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원불교 생명존중과 자살예방

        최영훈(Young-Hun Choi)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20 종교문화학보 Vol.17 No.1

        죽음은 모든 사람에게 평등하기 때문에 시대와 장소, 계층을 막론하고 인간에게 가장 큰 두려움과 공포의 대상이다. 인간이 죽음에 대한 공포와 고통, 두려움을 극복하고 대처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인식으로 죽음을 이해하고 죽음을 준비하는 것이다. 죽음의 수용은 사람들 각기 생활양상과 신앙의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는 사람들마다의 관념체계를 세우고 거기에 맞게 생활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원불교에서는 죽음을 어떻게 보는가. 한마디로 불교의 윤회관을 수용하면서 일원상 진리를 바탕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불생불멸의 생사관’과 ‘인과보응의 생사관’ 두 측면으로 나누어 있는 것이다. 동양에서의 생명은 개체적인 분석의 대상이 아니라 생명경외의 정신적 초월적 인식의 대상이며 영속성으로 볼 수 있다. 생명의 건전한 성장과 생명을 마칠 때 초연한 마음의 자세를 갖는 것이 종교인의 자세라 본다. 우주 전반의 생명성에 대한 이해와 인간의 생사에 대한 초연의 마음을 선사하는 종교는 주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자살의 유형을 보면 그 의도에 따라 이기적 자살, 이타적 자살, 운명적 자살, 아노미적 자살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자살은 자발적 또는 의도적으로 목숨을 끊는 행위로서 ‘죽음’의 일반적 개념과는 확연히 다르다. 자살예방은 개인의 노력이나 의지적인 결단에만 의존하여 해결할 문제가 아니라 국가적 차원에서 전문기관과 교육기관 그리고 종교가에서 함께 고민하고 방법을 모색해 나가야 한다. 이에 대한 프로그램으로 죽음준비교육을 들 수 있다. 이는 죽음에 대한 무지와 공포, 불안을 극복하고 오히려 죽음을 통한 삶의 유한성을 깨달아 현재의 삶의 의미를 추구하게끔 하는 원동력이 된다. 죽음에 대한 교육을 통하여 인간으로서 존재의 의미와 가치를 깨닫고 삶을 바르고 성실하게 살도록 이끌어 주어 나아가서는 생명의 존엄성도 가질 수 있다. 죽음교육은 단순히 죽음을 준비하는 하나의 교육과정이 아니라 삶을 더욱 의미 있고 은혜롭게 살아가고 있음을 깨닫게 해 주는 생명수가 된다. Since death is equal to all people, it is the greatest fear and fear of man, regardless of age, place, or class. One of the ways human beings can overcome and cope with the fear, suffering, and fear of death is to understand death and prepare for death with the right awareness of death. Death acceptance varies according to people’s lifestyle and degree of faith. This may be because each person has established a system of ideas and lives accordingly. How to see death in won Buddhism. In a word, it is composed based on the truth of one’s mind while accommodating Buddhism’s Yunhoegwan. In other words, it is divided into two aspects: “the immortality hall of immortality” and “the lifeguard hall of causality”. Life in the East is not an object of individual analysis, but an object of mental transcendental perception of life awe and can be regarded as persistence. I think that it is the attitude of a religious person to have a healthy attitude of mind at the end of life and healthy growth of life. It can be said that religion plays a major role in the understanding of vitality throughout the universe and the first heart of human life and death. The types of suicide can be classified into selfish suicide, altruistic suicide, fateful suicide, and anomi suicide according to the intention. This suicide is an act of voluntarily or intentionally killing one’s life and is quite different from the general concept of ‘death’. Suicide prevention is not a problem to be solved by relying on individual efforts or willing determination, but at the national level, professional institution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religionists should consider and seek ways together. A program to prepare for this is death preparation education. This overcomes the ignorance, fear, and anxiety of death, and rather becomes the driving force to realize the finiteness of life through death and pursue the meaning of the present life. Through education on death, we can realize the dignity of life by realizing the meaning and value of existence as a human being and leading them to live their lives and live faithfully. Death education is not just a curriculum to prepare for death, but becomes the water of life to realize that people are living more meaningfully and graciously.

