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도서관 조직의 집단 행동에 과한 연구

        韓斗完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1 사회과학논총 Vol.7 No.-

        본 연구는 집단행동에 관한 이론을 중심으로 연구하여 연구자들과 실무자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집단에 대한 정의를 고찰 정리하고, 집단의 성격을 좀 더 확실하게 이해하기 위해 집단의 유행과 형성과정의 모형들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집단성과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집단의 내부적 영향요인인 집단의 목표, 규범, 역할 및 응집성에 관하여 연구함으로써 집단특성의 진단과 성과제고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집단행동 연구의 목표인 집단성과의 제고방안으로는 집단강화, 집단과정의 개선, 문화적 다양성의 활용 및 갈등관리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researchers and libraians in theories and practices of goup behavior. A group was defined, typres of groups were explained variously, and models of group`s goals, norms, roles, and cohesiveness which significantly contribute to its performance were explained to diagnose these characteristics of groups, and group dynamics also was introduced to measure the relations of group members. Strategies for improving group performance were presented : group reinforcement, improvement of group process, utilization of cultural varieties, and conflict management.

      • KCI등재

        관계론적 측면에서의 집단 열광

        주용국(Joo Yong-kook),황미소(Hwang Mi-so)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학논총 Vol.25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문화의 대표 속성인 인간이 맺고 있는 관계 속에서 가치를 구하는 관계론의 입장에서, 집단 열광 경험의 구성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집단열광 경험의 실증사례로서 롯데자이언츠의 응원집단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집단열광과 한국문화 관련 문헌고찰과 응원문화의 참여 및 비참여관찰, 열광팬 10명의 예비면담과 61명의 구조적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탐색된 집단열광의 구성요인은 16명의 열광팬으로부터 검증을 받았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집단열광의 의미는 ‘하나의 공동 목적을 위해 모인 사람과 사람이 만남과 공감을 소통하는 가운데 발현되는 긍정적인 에너지’이다. 집단열광의 구성요인은 6가지로 정체성, 신명, 몰입, 열정, 공감, 자기조직화로 나타났다. 집단열광의 효과는 개인적으로도 사회적으로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집단열광은 6가지 구성요인이 조화롭게 작동되는 메카니즘이다. 이러한 관계를 통해서 ‘우리가 우리’일 수 있고, 개인과 집단의 진화를 통한 개인과 집단의 성장과 발전을 거듭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 문화의 특성에 근거하여 한국인들의 집단열광을 분석하였다는 점과 도출된 집단열광의 요인을 조직이나 다양한 사회단체로의 전이를 위한 기초로서 탐색적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verify the mechanism of group enthusiasm of Lotte Giants support culture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perspective based on Korean culture. For this purpose, a review of the literatures of the Korean culture, participative and non-participative observations, preliminary interviews with 10 Lotte Giant fan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51 fans were used. In addition, the factors of the mechanism developed through research were verified by 16 fans in terms of relevance and import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eaning of group enthusiasm is defined a positive energy based on the relationship among people through interaction and sharing their feelings for individual, group, and societal grow and development. The group enthusiasm is realized through interactions among 6 factors: individual-group identity, high spirits, commitment, passion, sympathy, and self-organization. This study has a value to explore the factors of the group enthusiasm and the factors could be used as the basic reference for a diagnosis of group enthusiasm in organization or societal levels and a reference to enhancing group enthusiasm.

