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적장애인의 지원요구의 수준 및 요인 구조

        이한얼,조인수 한국통합교육학회 2011 통합교육연구 Vol.6 No.2

        이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지원요구의 수준 및 요인 구조를 분석한 것이다. 검사 도구는 지원강도척도(Supports Intensity Scale)의 제1부 지원요구척도(Supports Needs Scale)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지적장애인의 지원요구의 수준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으며, 연령별로 16~18세에서 19~21세 또는 22~24세보다 높은 지원요구가 나타난다. 16~18세 연령에서의 높은 지원요구는 학령기의 지적장애인들에게 비교적 많은 교육적 기대를 요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연령에 따른 지적장애인의 지원요구를 명확하게 알아보기 위해서 개인들의 지원요구를 연령에 따라 파악해보는 추적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지적장애인의 지원요구는 장애 정도에 따라 중도․최중도, 중등도, 경도의 순으로 높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장애 정도에 따른 사회성 및 적응행동 상의 결핍이 클수록 더 높은 지원요구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원요구에 대한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단일요인 구조 모형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단일요인 구조모형의 자료에 대한 적합도에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지원요구는 단일요인 구조모형인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vels and factor structure of supports needs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upports needs indexed by SectionⅠ Supports Needs Scale of Supports Intensity Scale translated in Korean.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s needs was no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an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 16~18 years showed higher Index of supports needs than 19~21 years or 22~24 years according to age. Higher Index of supports needs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 16~18 years signified that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t school age were required relatively high expectations, thu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follow-up study that examine supports needs on individuals' growth in order to realize clearly supports needs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epending on age. Supports needs were indexed high severe․profound, moderate, mild in oder according to level of disabilities, such a result signified that require higher supports needs according to level of disabilities as more deficit of sociality and adaptive behavi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supports needs produced one factor structure.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supports needs was favorable goodness of fit one factor structure model reproduced by empirical data. thus supports needs was indicated one factor structure model.

      • KCI등재

        장애인 가족의 지원 요구 조사를 위한 도구 개발

        고희선,박지연 한국특수교육학회 2022 특수교육학연구 Vol.5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family support needs survey(FSN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hich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verify the support needs of familie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provide family support. To this end, items were extra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es, and a draft question was developed through group and individual interviews. Next, through the Delphi metho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tems constituting the draft tool was verified; then, the user convenience of the tool was reviewed to complete a survey development. The FSNS consisted of three categories: support need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ix sub-areas), support needs for families other than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ight sub-areas), and special considerations. “Special considerations” are divided into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parent families, and each consists of question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the parents.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ed the needs survey that can be utilized in planning, implementing, monitoring and evaluating the family support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 study also confirmed that the survey is an appropriate tool to verify the needs of families with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rough convenience tests of those who will use the FSNS and suggested various ways to use the tool.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가족의 지원 요구에 근거한 가족지원 제공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장애인 가족의 지원 요구 조사를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문항을 추출하고 집단 및 개별 면담을 거쳐 문항 초안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3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장애인 가족지원 요구 조사지 초안을 구성하는 문항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고 마지막으로 요구 조사지의 사용자 편의성을 검토하여 장애인 가족지원 요구 조사지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개발된 장애인 가족지원 요구 조사지는 장애 자녀를 위한 지원 요구(6개 하위영역), 장애 자녀 이외의 가족을 위한 지원 요구(8개 하위영역), 특별한 고려 사항의 세 범주로 구성되어 있다. ‘특별한 고려 사항’은 다문화 가정과 한부모 가정을 위한 범주이며, 각각 장애 자녀와 부모를 위한 문항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선의 장애인 가족지원을 실행하기 위한 기초 조사와 가족지원 과정 및 지원 종료 후 점검에 활용될 수 있는 요구 조사지를 개발하였다. 둘째, 본 요구 조사지를 실제로 사용할 장애인 가족들을 대상으로 편의성 검사를 실시함으로써 이 도구가 장애인 가족의 지원 요구 조사에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를 이용하는 성인의 의사소통 요구 및 기능 조사