      • KCI등재

        장기요양서비스 서비스제공자가 인식하는 ‘좋은 죽음’ 의미 탐색

        한은정(Han, Eun-Jeong),박명화(Park, Myonghwa),이미현(Lee, Mihyun),이정석(Lee, JungSuk) 한국사회정책학회 2016 한국사회정책 Vol.23 No.4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들의 좋은 죽음(good death)에 대한 장기요양서비스제공자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노인의 좋은 죽음에 대한 본질적 의미에 대해 장기요양 서비스 제공자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면담에서 수집된 자료를 이차 분석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4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4가지 주제는 ‘완성된 죽음’, ‘준비된 죽음’, ‘편안한 죽음’, 그리고 ‘좋은 죽음을 위한 지원’으로 나타났다. 좋은 죽음에서 ‘완성된 죽음’은 ‘하고 싶은 것을 다 해 본 후 맞는 죽음’, ‘영적 요구가 충족된 죽음’으로 구성되었고, ‘준비된 죽음’은 ‘노인의 희망에 따른 죽음’, ‘임종이 오기 전에 미리임종과 관련된 사항 준비’로 구성되었다. ‘편안한 죽음’은 ‘가정과 같은 환경에서 편안히 맞이하는 죽음’, ‘가족과 함께 맞이하는 죽음’, ‘최소한의 의료서비스를 받고 자연스럽고 고통없이 맞이하는 죽음’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좋은 죽음을 위한 지원’에서는 ‘완성된 죽음을 위한 지원’, ‘준비된 죽음을 위한 지원’, ‘편안한 죽음을 위한 지원’이 도출되었다. 이상의 연구에서 도출된 장기요양서비스 이용노인의 좋은 죽음의 요소를 바탕으로 향후 장기요양보험 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의 좋은 죽음을 위한 정책적, 제도적 지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long-term care service provider on good death for the care recipients. Methods: The focus group interview was done with 28 participants from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home care agencie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nurses and social workers.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Results: Four main themes and ten sub-themes were identified through content analysis. ‘Regretless death’, ‘Prepared death’, and ‘Comfortable death’, ‘Support for good death’ were three main themes. Focus group interview revealed ‘Regretless death’ as living a meaningful life before death, ‘Prepared death’ as preparing end of life according to the care recipient’s decision, ‘Comfortable death’ as dying painless at home-like environment and without unnecessary care. ‘Support for good death’ needs systematic support and routine service which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long term care service.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uggest the needs to provide the end of life care services in the scope of long term care insurance and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for the care providers and the care recipients.

      • KCI등재

        이응준 소설 『약혼』에 나타난 죽음 의식

        김혜경(Hae Kyung Kim) 어문연구학회 2015 어문연구 Vol.84 No.-

        이 논문은 이응준의 『약혼』에 나타난 다양한 죽음의 양상들을 세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고 고찰한 것이다. 이응준의 죽음에 대한 인식은 단순히 소설의 소재 차원을 넘어선다. 그는 『약혼』에서 비극적이며 파괴적인 죽음의 모습들을 다루는 데 집중해 있다. 『약혼』에서 그려지는 죽음 가운데서 가장 많은 죽음의 유형은 자살이다. 그러나 뚜렷한 원인이나 죽음의 사유, 삶에 대한 고민의 흔적은 드러나지 않는다. 「어둠에 갇혀 너를 생각하기」의 승희처럼 그저 자살함으로써 현실로부터 탈주하는 문제적 개인을 구현하는 의미 있는 이정표를 제시할 뿐이다. 이는 존재 거부로의 죽음이며 탈주의 욕망을 지향하는 것이다. 작가에게 있어서 죽음에 대한 사유는 작품 내에서 예술적 자율성과 결합하며 작가의 존재방식이 된다. 또한, 『약혼』의 죽음 가운데는 파괴적이며 전복적인 죽음들도 발견된다. 무의미한 삶에 대한 절망으로 인한 죽음, 광기로 인한 자기 살해, 절망에 항거하는 수단으로서의 자살, 전략적 자살, 유행적 자살 등은 실패한 죽음이며 자유와 축제가 될 수 없는 파멸이다. 「약혼」에서의 병우와 해원의 죽음, 「내 어둠에서 싹튼 것」의 '그녀'의 죽음은 자존을 지켜내기 위한 이성적인 죽음이 아니라 파괴적이며 전복적인 죽음이다. 마지막으로, 『약혼』의 죽음들은 세속적 물질에 영혼과 정신을 소멸당한 무가치하고 의미 없는 삶에 지친 존재들의 죽음이다. 그들은 타락한 사회를 이겨내지 못하고 자멸해 버린다. 「내 어둠에서 싹튼 것」의 칠순 노인의 죽음과 「황성옛터」의 '현경'에 얽힌 죽음이 그렇다. 그들에게는 치열하게 살아 가야할 어떠한 희망이나 목적도 발견되지 않는다. 오염된 세상, 타락한 현실에 맞설 용기도 없는 그들의 죽음은 그래서 더욱 허무하다. 이처럼 『약혼』은 현실의 규범을 무화시키고, 일탈적이며 파괴적인 죽음의 형태들이 이응준의 소설을 관통하는 키워드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의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양상들은 삶을 소멸하기 위한 비극적이며 파괴적인 거리두기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review a variety types of death on three features in Eungjun Lee's novels of 『The Engagement』. The most frequently found types of death in 『The Engagement』 is a suicide. However, any clear causes or reasons of death, or the trace of struggling agony over life were not uncovered. Just like Seunghee of 「Thinking about you while being stuck in the darkness」, only a meaningful milestone was presented to realize problematic individuals who were escaping from reality by committing a suicide. This is a death toward drive of death by denying existence and seeking for a desire of escape. In addition, destructive and subversive deaths were found in those of 『The Engagement』. They are failed deaths and destructions that cannot be a liberty and festival. Those are deaths caused by a despair of meaningless life, killing oneself, a suicide as a mean of resistance of despair, a death with a strategy, a death as a trend and so on. For example, Byeongwoo' death and Haewon's one in 「The Engagement」 and 'her' death in 「What springs up inside my darkness」 are not for reasonable deaths to defend self-esteem but just destructive and subversive ones. Finally, the deaths in 『The Engagement』 were existences' deaths whose lifes were exhausted due to meaningless and worthless life where their spirit and mind died off because of secular materials. The existences were self-destructed without being able to overcome corruptive society. For instance, a death of an old man of seventy years old in 「What springs up inside my darkness」 or the one of 'Hyeongyeong' in Hwangsung yettar (a historic site of ruined castle ruins) are those cases. In fact, there were no strong hope or purposes found for them to live fiercely with. Therefore, their deaths were even more empty as they had no courage to face contaminated and corruptive reality. As confirmed above, 『The Engagement』 cut off laws in reality.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the key words of Eungjun Lee's novel were deviant and destructive deaths through out his novels. The features of death found in his novels were keeping distance catastrophically and destructively to go out of existence in life.