      •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역학조사에 대한 비례 원칙의 고찰

        박미정(Mijeong PARK)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21 Asia Pacific Journal of Health Law & Ethics Vol.14 No.2

        한국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역학조사는 직접 면담을 하는 심층역학조사와 수집된 정보를 활용하는 밀접 접촉자 추적조사로 구분된다. 역학조사의 정확성과 감염경로를 추적하기 위하여 개인정보나 이동통신사 기지국 위치정보 등을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하는 것이 정당화 되려면 감염병 예방법이라는 특별법에 근거하여야 한다. 법률에 근거한 기본권제한은 헌법 제37조 제2항에 명시된 국가 안전보장·질서유지 또는 공공복리를 위하여 필요한경우에 가능하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역학조사 방법이 헌법이 선언한 비례 원칙에 합치하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정보 공개를 위한 법률의 구체성, 정보제공 요청의 정당성, 긴급한 행정 조사로써 적법한 절차를 고찰하였다. 연구대상은 지방자치단체의 확진 환자 동선 정보 공개사례, 대구·경북지역 감염 발생 대응에서 신천지 교인 명단의 요청사례, 그리고 서울 이태원지역 집단감염 발생 대응에서 기지국 위치정보 활용사례다. 비례 원칙의 형식 요건 분석 결과, 감염병 예방법에 의하면 정보 공개 주체는 보건복지부장관으로 한정하고 있으며, 집단 발생 관련 ‘반복 대량 노출 장소’는 중앙방역대책본부에서 공개하므로 지자체에서 공개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지자체의 정보 공개는 법적 근거를 우회하는 측면에서 프라이버시 침해의 소지가 있다고 보았다. 지자체가 감염병 발생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면, 하위 법령에서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적 요건 분석 결과, 역학조사 목적에 필수적인 정보를 개인정보로 분리함으로써 변경되는 기본권을 지목하지 않는 한, 그 목적이 정당하다고 보았다. 방법 요건 분석 결과, 서울 이태원 지역의 기지국 위치추적자료는 제공 목적에 부합하게 역학조사를 위하여 사용되었다고 보았다. 다만 위치추적자료의 요청은 예외적인 행정 조사의 특성을 포괄하고 있어 감염병 예방법에서 정보제공과 정보 처리를 위한 적법한 절차를 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역학조사는 공공의 이익을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활용하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최소 침해적인 수단을 통해서 구현해야 하는 양면성이 있음을 고찰하고, 역학조사 방법과 관련된 법률조항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contact tracing of COVID-19 in Korea is divided into “in-depth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which targets the infected patient and “contact investigation”, which gathers data from close contacts. Personal information and automatically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directly from the patient were used for contact tracing. To justify the data collected through contact tracing and use of personal information,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should be based on a special law called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Article 37 (2) of the Constitution should also be considered, as it provides conditional restriction of basic rights to be allowed only when national security, public order or public welfare are at stake. But it should also be considered, that there are boundaries to be upheld, due to its personal privacy and rights viol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whether the COVID-19 contact tracing methods comply to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declared by the Korean Constitution. The assessment was conducted considering three essential prerequisites for conforming to the Constitution, which are as follows, Format, Purpose, and Method. Legal format for information disclosure was assessed for Format prerequisites, Legitimacy of the request for information provision for Purposes prerequisites, and lastly, the least invasive means that balances the public good and private interests were analyzed for Method prerequisites. The target of this study are the cases of infected people’s travel logs information disclosure by local governments, and the Central Disease Control Headquarters’s request for the list of the whole congregation of the member of “ShinCheonJi” denomination during the outbreak, and the “Itaewon” cluster’s outbreak using GPS data collected by telecommunication stat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format requirements, the laws enforcing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dictate that the subject of information disclosure should be limited to the head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Central Disease Control Headquarters. The Central Disease Control Headquarters discloses “repeated mass exposure locations” related to cluster outbreaks. Thus, the local governments are not empowered or allowed to disclose them. Administrative measures of local governments that prioritize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infectious diseases are subject to violation of personal privac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purpose requirements, the list of the whole congregation of Shincheonji was requested in order to adequately respond to the super-spreading event of the virus. Considering the fact that investigation was able to be initiated meets the objective prerequisit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method requirements analysis, the GPS data of the people associated with the Itaewon outbreak in Seoul was collected without the consent of the subjects. However, this particular case encompasses exceptional characteristics of administrative investigations, thus it is necessary to stipulate legitimate procedures for information provis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within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Contact tracing methods are comprised of two objectives, minimally invasive measures and prolific data utilization, which determines it to be intrinsically ambivalent. Thus, this study proposes an amendment to the provisions related to the Legislation of contact tracing in order to adjust the arbitrary and strained equilibrium that arises between Public health and Privacy when proceeding investigations.

