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년남성의 성역할 갈등과 중년기 정서적 위기감의 관계에서 친밀감 두려움의 매개효과

        모윤수(Yoon-Soo, Mo),김지현(Ji-Hyeon,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여성연구 Vol.91 No.2

        본 연구는 중년남성의 성역할 갈등과 중년기의 정서적 위기감의 관계에서 친밀감 두려움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가를 검증하고 더불어 남성이 나타내는 여성성 수준에 따라 이 관계가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자 집단 간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중년남성(만40세-60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 수집된 304개의 데이터를 SPSS와 AMOS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검증결과, 중년남성의 성역할 갈등이 높을수록 중년기에 정서적 위기감을 많이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년남성이 가지고 있는 친밀감 두려움은 이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여성성의 수준에 의한 집단 간 비교결과에서는 성역할 갈등, 친밀감 두려움 그리고 중년기 정서적 위기감의 관계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 연구결과는 남성의 성역할 갈등이 중년기 정서적 위기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보다는 친밀감 두려움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여성성 수준에 의한 두 집단 비교 결과에서는 남성안의 여성성의 강화만으로 성역할 갈등, 친밀감 두려움이 중년기 정서적 위기감에 이르는 관계에 변화를 주기에는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로 미루어보면, 남성의 중년기의 심리적인 건강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남성의 경험하는 성역할 갈등의 수준을 낮추고 친밀감 두려움을 감소시키는 것이 여성성의 강화보다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남성들의 중년기 정서적 위기감의 예방 및 극복을 위해서 관계적인 측면에 초점을 둔 성역할 유연성과 친밀감 두려움 극복을 위한 심리 상담 개입에의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conflict and emotional mid-life crisis in middle-aged Korean men. I hypothesized that the fear of intimacy mediated this relation. In addition, I supposed that the feminine trait in men could moderate the relation of gender role conflict, fear of intimacy and emotional mid-life crisis. These assumptions were tested on 304 samples from middle-aged Korean men(age : 40-60).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the study 1 showed that, as expected, male gender role conflict was positively related to emotional mid-life crisis. The fear of intimac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conflict and emotional mid-life crisis when controlling of income level. Gender role conflict had no direct effect on emotional mid-life crisis. In study 2, the test result of the multi group analysis indicated that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on of gender role conflict, fear of intimacy and emotional mid-life crisis was not found. Overall, the present results confirmed that gender role conflict affected the emotional mid-life crisis of middle-aged men. The fully mediated by the fear of intimacy model fit the data well when holding constant of income level. Also, this model explained that this relationship did not differ in two groups divided by the feminine scores. Th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creasing the level of gender role conflict and alleviating the fear of intimacy are more important than enhancing the femininity in men for the psychological health of the mid-lif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for men counseling practice are discussed.

      • KCI등재

        중년 남성의 배드민턴 참여정도에 따른 자아개념과 자아존중감의 관계탐색

        이태희,심윤식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중년 남성의 배드민턴 참여 정도에 따른 신체적 자아개념과 사회적 자아개념의 차이를 알아보고 자아 개념과 자아존중감 사이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K도 S시에 거주하는 4·50대 중년남성 중 배드민턴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생활체육인 1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문항은 인구통계학적 특 성, 참여정도, 신체적 자아개념, 사회적 자아개념 및 자아존중감 관련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과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남성의 신체적 자아개 념은 배드민턴 활동 참여기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중년남성의 사회적 자아개념은 배드민턴 활동 참여정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배드민턴 활동에 참여하는 중년남성의 신체적, 사회적 자아개념은 자아존중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사회적 자아개념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드민턴 활동에 참여하는 중년남성의 신체적 자아개념은 참여기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운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동기부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중년 남성의 자아존중감은 신체적 자아개념보다 사회적 자아개념이 더 큰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중년남성의 자아존중감의 긍정적인 향상을 위해 배드민턴 클럽 활동 시 구성원에게 영향을 미 치는 다양한 사회적 요인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physical self description and social self description according to degree of participation of badminton in middle aged men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description and self esteem. In this study, we surveyed 176 living athletes participating in badminton activities among 40-50 middle aged men. Questionnaires consisted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articipation level, physical self description, social self description and self esteem. In order to derive the study results, one-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irst, the physical self description of middle aged men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duration of badminton activity participation. Second, the social self description of middle aged men showed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badminton activity. Third, the physical and social self description of middle aged males participating in badminton activities were related to self esteem, and the social self concept was more influential.