      • KCI등재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태도

        김혜숙 한국인격교육학회 2023 인격교육 Vol.17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death among college students at a university in the P area. It analyzes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the scariest thing when thinking about death', and 'the contents of emotions related to death'. In additi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related education programs and the intention to apply for rejec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n advance are investigated. Data collection for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non-face-to-face survey method called 'Naverform'. As a result of analyzing using ‘the concept of Good Death measure’, the Good Death Perception score of the college student group was 3.1. When thinking about death, 35.2% of the students said they were most afraid of the "remaining family." Next, 32.8% of 'Pain Before Death', 20.8% of 'End Fear', and 8% of 'Unfulfilled Dreams'. Well-dying reduces the psychological burden related to death not only to oneself but also to the remaining family members and affects the quality of life and happiness. In addition,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s necessary because it enhances the meaning and active attitude of current lif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nd developing an operation model for related programs supporting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s presented. 본 연구는 P지역 소재 일개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태도와 좋은 죽음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대학생들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정도와 죽음을 생각할 때 가장 두려운 것과 죽음 관련 감정 및 호스피스·완화의료 관련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의향과 사전연명치료 거부 신청 의향 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 는 비대면 조사 방법으로 네이버 폼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좋은 죽음인식 척도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대학생 집단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4점 만점에 평균 3.1점으로 나타났다. 죽음 관련하여 가장 두려운 것은 ‘남아있는 가족’이라는 응답이 전체 35.2%로 가장 많았고, ‘죽기 전의 고통’이 32.8%, ‘생이 끝났다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20.8%, ‘못 이룬 꿈’이 8%로 나타났다. 좋은 죽음 인식과 호스피스·완화의료 관련 교육프로그램 참여 의향과 연명치료 거부 신청 의향 여부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좋은 죽음인식 점수가 높을수록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프로그램 참여와 연명치료 거부 신청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웰다잉은 자신뿐 만 아니라 남은 가족에게도 죽음과 관련된 심리적 부담을 줄여주며, 삶의 질과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 죽음준비 교육은 대학생들의 현재의 삶에 대한 의미와 능동적 태도를 높이기 때문에 인격 함양에 의미가 있다. 따라서 죽음준비 교육을 지원하는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 모델을 구축하고 운영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고독한 죽음의 인식론에 관한 기독교와 초기불교의 대화 ― ‘절망의 고독사’와 ‘수행적 죽음’을 중심으로

        신은희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3 신학사상 Vol.- No.202

        이 글은 고독한 죽음에 관한 기독교와 초기불교의 종교 간 대화를 통해 미래 사회를 위한 대안적 죽음 인식과 고독사의 신학적 성찰을 제시하는 데 주안점이 있다. 기독교 전통에서는 정신적 죽음과 절망의 상관성을 통찰한 쇠렌 키에르케고르(Søren Kierkegaard)의 『죽음에 이르는 병』(The Sickness Unto Death)에 나타난 죽음관을 통해 죽음 인식의 근원적 이해를 고찰한다. 고독한 죽음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예수의 죽음과 고대 사막교부의 ‘수행적 죽음’을 통해서 ‘죽음의 고독성’과 고독한 죽음의 인식론을 재조명한다. 초기불교의 전통에서는 『앙굿따라 니까야』(Aṅnguttara Nikāya)에 나타난 죽음의 종교철학적 성찰을 기반으로 ‘무유애’(無有愛)의 고독사를 고찰한다. 고독한 죽음의 승화를 위해 ‘닙바나’(Nibbāna), ‘유여의열반’(有餘依涅槃), ‘무여의열반’(無餘依涅槃), ‘아라한의 죽음’의 의미를 살펴본다. 고독사 현상을 정신적 죽음으로서의 ‘절망의 고독사’와 정신적 승화로서의 ‘수행적 죽음’으로 구별하여 해석한다. 기독교와 초기불교의 만남을 통해 고독한 죽음에 관한 종교철학적 성찰을 심화하고, 현대사회의 비극적 고독사를 극복하기 위한 죽음 복지 신학의 협력적 대안과 공동체적 돌봄의 실천 과제를 모색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n alternative epistemology of the solitary death for the future society through an inter-religious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early Buddhism. The dialogue attempts to approach the notion of the solitary death from two points of view - ‘death of despair’ and ‘mindfulness of death.’ In the Christian tradition, we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death and despair in the work of Søren Kierkegaard’s The Sickness unto Death. We also look at the death of Jesus and the ancient Desert Fathers that can be the prototype of the mindfulness of death in a Christian way. In early Buddhism, we discuss the concept of death in Aṅnguttara Nikāya in relation to the doctrine of ‘dependent co-arising’, Nibbāna, and the mindfulness of death in a Buddhist way. This dialogue is intended to present theological alternatives on the concept of solitary death i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welfare of death and the practical tasks of community in order to overcome the tragic death of solitude.

