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조계층의 이동에 관한 연구

        주미진(Mijin Joo)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5

        창조계층은 전문 지식 및 기술을 가지고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업무에 종사하는 직업군을 뜻하며, 지역의 경제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많은 관심을 받아 왔다. 이에 지역정부에는 도시의 경제 성장을 위해 창조계층을 유입하기 위한 각종 정책 및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으나 실제 창조계층이 이동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17차 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창조계층의 이동특성과 이주동기를 분석하여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창조계층은 비창조계층에 비하여 이동성이 높았다. 둘째, 창조계층 이동자는 여성보다 남성이, 20대와 30대의 젊은층이, 미혼보다는 기혼자, 전세 등 자가가 아니며, 아파트에 거주하는 이동자가 많았다. 셋째, 창조계층과 비창조계층이 이주 동기에는 차이가 존재하였다. 창조계층의 이주 동기는 주거 요인과 직장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비창조계층에 비하여 직장 요인이 더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인간관계, 편의시설 등의 변수는 창조계층의 이동에 중요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The creative class is the class of workers whose job is to create meaningful new forms. Recently, much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role of the creative class in regional development. Many policy makers have invested to amenities to attract more creative class into their cities or regions for regional economic growth.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about the migration of the creative clas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n analysis of the movement of the creative class by using the 17th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According to empirical results, the creative class are more likely to move than the non-creative class. The characteristic of creative class who moved is related to married man aged 20s and 30s without own house. Also, there is the difference between determinants of migration of the creative class and the non-creative class. It was founded that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of migration of the creative class are housing related reasons such as home ownership and job reasons. Relationship, convenient facilities are not important factors when the creative class make a decision to move.

      • KCI등재
      • KCI등재

        창조산업의 공간적 집적 특성에 관한 연구

        주미진 ( Mijin Joo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21 지역개발연구 Vol.53 No.1

        과거 제조업 중심의 생산방식이 다품종소량생산의 시대로 변화함에 따라 창조성과 관련된 창조산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창조산업은 일반적으로 클러스터 형태로 성장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의 창조산업의 공간적 집적현상을 다양한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잠재적 클러스터, 특화지역, 주변지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창조산업 클러스터의 수도권 집중 현상이 관찰되었다. 반면, 비수도권 지역에는 특화지역은 발견되었으나 클러스터 지역은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창조산업 클러스터의 수도권 집중 현상은 10년간 더욱 심화되었다. 셋째, 창조산업 클러스터는 수도권 지역 내에서도 권역별로 불균등하게 나타나고 있다. 넷째, 창조산업 클러스터 지역은 서울지역에서 경기도 북부지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창조산업의 수도권 집중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정책마련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As manufacturing-oriented production methods have changed into the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the importance of creative industries has been growing; Creative industries are generally related to cluster forms. This study analyzed spatial clustering of the creative industry from 2009 to 2010 based on the type of clusters such as cluster areas, specialized areas, and surrounding areas by using various analysis. As a result, first, there are most of creative industry clusters in the metropolitan. Specialized areas were found in non-metropolitan areas, but cluster areas were rarely found. Second, creative industry clusters have been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for 10 years. Third, the creative industry clusters are unbalanced inside the metropolitan area. Fourth, the creative industry cluster area is spreading from Seoul to northern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policies to solve the concentration of the creative industry in the metropolitan area.

      • KCI등재

        4차 산업 집적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주미진(Mijin Joo)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3

        최근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맞아 지역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기대되는 4차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관심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책들이 수립되고 있으나 실제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4차 산업의 집적수준의 변화가 지역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전국의 시군구를 대상으로 공간통계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4차 산업의 집적이 지역경제의 생산성 측면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지역의 소득에 대해서는 영향을 준다는 근거를 발견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4차 산업의 집적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4차 산업 유형별로 집적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였으며, 지역경제 영향을 주는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은 제조업과 금융 및 보험업의 집적으로 나타났다. Recent years have seen a rapid boom of the 4th industry and relevant policies in regions.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about the impact of the 4th industry on the local economy. This study examines the agglomeration effects of the 4th industry on regional economy by using a spatial statistical model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gglomeration of the 4th industr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oductivity of the local economy, while there is not good enough evidence to 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4th industry and the income of the reg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impact of the agglomeration of the fourth industry on the local economy is limited. In addition, the impact on the local economy was different by the type of the fourth industry, and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financial and insurance industrie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growth of the local economy.

      • KCI등재

        4차 산업의 공간적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주미진(Mijin Joo)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4

        최근 들어, 산업뿐만이 아니라 사회 전반적으로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4차 산업 혁명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4차 산업의 공간적 분포와 관련한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비지리적 방법인 LQ와 지리적 방법인 Getis-Ord’s Gi*를 이용하여 4차 산업의 공간적 분포를 유형화하고 집적지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의 “특화지역”은 수도권 지역의 비율이 높으나, 산업유형에 따라 비수도권 지역에서도 확인되었다. 둘째, 4차 산업의 “클러스터”와 “주변 지역”은 대부분 수도권에 군집하여 형성되어 있었다. 셋째, 수도권 지역 내에서도 4차 산업 “클러스터”는 과밀억제권역과 경기남부지역에 편중되어 나타났으며, 수도권 북부지역과 자연보전권역은 소외된 양상을 보였다. 본 논문은 4차 산업의 “클러스터” 지역이 수도권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러한 특징을 반영한 정책적 대안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ociety.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on spatial distribution and location of the fourth industry. This study tried to classif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fourth industry by using LQ, a non-geographical method, and Getis-Ords Gi*, a geographical metho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the specialized areas of the fourth industry in the non-Seoul metropolitan area as well as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econd, industrial clusters and neighborhood areas of the fourth industry were located mostl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ird, industrial clusters were concentrated on the south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and Seoul, and there are no industrial clusters in the northern part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nature conservation area. This paper shows that the cluster area of the fourth industry is concentr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refore, policies for the 4th industry are needed to solve this unbalanced spatial distribution of the fourth industry.

      • KCI등재
      • KCI등재

        다양한 종류의 피드백이 영어작문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양희(Kim, Yanghee),주미진(Joo, Mijin)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010 영어어문교육 Vol.16 No.4

        There is disagreement, among researchers, on the benefits of corrective feedback on L2 learners' written output. Some scholars advocate the usefulness of corrective feedback while some claim that error correction is ineffective and even harmful. So far, however, research outcomes cannot settle this debate. Based on this debat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among diverse types of feedback on the effects of L2 learners' writing improvement. This study found that teacher’s direct feedback was more effective than any other types of feedback on the effect of participants' writing improvement. In particular, teacher's direct feedback helped their improvement on grammar, mechanics, and form. Among the types of peer feedback, self-correction was the most effective. In teacher feedback, form-focused feedback had more effects than content-focused feedback, but no difference with regard to peer feedback. In addition, teacher's content-focused feedback was more effective than peer's content-focused feedback. Overall, in all types of feedback, teacher feedback was more effective than peer feedback. However, direct (form-focused) feedback was the most effective in teacher feedback, and self-correction in peer feedback. The least effective feedback in both teacher and peer feedback was indirect (form-focused) feed back, which is simple underlining of errors.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