      • KCI등재

        집단 및 질병 동역학에 대한 역사발생적 고찰

        이원재,한길준,Lee, Weon Jae,Han, Gil Jun 한국수학사학회 2013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26 No.2

        18세기 후반, 맬더스는 최초로 집단의 개체군 성장에 대해 연구하였고 버룰스트는 맬더스 모델을 수정하여 로지스틱 모델을 창안하였다. 종간의 포식경쟁에 대한 모델로서 록카-볼테라모델이 만들어졌으며 가우스는 박테리아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록카-볼테라 모델을 변형 발전시켰다. 종간의 포식 작용과 경쟁에 대해 연구하는 와중에 불안정 공존 부동점의 존재가 밝혀지면서 솔로몬과 홀링은 피식자에 대한 포식자의 제한된 능력을 고려한 기능 반응과 수반응을 록카-볼테라 모델에 적용하였다. 니콜슨과 베일리는 숙주와 기생포식자 사이의 포식활동을 연구하여 이산 모델을 만들었다. 20세기에 들어와서 질병 역학에 대한 수학적 모델이 연구되었고 실제 자료와의 비교 연구가 진행되었다. 질병 역학 모델은 역학적 현상에 따라 SIS, SIR 또는 SEIR과 같은 다양한 모델로 명명되었는데, 이들 대부분은 SlR모델을 기본으로 하여 발전되었다. The late 18C Malthus studied population growth for the first time, Verhulst the logistic model in 19C and, after that, the study of the predation competition between two species resulted in the appearance of Lotka-Volterra model and modified model supported by Gause's experiment with bacteria. Instable coexistence equilibrium being found, Solomon and Holling proposed functional and numerical response considering limited abilities of predator on prey, which applied to Lotka Volterra model. Nicholson and Baily, considering the predation between host and parasitoid in discrete time, made a model. In 20C there were developed various models of disease dynamics with the help of mathematics and real data and named SIS, SIR or SEIR on the basis of dynamical phenomena.

      • 일개 고등학교 결핵 집단 발생 사례 보고

        최윤,박미선,결핵전문역학조사반수도권팀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8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6 No.0

        목적: 학교, 의료기관 등 집단시설에서 결핵환자가 발생하면 국가결핵관리지침에 따라 결핵역학조사를 통해 추가 결핵환자 및 잠복결핵감염자를 조기 발견하여, 결핵의 전파를 차단하고 잠복결핵감염 예방치료를 통해 결핵 발병을 예방한다. 일개 고등학교의 결핵역학조사 사례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이 10주 가량 기침증상이 있었으며, 도말 양성 폐결핵으로 신고되어 2017년 9월 19일부터 접촉자를 대상으로 흉부X선 검사와 IGRA를 실시하였다. 접촉자는 학년, 접촉강도, 신분(학생/교직원), 가족접촉자 여부에 따라 분류하였다. 지표환자 및 접촉자의 특성에 따른 잠복결핵감염률을 분석하였고, 결핵환자로부터 분리된 결핵균에 대한 유전형을 분석하여 역학적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결과: 교내 접촉자 850명 중 추가결핵환자 29명, 잠복결핵감염 양성자 74명(9.1%)이 확인되었고, 가족접촉자 85명 중 추가환자 1명, 잠복결핵감염 양성자 25명(29.4%)이 확인되었다. 학생 중 밀접접촉자의 잠복결핵감염률은 20.9%, 일상접촉자의 감염률은 6.3%이었다. 지표환자와 '추가환자 1'과의 접촉 시간이 길수록 추가환자 발생이 많았다. 환자로부터 분리된 결핵균 15주에 대해 유전형 분석(Spoligotyping, 24-loci MIRU-VNTR)결과 모두 일치하였다. 일치한 균주에는 '추가환자 1'의 가족도 포함되어 있었다. 결론: 일개 고등학교에서 결핵환자가 발생하여 7개월 동안의 역학조사를 통해 30명의 추가결핵환자를 발견하였고, 잠복결핵감염자 74명(9.1%) 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내 결핵환자의 진단지연은 집단 결핵 발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조기 결핵진단을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 섬망의 역학