      • KCI등재

        한국 무속 신화에 나타난 여성의 죽음 연구

        강지연(Ji Yeon Kang),오세정(Se-jeong Oh) 한국고전연구학회 2022 한국고전연구 Vol.- No.59

        본고는 무속신화에서 여성 죽음의 서사에 주목하여, 삶/죽음의 의미를 문화적으로 새롭게 읽으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속신화에서 죽음과 죽음 이후 부활 사건은 여성(신)에게 국한되어 발생한다. 딸과 아내, 어머니라는 가족 구성원으로서 살아가는 여성의 삶 가운데에는 언제나 죽음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 여성이 겪는 죽음의 상황과 문제의 해결 과정은 신화마다 다르지만, 가족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다 죽음 사건을 맞이한다는 점에서 신화의 여성들은 공통의 과업을 수행한다. 여성의 삶이 죽음에 이르는 과정과 죽음 이후 또 다른 삶으로 이어지는 연속적인 사건에서 ‘삶→죽음→삶’이라는 공통의 서사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삶에서 죽음으로 이어지는 서사와 죽음에서 삶으로 이어지는 서사에는 언제나 ‘비-삶’과 ‘비-죽음’이라는 중간항이 놓여있다. 이로부터 삶/죽음에 대한 새로운 문화적 읽기를 탐색할 수 있다. 무속신화에서 여성 죽음의 서사 구조와 서사화의 방식을 분석한 결과 신화의 여성들은 죽어 있는 삶과 살아 있는 죽음으로 삶의 모순을 해소하고 있다. 이러한 죽음은 생의 종말을 의미하는 비극적 사건으로서 소멸(消滅)이 아니라, 죽음으로서 영원히 죽지 않는 불사불멸의 존재가 되어간다는 점에서 삶의 연속성을 보여준다. 무속신화의 여성 죽음은 신성한 존재의 불멸(不滅)을 믿게 하는 신성한 사건으로 이해된다. 여성은 삶에 주어진 결핍을 해소하는 기제로써 죽음과 마주하며, 이를 통해 비움으로 채움을 가능케 한다는 신화의 논리를 읽을 수 있다. 무속신화의 여성들이 이승과 저승의 삶을 횡단하며 인간 세계를 다스린다는 점에서 문화 창조의 주역이 되는 것은 일면 당연한 귀결이라 하겠다. 그동안 신화에서 보여주었던 남성신의 활약에 가려져 여성의 죽음에 내재하는 죽음의 문화적 의미에 대해 크게 주목 받지 못하였다. 무속신화의 여성 죽음은 새로운 신의 출현을 예고하는 필연적인 서사 장치로서 기능하며, 삶/죽음에 대한 인식의 확장을 야기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문화 읽기에 이바지한다. This study aims to read the meaning of life and death culturally anew, focusing on the narrative of women’s death in Shaman myths. In shaman myths, death and resurrection events after death occur only in women (goddess). There is always death in the life of a woman who lives as a family member of a daughter, wife, and mother. Women’s death situations and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vary from myth to myth. However, women in myths are performing a common task in that they face a death incident while playing a role as a family member. In addition, the common narrative structure of ‘life → death → life’ can be confirmed in the process of a woman’s life leading to death and a series of events leading to another life after death. However, there is always a middle term between ‘non-life’ and ‘non-death’ in the narrative from life to death and the narrative from death to life. From this, a new cultural reading of life/death could be explor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arrative structure and narrative method of women’s death, the women of myths are resolving the contradiction between living and dead life. Such death is not a tragic event that signifies the end of life, but shows the continuity of life in that it becomes an immortal existence that never dies as death. In this respect, the death of a woman in shaman myths is understood as a sacred event that leads to belief in the immortality of a divine being. Women face death as a mechanism to resolve the deficiencies given to life. Through this, you can read the myth of enabling filling with emptiness. It is natural for women in shaman myths to become the protagonists of cultural creation in that they rule the human world by traversing the lives of this and the afterlife. However, the cultural meaning and logic of the myths inherent in the death of women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because of the male god’s activities shown in the myths. Death functions as an inevitable narrative device that heralds the emergence of a new goddess, and contributes to reading a new culture in that it causes an expansion of the perception of life/death.