        이은혜,신상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8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하여 뇌성마비와 발달장애 성인이 필요로 하는 의사소통 요구와 의사소통 기능을 활동지원 영역별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뇌성마비 또는 발달장애 성인에게 도움을 제공한 경험이 있는 활동지원사 30명을 대상으로 뇌성마비 성인 집단 15명과 발달장애 성인 집단 15명으로 나누어 9개의 활동지원영역(개인위생 관리, 신체 기능 유지 증진, 식사 도움, 실내이동 도움, 청소 및 주변 정돈, 세탁, 취사, 등하교 및 출퇴근 지원, 외출 시 동행)과 6개의 의사소통 기능(요구하기, 반응하기, 객관적 언급, 주관적 진술, 메시지 수신, 대화내용 구성요소)에 대해 의사소통 요구도를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평정하도록 하였다. 결과: 뇌성마비 집단의 의사소통 요구도가 발달장애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활동지원 영역에 따른 주효과와 장애 유형과 활동지원 영역과의 상호작용 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뇌성마비 집단은 활동지원 영역에 따른 의사소통 요구의 차이가 없었으나, 발달장애 집단은 외출 시 동행에서 신체 기능 유지 증진과 실내이동 도움보다 높은 의사소통 요구를 보였다. 의사소통 기능에서도 뇌성마비 집단의 요구도가 발달장애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두 집단 모두 의사소통 기능들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장애의 유형과 활동지원 영역에 따른 의사소통의 요구와 기능 및 의사소통지원에 대해논의가 이루어졌다.

      • KCI등재

        직무요구가 내재적 동기부여에 미치는 영향 : 상사와 동료의 정서적 및 수단적 지원의 삼원조절효과

        조영삼,홍가혜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job demand and social support on employees’ intrinsic motivation based on the job demand-resource model. Although many researchers have examined the antecedents of intrinsic motivation,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 and intrinsic motivation was overlooked. Futhermore, there has been a limitation that the existing studies investigated the social support from the dichotomous or integrative perspective (i.e. supervisor and colleague or emotional and instrumental supports). Thus,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 and intrinsic motivation first, and then the respective effects of the four types of social support on intrinsic motivation. Especially, unlike previous literature, the remarkable difference in this study is considering the supports of both supervisor and colleague between them, simultaneously. Drawing upon the conservation of resource theory, we expected that employees would be selectively dependent on the social support they needed in the situation of high job demand. Hypothesis 1: Job demand will be negatively related to intrinsic motivation. Hypothesis 2: Supervisor’s emotional support (2a) and instrumental support (2b)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intrinsic motivation. Hypothesis 3: Colleague’s emotional support (3a) and instrumental support (3b)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intrinsic motivation. Hypothesis 4: Social supports will positive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 and intrinsic motivation. In the situation of high job demand, the positive moderating effect will be stronger when selectively depending on the support by either supervisor or colleague than when depending on the supports by both supervisor and colleague. Especially, the positive moderating effect will be the strongest when depending on supervisor’s instrumental support. The result indicated that job demand was negatively related to employees’ intrinsic motivation. Contrary to our expectation, only emotional supports of supervisor and colleague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ir intrinsic motivation. The results of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showed that job demand and intrinsic motivation was positively related only when supervisor’s instrumental support was stronger and colleagues’ emotional or instrumental support was weaker.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 we discussed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본 연구는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기반으로 직무요구와 사회적 지원이 조직구성원들의 내재적 동기부여에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많은 연구자들이 내재적 동기부여의 중요성을 인지하며 그 선행변수를 살펴본실증연구가 상당히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직무요구와의 직접적인 관계를 고찰한 연구는 상대적으로간과되어 왔다. 더불어 사회적 지원에 대한 연구 역시도 상사 및 동료의 지원 또는 정서적 및 수단적 지원등의 이분법적이거나 하나의 변수로 통합한 관점에서만 살펴보았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먼저 직무요구와 내재적 동기부여 간의 관계에 주목하고, 사회적 지원을 네 가지 유형 즉, 상사의 정서적지원, 상사의 수단적 지원, 동료의 정서적 지원, 동료의 수단적 지원으로 구분하여 그 원천과 유형에 따른개별적인 직접효과를 조명하였다. 특히, 기존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가 가지는 가장 큰 차별점은 직무요구와내재적 동기부여 간의 관계에서 삼원조절효과를 통해 사회적 지원의 핵심적인 두 축으로서 상사와 동료의지원을 동시에 고려하였다는 점이다. 실제로 조직에서 상사와 동료의 지원을 분리하여 이해하는 것보다는공존하는 관계 속에서 차별적인 역할을 규명하는 것이 좀 더 현실적인 접근이라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자원보존이론을 토대로 직무요구가 높은 상황에서 조직구성원들은 자신에게 필요한 사회적 지원에 선택적으로 의존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연구결과, 직무요구는 내재적 동기부여와 부의 관계를 나타냈다. 네 가지유형의 사회적 지원과 내재적 동기부여 간의 정의 관계는 예상과는 달리 상사의 정서적 지원과 동료의 정서적지원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원조절효과의 결과는 직무요구가 높은 상황에서 상사와 동료의 지원모두에 의존하기 보다는 상사의 수단적 지원에 선택적으로 의존할 때 내재적 동기부여에 대한 긍정적인 조절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증 자폐성 장애 청소년의 성인기 전환에 대한 가족지원 요구 분석