      • KCI등재

        홀로 살아야 행복한, 중년 남성의 삶

        권혁철(Kwon, Hyuk Chul),김형용(Kim, Hyoung Yong)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사회과학연구 Vol.24 No.3

        최근 중년 남성 1인 가구가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남성 1인 가구 중 4050세대는 2000년 기준 25.4%에 불과하였으나 불과 15년 만에 39.3%까지 증가하였다. 홀로 사는 남성 열 명 중 네 명이 청년이나 노년이 아닌 중년이라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년 남성 1인 가구의 일반적 특성을 다인 가구와 비교하여 살펴보고, 홀로 사는 이들이 어떠한 삶의 유형을 만들어가고 있는지, 구체적으로는 중년층 남성 1인 가구의 사회적 관계와 주관적 행복 사이의 관계를 조명해 봄으로서 오늘날 이 집단이 갖는 사회적 의미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2016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 자료를 활용하여 4050세대 남성 9,364명(1인 가구:308명, 다인 가구:9,056명)을 대상으로 사회인구 및 계층 특성, 사회적 관계 그리고 주관적 행복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년층 남성 1인 가구는 다인 가구에 비해서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하며, 사회적 관계, 그리고 주관적 행복감이 모두 낮았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중년 남성 1인 가구의 현상적 측면만을 보여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1인 가구는 주관적 행복감을 설명하는데 부정적인 효과를 갖지만, 사회경제적 요인들을 통제하고 나서는 오히려 긍정적인 효과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득, 교육, 계층, 직업, 주거 요인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1인 가구는 오히려 주관적 행복감에 긍정적인 변인이었다. 또한 중년남성 1인 가구의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들은 다인 가구에 비해 매우 단순하여, 소득과 사회적 관계가 1인 가구의 행복 수준을 상당부분 설명하지만, 다인 가구의 경우는 혼인상태와 직업지위 등 보다 다각적인 요인들이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결혼하지 않고 가족과 동거하지 않아도, 일정한 소득과 사회적 관계만 있으면 자유로운 삶을 추구하며 비교적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1인 가구의 모습을 상상해 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남성 1인 가구의 증가는 가족 형성에 따른 과도한 부담을 떠맡은 남성부양자 가족주의 문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사회의 중년층 남성은 가족의 사회계층을 유지하고자 하는 강력한 책임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책임감에서 일부 벗어난 1인 가구가 주관적인 행복도가 오히려 높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적 지원을 필요로 하는 대상으로서 1인 가구에 대한 현상적 인식은 극복할 필요가 있다. 오히려 가족투자의 책임을 오로지 지고 있는 중년의 남성들이 가족 구성을 회피하게 하지 않도록 하는 보편적 복지가 필요한 것이다. Recently, one-person household among middle-aged men is showing a steep increase. While the age of 40~50 accounted for only 25.4% of one-person household men in 2000, but it has increased to 39.3% in 2015. It means that four out of ten one-person male households are middle-aged, not young nor old.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is group in comparison with those of other households and to examine the types of life styles they are living with,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relations and subjective happiness. The results show that middle - aged one-person household men is socially and economically vulnerable, and has lower social relations and less happiness than other households. However, these results show only the phenomenal aspect of the grou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one-person households have a negative effect in explaining subjective happiness but have a positive effect after controlling socioeconomic factors. In other words, assuming that income, education, class, occupation, and residential factors are equal, one person household is a positive factor in subjective happiness. In addition, the factors determining the happiness of one-person male households are very simple compared to those of a multi-family household, and the degree of happiness of a household with income and social relationship is largely explained. From the results, it can be assumed that one-person household men can enjoy a relatively happy life with a certain income and social relationship even if they are not married and do not live with their family. On the other h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one-person male households seems to be related to strong family culture in S, Korea that is given an excessive burden and responsibility for fami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phenomenal perception of one-person households that need social support. Rather, universal welfare is needed to ensure that middle-aged males who are solely responsible for family investment do not let their families get away.