      • KCI등재

        17세기 전란 관련 몽유록의 새 국면

        양승목(Yang, Seung Mok) 동악어문학회 2015 동악어문학 Vol.64 No.-

        이 글은 17세기 전란 관련 몽유록에서 발견되는 ‘죽음의 형상화’가 갖는 의미를 논구한 것이다. 저간의 몽유록 연구에서 이 형상화된 죽음은 으레 현실성 강화의 차원으로 설명되고 말았지만, 이번 논의를 통해 그것은 이 시기 몽유록을 그 주변으로부터 변별하는 중요한 자질임을 확인했다. 대개 몽유록은 실존했던 인물을 소환하기에 죽음과 친한 글쓰기 양식으로 인식되지만, 실정을 해부해본바 전란을 경유한 17세기 초에 이르러 비로소 죽음의 프레임이 가동되고 있었다. 15~16세기에 산출된 몽유록이 죽은 이를 등장시키면서도 그들에게 죽음으로부터 연상되는 여러 인상을 부여하지 않았던 데 반해, 이 시기 몽유록은 이들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시각화하고 죽음의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처럼 몽유록의 전통에서 변화의 지점으로 지목되는 형상화된 죽음의 정체를 밝히기 위해, 동시기 글쓰기장에 취재된 죽음의 양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었다. 그 대표적인 양식인 실기류는 전란의 체험이 직접적으로 투영된 만큼 다수의 사례를 보유하고 있는데, 그 양상을 저작의 성격에 따라 크게 둘로 나누어 보았다. 우선 공적 실기류는 죽음을 보고의 대상으로 또는 사건의 경위 중 하나로 취급하고 있어, 몽유록의 죽음과는 접맥하지 않았다. 반면 사적 실기류는 죽음을 기술한 뒤 그에 대한 감정적 반응을 부기하고 있었다. 또 간혹 죽음을 시각적으로 묘사하는 장면도 포착되었는데, 이러한 면모는 죽음을 하나의 사건으로 주시한다는 점에서 몽유록과의 접점을 찾을 수 있는 부분이었다. 하지만 몽유록의 죽음은 이와도 구별되어야 했다. 실기류가 죽음을 다루는 태도와 창작의도 간의 연동을 보여주는 반면, 몽유록은 이 둘의 관계가 어그러져 있었기 때문이다. 몽유록은 이면의 실상을 폭로함으로써 현실 상황을 재편하려는 매우 정치적이고도 이성적인 의도를 갖고 있다. 그런데 형상화된 죽음은 감정적 차원의 처리방식에서 보이는 특징들을 함유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 괴리는 죽음의 형상화가 담당한 기능을 추적하는 발판이 되었다. 형상화된 죽음이 작품의 초반에 배치된 점, 죽은 이들의 감정 분출이 결국 독자들의 감정적 요동을 야기한다는 점 등을 함께 고려한바, 그 일차적인 기능은 독자들의 감정적 수용태도를 우세하게 하는 데 있다고 할 것이다. 한편 몽유록의 작자는 작품 전반에서 이성적 설득보다 감정적 동조를 얻어내기 위한 서술방식을 구사하고 있었다. 이 전략은 독자의 마음을 선동하는 기민한 전략이지만, 자칫 이성적 저항에 부딪히기 쉬운 위험을 안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몽유록의 서술전략을 감안할 때, 작품의 초입에 배치된 형상화된 죽음의 핵심적인 기능은 독자의 감정적 수용기를 활성화함으로써 이성적 무장을 해제하여 이 약점을 보완하는 데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요컨대 죽음의 형상화는 잠복된 이성적 의도를 용이하게 성취하기 위해 독자의 감정적 동조를 조준한 몽유록의 전략을 완성하는 전초적 장치라 하겠다. 이는 죽음을 소재로써 취집한 실기류와 분명한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기도 했다. This paper thoroughly discusses a meaning of the ‘embodiment of death’ found in the ‘Mongyurok’ related with the War in the 17th century. While some recent studies have usually explained this embodied death as a mere reinforcement of reality, this study finds that it is an important attribution through which the ‘Mongyurok’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works at that time. Although the ‘Mongyurok’ is usually recognized as a death-friendly writing type because it summons some figures who existed in the past, it is found that the death frame had been not worked until the early 17th century passing through the War by analyzing the real condition. In the ‘Mongyurok’ which had been created in 15th~16th century dead characters had appeared, but many impressions associated from the death had been not given to them. On the contrary, the ‘Mongyurok’ written in the 17th century, distinctly visualized the shape of them and produced a mood of death. Therefore, the types of death selected in the contemporary writing field should be examined to identify the embodied death indicated as a point of change in the tradition of Mongyurok. As a representative type, the Silgiryu on which some experiences of the War are projected includes a lot of cases. And the type was largely divided into two ones according to authorships. At first, as the public Silgiryu regards the death as an object of report or details of an event, it is not connected with the death in the Mongyurok, while the private one describes the death and then adds some emotional responses to it. In addition, some scenes where the death is visually described were sometimes captured. From these scenes, some intersections with the Mongyurok could be found, in that they focus on the death as an event. However, the death in the Mongyurok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at of the private Silgiryu, because while the Silgiryu shows a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 engage with the death and intention of creation, this relationship is swerved in the Mongyurok. The Mongyurok has the very political and reasonable intention to reorganize the actual situation by disclosing the truth behind an affair. However, the embodied death contains some features shown in emotional level of treatment. This detachment becomes a scaffold on which a function of the embodied death can be pursued. Given the facts that the embodied death is arranged in the opening part and the emotional outbursts of the deceased result in unrests of readers, the function consequently prevents an opportunity to logically criticize some messages of the author by encouraging the emotional acceptance attitudes of readers. Thus, the embodiment of death may be a strategic device for emotional alignment of readers, in order to easily achieve the reasonable intention concealed in the Mongyurok. This is what makes the Mongyurok distinctly different from the Sikgiryu which selects the death as a material.