        배내윤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3 특수교육 Vol.12 No.1

        This study aims to analysis the needs to family support on transition of adolescents with low functioning autism by open-closed interview 8 mothers. Mothers have sons with low functioning autism who are attending the junior class of high school or a special school in Daegu. Mother’s interview materials was analyzed by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nd this study derived 4 categories and 11 sub-themes from these materials. The result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Mothers need to educational support which is a lifelong education, transitional education, therapy and offer information about them. Second, community agencies must need to offer daycare, employment, medical service, activity for spare time. Third, they need to recovery of family members relationship through therapy and counsel. Fourth, after parents’ death, government contribute to family’s support by a cost-of-living allowance that is enough to independent living of adolescents with low functioning autism. 본 연구는 고등학교 졸업을 앞둔 중증 자폐성 장애 청소년을 자녀로 둔 어머니들의 성인기 전환에 대한 가족지원 요구에 관해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 가족지원 요구의 형태와 구체적인 지원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중증 자폐성 장애 청소년을 자녀로 둔 어머니 8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의 내용은 연속적 비교법을 사용하여 4개의 범주와 11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어머니들이 가지는 자녀들의 성인기 전환에 대한 가족지원요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교육 지원으로 정보제공으로서의 교육과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교육지원에 대한 요구이며 둘째, 지역 사회에서의 지원으로는 돌봄과 보호, 취업, 의료, 여가생활 지원을 요구했으며 셋째, 가족관계 개선지원은 부부관계, 부모와 장애자녀관계, 부모와 비장애자녀관계 개선을 위한 지원위한 상담과 치료교육을 요구했다. 마지막으로는 생계유지지원으로 현실적, 미래지향적 지원을 통한 부모 사후의 대책에 관한 요구가 주를 이루었다.