        김정란,Kim, Jeong-La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8 정신신체의학 Vol.16 No.2

        섬망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상태는 아니며 더욱이 내인성 질환은 아니다. 그러나, 섬망은 일부 특정인구 집단에서 발생하는 데, 노인 또는 내과적 상태가 악화된 환자들에서 흔히 발생된다. 이것은 체계적인 섬망역학 연구의 제한점으로 작용한다. 일반 인구 집단에서는 그 발생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섬망에 대한 많은 역학 연구들은 노인에 집중되었다. 그리고, 연구에 사용된 섬망 평가도구들의 민감도와 특이도도 매우 다양하다. 노령, 남자, 불량한 인지 및 기능 상태, 그리고 알코올 남용이 잘 알려진 섬망의 위험 인자들이다. 저자는 노인, 치매 환자, 고관적 골절 환자, 중환자실 입원 환자, 말기 암 환자, 그리고 뇌졸중 환자에서의 섬마의 역학에 대하여 다루게 될 것이다. Delirium is not developed naturally and is not an endogenous disease. However, delirium has occurred in some specific populations, such as the elderly or medically compromised patients. These become limitations on the systematic study of the epidemiology of delirium. Many epidemiologic studies of delirium have been focused on the elderly due to the fact there are relatively few in the general population. In addition, assessment tools with various sensitivity and specificity have been used. Advanced age, male, poorer cognitive and functional status, and alcohol abuse are well known risk factors of delirium. the epidemiological data will be reviewed in the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hip fractures, patients hospitalized in intensive care units, terminal cancer and patients with stroke.

      • KCI등재

        교육조직의 집단역학(Group Dynamics) 관점에서의 인성교육 방안 탐색

        정첩 ( Zheng Jie ),서국선 ( Seo Kuk Sun ),김규태 ( Kim Kyu Ta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3 인성교육연구 Vol.8 No.1

        본 논문은 교육조직의 집단역학 관점에서 교직원에게 제공하는 인성교육에 대한 체계와 실천 방안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직원 인성교육을 학교조직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의 과정과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대인관계, 협업, 갈등관리, 리더십 및 의사소통, 스트레스 관리 등을 배양하도록 돕는 활동으로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교직원 인성교육을 위한 강의, 워크숍, 독서와 토론, 사례기반학습, 롤플레잉, 멘토링, 봉사학습 등과 같은 교육방법과 만족도 조사, 관찰 및 면담,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 및 사후 검증 등과 같은 평가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대인관계, 의사소통, 리더십과 팔로워십, 스트레스 관리와 긍정적 조직 구축 등과 관련된 교직원 프로그램 사례를 제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집단역학 관점에서의 교직원 인성교육은 교직원들에게 자신 및 타인 이해를 위한 리더십 개발과 소통 강화, 구성원 간 긍정적인 인간관계와 소통 촉진, 긍정적 교육조직 구축 등에 기여한다는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paper explored the systematic practices and alternatives of character education provided to faculty members from the perspective of group dynamics in educational organizations. In this study, faculty character education was viewed as an activity that helps fost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llaboration, conflict management,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and stress management in the process and context of interaction between people within school organizations.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educational methods such as lectures, workshops, reading and discussion, case-based learning, role-playing, mentoring, service 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s such as satisfaction surveys, observation and interviews, and pre- and post-verification of programs.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examples of faculty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mmunication, leadership and follow-up, stress management, and positive organization construction. Finally, this study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faculty character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roup dynamics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with others, self-understanding and others’ understanding, positive human relations among members, and the establishment of a positive educational organization.