      • KCI등재

        죽음에 대한 태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임송자(Song-Ja Lim),송선희(Sun-Hee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5

        본 연구는 개인 특성에 따라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불안에 차이가 있는 지 알아보고, 죽음에 대한 태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하위요인 별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천안시, 아산시 및 용인시에 소재한 대학의 대학생들과 천안시, 아산시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들로 총 325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인 특성에 따라 죽음에 대한 태도의 차이가 있었다. 하위 요인별로 죽음에 대한 두려움요인에서는 일반 성인, 종교가 있는 사람, 기혼자가 긍정적이었고, 죽음에 대한 회피요인에서는 종교가 있는 사람, 여자, 기혼자가 긍정적이었으며, 죽음에 대한 개방성요인에서는 일반성인, 종교가 있는 사람, 기혼자의 태도가 더 긍정적이었다. 둘째, 개인 특성에 따라 죽음불안에 차이가 있었다.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면 인지·정서적 불안요인에서는 대학생, 종교가 없는 사람, 여성 및 미혼자의 죽음불안이 더 높았고, 신체변화에 대한 불안요인에서는 결혼유무만 차이가 있어 기혼자 보다 미혼자의 불안이 더 높았다. 셋째,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불안은 상관이 있었다. 죽음에 대한 태도의 하위 요인 중 죽음에 대한 두려움은 죽음불안의 하위 세 요인 모두와 부(-)의 상관이, 죽음에 대한 회피는 신체변화에 대한 불안에만 정(+)의 상관이, 죽음에 대한 개방성은 인지·정서적 불안에만 정(+)의 상관이 있었다. 넷째, 죽음에 대한 태도의 하위 요인 중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죽음에 대한 회피는 죽음불안의 하위 세 요인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out the effect and difference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the death attitude on death anxiety. The college students who study in the area of Chonan, Yongin, and Asan and the adults who live in the area of Chonan and Asan enrolled for this study. We analyzed the survey data from 325 responses finally.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 three ways: First, adults are more positive than college students, religious people are more positive than nonreligious people, female are more positive than male, and married people are more positive than unmarried people in the death attitude. Second, college students are more positive than adults, nonreligious people are more positive than religious people, female are more positive than male, and unmarried people are more positive than married people in the death anxiety. Third,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death anxiety and the death attitude. The fear on death has negative correlation on all subvariables of the death anxiety. Avoidance on death has positive correlation on the physical change anxiety, and openness on death has positive correlation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anxiety. Finally, It showed that the death attitude are affected by the death anxiety. The death anxiety was not much, if the fear on death are more little, the death anxiety was much, if the avoidance on death are much.

      • KCI등재

        기요 마르샹의 『죽음의 무도』 연구

        김준현(Kim, Junhyu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3 외국문학연구 Vol.- No.50