      • KCI등재

        통합학급을 지원하는 통합교육지원교사의 중요도-실행도에 대한 인식 차이 및 지원 요구 분석

        이태형 ( Lee Tae Hy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3 지적장애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통합교육지원교사 역할에 대한 인식과 지원요구 우선순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124부의 교사 응답지를 바탕으로 SPSS 26.0을 활용하여 t-검정 및 일원변량분석(One-Way-Anova),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Model 방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통합교육지원교사 역할에 대한 인식 차이는 교육과정적 지원 역할, 사회적관계 지원 역할, 자원 연계 지원 역할 순으로 나타났고, 통합교육지원교사들의 인식 차이에서 중요도는 높게 인식하고 있지만 실행도는 낮게 나타났다. 통합교육지원교사 역할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가 큰 문항은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 및 직업교육에 대한 정보제공 지원 역할’, ‘특수교육대상학생의 문제행동 예방과 감소를 위한 긍정적행동 지원 역할’,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수적 수정(교수내용 및 방법 등)에 대한 지원 역할’,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지역사회 자원과의 연계를 위한 정보 제공에 대한 지원 역할’, ‘통합학급 담임교사(교과 전담교사 포함)와 함께하는 협력 수업 지원 역할’ 순이었다. 인식 차이가 작은 문항은 ‘학교 구성원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향상을 위한 지원 역할’,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을 위한 특수교육 서비스 방안에 대한 지원 역할’, ‘정규수업 외에 장애학생을 위해 교내·외 프로그램 활동 지원 역할’,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및 운영을 위한 지원 역할’, ‘특수교육대상자 선별 및 의뢰에 대한 지원 역할’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t-검정 및 Borich요구도 우선순위 결과를 바탕으로 The Locus for Focus Model의 4사 분면에 통합교육 지원 역할에 대한 우선순위를 정한 결과 최우선 과제로 지원해야 하는 역할은 Ⅰ사분면(H,H)에 포함되는 지원 역할로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교수적 수정(교수내용 및 방법 등)에 대한 지원 역할’, ‘학급 차원의 비장애 학생과 장애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지원 역할’, ‘특수교육대상학생의 문제행동 예방과 감소를 위한 긍정적행동 지원 역할’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통합교육지원교사 역할의 인식 차이와 지원 요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role of inclusive education support teachers and priorities for support needs. Based on 124 teacher response sheets,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6.0 using t-test, One-Way-Anova, Borich's demand scale,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role of inclusive education support teachers appeared in the order of curriculum support role, social relationship support role, and resource connection support role. Although the importance of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inclusive education support teachers was recognized as high, the performance level was also low. appeared low. The questions with a large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role of inclusive education support teachers are ‘Support role in providing information o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and ‘Positive actions to prevent and reduce problem behavior of students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role', 'Support role for pedagogical modifications (teaching content and methods, etc.)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Support role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connection with community resources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Cooperative class support role with inclusive class homeroom teachers (including subject teachers)' was followed in that order. The questions with a small difference in perception were ‘Support role to improve school members’ awareness of inclusive education’, ‘Support role for special education service plans for students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and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to regular classes. It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Program activity support role’, ‘Support role for establishing and operating an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and ‘Support role for selection and referral of special education recipients’. Second, based on the t-test and Borich needs priority results, the priorities for inclusive education support roles were set in the 4 quadrants of The Locus for Focus Model. As a result, the roles that should be supported as the highest priority are in quadrant Ⅰ(H,H) 'Support role for pedagogical modifications (teaching content and methods, etc.) for students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It was derived as ‘support role for social interaction between non-disabled students and disabled students at the class level’ and ‘positive behavior support role to prevent and reduce problem behavior of students requiring special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role of inclusive education support teachers and support needs were discussed.

      • 특수한 요구를 지닌 학생들을 위한 고등교육기관 지원시스템에서의 교수자 지식과 준비도

        ( Mohd Manishaj Ali ),( Abd Rosadah Majid ),( Mohd Norshidah Salleh ),( A Rogayah Razak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1

