경제와 문화발전 수준은 중부 ‧ 동부지역보다 훨씬 떨어져 있다. 동부 ‧ 중부 ‧ 서부지역 간에 경제력의 격차가 매우 심하다. 지방특색문화산업은 서부지역 경제 활성화 하는 주력 산업이 될 전망이다. 지방특색문화산업을 발전시키는 최종목표는 지역민의 생활수준을 높이는 것이다. 하지만, 불정당한 개발때문에 많은 문제들을 일으켰다. 마지막 부분에서 중국의 지방특색문화산업은 한국문화콘텐츠와 비교하여 어떤 문제점 드러나고 있는지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지방발전은 대내적으로는 나라의 발전이고 대외적으로는 지역 간 교류를 늘릴수 있다. 결국 문화산업을 통해 국가 간의 평화적인 교류를 추진할 수 있다.

      • KCI등재

        로컬크리에이터 중심의 지역문화 발전을 위한 독일 창업 지원방안 연구

        곽정연(Goak, Jeang-Yean)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1 문화콘텐츠연구 Vol.- No.23

        오랜 지방분권의 전통을 가지고 있는 독일은 통일 후 이에 기반해 동독지역통합을 효율적으로 진행하였고, 이러한 독일의 지방분권 체제는 유럽연합의 모델이 되고 있다. 또한 지역에 기반을 둔 체계적인 직업교육과 창업정책으로 현재 낮은 청년실업률을 기록하고 있다. 본고는 로컬크리에이터를 지역문화에 기반한 지역가치를 창출하여 지역을 발전시키는 창업가라고 정의하고, 독일 지방분권제도와 경제 체제를 개관한 후 창업지원방안을 고찰하여 로컬크리에이터 중심의 한국 지역문화 육성에 도움이 될 제안을 한다. 전국에 골고루 분포된 독일 중소기업들은 지역 문화기관과 함께 지역정체성을 형성하고 지역문화를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회적 시장경제라는 경제정책을 토대로 보충의 원칙에 따라 독일정부는 중소기업을 육성하고, 중소기업은 그 지역의 직업교육과 일자리 창출을 담당하며 지역 경제를 발전시킨다. 대학과 연구기관의 첨단기술을 활용한 창업을 통해 지속적으로 지역을 성장시키기 위해 지역 중소기업과 대학이 협력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창업을 지원한다. 신생기업 대부분 창업 초기부터 세계시장을 겨냥하고 있고, 외국에서 유입된 창업자도 지원하고 있어 개방성과 국제화가 독일 창업문화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연대의 원칙에 따라 사회 소외계층뿐 아니라 문화예술분야의 창업도 지원하고 있다. 교육 및 연구기관, 기업, 민관기관, 연방정부, 지자체가 연결된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어 창업자들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창업 초기부터 지속적인 관리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실패율이 낮고, 실패해도 다양한 구제책이 있어 건강한 창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대학과 중소기업이 기업가정신을 교육하고, 창업의 토대가 되는 핵심기술을 연구하면서 창업 생태계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독일과 같이 청년층의 기업가정신, 창업마인드 제고 및 창업 촉진과 창업한 기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대학과 기업이 협력한 체계적인 창업교육의 확대 및 내실화가 필요하다. 창업지원과 함께 창업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것을 동시에 진행하고, 실패하는 기업이 큰 부담 없이 다시 시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독일처럼 창업 후 자리를 잡을 때까지 지원하는 시스템을 만들고, 창업 실패에 따른 사회안전망을 구축해 실패에 대한 창업자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 창업 성공 및 실패 사례, 국내외 창업 동향 소개 등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인 정보를 담은 데이터베이스와 함께 창업자, 경험자, 연구자 등 관련 분야의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여 창업자를 위해 상담하고 조언하는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이렇게 내실 있는 창업 인프라를 구축하여 다양한 분야의 로컬크리에이터가 성장할 수 있다면 이들은 지역문화발전을 선도해 나가는 중요한 구심점이 될 수 있다. This paper defines local creators as a founder who develops the region by creating regional values based on local culture.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e German decentralization system and economic system, explores the start-up support measures to make suggestions for nurturing Korean local culture centered on local creators. Germa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hich are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play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regional identity and developing regional culture together with regional cultural institutions. Based on the economic policy of the social market economy,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upplementation, the German government foster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hich are responsibl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job creation in the region and develop the regional economy. To continuously grow the region through start-ups using cutting-edge technologies of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local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universities cooperate to support start-ups in various ways. Most of the start-up companies are targeting the global market from the beginning of their establishment, and the German government also supports founders from abroa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olidarity, the German government supports not only the socially marginalized but also entrepreneur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With a network of educational and research institutions, businesses,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the fede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connected, founders can receive continued support from the beginning of their busines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erefore, the failure rate is low, and even if it fails, there are various remedies. In Germany, universities an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play a central role in the startup system, educating entrepreneurship and researching core technologies that are the foundation of startups. To enhance the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mindset of young people,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substantiate systematic start-up education in cooperation with universities and corporations. We should be supporting the growth of start-ups together with start-up support, and create a system that supports failed companies like German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atabase containing comprehensive information ranging from startup success and failure cases to the introduction of domestic and foreign startup trends, as well as a network where experts in related fields, such as founders, experienced people, and researchers, participate together to provide counseling and advice for founders. If local creators in various fields can grow by establishing such a substantial start-up infrastructure, they can become an important pivot to lead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