        중세 후기, 유럽 전역에서 성행했던 주제인 ‘죽음의 무도’는 ‘죽게 될 것임을 기억하라’는 기치 아래 ‘만인 평등의 죽음’을 이야기했다. 다양한 신분의 사람들을 한데 춤추게 한, 현란한 카니발을 닮은 ‘죽음의 행렬’은 피할 수 없는 숙명으로서의 죽음에 대한 생각들만을 반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죄악과 회개, 성별과 신분, 타락과 운명, 신의 섭리와 구원 등 조금씩 차별화되는 새로운 성찰들로 나아갔으며, 그 안에서 다양한 변신과 변주를 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죽음의 무도’라는 주제는 다양한 영역들이 상호 교차할 수 있는 접점인 동시에, 특히 다양한 시각 이미지들을 통해 재현되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죽음의 무도’는 텍스트와 이미지의 긴밀한 상관관계 속에서 수많은 사람들의 깊은 성찰을 이끌어냈고 그들의 기억 속에 강력한 잔상들을 남길 수 있었으며, 나아가 다층적인 해석 가능성과 새로운 시각의 투사가 이루어지는 계기를 만들기도 했다. 본고는 15세기 출판업자였던 기요 마르샹이 간행한 두 종류의 『죽음의 무도』 가운데, 남성들만을 등장시킨 ‘죽음의 무도’의 내용과 구성 방식을 국내 최초로 상세히 소개하는 데 우선적인 목표를 두었으며, 동시에 이 작품 안에 삽입된 목판화 이미지들과 텍스트가 어떤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를 검토하는 데에도 주안점을 두었다. 이러한 검토는 중세 후기 상이한 신분들이 가졌던 욕망의 실체가 피할 수 없는 존재인 ‘죽음’ 앞에서 어떻게 표출되는지를 파악함으로써, 중세 문화의 면면을 세밀히 규명하는 노력과 다르지 않은 것이기도 했다. 전통적인 ‘죽음의 무도’의 전반적인 특징을 유지하면서도, 그 안에서 교화적인 어조의 텍스트에 부합하는 성직자층의 시각과 목판화를 통해 시사되는 속인 계층의 시각이 혼재됨으로써, 기요 마르샹이 간행한 『죽음의 무도』가 ‘침묵 속의 이미지와 볼 수 없는 텍스트’의 연관 관계 속에서 ‘교화’와 ‘풍자’, ‘순종’과 ‘조롱’의 경계를 왕래하는 해석의 깊이를 간직하고 있음을 규명할 수 있었으며, ‘죽음의 무도’에 대한 꼼꼼한 연구를 통해, 중세 특유의 ‘연속성’과 ‘이질성’을 새로운 시각에서 되짚어보는 계기가 도출될 수 있다는 점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In the late Middle Ages, the theme of Danse macabre, or the Dance of Death, was prevalent throughout Europe. Under the powerful emblem of memento mori, Danse macabre spread rapidly through European art, literature, drama and visual examples. But the Dance of Death resembling ‘gaudy carnival’, in which all social ranks in descending order dances all together, did not stay to repeat ceaselessly one simple ontological distillation: the inevitable fate of mankind, or death conquers all. In the crossroads of various areas, the theme of Danse macabre continued to enjoy greatpopularity, in particular using the myriad of visual and literary forms. But the Danse macabre reduces and expands its repertoire of characters and contents and makes a significant transition to other topics, for instance the reflection of sin, repentance, corruption, gender, fortune, divine providence and salvation, leaving possibility to be multi-dimensional interpretation and the implications of a new angle. The aims of our study is to introduce in detail,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Danse macabre of Men, published by Guyot Marchant in 1486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 and woodcut images in this edition. By analyzing the opposition between the living and dead, the ambiguity between the bodily postures and dialogues, the conflict between the didactic voice and the theatrical body language, we can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the two conflicting modes of view, moving in satire from didactics and vice versa in the 1486 edition of Guyot Marchant. Through a follow-up study on the Danse macabre of women, we can make another opportunity for understanding about the ‘continuity’ and ‘alterity’ of the Middle Ages. 중세 후기, 유럽 전역에서 성행했던 주제인 ‘죽음의 무도’는 ‘죽게 될 것임을 기억하라’는 기치 아래 ‘만인 평등의 죽음’을 이야기했다. 다양한 신분의 사람들을 한데 춤추게 한, 현란한 카니발을 닮은 ‘죽음의 행렬’은 피할 수 없는 숙명으로서의 죽음에 대한 생각들만을 반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죄악과 회개, 성별과 신분, 타락과 운명, 신의 섭리와 구원 등 조금씩 차별화되는 새로운 성찰들로 나아갔으며, 그 안에서 다양한 변신과 변주를 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죽음의 무도’라는 주제는 다양한 영역들이 상호 교차할 수 있는 접점인 동시에, 특히 다양한 시각 이미지들을 통해 재현되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죽음의 무도’는 텍스트와 이미지의 긴밀한 상관관계 속에서 수많은 사람들의 깊은 성찰을 이끌어냈고 그들의 기억 속에 강력한 잔상들을 남길 수 있었으며, 나아가 다층적인 해석 가능성과 새로운 시각의 투사가 이루어지는 계기를 만들기도 했다. 본고는 15세기 출판업자였던 기요 마르샹이 간행한 두 종류의 『죽음의 무도』 가운데, 남성들만을 등장시킨 ‘죽음의 무도’의 내용과 구성 방식을 국내 최초로 상세히 소개하는 데 우선적인 목표를 두었으며, 동시에 이 작품 안에 삽입된 목판화 이미지들과 텍스트가 어떤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를 검토하는 데에도 주안점을 두었다. 이러한 검토는 중세 후기 상이한 신분들이 가졌던 욕망의 실체가 피할 수 없는 존재인 ‘죽음’ 앞에서 어떻게 표출되는지를 파악함으로써, 중세 문화의 면면을 세밀히 규명하는 노력과 다르지 않은 것이기도 했다. 전통적인 ‘죽음의 무도’의 전반적인 특징을 유지하면서도, 그 안에서 교화적인 어조의 텍스트에 부합하는 성직자층의 시각과 목판화를 통해 시사되는 속인 계층의 시각이 혼재됨으로써, 기요 마르샹이 간행한 『죽음의 무도』가 ‘침묵 속의 이미지와 볼 수 없는 텍스트’의 연관 관계 속에서 ‘교화’와 ‘풍자’, ‘순종’과 ‘조롱’의 경계를 왕래하는 해석의 깊이를 간직하고 있음을 규명할 수 있었으며, ‘죽음의 무도’에 대한 꼼꼼한 연구를 통해, 중세 특유의 ‘연속성’과 ‘이질성’을 새로운 시각에서 되짚어보는 계기가 도출될 수 있다는 점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In the late Middle Ages, the theme of Danse macabre, or the Dance of Death, was prevalent throughout Europe. Under the powerful emblem of memento mori, Danse macabre spread rapidly through European art, literature, drama and visual examples. But the Dance of Death resembling ‘gaudy carnival’, in which all social ranks in descending order dances all together, did not stay to repeat ceaselessly one simple ontological distillation: the inevitable fate of mankind, or death conquers all. In the crossroads of various areas, the theme of Danse macabre continued to enjoy greatpopularity, in particular using the myriad of visual and literary forms. But the Danse macabre reduces and expands its repertoire of characters and contents and makes a significant transition to other topics, for instance the reflection of sin, repentance, corruption, gender, fortune, divine providence and salvation, leaving possibility to be multi-dimensional interpretation and the implications of a new angle. The aims of our study is to introduce in detail,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Danse macabre of Men, published by Guyot Marchant in 1486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 and woodcut images in this edition. By analyzing the opposition between the living and dead, the ambiguity between the bodily postures and dialogues, the conflict between the didactic voice and the theatrical body language, we can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the two conflicting modes of view, moving in satire from didactics and vice versa in the 1486 edition of Guyot Marchant. Through a follow-up study on the Danse macabre of women, we can make another opportunity for understanding about the ‘continuity’ and ‘alterity’ of the Middle Ages.