      • 침입 해충의 분자생물학적 역학조사 방법

        김효중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0

        분자생물학적 기술을 이용한 침입해충의 역학조사 방법은 2000년대 초 미국의 western corn root worm이 유럽전역에 발생하였을 때 전파 경로를 추정하기 위한 연구로부터 출발하였다. 이후, 분자마커의 활용을 통해 해충의 원산지를 추정하고, 분산경로 및 이주관계를 분석하는 연구가 상당수 이루어졌다. 분자역학조사는 집단유전학과 분자생태학에 이론 및 실험적 기반을 두고 있어 이들 학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분자마커로는 일반적인 codominant DNA 마커(ex. mtCOI, mtCOII) 뿐만 아니라 초위성체(microsatellite)와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마커가 주로 활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시간적, 공간적으로 다르게 샘플링 된 집단을 가지고 유전적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기법들이 활용되고 있고, Approximate Bayesian Computation처럼 유입과 확산 경로에 대한 통계적 검증 방법들이 발전하여 이용되고 있다. 본 심포지엄을 통해 분자생물학적 역학조사 방법을 국내외 사례와 함께 소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적 ‘관계’에 대한 탐색

        김화자(Hwa-Ja Kim) 한국현상학회 2013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6 No.-

        본 논문은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적 ‘관계’의 생성과 의미를 질베르 시몽동의 개체화와 기술에 대한 사유에 입각해서 로이 애스콧의 네트워킹 공동체인 ‘텔레노이아(telenoia)’를 예로 들어 고찰한 것이다. 시몽동은 개체발생의 조건과 과정에 주목하고 정보를 미리 주어진 안정적인 형태가 아니라 준안정적인 퍼텐셜 시스템의 긴장으로 간주하였다. 변환작용을 통해 정보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장(場)이고, 네트워킹 참여자들은 이러한 실행적인 장(場)에서 탈중심적인 과정적 개체가 되는 동시에 타자들과 관계 맺는 감성적이고 지성적인 집단이 될 수 있다. 시몽동의 발생론적 철학을 특징짓는 방법론으로서 교환역학은 상보적인 한 쌍으로 된 위상의 유비적인 관계 구조를 지닌다. 즉 교환역학은 퍼텐셜 에너지를 교환하는 관계적 작용을 통해 구조와 형태보다는 구조와 작용 사이의 교환가능성을 의미하고 구조들의 서로 다름 사이의 대립을 초월하고 생성을 존재의 차원으로 이해하게 해준다. 개체는 비결정적인 자연을 전개체적인 것으로 수반하기 때문에 자기 자신과의 내재적, 사회와의 외재적인 관계맺음에의해 사회적인 것에 통합된 ‘관(寬)개체적인 것’을 구축한다. 이와 같은 새로운 사회적?집단적 개체로서의 관(寬)개체적인 것은 온라인상에서 사용자들의 네트워킹을 연결해주는 ‘텔레노이아’를 확장된 의식 집단으로 이해하게 해준다. 가상의 의식 공동체로서 ‘텔레노이아’는 개인의 폐쇄된 글쓰기 넘어 담론적인 정보주체로서 새로운 집단 정체성인 사회성의 모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또한 시몽동은 인간과 기계에 대한 철학의 균형 잡힌 반성적 사유야말로 문화가 기술결정주의와 환원주의에서 벗어나 기술공학을 융합하는 적합한길을 열어줄 수 있다고 강조한다. 요컨대 비록 시몽동이 기술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했을지라도, 정보기술문화에 대한 철학이 지닌 가치판단의 역할을 간과 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