      • KCI등재

        미디어에 나타난 한국 중년 남성의 외모 관리 - 신문 기사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

        이나현 ( Lee Nahyun ),하지수 ( Ha Jisoo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4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1960년부터 2019년까지 사회문화적 흐름을 반영하는 신문 매체에서 한국 중년 남성의 외모 관리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사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텍스톰의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신문 기사 양적 분석과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문 기사에 나타난 한국 중년 남성의 외모 관리에 대한 시대별 주요 단어를 분석한 결과, 1960년대 연령과 성에 대한 고정 관념이 반영된 외모 관리 인식에서부터 점차 내적인 건강 측면과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얼굴, 피부, 몸매, 패션 등으로 이동하였다. 21세기 이후 나이 듦을 부정하고 젊음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젊어 보이기 위한 외모 관리 인식과 행위가 더욱 구체적이고 세분화되고 있었다. ‘청바지’, ‘꽃중년’, ‘미중년’과 같은 단어의 출현은 변화된 한국 중년 남성의 외모 관리를 보여 주지만, 한편으로 ‘아재’와 같이 새로운 트렌드에 적응하지 못하는 중년 남성들을 일컫는 신조어도 등장하고 있었다. 이는 급속한 사회문화적 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세대 차이와 더불어 과거 전통적인 가치관 안에서 자라난 중년 남성들이 경험하는 가치관의 아노미 현상이 외모 관리에서도 드러난다고 볼 수 있다. 즉, 약 70년의 기간 동안 이루어진 한국 중년 남성의 외모 관리에 관한 주요 단어들의 변화는 사회문화적 배경 및 이데올로기의 변화에 따른 중년 남성들의 인식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중년 남성의 고유한 특성 변화를 통시적 관점에서 바라봄으로써 외모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의미를 도출하여 한국 중년 남성의 외모와 패션 분야의 사적 자료로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appearance management of Korean middle-aged men has changed in newspaper articles reflecting the socio-cultural trend in Korea from 1960 to 2019. The study utilized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text mining of Textom and content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Consequently, appearance management by Korean middle-aged men moved to exteriors including face, skin, body type and fashion from internal aspects like health. The words ‘jeans’, ‘No More Uncle’ show the changed appearance management of Korean middle-aged men. However, the emergence of the term ‘Ajae’ reveals that a gap between middle-aged men brought up under the traditional values and young generations and their collision in values manifests even in appearance management. The changes in key words related to the appearance management of Korean middle-aged men over about 70 years symbolically represent the perceptions of middle-aged men according to changes in socio-cultural background and ideology.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as historical data on the appearance and fashion of Korean middle-aged men by deriving various meanings of their appearance while looking at the changes i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middle-aged men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 KCI등재

        중년여성과 중년남성의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조남희,성춘희 한국융합학회 2016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7 No.6

        본 연구는 중년여성과 중년남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대상자는 중년여성 114명, 중년남성 125명 총 239명이었으며 측정도구는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관한 설문지를 이 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X2-test, Analysis of Co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년여성의 경우 스 트레스(ß =.387, p<.001), 자아존중감(ß =-.249, p<.05), 건강상태 인지(ß = -.191, p<.05)가 우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의 43.1%를 설명하였다. 중년남성의 경우 자아존중감(ß =-.429, p<.001), 스트레스(ß =.322, p<.001)가 우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의 56.0%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중년여성과 중년남 성의 우울을 감소하기 위한 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depression.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 from the sample of 114 middle-aged women and 125 middle-aged men.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which were constructed to include stress, self-esteem, and depression.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means, X2-test, Analysis of Co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18.0.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depression for middle-aged women were stress(β=.387, p<.001), self-esteem(β=-.249, p<.05), health perception(ß = -.191, p<.05), explaining 43.1% of the variance in depression.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depression for middle-aged men were self-esteem(ß =-.429, p<.001), stress(ß =.322, p<.001), explaining 56.0% of the variance in depression.