      • 기독교의 죽음 이해와 자살예방

        조성돈(Seong Don Cho)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20 종교문화학보 Vol.17 No.1

        죽음에 대해 가장 많은 고민을 하는 종교에서도 죽음 이후에 대한 정확한 개념이 없다. 2009년 노무현 전 대통령이 자살로 생을 마감했을 때도 각 종교는 상이한 입장을 내놓았다. 특히 각 종교는 그 동안 자살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취해왔고, 심지어 지옥과도 연결해 왔다. 그런데 각 종교는 교리가 아니라 정치적 입장에 따라서 그의 구원을 다르게 설명했다. 따라서 죽음에 대한 종교적 입장, 특히 기독교의 입장을 정확히 해 볼 필요가 있다. 한국은 전통적으로 죽음에 대해서 친화적이었다. 한국인들은 죽음을 가까이 두면서 친해지려고 했고, 유교적 전통에 따라서 죽은 이들을 떠나보내는 것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가족으로 함께 했다. 그래서 이들은 기억과 재현을 통해 한 가족으로 여기고 있다. 성경은 죽음에 대해서 부정적이다. 죄의 결과로 보았다. 죽은 자들은 하나님을 찬양하지도 못하고, 그 관계에서 단절되어 있다. 그들은 스올이라는 죽음의 자리에 있다. 그럼에도 그곳도 하나님의 통치의 자리이다. 신약에서는 죽음 이후를 하나님 안에 감추인 것으로 보았다. 그것은 평안을 말하며, 사랑과 평화의 자리이다. 또한 산 자의 생각이 있다. 하나님 앞에서 모든 인간은 죽은 것이 아니라 살아있는 것이다. 그래서 하나님은 살아 있는 자의 하나님이라고 한다. 히브리 전통에서 인간은 영, 혼, 육으로 나뉘는 것이 아니라 총체적 존재이다. 따라서 죽음도 이러한 존재의 끝이다. 그러나 이후 부활이 기다리고 있다. 죽음이 인간의 한계를 드러내지만 여기서 하나님의 능력이 나타난다. 그래서 전적인 죽음이 있지만 이후 육체적 부활을 포함하는 온전한 부활이 기다리고 있다. 예수의 부활은 이처럼 죽음 이후 잠자는 상태에 있는 인간들의 부활을 보여주는 첫 열매이다. 이로써 예수 안에서 죽은 자와 산 자들의 코이노니아를 이루어 간다. 현대사회에서 죽음은 소외되어 있다. 죽음에 이르는 과정과 죽음과 죽음 이후도 소외되어 사람들의 삶에서 벗어나 상업화되었다. 이렇게 죽음에 대해서 벗어나 있는 인간들은 삶의 기준을 잃어버리고 방황하고 있다. 이러한 절대적 가치를 잃어버린 인간들은 혼란과 불안을 겪으며 정신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죽음을 바로 이해하고 세워가는 것은 정신 문제의 중요한 부분이고, 자살예방의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Even in religions that have the most worries about death, there is no exact concept of post-death. Roh Moo-hyun, former president, 2009 each religion was in a different position when he died in suicide. In particular, each religion has taken a negative stance on suicide and even connected it to hell. Each religion, however, explained his salvation differently depending on his political position, not his doctrin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 religious position on death, especially from the Christian point of view. Korea has traditionally been friendly to death. Koreans tried to make friends by keeping close to death and in accordance with Confucian tradition, joined them as invisible families, not leaving the dead. Therefore, they are regarded as a family through memory and reproduction. The Bible is negative about death. I saw it as a result of sin. The dead cannot praise God, and they are cut off from the relationship. They are in the position of death called Seorl. Nevertheless, it is also the place of God's rule. In the New Testament, it was seen as concealing after death in God. It is a place of peace, a place of love and peace. There is also the thought of the living. In the presence of God, all men are not dead, but alive. So God is said to be the God of the living. In Hebrew tradition, humans are not divided into spirits, souls, and flesh, but are holistic beings. Therefore, death is the end of this existence. However, a resurrection awaits afterwards. Death reveals human limitations, but God's power appears here. So there is a whole death, but a complete resurrection awaits, including a subsequent physical resurrection. The resurrection of Jesus is the first fruit that shows the resurrection of humans who have been sleeping since their death. This makes up the coinonia of the dead and the living in Jesus. Death is alienated in modern society. The process leading to death ,after death and death were also alienated and commercialized away from people's lives. Humans who are so free from death have lost their standard of living and are wandering. Humans who have lost these absolute values are suffering from mental distress and anxiety. Understanding and establishing death is an important part of mental problems and an important task in preventing suic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