        말레이시아의 고등교육에서 특수한 요구를 가진 학생들의 입학이 증가되는 것을 보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이러한 현상은 교수자들에게 특수한 요구를 가진 학생들의 요구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하고 교육하게 하는 수준을 증가시키도록 하며 이를 위해 행정가들을 돕도록 하게 한다. 본 연구는 말레이시아의 고등교육기관에서 특수한 요구가 있는 학생들을 위해 학습지원을 제공해주고자하는 교수자들의 의지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 표집은 사회 및 사회과학분야의 학부의 12명의 교수자로 구성하였다. 응답자들은 교수자의 학급에서 특수한 요구를 지닌 학생들을 가르친 경험이 있는 자로 구성하였다. 자료는 응답자들에게 새롭게 개발된 인터뷰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4가지 요소(특수한 요구를 지닌 학생들에 대한 지식, 특수한 요구를 지닌 학생들의 수용도, 지원 서비스 제공여부, 그리고 특수한 요구를 지닌 학생들을 통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교수와 학습 상에서의 도전들)로 구성하여 인터뷰하였다. 자료는 인터뷰한 그대로 전사되었으며, 4개의 연구구성에 따라 분류화하였다. 연구결과, 교수자는 그들의 수업을 듣는 특수한 요구의 학생들을 인식하고 판별하고자 하였다. 또한 수용에 있어 준비도가 세부분으로 분류되어져있음이 나타났는데, 학급에서 특수한 요구의 학생들을 충분히 수용하는 교수자, 수용하지 않는 교수자, 신체적 문제만 가진 학생들을 수용하는 교수자이다. 몇몇의 교수자들은 그들이 특수한 요구들을 가진 학생들을 지원하는데 문제에 직면해있음을 인정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론은 학급에서 다양한 학습자들을 관리하는 교수자를 위한 지원과 특수한 요구를 가진 학생들을 위한 지원은 서로 영향을 주는 관계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직업계고 취업지원관의 취업지도 직무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이병욱(Byung-Wook Lee),정훈섭(Hunseop Jeong) 한국직업교육학회 2021 職業 敎育 硏究 Vol.40 No.4

        이 연구는 직업계고 취업지원관의 취업지도 직무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도출하고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이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취업지원관의 취업지도 직무별 교육요구도는 어떠한가? 둘째, 직업계고 취업지원관의 취업지도 직무별 교육요구도에 대한 우선순위는 어떠한가?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취업지원관의 취업지도 직무별 교육요구도 조사 결과 연구 결과 제시된 모든 직무에 대해 취업지원관은 중요도 대비 현재 수행 능력 정도가 낮다고 응답하였으며, 특히 취업지원관은 본인들이 중점적으로 수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무에 대해 교육요구도가 높게 도출되었다. 따라서 차후 교육프로그램 개발 시 난이도가 있는 직무에 대해 기초부터 전문적인 내용까지 포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시・도 자체 평가청의 취업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취업지원관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산업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정보 시스템의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직업계고 취업지원관의 취업지도 직무별 교육요구도 우선순위에 대한 결과 총 25개의 직무 중에서 8개의 직무가 1순위로 도출되었고, 2순위에는 8개의 직무, 3순위에는 9개의 직무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이를 기반으로 취업지원관이 직업계고에서 전문적인 역할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취업지원관 연수가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e and analyze the education requirements for the employment guidance job of career consultant at vocational high schools. To analyze this, the research question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education requirements for each job in the employment guidance of the career consultant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Second, what is the priority of the employment guidance and education requirements for each job of the career consultant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The specific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education requirements for each job in the employment guidance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the career consultant responded that the current performance level was low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all the jobs presented as a result of the study and in particular. In addition to career consultant had a high education requirement for the jobs that they were expected to focus on. So when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in the future, a program that can cover everything from basic to specialized for difficult jobs is developed. Moreover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information system that can share of various industry information to support career consultant centering on the employment support centers of city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prioritization of education requirements in employment guidance jobs of career consultant, 8 jobs out of a total of 25 jobs were derived as the 1st priority, 8 jobs in the 2nd priority, and 9 jobs in the 3rd priority. So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for career consultant so that they can quickly perform their professional roles in vocational high schools.