      • KCI등재

        중년기 남성의 음주가 배우자 음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조혜정(Cho, Hye Chu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5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3 No.4

        최근 10여 년 동안 우리나라 성인 중 중년 남성의 고위험 음주율은 다른 연령집단에 비해 높은 편이며, 중년 여성들의 음주율은 증가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중년 남성 또는 여성의 음주행위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기 시작했으나, 가족관계에서 배우자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다. 가족체계 내 부부간의 음주행위 유사성 또는 음주파트너십 현상에 대해 보고되어 왔으나, 국내외적으로 중년기 일반 인구를 대상으로 한 경험적 연구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중년기 남성의 음주가 배우자 음주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복지패널의 5차년도부터 8차년도까지 자료 중 40~50대의 중년기 남성과 전업주부인 여성 배우자 사례인 580가구를 대상으로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중년기 남성과 배우자 모두 4년 동안 선형모형으로 매년 음주수준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둘째, 중년기 남성의 음주 초기치가 높을수록 그 배우자의 음주 초기치가 높았으며, 중년 남성의 음주 감소속도가 느릴수록 그 배우자의 음주 감소속도 역시 느리게 나타났다. 따라서 중년기 남성의 음주는 그 배우자의 음주에 종단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 배우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음주행위 초기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득수준 및 교육수준은 여성 배우자의 음주 발달궤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년기 남성과 그 배우자인 기혼 여성의 음주에 대한 예방접근의 중요성 및 실천현장에서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effects of the drinking of middle-aged men on the drinking of each spouse. For the analysis, the data were extracted from the 4 years’ database of Korea Welfare Panel Study(5-8 wave), and data were analyzed by latent growth curve model(LGM).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e model manifested linearly decreasing trend of drinking of both the middle-aged men and their spouses for 4 years. Second, the higher initial levels of drinking of middle-aged men appeared to be corresponding to the higher initial levels of drinking of their spouses, and likewise, the lower speed of the reduction of drinking of middle-aged men also appeared to b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peed of the reduction of drinking of their spouses. Therefore, the drinking of middle-aged men appeared that it has the longitudinal effects on the drinking of spouses. Third, the initial levels of drinking appeared higher at the lower age group of female spouse, and the level of income and education of female spouses appeared to have insignificant effects on the drinking trajectory of female spous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approach to the drinking problem of middle-aged men and their spouses.

      • 중년기 남성의 스트레스에 관한 성경적 상담

        황성신 한국성경적상담학회 2015 성경과 상담 Vol.14 No.-

        본 연구는 중년기 남성의 스트레스에 관한 성경적 상담의 대응 방안을 살펴본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중년기 남성의 스트레스와 그에 대한 일반적 대응 방안을 살펴본 후, 중년기 남성의 스트레스에 대한 성경적 상담 과정을 사례 연구를 통해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중년기 남성의 개념, 중년기 남성의 신체·심리적 변화, 중년기 남성들이 겪는 스트레스를 살펴보았다. 그 다음 중년기 남성들을 돕기 위한 일반적 대응 방안들을 살펴본 후, 마지막으로 Paul Tripp 의 성경적 상담 4단계 모델에 따른 상담 과정과 적용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첫째, 중년기 남성의 스트레스는 신체·심리적 변화, 개인의 직무 및 관계 능력의 한계, 그를 둘러싼 가정, 직장, 사회, 경제 환경의 변화 등, 개인 및 환경적 요인들로부터 비롯된다는 것이다. 둘째, 생물학적, 심리적, 교육·서비스적 차원의 대안들은 그에 대한 적극적이고 다양한 대처 방안들을 제시한다는 것이다. 셋째, 중년기 남성 스트레스에 대한 성경적 상담은 마음의 문제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보다 근본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간호이론개발을 위한 개념 분석: 중년 남성 위기

        강민아,양윤이,최나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0

        Purpose: A middle-aged crisis is a phenomenon in which an individual reaches the middle of his life and experiences emotional confusion such as the meaninglessness of life, emptiness, and helplessness, as well as doubts about the meaning of life and reality. Currently, a middle-aged man is in an important position in his career and home life, but he is facing a crisis of emotional turmoil and drifting through the middle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early define the attributes of middle aged men’s crises through concept analysis. Methods: The concept analysis method described by Walker and Avant was used. The attributes of middle aged men’s crises, it’s critical attributes, antecedents, consequences, and empirical referents were identified. Model, borderline, and contrary cases were also proposed. In the final analysis, there were 35 articles in Korea and 22 articles in the field of 'middle-aged men crisis'. Results: The attributes of these crises were identified as aging anxiety, emotional emptiness, loss, alienation, and pressure. The antecedents were lack of social integration due to unemployment and retirement, marital discord, divorce or separation, workplace fluctuations and frustrations, hormonal changes, independence of children, aging of appearance, and child and parental support. Properties are identified by aging, emotional emptiness, loss of sense, feeling of isolation, and pressure. The consequences occurring as a results of crises in middle age were confirmed by depression, a family crisis, and overcoming crises. Conclusion: The crisis for a middle-aged man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subjective perception of his experience, this is a concept that can present a positive direction for middle-aged men to overcome the cri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grated intervention among multidisciplinary interventions that can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men who are suffering from a middle-aged crisis and measurement tools that include the multi-faceted attributes of men 's middle-aged crisi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possible attributes of nursing intervention which is required for middle-aged men in clinical field. 목적: 중년위기는 개인이 인생 중반에 이르러 삶의 의미와 자신의 실체에 대한 의문과 함께 삶의 무의미함과 공허함, 무기력과 같은 정서적 혼란을 겪는 현상이다. 현대 사회의 중년 남성은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으나 인생의 중반에 이르러 정서적 혼란과 방황을 겪는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 남성 위기에 대한 개념분석을 통해 그 속성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중년 남성 위기 극복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Walker와 Avant의 개념 분석 절차를 사용하여 중년 남성 위기 개념이 문헌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 지 분석하였고, 논문 분석을 통해 속성 및 특성을 규명한 후 이러한 속성을 갖춘 모델사례, 경계사례, 반대사례 및 연관사례를 구성하였다. ‘middle-aged men crisis'를 주제어로 국내, 국외 문헌검색을 하였고, ‘middle -aged men crisis' 라는 용어로 연구된 문헌은 국내 35건, 국외 22건으로 총 57건이 최종 분석에 이용되었다. 결과: 중년 남성 위기의 선행요인은 실직, 퇴직으로 인한 사회적 통합 결여, 부부간의 불화, 이혼, 별거, 직장에서의 변동과 좌절, 가까운 친지나 주변인의 죽음, 호르몬 변화, 자녀들의 독립, 외모의 노화현상, 자녀와 노부모 부양으로 나타났다. 속성은 노화불안, 정서적 공허함, 상실감, 소외감, 중압감으로 확인되었으며 결과는 우울, 가족위기, 위기극복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중년 남성 위기 개념분석을 통해 그 속성을 체계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중년 위기 극복을 위한 긍정적인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고, 중년 남성이 경험하는 주관적 인식의 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 개념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남성의 중년위기의 다면적 속성을 포함하는 측정도구와 중년위기를 겪고 있는 남성의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학제간 통합적 중재를 개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현재 중년 남성에게 요구되는 간호학적 중재행위가 가능한 속성을 임상 현장에 반영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미디어에 나타난 한국 중년 남성의 외모 관리 - 신문 기사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