      • KCI등재

        유치원교사 직무수행의 지원 경로 및 지원 요구에 대한 분석

        김정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연구 Vol.31 No.5

        본 연구는 실제 직무수행 시 유치원 교사의 지원 경로에 대한 인식과 지원 요구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주연희가 사용한 설문내용을 참고하여 유아교육전문가와 논의한 후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상남도의 유치원교사 115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유치원교사는 6개의 직무영역 수행 시 "사무처리 및 시설설비 영역"을 제외한 전 영역에서 "자기 연구"의 지원 경로가 가장 높았고, "동료 조언", "원장 조언"이 그 뒤를 이었다. 효율적인 직무수행을 위해서는 "연수 및 장학"에 대한 지원 요구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자기 연구"였다. 결과적으로 유치원 교사들의 실제 직무 수행 시 지원 받는 경로와 지원받기를 원하는 요구에는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유치원 교사들의 지원 경로 요구가 반영된 지원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즉 원하는 직무 영역의 내용을 반영한 연수 계획, 원장 및 동료의 조언에 대한 지원을 실제적으로 많이 받고 있음을 반영한 유아교육기관장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계획, 자기연구와 동료 장학 및 협력에 대한 연구 등이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지역적인 부분과 구체적인 지원내용을 제시하지 못하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으나 유치원 교사의 지원 경로와 직무에 따른 지원 요구를 제시함으로써 체계적인 지원체계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시해 준 데 의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o ascertain and analyz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regarding support paths and requirements, this study employed questionnaires, reconstructed by early childhood experts from one used by Yeun-Hee Joo in an earlier study. Subjects were 115 kindergarten teachers in Gyungnam. The data collected were calculat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Data analyses reveals the highest score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support paths to be "self encouraged learning" in all six areas of duty performance with the exception of "desk work area" and "equipment/ facilities area". Perception scores in areas of "colleagues' advice" and "director's advice" followed those of "self encouraged learning". With regard to efficient job performance, support needs in the "studying and training area" and encouraging learning area" were most prevalent, followed by the "self encouraged learning area". Thus, analyses reveals differences between support paths and needs of the support paths in actual duty performance. Clearly, the support that reflected the kindergarten teachers' needs in the support paths has not been sufficiently provided. In other words, there is need for teacher studying and training plans that reflect the contents of job areas and a need for plans for improving the rol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so that it adequately reflects the actual support derived from the advice of colleagues and the presidents of kindergartens. As well, there is a need for more research on self study and colleagues' encouragement in learning/collaboration. Disseminating and sharing this research also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role of the education experts. While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it does not provide specific support information or discuss needed research areas in depth, it, nonetheless, provides a strong rationale for establishing a systematic support system according to the paths and needs of support as noted in the discussion of needs in the teachers' performance of duties.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

        박영근,이한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2

        본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들의 성공적인 지역사회 통합을 위해 요구되어지는 적합한 수준의 적응능력과 그에 따른 실질적이면서도 생활 중심적인 지원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지적장애 학생들의 적응능력과 이들이 가지고 있는 지원요구를 심도 있게 알아봄으로써, 지적장애 학생들이 성공적인 성인으로 살아가기 위한 전환계획 수립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먼저 지적장애아교육 교사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적응능력 수준 및 지원요구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를 수행하고, 양적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현재 적응행동 수준, 부족한 적응행동 기술, 지원요구의 정도 및 구체적인 지원요구에 관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교사들은 지적장애학생들이 적응행동 수준이 많이 떨어지고 구체적으로 시간 이해 및 엄수, 이동기술, 작업기술, 경제생활부분에 있어서 적응능력 수준이 많이 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에 따른 구체적인 적응행동 수준에 대해서는 심층면담을 통해 제시하였다. 또한 지적장애 학생들의 지원요구의 정도와 구체적인 지원요구를 알아본 결과 고용, 사회적 활동, 평생학습, 지역사회생활, 가정생활, 건강ㆍ안전 모든 하위척도에서 확장적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인 지원 요구에 대해서는 심층면담을 통해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