        이나현,하지수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4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1960년부터 2019년까지 사회문화적 흐름을 반영하는 신문 매체에서 한국 중년 남성의 외모 관리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사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텍스톰의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신문 기사양적 분석과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문 기사에 나타난 한국 중년 남성의 외모 관리에 대한 시대별 주요단어를 분석한 결과, 1960년대 연령과 성에 대한 고정 관념이 반영된 외모 관리 인식에서부터 점차 내적인건강 측면과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얼굴, 피부, 몸매, 패션 등으로 이동하였다. 21세기 이후 나이 듦을 부정하고 젊음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젊어 보이기 위한 외모 관리 인식과 행위가 더욱 구체적이고 세분화되고 있었다. ‘청바지’, ‘꽃중년’, ‘미중년’과 같은 단어의 출현은 변화된 한국 중년 남성의 외모 관리를 보여주지만, 한편으로 ‘아재’와 같이 새로운 트렌드에 적응하지 못하는 중년 남성들을 일컫는 신조어도 등장하고있었다. 이는 급속한 사회문화적 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세대 차이와 더불어 과거 전통적인 가치관 안에서자라난 중년 남성들이 경험하는 가치관의 아노미 현상이 외모 관리에서도 드러난다고 볼 수 있다. 즉, 약70년의 기간 동안 이루어진 한국 중년 남성의 외모 관리에 관한 주요 단어들의 변화는 사회문화적 배경 및이데올로기의 변화에 따른 중년 남성들의 인식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중년 남성의 고유한 특성 변화를 통시적 관점에서 바라봄으로써 외모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의미를 도출하여 한국 중년 남성의 외모와 패션 분야의 사적 자료로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appearance management of Korean middle-aged men has changed in newspaper articles reflecting the socio-cultural trend in Korea from 1960 to 2019. The study utilized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text mining of Textom and content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Consequently, appearance management by Korean middle-aged men moved to exteriors including face, skin, body type and fashion from internal aspects like health. The words ‘jeans’, ‘No More Uncle’ show the changed appearance management of Korean middle-aged men. However, the emergence of the term ‘Ajae’ reveals that a gap between middle-aged men brought up under the traditional values and young generations and their collision in values manifests even in appearance management. The changes in key words related to the appearance management of Korean middle-aged men over about 70 years symbolically represent the perceptions of middle-aged men according to changes in socio-cultural background and ideology.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as historical data on the appearance and fashion of Korean middle-aged men by deriving various meanings of their appearance while looking at the changes i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middle-aged men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 KCI등재

        중년 남성의 성역할스트레스가 중년의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인식명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민정(Kim Minjung),정지현(Jung Jihyu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성역할스트레스와 중년의 위기감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정서표현양가성이 중년의 위기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년 남성 292명을 대상으로 성역할 스트레스, 중년의 위기감, 정서표현양가성, 정서인식명확성에 대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성역할스트레스와 중년의 위기감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정서표현양가성과 중년의 위기감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역할스트레스가 정서표현양가성을 통해 중년의 위기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이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서표현양가성이 높더라도 정서인식명확성이 높을 경우에는 성역할스트레스가 중년의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역할스트레스가 많아 정서표현양가성을 매개로 중년의 위기감이 높아질 때, 정서인식명확성을 높여주는 것이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성역할 스트레스와 정서표현양가성, 정서인식명확성이 중년 남성의 위기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종합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위기감을 경험하는 중년남성을 위해서 , 우선 내면화된 성역할이 중년남성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정서표현에 대한 태도와 두려움을 심층적으로 탐색, 자각할 수 있도록 돕고 정서표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키며, 중년남성들이 자신의 정서를 명확하게 알아차리고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상담적 개입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stress and the sense of mid-life crisis middle-aged mal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in the process that the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ffects the sense of mid-life crisis. To this end,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292 middle-aged male on gender role stress, mid-life crisis,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al clarity. As a result of analysis using the PROCESS Macro,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stress and the sense of mid-life crisis.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id-life crisi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emotional clarity moderates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process that gender role stress affects the sense of mid-life crisis throug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That is, even if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s high, when the emotional clarity is high, the sense of mid-life crisis decreases. This means that it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emotional clarity when the sense of mid-life crisis increases through the medium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due to high gender role str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mprehensively identified the process in which gender role str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al clarity affect the sense of crisis in middle-aged male. Results from this study confirmed that for middle-aged male experiencing a sense of crisis, counseling interventions are needed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internalized gender roles on middle-aged men s lives, help them explore and recognize attitudes and fears of emotional expression.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